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337B1 -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337B1
KR101591337B1 KR1020150110529A KR20150110529A KR101591337B1 KR 101591337 B1 KR101591337 B1 KR 101591337B1 KR 1020150110529 A KR1020150110529 A KR 1020150110529A KR 20150110529 A KR20150110529 A KR 20150110529A KR 101591337 B1 KR101591337 B1 KR 10159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power
control
input signal
signal
opera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수
강형주
위양원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1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02J13/0006
    • Y02B70/323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의 미사용시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콘센트의 사용시 전력을 공급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의 기초가 되는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입력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력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작동상태(ON) 및 상기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작동상태(OFF) 중 하나의 작동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제어시스템{STANDBY POW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의 미사용시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콘센트의 사용시 전력을 공급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건물, 빌딩, 빌딩형 공장 등의 집합형 건물은 각 층에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분전함이 설치되어 메인스위치, 과부하 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면서 각 사무실 배선 또는 바닥에 매립된 다수의 콘센트로 외부의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각 사무실 배선 또는 바닥에 매립된 다수의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원은 각각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전력선의 수가 많아 배선작업 및 시공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전력선이 시공되어 있는 각 사무실 내에서 사용하게 되는 전력은 대부분이 빌딩 내에 시설된 중앙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를 위해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과 각 사무실 간에 별도의 케이블을 시공하여 관리하게 되므로, 빌딩 내의 배선들은 더욱더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때 상기 각 사무실의 전력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사무실의 사용 전력을 관리하게 되지만, 각 사무실 내에서 콘센트에 꽂아 놓은 채 사용하지 않는 각종 부하 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전력에 대하여는 전혀 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콘센트에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던 각종 부하 기기를 콘센트에 꽂아 놓은 채 사용하지 않게 되면, 각종 부하 기기에는 콘센트로부터 전원이 충전되어 항상 대기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각 사무실에서는 각종 부하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콘센트로부터 부하 기기의 전원코드를 일일이 뽑도록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혹은 외출 또는 출,퇴근시 콘센트로부터 일일이 전원코드를 모두 뽑는다는 것은 세심한 주의를 갖지 않으면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대기전력은 전력 총량이 11%로로 법제화되고, 전체 콘센트의 30%를 원격제어가 가능한 콘센트로 구비해야하는 법적 규정으로 인하여 반드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사무실 근무자의 책상에 별도의 대기전력 차단 버튼 및/또는 대기전력 복귀 버튼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대기전력 차단 버튼 및/또는 대기전력 복귀 버튼을 설치하기 위한 배선작업을 별도로 실시하여야 하고, 배선에 의해 대기전력 차단 버튼 및/또는 대기전력 복귀 버튼의 설치위치가 제한적이므로 실질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대기전력 차단 버튼 및/또는 대기전력 복귀 버튼을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기전력 차단 버튼 및/또는 대기전력 복귀 버튼이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눈에 잘 띄지 않으므로 근무자가 대기전력 차단 버튼 및/또는 대기전력 복귀 버튼을 잘 조작하지 못하고 퇴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10809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과 같이 별도의 대기전력 차단 버튼 및/또는 대기전력 복귀 버튼 없이 대기전력을 차단 및 복귀시키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전력의 차단 및 복귀과정을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구현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의 기초가 되는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입력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력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작동상태(ON) 및 상기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작동상태(OFF) 중 하나의 작동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며,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와 상기 중앙제어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수신 및 처리 가능하게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는, 상기 제1 작동상태와 상기 제2 작동상태 중 하나의 작동상태로 작동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을 제1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단말기의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통신신호 또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3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3 신호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2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제3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3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제3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을 제1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 스케쥴을 변경할 수 있는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현재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스케쥴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하여 수신된 복수 개의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인지 아니면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키패드 중 하나의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키패드 중 다른 하나의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 또는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되었는지 판단한 후, 상기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정보를 제3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3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출력신호가 생성된 생성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이상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고,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출력신호가 생성된 생성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별도의 버튼 등의 장치 없이 대기전력을 차단 및/또는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추가 설비 및 배선 비용이 절감되고, 대기전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대기전력 제어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이 설치되는 건물 내에 기존에 구비되는 통신단말기 및/또는 컴퓨터 등의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및/또는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버튼 등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추가 설비 비용 및 배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추가 설비 구비작업 및 배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대기전력용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각종 전열장치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대기전력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3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6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은,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와, 중앙제어부(600)와, 대기전력용 콘센트 그룹(500)과, 인터페이스부(7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도면부호 'P'는 전력 케이블 또는 전력 공급 라인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C'는 통신 케이블 또는 통신 송수신 라인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의 작동상태의 기초가 되는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이 설치된 건물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기(3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모듈(610)과;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630)과;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대기전력용 콘센트 그룹(500)과 상호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모듈(640)과;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통합 관리모듈(650)과; 상기 입력모듈(610), 상기 메모리모듈(630), 상기 통신모듈(640) 및 상기 데이터 통합 관리모듈(650)을 제어하고,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640)을 통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 그룹(500) 또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 각각에 전송하는 제어모듈(6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 그룹(5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는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 작동상태 및 상기 제2 작동상태 중 하나의 작동상태가 되도록 작동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작동상태(ON)는 전력공급원(S)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상태이고, 상기 제2 작동상태(OFF) 상기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동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는, 통신부(512)와, 전력 입력단자부(51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제어부(51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부(514)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출력단자부(51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가 하나의 통신부(512), 하나의 전력 입력단자부(511), 두 개의 스위치제어부(513)와, 상기 두 개의 스위치제어부(513) 각각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스위칭부(514)와, 상기 두 개의 스위칭부(514) 각각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전력 출력단자부(515)를 포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512)는 상기 중앙제어부(600)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제어부(513)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력 입력단자부(511)는 상기 중앙제어부(600)를 거쳐 공급된 또는 상기 전력공급원(S)을 통하여 직접 공급된 전력을 수신한 후, 각각의 스위칭 제어부(513) 및 각각의 스위칭부(514)를 통하여 각각의 전력 출력단자부(515)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제어부(513)는 상기 통신부(512)를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부(600)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입력단자부(511)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스위칭부(514)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514)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가 상기 제1 작동상태와 상기 제2 작동상태 중 하나의 작동상태로 작동하도록 물리적으로 구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부(514)는 릴레이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출력단자부(515)는 일종의 소켓으로서 각 전열장치의 플러그가 삽입 및 결합되는 부분이며, 최종적으로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에서 외부의 전열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700)는,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와 상기 중앙제어부(6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600)에서 수신 및 처리 가능하게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제1 신호생성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을 제1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는 도면과 같이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중앙제어부(600)의 일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 및 상기 중앙제어부(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의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 스케쥴을 변경할 수 있는 입력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 및 상기 중앙제어부(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현재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스케쥴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현재 일자에 기초하여 계절에 따라 또는 일출시각 및/또는 일몰시각에 따라 상기 작동 스케쥴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1000)은 하기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100)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로부터 제1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한다.(S1200) 상기 제1 제어입력신호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에 대한 정보이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현재시각이 제2 작동상태의 종료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현재시각이 제2 작동상태의 종료 시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1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작동(ON)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1410)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현재시각이 제2 작동상태의 종료 시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2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차단(OFF)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142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현재시각이 제2 작동상태의 시작 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현재시각이 제2 작동상태의 시작 시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2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차단(OFF)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1610)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현재시각이 제2 작동상태의 시작 시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1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작동(ON)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16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생성부(300)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31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2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제2 신호생성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기(31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기와 상기 중앙제어부를 상호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가 설치된 건물(또는 사무실 또는 주택 등)에 구비된 통신단말기(3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상기 통신단말기(310)와 상기 중앙제어부 사이의 통신신호 규격이나 형태를 매칭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단말기(3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모듈(311)과; 상기 입력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출력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20) 및/또는 중앙제어부(6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14)과;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입력 및/또는 출력하는 송수화모듈(313)과; 상기 입력모듈(311), 상기 통신모듈(314) 및 상기 송수화모듈(313)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314)을 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20) 및/또는 상기 중앙제어부(6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모듈(3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통신단말기(310)의 키패드를 통하여 수신된 복수 개의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인지 아니면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다.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인 경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제1 작동상태(ON)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는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인 경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제2 작동상태(OFF)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는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2000)은 하기와 같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통신단말기(310)로부터 입력신호(즉, 제2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한다.(S21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1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작동(ON)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2300)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2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차단(OFF)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2500)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현재 작동상태로 유지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2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5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제2 신호생성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는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가 설치된 건물(또는 사무실 또는 주택 등)에 구비된 통신단말기(3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통신단말기(310)의 키패드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키패드 중 하나의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키패드 중 다른 하나의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 또는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되었는지 판단한 후, 상기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통신단말기(310) 오작동으로 인해 사용 중인 전열장치에 전력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2000')은 하기와 같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통신단말기(310)로부터 입력신호(즉, 제2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한다.(S21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가 키패드 중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한 입력이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한 입력이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1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작동(ON)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2500') 반대로, S2300' 단계에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한 입력이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현재의 작동상태로 유지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반대로, S2200' 단계에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입력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가 키패드 중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입력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현재의 작동상태로 유지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
반대로, S2400' 단계에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한 입력이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한 입력이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제2 작동상태로 전환시키는 출력신호(즉,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차단(OFF)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S2700')
반대로, S2600' 단계에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한 입력이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현재의 작동상태로 유지시키는 출력신호를 제어출력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3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제3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는,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410)와, 통신분배부(또는, 전열장치 인터페이스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는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4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정보를 제3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는 통신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열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는 컴퓨터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분배부(420)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와 상기 중앙제어부(600) 사이의 통신신호 규격이나 형태를 매칭시켜주는 역할을 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을 계산 또는 처리하여 도출된 계산값 또는 처리값을 상기 중앙제어부(6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로부터 수신된 통신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3000)은 하기와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로부터 제3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한다.(S31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준 전열교환장치로부터 통신분배부로 수신되는 통신신호(즉, 제3 제어입력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S3300)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통신신호(즉, 제3 제어입력신호)의 종료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0)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제3 제어입력신호의 종료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S3500)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가 상기 제3 제어입력신호의 종료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전술한 S3200 단계를 반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3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3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신호생성부(400)는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4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정보를 제3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는 통신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열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이상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반대로,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410)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출력신호가 생성된 생성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전술한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 및 제3 신호생성부(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가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 및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를 포함하는 경우의 대기전력 제어알고리즘,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가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 및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는 경우의 대기전력 제어알고리즘, 그리고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가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 및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하는 경우의 대기전력 제어알고리즘에 대하여 전술한 제1 내지 제3 대기전력 제어알고리즘(S1000)(S2000)(S2000')(S3000)(S3000')을 참고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4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을 제1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200)와; 상기 통신단말기(310)의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에 기초한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에 기초한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 중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에 우선순위를 두어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으로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5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을 제1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200)와;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410)로부터 출력되는 통신신호 또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3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3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에 기초한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에 기초한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 중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에 우선순위를 두어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으로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제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6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S6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100)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을 제1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200)와; 상기 통신단말기(310)의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300)와;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410)로부터 출력되는 통신신호 또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3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3 신호생성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200)에 기초한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즉,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 또는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상기 제2 신호생성부(300)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제3 신호생성부(400)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중앙제어부(600)는 제1 내지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중에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를 최우선으로 하고,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를 차순위로 하며,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를 최하순위로 하여,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제어한다.
상기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6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이 각각의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 제1 내지 제6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은 복수 개의 대기전력용 콘센트(510)를 사무실 별로 또는 독립공간 별로 또는 설치공간 별로 그룹핑하여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중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 4, 도 7, 도 8, 도 10, 도 12, 도 13, 도 14, 도 15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00 : 제어입력신호 생성부
200 : 제1 신호생성부
300 : 제2 신호생성부
400 : 제3 신호생성부
500 : 대기전력용 콘센트 그룹
600 : 중앙제어부
700 : 인터페이스부

Claims (18)

  1.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의 기초가 되는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입력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력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작동상태(ON) 및 상기 전력이 전열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작동상태(OFF) 중 하나의 작동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용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어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제2 작동상태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작동 스케쥴을 제1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 및,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열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통신신호 또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3 제어입력신호로 생성하는 제3 신호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1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2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제3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와 상기 중앙제어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입력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어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수신 및 처리 가능하게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는,
    상기 제1 작동상태와 상기 제2 작동상태 중 하나의 작동상태로 작동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2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가 상기 제3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와 상반되는 경우, 상기 제3 신호생성부에 기초한 제3 대기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한 제어출력신호만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7. 삭제
  8.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생성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 스케쥴을 변경할 수 있는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9.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생성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현재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스케쥴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하여 수신된 복수 개의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인지 아니면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비밀번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2.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키패드 중 하나의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키패드 중 다른 하나의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는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입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 또는 상기 기설정된 제2 키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되었는지 판단한 후, 상기 기설정된 지속시간 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4. 삭제
  15.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통신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출력신호가 생성된 생성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7. 제1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이상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고,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열장치의 전력사용량이 기설정된 전력사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출력신호가 생성된 생성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어출력신호를 상기 대기전력용 콘센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20150110529A 2015-08-05 2015-08-05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1591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29A KR101591337B1 (ko) 2015-08-05 2015-08-05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29A KR101591337B1 (ko) 2015-08-05 2015-08-05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337B1 true KR101591337B1 (ko) 2016-02-04

Family

ID=5535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529A KR101591337B1 (ko) 2015-08-05 2015-08-05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3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96B1 (ko) * 2010-06-08 2010-12-17 중앙제어 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
JP2011155709A (ja) 2010-01-25 2011-08-11 Sony Corp 電力管理装置、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登録方法
JP2014072561A (ja) 2012-09-27 2014-04-21 Nitto Denko Corp 家電機器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5005856A (ja) * 2013-06-20 2015-01-08 株式会社Pluto 遠隔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操作信号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5709A (ja) 2010-01-25 2011-08-11 Sony Corp 電力管理装置、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登録方法
KR101002396B1 (ko) * 2010-06-08 2010-12-17 중앙제어 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
JP2014072561A (ja) 2012-09-27 2014-04-21 Nitto Denko Corp 家電機器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5005856A (ja) * 2013-06-20 2015-01-08 株式会社Pluto 遠隔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操作信号発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7134A1 (en) Control Apparatus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JP2006345608A (ja) 電子装置、電源制御方法、およびrofシステム、その給電方法、ならびにrof子局
US9159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lectric appliance
KR20150057728A (ko) 정보기기의 ess(에너지 저장 장치)와 양방향 전력 송전을 연동하는 우선순위 제어 모듈 기반의 스마트 콘센트 동작 방법과 스마트 모니터링 및 표시장치
KR20190106518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전반 내 차단기의 계통 분석 시스템
CN109891703A (zh) 用于电源控制的系统和方法
KR101591337B1 (ko)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1758247B1 (ko) 원격 제어를 지원하는 지능형 멀티탭 시스템
CN107615215B (zh) 电气设备控制装置和使用该控制装置的电气设备控制方法
JP3225706U (ja) 自動切替えプラグ
KR20120007664U (ko)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20090071456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20160100565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KR101846740B1 (ko)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US10862277B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panel
KR102127731B1 (ko) 지능형 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KR102659748B1 (ko) 스마트 분전반 제어 시스템
KR100993546B1 (ko) 다채널 고출력 원격 스위치 장치
KR20170128802A (ko) 개별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1462871B1 (ko) 사용전력량 확인 기능을 포함하는 유에스비가 구비된 멀티탭
KR20150005345A (ko)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764356B1 (ko) 리모컨 신호 자동 설정이 가능한 자동 절전 제어 장치
KR20180092703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JP6079718B2 (ja) 停電時発電所内通信システムおよび停電時発電所内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