KR101591885B1 -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 Google Patents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885B1
KR101591885B1 KR1020140162306A KR20140162306A KR101591885B1 KR 101591885 B1 KR101591885 B1 KR 101591885B1 KR 1020140162306 A KR1020140162306 A KR 1020140162306A KR 20140162306 A KR20140162306 A KR 20140162306A KR 101591885 B1 KR101591885 B1 KR 10159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ell
resistor
comparator
switch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구
이경민
정유채
성창현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공진을 채용한 배터리셀 모듈에서 공진 주기를 감지하여 배터리셀 모듈에 연결된 스위치들을 대상으로 제로 커런트 스위칭(ZCS: Zero Current Switching)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셀 모듈부, 직렬공진회로부를 구비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에서, 상기 직렬공진회로부의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량을 근거로 상기 직렬공진회로의 공진 주기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공진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직렬공진회로부의 스위치들이 스위칭 동작하도록 원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보정하여 제로커런트스위칭용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BATTERY CELL BALLANCING CIRCUIT WHICH IS ZERO CURRENT SWITCHING}
본 발명은 멀티 배터리셀을 구비한 배터리셀 모듈의 밸런싱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렬공진을 채용한 배터리셀 모듈에서 공진 주기를 감지하여 배터리셀 모듈에 연결된 스위치들을 대상으로 제로 커런트 스위칭(ZCS: Zero Current Switching)을 수행하여 스위칭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셀의 양단 전압이 일정 수치를 넘을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고, 일정 수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배터리셀에 영구적인 손상이 가해지게 된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나 노트북 컴퓨터 등은 비교적 대용량의 전원공급이 요구되므로 배터리셀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여러 개의 배터리셀을 직렬로 연결한 배터리셀 모듈(배터리 팩)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터리셀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각 배터리셀의 성능(용량) 편차에 의하여 전압의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다.
배터리셀 모듈 충전 시 배터리셀 모듈 내에서 하나의 배터리셀이 다른 배터리셀들에 비하여 먼저 상한 전압에 도달할 경우 더 이상 배터리셀 모듈을 충전할 수 없게 되므로 다른 배터리셀들이 충분히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을 종료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배터리셀 모듈의 충전용량이 정격 충전용량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배터리셀 모듈 방전 시에는 배터리셀 모듈 내에서 하나의 배터리셀이 다른 배터리셀들에 비하여 먼저 하한 전압에 도달할 경우 더 이상 배터리셀 모듈을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그만큼 배터리셀 모듈의 사용시간이 단축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셀 모듈의 충전 또는 방전 시 보다 높은 전기 에너지를 갖는 배터리셀의 전기 에너지를 보다 낮은 전기 에너지를 갖는 배터리셀로 공급해 줌으로써 배터리셀 모듈의 사용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동작을 배터리셀 밸런싱이라고 부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씨 직렬공진을 이용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셀 모듈부(110) 및 직렬공진회로부(120)를 포함한다.
배터리셀 모듈부(110)는 배터리셀 모듈(111), 제1스위치부(112A) 및 제2스위치부(112B)를 구비하고, 직렬공진회로부(120)는 직렬공진회로(121) 및 제3스위치부(122)를 구비한다.
배터리셀 모듈(111)은 직렬연결된 배터리셀(CELL1-CELL4)을 구비하고, 직렬공진회로(121)는 직렬연결된 인덕터(Ls) 및 커패시터(Cs)를 구비한다.
제1스위치부(112A)는 배터리셀 모듈(111)을 대상으로 전기에너지의 회수 및 공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셀(CELL1-CELL4)의 각 단자에 일측 단자가 각기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제1공통노드(N1)에 공통연결된 스위치(SW1-SW5)를 구비한다.
제2스위치부(112B)는 상기 배터리셀 모듈(111)을 대상으로 전기에너지의 회수 및 공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셀(CELL1-CELL4)의 각 단자에 일측 단자가 각기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제2공통노드(N2)에 공통연결된 스위치(SW6-SW10)를 구비한다.
제3스위치부(122)는 전기에너지 회수모드에서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일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1공통노드(N1)에 연결하는 스위치(SW11) 및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타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2 공통노드(N2)에 연결하는 스위치(SW12), 전기에너지공급모드에서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타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1 공통노드(N1)에 연결하는 스위치(SW13) 및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일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2공통노드(N2)에 연결하는 스위치(SW14)를 구비한다.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CELL4) 중에서 임의의 배터리셀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는 제1 스위치부(112A), 제2스위치부(112B) 및 제3스위치부(122)를 통해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에 일시적으로 충전된 후 상기 스위치부들을 통해 배터리셀(CELL1-CELL4) 중에서 임의의 배터리셀에 충전된다.
도 2a는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CELL4) 중에서 임의의 배터리셀로서 배터리셀(CELL3)에 다른 배터리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회수하여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에 일시적으로 충전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부(112A)의 스위치(SW1-SW5) 중에서 스위치(SW3)가 턴온되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제2 스위치부(112B)의 스위치(SW6-SW10) 중에서 스위치(SW9)가 턴온되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제3 스위치부(122)의 스위치(SW11-SW14) 중에서 스위치(SW11) 및 스위치(SW12)가 턴온되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3)의 일측 단자가 상기 스위치(SW3) 및 스위치(SW11)를 통해 직렬공진회로(21)의 일측 단자인 제3 공통노드(N3)에 연결되고,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타측 단자인 제4 공통노드(N4)가 상기 스위치(SW12)를 통해 제2 공통노드(N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배터리셀(CELL3)의 충전에너지가 상기 스위치(SW3) 및 스위치(SW11)를 통해 회수되어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에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셀(CELL3)의 용량은 상기 커패시터(Cs)의 용량에 비하여 아주 크기 때문에 상기 직렬공진회로(121)가 공진할 경우 상기 배터리셀(CELL3)의 충전 전압이 미세하게 하강된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Cs)의 충전전압이 사인(sine) 함수의 형태로 상승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패시터(Cs)의 충전전압이 완만하게 상승되므로 하드스위칭 손실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도 2b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에 일시적으로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CELL4)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배터리셀(CELL1)에 공급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부(112A)의 스위치(SW1-SW5) 중에서 스위치(SW2)가 턴온되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제2 스위치부(112B)의 스위치(SW6-SW10) 중에서 스위치(SW6)가 턴온되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제3 스위치부(122)의 스위치(SW11-SW14) 중에서 스위치(SW13) 및 스위치(SW14)가 턴온되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직렬공진회로(121)의 일측 단자인 제3 공통노드(N3)가 상기 스위치(SW14) 및 스위치(SW16)를 통해 상기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타측 단자인 제4 공통노드(N4)가 상기 스위치(SW13)를 통해 제1 공통노드(N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에 일시적으로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스위치(SW14) 및 스위치(SW6)를 통해 상기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Cs)의 충전전압이 사인(sine) 함수의 형태로 하강된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배터리셀의 전기에너지를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에 회수하여 일시적으로 충전하거나, 상기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배터리셀에 공급할 때 전달되는 전력량은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와 인덕터(Ls)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패시터(Cs)의 값이 클수록 인덕터(Ls)의 값이 작을수록 전달되는 전력량이 많기 때문에 빠르게 밸런싱이 이루어지지만 공진 전류량이 많아짐에 따라 그만큼 손실량도 많아지게 되므로 상기 커패시터(Cs) 및 인덕터(Ls)의 값을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덕터(Ls)의 값을 500uH로 설정하고, 커패시터(Cs)의 값을 120μF로 설정할 경우 공진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량은 실험을 통해 0.5W 정도가 된다. 상기 배터리셀(CELL3)과 배터리셀(CELL1) 간의 밸런싱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도 2a와 도 2b의 셀 밸런싱 동작을 필요한 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배터리셀(CELL3)의 충전 에너지가 배터리셀(CELL1)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CELL4) 중에서 가장 높은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배터리셀과 가장 낮은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배터리셀을 판별하여 상기와 같은 일련의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는 밸런싱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CELL4) 중에서 가장 높은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하나의 배터리셀과 가장 낮은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하나의 배터리셀을 대상으로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n개의 배터리셀을 대상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밸런싱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SW10)와 스위치(SW1)를 턴온시키고, 상기 스위치(SW11) 및 스위치(SW12)를 턴온시키면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 CELL4)로부터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직렬공진회로(21)의 커패시터(Cs)에 회수된다. 다른 예로써, 스위치(SW6)와 스위치(SW5)를 턴온시키고, 스위치(SW13) 및 스위치(SW14)를 턴온시키면 상기 직렬공진회로(121)의 커패시터(Cs)에 일시적으로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배터리셀 모듈(111)의 배터리셀(CELL1-CELL4)에 공급된다.
도 3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엘씨 직렬공진을 이용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도로서, 도 1과 비교할 때 제1 스위치부(312A) 및 제2 스위치부(312B)의 양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스위치 경로의 개수를 절반으로 줄인 것이 다른 점이다.
즉, 도 1의 경우 배터리셀 모듈부(110)의 배터리셀(CELL1-CELL4)과 제1 공통노드(N1) 및 제2 공통노드(N2)간에 각각 5개의 스위치 경로가 존재하여 모두 10개의 스위치 경로가 존재한다. 이에 비하여, 도 3의 경우 배터리셀 모듈부(310)의 배터리셀(CELL1-CELL4)과 제1 공통노드(N1) 간에 연결된 제1스위치부(312A)에 3개의 스위치 경로가 존재하고, 상기 배터리셀 모듈부(310)의 배터리셀(CELL1-CELL4)과 제2 공통노드(N2) 간에 연결된 제2스위치부(312B)에 2개의 스위치 경로가 존재하여 총 5개의 스위치 경로가 존재하며, 이들을 통해 배터리셀 밸런싱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배터리셀(CELL3)의 전기 에너지 회수 경로는 도 4a와 같이, 상기 배터리셀(CELL3)의 일측단자, 스위치(SW2), 제1 공통노드(N1), 스위치(SW6), 직렬공진회로(321), 스위치(SW7), 제2 공통노드(N2), 스위치(SW5) 및 상기 배터리셀(CELL3)의 타측단자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써, 상기 커패시터(Cs)에 회수되어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셀(CELL4)에 공급하기 위한 경로는 도 4b와 같이, 상기 배터리셀(CELL4)의 타측단자, 스위치(SW3), 제1 공통노드(N1), 스위치(SW8), 직렬공진회로(321), 스위치(SW9), 제2 공통노드(N2), 스위치(SW5) 및 상기 배터리셀(CELL4)의 일측단자로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에 있어서는 직렬공진회로의 구성소자인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의 노화(Aging)나 온도 등의 환경변화에 의하여,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이 제로 커런트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공진 주기에서 벗어나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도 5는 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a),(c)와 같이 도 3의 제3스위치부(322)의 스위치(SW6-SW9) 중에서 스위치(SW6),(SW7)의 스위칭 주기가 직렬공진회로(321)의 공진주기 즉, 인덕터(Ls)의 전류(IL)가 제로 이상인 구간 보다 긴 경우, 인덕터(Ls)의 전류(IL)가 공진주기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스위칭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제로 커런트 스위칭(Zero Current Switching)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에 있어서는 직렬공진회로의 구성소자인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의 노화(Aging)나 온도 등의 환경변화에 의해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이 제로 커런트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직렬공진회로의 공진 주기에서 벗어나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에 의해 스위칭 손실이 발생되어 배터리셀 모듈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셀의 개수 확장이 가능하고 직렬공진을 채용하여 배터리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배터리셀 모듈에서, 직렬공진회로의 공진 주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공진주기를 근거로 배터리셀에 연결된 스위치들을 대상으로 제로 커런트 스위칭(ZCS: Zero Current Switching)을 수행하여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의 노화(Aging)나 온도 등의 환경변화에 관계없이 스위칭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는, 복수의 배터리셀이 직렬연결된 배터리셀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에서 가장 높은 전기에너지가 저장된 배터리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회수하거나 이미 회수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에서 가장 낮은 전기에너지가 저장된 배터리셀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양측에 각기 연결된 제1스위치부 및 제2스위치부를 구비한 배터리셀 모듈부; 직렬접속된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에너지에 대한 직렬공진 기능을 수행하는 직렬공진회로 및, 상기 제1스위치부 및 제2스위치부와 연계적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배터리셀 모듈부로부터 회수되는 전기에너지가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되게 하거나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셀 모듈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3스위치부를 구비한 직렬공진회로부; 및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량을 근거로 상기 직렬공진회로의 공진 주기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공진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제3스위치부의 스위치들이 스위칭 동작하도록 원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보정하여 제로커런트스위칭용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직렬공진회로의 인덕터 전압을 검출하여 적분하는 적분기; 상기 적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근거로 제1비교기에서는 상기 인덕터의 전류가 양의 전류에서 음의 전류로 천이되는 순간의 제로 커런트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고, 제2비교기에서는 상기 인덕터의 전류가 음의 전류에서 양의 전류로 천이되는 순간의 제로 커런트를 각기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제1비교기 및 제2비교기로부터 공급되는 비교전압을 근거로 제로커런트검출전압을 출력하는 에지검출부; 및 상기 제3스위치부의 스위치들이 제로 커런트에서 스위칭 동작하도록, 상기 제로커런트검출전압을 근거로 원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보정하여 제로커런트스위칭용 스위칭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직렬공진을 채용하여 배터리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배터리셀 모듈에서 직렬공진회로의 공진 주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결과를 근거로 배터리셀에 연결된 스위치들을 대상으로 제로 커런트 스위칭을 구현함으로써, L,C 스위치 소자의 노화(aging)에 관계없이 배터리셀에 연결된 스위치들의 스위칭 동작이 직렬공진회로의 공진 주기 내에서 이루어져 스위칭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와 같은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씨 직렬공진을 이용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대한 전기에너지 회로 경로를 나타낸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대한 전기에너지 공급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엘씨 직렬공진을 이용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대한 전기에너지 회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대한 전기에너지 공급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종래기술에 의해 공진 주기에서 벗어나 스위칭되는 것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상기 제1스위치부 내지 제3스위치부의 스위치가 MOSFET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의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10의 (a) 내지 (l)는 도 9 각부의 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b)는 도 9의 제1비교기 및 제2비교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9에서 D형 플립플롭의 로직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스위칭제어신호가 제로커런트에 동기된 것을 나타낸 실험결과의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로 커런트(zero-current)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600)는, 배터리셀 모듈부(610), 직렬공진회로부(620) 및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배터리셀 모듈부(610)는 도 1의 배터리셀 모듈부(110) 및 도 3의 배터리셀 모듈부(310)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배터리셀을 구비한 배터리셀 모듈과 상기 배터리셀 모듈을 대상으로 전기에너지의 회수 및 공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스위치부 및 제2스위치부를 구비한다.
직렬공진회로부(620)는 직렬연결된 인덕터(Ls) 및 커패시터(Cs)를 구비한 직렬공진회로(621) 및 상기 제1스위치부 및 제2스위치부와 연계동작하여 상기 배터리셀 모듈을 대상으로 전기에너지의 회수 및 공급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3스위치부(622)를 포함한다.
제3스위치부(622)는 상기 배터리셀 모듈에 대한 전기에너지 회수모드에서 상기 직렬공진회로(621)의 일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1스위치부의 공통노드인 제1공통노드(N1)에 연결하는 스위치(SW11) 및 상기 직렬공진회로(621)의 타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2스위치부의 공통노드인 제2 공통노드(N2)에 연결하는 스위치(SW12), 전기에너지공급모드에서 상기 직렬공진회로(621)의 타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1 공통노드(N1)에 연결하는 스위치(SW13) 및 상기 직렬공진회로(621)의 일측 종단 단자를 상기 제2공통노드(N2)에 연결하는 스위치(SW14)를 구비한다.
도 6에서 상기 제1스위치부, 제2스위치부 및 제3스위치부(622)에 구비된 스위치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의 제3스위치부(622)에서와 같은 SPST(Single Pole Single Throw)로 구현하거나, MOSFET(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의 전력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셀 모듈의 배터리셀 수가 추가되는 경우, 그 추가되는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치 개수가 추가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1스위치부 내지 제3스위치부의 각 스위치가 두 개의 MOSFET와 다이오드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된 모스트랜지스터(M1),(M2), 상기 모스트랜지스터(M1)의 전류 흐름과 역방향으로 상기 모스트랜지스터(M1)에 병렬연결된 다이오드(D1) 및 상기 모스트랜지스터(M2)의 전류 흐름과 역방향으로 상기 모스트랜지스터(M2)에 병렬연결된 다이오드(D2)를 구비한다.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630)는 직렬공진회로(621)의 인덕터(Ls)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류를 근거로 상기 직렬공진회로(621)의 공진 주기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공진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스위치(SW11-SW14)의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부(도면에 미표시)로부터 상기 스위치(SW11-SW14)에 공급되는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4)를 보정하여 제로커런트스위칭용 스위칭제어신호(CTL11'- CTL14')를 출력하는데, 상기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630)의 동작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상기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630)의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분기(631), 비교부(632), 에지검출부(633) 및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634)를 구비한다.
도 9는 상기 적분기(631), 비교부(632), 에지검출부(633) 및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634)의 구현예를 보인 상세회로도이다.
적분기(631)는 직렬공진회로(621)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인덕터(Ls)의 전압을 적분하게 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인덕터(Ls)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파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적분기(631)는 상기 인덕터(Ls)에 대향지게 결합된 인덕터(L1), 상기 인덕터(L1)의 일측 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된 저항(R1), 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저항(R1)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비반전입력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된 연산증폭기(OP1) 및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를 구비한다.
인덕터(L1)는 상기 인덕터(Ls)에 대향지게 결합되어 상기 인덕터(Ls)에 흐르는 전류에 상응되는 유기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인덕터(Ls)에 유기되는 전압은 연산증폭기(OP1), 저항(R1) 및 커패시터(C1)에 의해 적분되어 도 10의 (a)와 같은 모양의 파형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저항(R1) 및 커패시터(C1)로 이득을 조절하여 적분된 파형의 증폭도를 조절할 수 있다.
비교부(632)는 상기 적분기(63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제로 레벨의 전압(영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비교부(632)는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된 저항(R2), 비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저항(R2)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반전입력단자에 정극성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는 비교기(CP1), 상기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R3), 일측 단자에 부극성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는 저항(R3), 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에 연결돠고 비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저항(R4)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비교기(CP2) 및 상기 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R5)을 구비한다.
비교기(CP1)는 상기 인덕터(Ls)의 전류가 양의 전류에서 음의 전류로 천이되는 순간의 제로 커런트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항(R2,R3)은 상기 비교기(CP1)에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기(CP2)는 상기 인덕터(Ls)의 전류가 음의 전류에서 양의 전류로 천이되는 순간의 제로 커런트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항(R4,R5)은 상기 비교기(CP2)에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CP1,CP2)의 출력전압(Vout)이 부극성(-)에서 정극성(+)으로 천이될 때의 입력전압(Vi)의 레벨과 상기 출력전압(Vout)이 정극성에서 부극성으로 천이될 때의 입력전압(Vi)의 레벨이 서로 상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Vi)의 작은 변화에 의해 상기 비교기(CP1,CP2)이 출력전압(Vout)이 변화되어 제로 커런트 스위칭 제어부(63)가 불안정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히스테리시스 파형을 참조하여 상기 비교기(CP1)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설명하면, 상기 비교기(C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상기 입력전압(Vi)이 공급되고 반전입력단자에는 정극성 기준전압(Vref)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R2,R3)에 의해 상기 비교기(CP1)의 히스테리시스 전압(VTH)이 상기 정극성 기준전압(Vref)의 두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압(Vi)이 하강되어 제로 레벨에 도달될 때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전압(Vout)이 '하이'에서 '로우'로 천이된다. 이후, 상기 입력전압(Vi)이 상승되어 상기 정극성 기준전압(Vref)의 레벨에 도달되어도 상기 출력전압(Vout)이 변화되지 않고, 상기 입력전압(Vi)이 더 상승되어 상기 히스테리시스 전압(VTH)에 도달될 때 비로서 상기 출력전압(Vout)이 '하이'로 천이된다.
도 11의 (b)에 도시한 히스테리시스 파형을 참조하여 상기 비교기(CP2)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설명하면, 상기 비교기(CP2)의 반전입력단자에 상기 입력전압(Vi)이 공급되고 비반전입력단자에는 부극성 기준전압(-Vref)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R4,R5)에 의해 상기 비교기(CP2)의 히스테리시스 전압(-VTH)이 상기 부극성 기준전압(-Vref)의 두배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압(Vi)이 상승되어 제로 레벨에 도달될 때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전압(Vout)이 '하이'에서 '로우'로 천이된다. 이후, 상기 입력전압(Vi)이 하강되어 상기 부극성 기준전압(-Vref)의 레벨에 도달되어도 상기 출력전압(Vout)이 변화되지 않고, 상기 입력전압(Vi)이 더 하강되어 상기 히스테리시스 전압(-VTH)에 도달될 때 비로서 상기 출력전압(Vout)이 '하이'로 천이된다.
에지검출부(633)는 상기 비교부(632) 비교기(CP1),(CP2)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비교전압을 근거로 제로커런트검출전압(ZCD)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지검출부(633)는 애노드가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노드(N1)에 연결된 다이오드(D1), 일측 단자가 상기 노드(N1)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된 저항(R6), 애노드가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 일측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노드(N2)에 연결된 저항(R7), 상기 노드(N2)와 접지단자의 사이에 병렬연결된 저항(R8) 및 커패시터(C2), 입력단자가 상기 노드(N2)에 연결된 인버터(I1), 일측 입력단자가 상기 노드(N1)에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인버터(I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노아게이트(NOR1), 애노드가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노드(N3)에 연결된 다이오드(D3), 일측 단자가 상기 노드(N3)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된 저항(R9), 애노드가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4), 일측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D4)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노드(N4)에 연결된 저항(R10), 상기 노드(N4)와 접지단자의 사이에 병렬연결된 저항(R11) 및 커패시터(C3), 입력단자가 상기 노드(N4)에 연결된 인버터(I2), 일측 입력단자가 상기 노드(N3)에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인버터(I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노아게이트(NOR2) 및 일측 입력단자가 상기 노아게이트(NOR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노아게이트(NOR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출력단자에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가 출력되는 노아게이트(NOR3)를 구비한다.
비교기(CP1)의 출력전압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되어 노아게이트(NOR1)의 일측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상기 비교기(CP1)의 출력전압이 다이오드(D2)를 통해 정류된 후 커패시터(C2)에 의해 지연되고, 이렇게 지연처리된 전압이 인버터(I1)을 통해 반전되어 상기 노아게이트(NOR1)의 타측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아게이트(NOR1)는 일측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도 10의 (b)와 같은 입력전압(va)과 타측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도 10의 (c)와 같은 입력전압(vb)을 노아 연산하여 도 10의 (d)와 같은 출력전압(vc)을 발생한다. 즉, 상기 노아게이트(NOR1)는 상기 입력전압(va),(vb)을 근거로 상기 인덕터(Ls)에 흐르는 전류가 양(+)에서 음(-)으로 천이되는 시점에서 제로커런트 검출전압인 상기 출력전압(vc)을 발생한다.
비교기(CP2)의 출력전압이 다이오드(D3)를 통해 정류되어 노아게이트(NOR2)의 일측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상기 비교기(CP2)의 출력전압이 다이오드(D4)를 통해 정류된 후 커패시터(C3)에 의해 지연되고, 이렇게 지연처리된 전압이 인버터(I2)을 통해 반전되어 상기 노아게이트(NOR2)의 타측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아게이트(NOR2)는 일측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도 10의 (e)와 같은 입력전압(vd)과 타측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도 10의 (f)와 같은 입력전압(ve)을 노아 연산하여 도 10의 (g)와 같은 출력전압(vf)을 발생한다. 즉, 상기 노아게이트(NOR2)는 상기 입력전압(vd),(ve)을 근거로 상기 인덕터(Ls)에 흐르는 전류가 음(-)에서 양(+)으로 천이되는 시점에서 제로커런트 검출전압인 상기 출력전압(vf)을 발생한다.
노아게이트(NOR3)는 상기 노아게이트(NOR1)의 출력전압(vc)과 상기 노아게이트(NOR2)의 출력전압을 노아 연산하여 도 10의 (h)와 같은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를 출력한다.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634)는 상기 제로커런트검출전압(ZCD)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SW11-SW14)에 공급되는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4)를 보정하여 정확하게 제로커런트에서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로커런트스위칭용 스위칭제어신호(CTL11'- CTL14')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634)는 입력데이터단자(D1)와 반전세트단자(set1_bar)가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클럭단자(CK1)에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가 공급되며, 반전리세트단자(reset1_bar)에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에 공급되고, 출력단자(Q1)에 보정된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가 출력되는 D형플립플롭(DFF1) 및 입력데이터단자(D2)와 반전세트단자(set2_bar)가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클럭단자(CK2)에 스위칭제어신호(CTL13,CTL14)가 공급되며, 반전리세트단자(reset2_bar)에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에 공급되고, 출력단자(Q2)에 보정된 스위칭제어신호(CTL13', CTL14')가 출력되는 D형플립플롭(DFF2)을 구비한다.
D형플립플롭(DFF1)의 입력데이터단자(D1)와 반전세트단자(set1_bar)에 전원전압(VDD)이 공급되고, 반전리세트단자(reset1_bar)에 상기 도 10의 (h)와 같은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가 공급되며, 클럭단자(CK1)에 도 10의 (i)와 같은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D형플립플롭(DFF1)의 출력단자(Q1)에 도 10의 (j)와 같이 보정된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가 출력된다.
즉, 도 12의 로직 테이블에서와 같이 클럭신호인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의 상승에지에서는 입력데이터단자(D1)와 반전세트단자(set1_bar)에 '하이'의 전원전압(VDD)이 공급되므로 출력단자(Q1)에 '하이'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이후, 상기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가 '로우'가 되더라도 상기 출력단자(Q1)에 출력되는 '하이'는 계속 유지된다. 이후, 제로 커런트가 검출될 때 반전리세트단자(reset1_bar)에 공급되는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가 '로우'로 하강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출력단자(Q1)에 출력되는 '하이'가 '로우'로 천이된다. 이후, 상기 반전리세트단자(reset1_bar)에 공급되는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가 '하이'로 상승되더라도 상기 출력단자(Q1)에 출력되는 '로우'는 계속 유지된다. 상기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가 '로우'로 천이(오프)되기 전에 제로 커런트가 검출되어 상기 제로커런트검출신호(ZCD)가 '로우'로 하강되면 상기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2)가 '로우'로 천이되어 스위치(SW11,SW12)가 턴오프된다. 이후에도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D형플립플롭(DFF2)도 상기 D형플립플롭(DFF1)과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여 이의 출력단자(Q2)에 도 10의 (l)과 같이 보정된 스위칭제어신호(CTL13',CTL14')가 출력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4)가 제로커런트에 동기되어 보정된 스위칭제어신호(CTL11'-CTL14')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실험결과의 파형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600 :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610 : 배터리셀 모듈부
620 : 직렬공진회로부 621 : 직렬공진회로
622 : 제3스위치부 630 :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
631 : 적분기 632 : 비교부
633 : 에지 검출부 634 :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

Claims (9)

  1. 복수의 배터리셀이 직렬연결된 배터리셀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에서 가장 높은 전기에너지가 저장된 배터리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회수하거나 이미 회수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에서 가장 낮은 전기에너지가 저장된 배터리셀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양측에 각기 연결된 제1스위치부 및 제2스위치부를 구비한 배터리셀 모듈부;
    직렬접속된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에너지에 대한 직렬공진 기능을 수행하는 직렬공진회로 및, 상기 제1스위치부 및 제2스위치부와 연계적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배터리셀 모듈부로부터 회수되는 전기에너지가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되게 하거나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셀 모듈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3스위치부를 구비한 직렬공진회로부; 및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량을 근거로 상기 직렬공진회로의 공진 주기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공진 주기에 동기하여 상기 제3스위치부의 스위치들이 스위칭 동작하도록 원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보정하여 제로커런트스위칭용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로커런트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직렬공진회로의 인덕터 전압을 검출하여 적분하는 적분기;
    상기 적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근거로 제1비교기에서는 상기 인덕터의 전류가 양의 전류에서 음의 전류로 천이되는 순간의 제로 커런트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고, 제2비교기에서는 상기 인덕터의 전류가 음의 전류에서 양의 전류로 천이되는 순간의 제로 커런트를 각기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제1비교기 및 제2비교기로부터 공급되는 비교전압을 근거로 제로커런트검출전압을 출력하는 에지검출부; 및
    상기 제3스위치부의 스위치들이 제로 커런트에서 스위칭 동작하도록, 상기 제로커런트검출전압을 근거로 원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보정하여 제로커런트스위칭용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치부의 각 스위치는 SPST(Single Pole Single Throw) 및 모스트랜지스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상기 인덕터에 대향지게 결합된 제1인덕터;
    상기 제1인덕터의 일측 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된 제1저항;
    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비반전입력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된 연산증폭기;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제1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 및 제1커패시터는 상기 연산증폭기의 증폭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적분기의 출력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된 제2저항;
    비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제2저항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반전입력단자에 정극성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제1비교기;
    상기 제1비교기의 비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제3저항;
    일측 단자에 부극성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제4저항;
    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적분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돠고 비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제4저항의 타측단자에 연결된 제2비교기; 및
    상기 제2비교기의 비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된 제5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항 및 제3저항은 상기 제1비교기에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저항 및 제5저항은 상기 제2비교기에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검출부는
    애노드가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1노드에 연결된 제1다이오드;
    일측 단자가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된 제6저항;
    애노드가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
    일측 단자가 상기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제2노드에 연결된 제7저항;
    상기 제2노드와 접지단자의 사이에 병렬연결된 제8저항 및 제2커패시터;
    입력단자가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된 제1인버터;
    일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노아게이트;
    애노드가 상기 제2비교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3노드에 연결된 제3다이오드;
    일측 단자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된 제9저항;
    애노드가 상기 제2비교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4다이오드;
    일측 단자가 상기 제4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제4노드에 연결된 제10저항;
    상기 제4노드와 접지단자의 사이에 병렬연결된 제11저항 및 제3커패시터;
    입력단자가 상기 제4노드에 연결된 제2인버터;
    일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2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노아게이트; 및
    일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1노아게이트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제2노아게이트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출력단자에 제로커런트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제3노아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신호 출력부는
    제1입력데이터단자와 제1반전세트단자가 전원전압에 연결되고, 제1클럭단자에 제11스위칭제어신호 또는 제12스위칭제어신호가 공급되며, 제1반전리세트단자에 제로커런트검출신호에 공급되고, 제1출력단자에 보정된 제11스위칭제어신호 또는 보정된 제12스위칭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제1D형플립플롭; 및
    제2입력데이터단자와 제2반전세트단자가 전원전압에 연결되고, 제2클럭단자에 제13스위칭제어신호 또는 제14스위칭제어신호가 공급되며, 제2반전리세트단자에 제로커런트검출신호에 공급되고, 제2출력단자에 보정된 제13스위칭제어신호 또는 보정된 제14스위칭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제2D형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KR1020140162306A 2014-11-20 2014-11-20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KR101591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306A KR101591885B1 (ko) 2014-11-20 2014-11-20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306A KR101591885B1 (ko) 2014-11-20 2014-11-20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885B1 true KR101591885B1 (ko) 2016-02-04

Family

ID=5535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306A KR101591885B1 (ko) 2014-11-20 2014-11-20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8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4446A (ja) 2010-07-28 2012-02-16 Toshiba Corp 蓄電装置及びエネルギバランス調整方法
JP2013013291A (ja) 2011-06-30 2013-01-17 Hitachi Ltd 電池間電圧均等化回路
JP2014138346A (ja) 2013-01-18 2014-07-28 Alpine Electronics Inc ゼロクロス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4446A (ja) 2010-07-28 2012-02-16 Toshiba Corp 蓄電装置及びエネルギバランス調整方法
JP2013013291A (ja) 2011-06-30 2013-01-17 Hitachi Ltd 電池間電圧均等化回路
JP2014138346A (ja) 2013-01-18 2014-07-28 Alpine Electronics Inc ゼロクロス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6131B (zh) 自适应输入电源的充电器及控制充电器的输入电流的方法
US9160232B2 (en) Efficient regulation of capacitance voltage(s) in a switched mode multilevel power converter
CN106208714B (zh) 同步整流开关电源及控制方法
CN103197122B (zh) 一种电流检测电路以及应用其的开关型调节器
KR20180104176A (ko) Pwm 커패시터 제어
US20210296983A1 (en) Hybrid switched capacitor converters with real-time control of switching state dura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9467048B2 (en) Voltage generator
CN103915989A (zh) 供电单元的控制电路、电池充电器及控制对供电电源的输入端进行取样的方法
CN104297553A (zh) 输出电压检测电路、控制电路和开关型变换器
JP2016189189A (ja) 電子装置の動作データを格納するための記憶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US8988046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rechargeable batteries and battery status control method applicable thereto
KR20170002135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03378633B (zh) 充电控制电路
US20140016239A1 (en) Threshold voltage and delay time setting circuit,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8500871A (ja) 電力点チェック及び切り替え可能な制御を使用するバッテリー充電方法及び装置
KR101591885B1 (ko)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KR101574114B1 (ko) 제로 커런트 스위칭이 가능한 배터리셀 밸런싱 회로
CN101930022B (zh) 电流测量电路及其测量方法
CN105846663B (zh) 操作系统及控制方法
CN107991619B (zh) 电池电压检测电路及其检测方法
JP2020054071A (ja) マルチレベル電力変換装置
US20120013312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6537726A (zh) 一种基于车载电源的车电与超级电容供电切换电路
CN102739048B (zh) 电压转换电路
JP6017183B2 (ja) 充電制御回路、充電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