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023B1 -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023B1
KR101591023B1 KR1020140041798A KR20140041798A KR101591023B1 KR 101591023 B1 KR101591023 B1 KR 101591023B1 KR 1020140041798 A KR1020140041798 A KR 1020140041798A KR 20140041798 A KR20140041798 A KR 20140041798A KR 101591023 B1 KR101591023 B1 KR 101591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haust gas
carrier
exhaust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955A (ko
Inventor
오권오
정연호
이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알
Priority to KR102014004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02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속재의 파이프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촉매담체를 삽입 고정시킨 구조의 보조 정화장치를 통해 기존 정화장치의 저하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엔진의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는 배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구비된 내연기관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배기관의 일측 적소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중공의 담체용 파이프; 및 담체용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정화시키는 촉매담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Secondary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내연기관에서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구성된 배기장치의 일측에 삽입식 구조로 설치하여 기능이 저하된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기시스템은 엔진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장치와 배기가스의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머플러)로 대분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내연기관용 배기시스템을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내연기관용 배기시스템은 엔진(E)에 결합되어 각각의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한 곳으로 모으는 배기매니폴드(10), 배기매니폴드(10)의 후단에 결합되어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가운데 일산화탄소나 질소화합물들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정화시키는 촉매장치(20), 촉매장치(20)의 후단부로 결합되어 배기가스의 1차 흡음을 통해 고주파 대역의 거친 소리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는 보조소음기(30), 보조소음기(30)의 후단으로 일정길이 결합되어 소음이 저감된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배기관(40) 및 배기관(40)의 후단으로 결합되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2차 흡음이 이루어지는 주소음기(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배기시스템은 엔진(E)의 작동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매니폴드(10)를 통해 한곳으로 모아 촉매장치(20)를 통과시키는 가운데 일산화탄소나 질소화합물들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정화되도록 한다. 이어서, 촉매장치(20)의 후단에 부착된 보조소음기(30)에서 배기가스의 1차 흡음이 이루어져 고주파 대역의 거친 소리가 1차적으로 저감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소음기(3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관(40)을 통해 주소음기(50)로 유입되어 2차 흡음이 이루어진 상태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이때, 주소음기(50)는 배기가스의 소음 저감을 좌우하는 주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시스템은 주로 통합형 CCC(The integration type close-coupled catalytic converter) 타입의 촉매장치를 사용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시스템으로, 자동차 배기가스의 엄격한 규제기준에 보다 부합하기 위한 고정화효율 촉매장치인 WCC(Warming-Up Catalytic Converter) 타입의 촉매 장치와 UCC(Underbody Catalytic Converter) 타입의 촉매장치가 배기시스템에서 함께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로 말미암아 촉매장치가 단일한 통합형 CCC만을 사용하던 환경과 비교하여 WCC 촉매장치와 UCC 촉매장치 등 2개의 촉매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배압(back pressure)을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이 상존하고 있다.
한편, 완성차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경우 일정한 년한의 운행 이후 그 정화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배기가스 정화기능이 저하된다 해도 기능 자체가 완전히 소실되는 것은 아니고, 최초 출고시의 목표수치 혹은 법적 요구수치에 다소 못 미치는 정도로 기능이 저하된다. 만약, 전술한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기능이 완전히 혹은 상당한 부분 소실된다면 해당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새로운 배기가스 정화장치로 전면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기능이 출고시의 폭표수치 혹은 법적 요구수치에 다소 못 미치는 정도로만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완전히 교체하는 것보다 보조적인 정화모듈을 추가하여 모자라는 부분만을 부분적으로 충족해주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다.
따라서, 기존 배기시스템의 교체나 개조작업 없이 배기장치 부품 간의 연결부위에 간편하게 삽입하여 기존 정화장치의 저하된 기능을 보완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도록 하는 부품이 필요하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28123호(2008.03.31.자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14000호(2007.01.31.자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82759호(2007.08.22.자 공개)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56739호(2007.06.04.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금속재의 파이프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촉매담체를 삽입 고정시킨 구조의 보조 정화장치를 통해 기존 정화장치의 저하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금속재의 파이프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촉매담체를 삽입 고정시킨 구조의 보조 정화장치를 통해 기존 배기시스템의 교체나 개조작업 없이 배기관 상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나 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재의 파이프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촉매담체를 삽입 고정시킨 구조의 보조 정화장치를 통해 기존 배기시스템의 교체나 개조작업 없이 배기관의 플랜지 결합부나 배기관의 플랜지 연결부 사이 또는 배기관의 일부를 절단한 사이에 결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엔진의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는 배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구비된 내연기관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배기관의 일측 적소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중공의 담체용 파이프; 및 담체용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정화시키는 촉매담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담체용 파이프는 일측에 콘 형태의 걸림 결합부가 더 형성되어 배기관 상의 플랜지 삽입부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용 파이프는 양측 각각에 배기관의 플랜지에 대응하는 플랜지 결합부가 더 형성되어 플랜지 결합을 통해 배기관 상에 결합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담체용 파이프는 배기관의 일부를 절단한 사이에 용접을 통해 결합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촉매담체는 세라믹 담체, 메탈폼 담체 및 메탈섬유 담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촉매담체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둥글게 말린 상태로 담체용 파이프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촉매담체는 골판 형태로 형성되어 둥글게 말린 상태로 담체용 파이프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촉매담체는 요철판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둥글게 말린 상태로 담체용 파이프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촉매담체는 담체용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태의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되 다수가 적층 결합되어 담체용 파이프의 내경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금속재의 파이프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촉매담체를 삽입 고정시킨 구조의 보조 정화장치를 통해 기존 정화장치의 교체나 개조 없이도 저하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금속재의 파이프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촉매담체를 삽입 고정시킨 구조의 보조 정화장치를 통해 교체나 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기존 배기시스템의 교체나 개조작업 없이 배기관의 플랜지 결합부나 배기관의 플랜지 연결부 사이 또는 배기관의 일부를 절단한 사이에 결합함으로써 배기시스템 전체의 교체나 개조에 따라 발생되는 낭비의 요인이 없어 환경 친화적인 효과가 발현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내연기관용 배기시스템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 1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횡단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삽입 형태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도 4a 및 도 4b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c 는 도 4a 및 도 4b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c 는 도 4a 및 도 4b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8a 내지 도 8c 는 도 4c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a 내지 도 9c 는 도 8a 내지 도 8c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 1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횡단면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배기관(40)의 일측 적소에 설치되어지되 배기관(40) 상에 설치된 기존 촉매장치(20)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기능이 저하된 기존 촉매장치(20)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배기관(40)의 일측 적소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중공의 담체용 파이프(110) 및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정화시키는 촉매담체(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도 3a 에서와 같이 배기관(40) 상의 플랜지(42)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일측 플랜지 삽입부(44) 상에 삽입되어 배기관(40) 상의 두 플랜지(42) 결합에 의해 플랜지 삽입부(44) 상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를 배기관(40)의 일측 플랜지 삽입부(44) 상에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도 2a 에서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 일측에 콘 형태의 걸림 결합부(112)를 더 형성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 일측에 더 형성되는 걸림 결합부(112)는 배기관(40)의 플랜지 삽입부(42)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 3a 에서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의 걸림 결합부(112)는 배기관(40)의 플랜지 삽입부(42) 입구측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전후 플랜지(42)의 결합에 의해 배기관(40)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도 3b 에서와 같이 배기관(40) 상의 플랜지(42) 결합 사이에 위치되어 배기관(40) 상의 플랜지(42)와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담체용 파이프(110)의 양측 각각에는 배기관(40)의 플랜지(42)에 대응하는 플랜지 결합부(114)가 더 형성되어 배기관(40) 상의 두 플랜지(42)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도 2b 및 도 3b 에서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의 양측 각각에 배기관(40)의 플랜지(42)에 대응하는 플랜지 결합부(114)가 형성된 구성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배기관(40)의 전후 두 플랜지(42) 결합을 분리한 상태에서 양측에 플랜지 결합부(114)가 형성된 담체용 파이프(110)를 위치시킨 다음, 전후로 플랜지(42)와 플랜지 결합부(114)를 결합시켜 배기관(40) 상에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를 결합 고정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도 2c 및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를 배기관(4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여 용접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도 2c 및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를 배기관(4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되 배기관(40)의 일측을 절단한 상태에서 절단된 배기관(40) 사이에 담체용 파이프(110)를 위치시킨 다음, 배기관(40)의 절단면과 담체용 파이프(110)의 양측을 용접함으로써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를 배기관(40) 상에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촉매장치(20) 선단 또는 후단의 배기관(40), 보조소음기(30) 선단 또는 후단의 배기관(40), 주소음기(50) 선단의 배기관(40) 어느 위치에나 결합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도 2a 및 도 3a 에서와 같은 플랜지 삽입부(44)를 통해 삽입방식, 도 2b 및 도 3b 에서와 같은 플랜지(42)와 플랜지 결합부(114)에 의한 결합방식 그리고, 도 2c 및 도 3c 에서와 같은 배기관(40)의 절단 후 용접을 통한 연결방식을 통해 결합 고정시킬 수 있어 기존 배기시스템을 교체하거나 또는 개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기존 배기시스템을 교체하거나 개조하는데 따른 비용의 발생과 폐품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면에서 양호할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와 촉매담체(120)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의 구성에서 촉매담체(120)는 세라믹 담체, 메탈폼 담체 및 메탈섬유 담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삽입 형태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와 촉매담체(120)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의 구성에서 촉매담체(120)는 도 4a 및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상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것을 둥글게 말은 상태로 하여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촉매담체(120)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둥글게 말은 상태에서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촉매담체(120)는 도 4a 에서와 같이 속이 꽉 찬 형태로 둥글게 말거나 도 4b 에서와 같이 중간을 비우고 둥글게 말을 수도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와 촉매담체(120)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를 구성하는 촉매담체(120)는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태의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되 다수가 적층 결합되어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촉매담체(120)의 길이는 담체용 파이프(110)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담체(120)는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일정 두께의 원반 형태로 성형하되 이를 상하로 다수 적층시켜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함으로써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 는 도 4a 및 도 4b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촉매담체(120)는 평판형 촉매담체를 보인 것으로, 도 4a 및 도 4b 에서와 같이 둥글게 말아진 형태의 촉매담체(120)는 도 5a 내지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폼 담체를 평판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메탈폼 담체는 세라믹 담체나 메탈섬유 담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제조된 촉매담체(120)를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4a, 도 4b 및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말은 상태로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킨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도 4a 및 도 4b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촉매담체(120)는 골판형 촉매담체를 보인 것으로, 도 4a 및 도 4b 에서와 같이 둥글게 말아진 형태의 촉매담체(120)는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폼 담체를 골판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메탈폼 담체는 세라믹 담체나 메탈섬유 담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골판형으로 성형된 촉매담체(120)를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4a, 도 4b 및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말은 상태로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킨다.
도 7a 내지 도 7c 는 도 4a 및 도 4b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촉매담체(120)는 요철형 촉매담체를 보인 것으로, 도 4a 및 도 4b 에서와 같이 둥글게 말아진 형태의 촉매담체(120)는 도 7a 내지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폼 담체를 요철판의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메탈폼 담체는 세라믹 담체나 메탈섬유 담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철형으로 성형된 촉매담체(120)를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4a, 도 4b 및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말은 상태로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고정시킨다.
도 8a 내지 도 8c 는 도 4c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a 내지 도 9c 는 도 8a 내지 도 8c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촉매담체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9c 의 촉매담체(120)는 도 4c 의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에서 적층형 촉매담체(120)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이러한 촉매담체(120)는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일정 두께의 원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일정 간격으로 타공(1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9a 에서와 같이 촉매담체(120)는 원형의 타공(1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일정 두께로 성형될 수도 있고, 도 8b 및 9b 에서와 같이 촉매담체(120)는 사각형의 장공 형태로 타공(1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일정 두께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도 8c 및 9c 에서와 같이 촉매담체(120)는 이등변삼각형의 형태로 타공(1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일정 두께로 성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공(12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일정 두께의 적층형 촉매담체(120)는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시 적층 결합된 상태로 담체용 파이프(110)의 내경에 삽입 결합됨이 보다 양호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100)는 배기관(40)의 플랜지 삽입부(44)의 내부나 배기관(40)의 플랜지(42) 사이 또는 배기관(40)의 일부를 절단한 사이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기존 배기시스템의 교체나 개조작업 없이도 기존 배기가스 정화장치(20)의 저하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담체용 파이프(110) 내부에 폼(Foam) 형태의 촉매담체(120)를 삽입 고정시킨 구조의 보조 정화장치를 통해 교체나 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낭비의 요인이 없어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E. 엔진
10. 배기매니폴드 20. 촉매장치
30. 보조소음기 40. 배기관
42. 플랜지 44. 플랜지 삽입부
50. 주소음기
100.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110. 담체용 파이프
112. 걸림 결합부 114. 플랜지 결합부
120. 촉매담체 122. 타공

Claims (9)

  1. 엔진의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는 배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구비된 내연기관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일측 적소에 설치 고정되어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콘 형태의 걸림 결합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 상의 플랜지 삽입부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거나 상기 배기관의 일부를 절단한 사이에 용접을 통해 결합 고정되는 중공의 담체용 파이프; 및
    상기 담체용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태의 일정 두께로 이루어져 다수가 적층 결합을 통해 상기 담체용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지되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둥글게 말린 상태, 골판 형태로 형성되어 둥글게 말린 상태 및 요철판 형태로 형성되어 둥글게 말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이루어져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정화시키는 촉매담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용 파이프는 양측 각각에 상기 배기관의 플랜지에 대응하는 플랜지 결합부가 더 형성되어 플랜지 결합을 통해 상기 배기관 상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담체는 세라믹 담체, 메탈폼 담체 및 메탈섬유 담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41798A 2014-04-08 2014-04-08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59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98A KR101591023B1 (ko) 2014-04-08 2014-04-08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98A KR101591023B1 (ko) 2014-04-08 2014-04-08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55A KR20150116955A (ko) 2015-10-19
KR101591023B1 true KR101591023B1 (ko) 2016-02-04

Family

ID=5439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798A KR101591023B1 (ko) 2014-04-08 2014-04-08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0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373A (ja) 2004-04-26 2005-11-04 Mitsubishi Materials Corp ハニカム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36050B1 (ko) 2013-03-29 2013-12-03 주식회사 이드리븐 차량의 배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373A (ja) 2004-04-26 2005-11-04 Mitsubishi Materials Corp ハニカム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36050B1 (ko) 2013-03-29 2013-12-03 주식회사 이드리븐 차량의 배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55A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07970A (ja) 遮音カバー
WO2009028310A1 (ja) 排ガス浄化装置
JP2009062922A (ja) 共鳴装置および内燃機関の排気装置
CN203035307U (zh) 一种柴油机用集成式scr催化转化消声器
KR101294061B1 (ko)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JP2015029928A (ja) 触媒コンバータ
KR101336050B1 (ko) 차량의 배기시스템
KR101591023B1 (ko) 내연기관용 보조 배기가스 정화장치
WO2011145560A1 (ja) 排気管
CN102278180A (zh) 发动机尾气催化净化消音器
JP5529510B2 (ja) 触媒坦持体のための自立した保持部
CN203035318U (zh) 一种发动机消音催化器
JP2007077928A (ja) 排気浄化装置
CN210686101U (zh) 一种用于汽车排气系统的消声管
JP2006283625A (ja) 高周波音低減消音器
US9828898B2 (en) Optimized structure for integrated catalytic muffler
CN203035309U (zh) 汽油机消声器
KR101362066B1 (ko) 차량용 테일파이프의 구조
CN102159802A (zh) 用于减少汽车尾气的过滤装置
JP6970002B2 (ja) 質量体付き排気系部品
CN217129633U (zh) 一种便于拆装的稳定型汽车消音器
CN202117735U (zh) 发动机尾气催化净化消音器
KR200489963Y1 (ko) 자동차용 배기가스 와류 발생부재
CN206190373U (zh) 催化器安装结构及发动机
JP2010144710A (ja) 中空二重管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