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808B1 -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808B1
KR101590808B1 KR1020140056543A KR20140056543A KR101590808B1 KR 101590808 B1 KR101590808 B1 KR 101590808B1 KR 1020140056543 A KR1020140056543 A KR 1020140056543A KR 20140056543 A KR20140056543 A KR 20140056543A KR 101590808 B1 KR101590808 B1 KR 10159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onic
housing
water
ho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923A (ko
Inventor
윤우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엔씨
Priority to KR102014005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8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내에서 각종 수경재배를 할 수 있으면서도 장치가 비대하지 않아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수족관 또는 어항을 겸할 수 있어서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전체 면이 폐쇄되고 일부 면 또는 전체 면이 투명하게 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자 형태로서, 일부분에 개폐 도어(11)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레일(15)이 내부 공간에서 평행하게 가로질러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수경 하우징(10);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물 수용이 가능한 상자 형태로서, 가장자리가 외벽(21)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의 물 수용 공간이 상기 외벽의 높이보다 낮은 격벽(22)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일측 바닥면에 배수공(23)이 형성된 재배통(20);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배치되어 하우징 저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재배통으로 이송하는 급수관(31)과 연결된 수중 모터(30); 일정 길이와 면을 가진 판 형태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상에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의 양 변에 거치홈(4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경식물을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홀(42)이 형성된 트레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HYDROPONIC DEVICE FOR HOME}
본 발명은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관상용 수족관 또는 어항을 겸하면서도 상추나 양파, 쑥갓, 수선화, 양상추 등의 각종 수경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는 식물의 뿌리를 영양분이 풍부한 물속에서 키우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수경재배가 가능한 식물로서, 드라세나, 프테리스(Pteris), 아이비, 코르딜리네, 아나나스, 크립탄서스(Cryptanthus), 트라데스칸티아, 아글라오네아, 안수리움, 디펜바키아, 스킨답서스, 필로덴드론, 신고니움, 스파티필럼, 시페러스 등의 관엽식물과, 고구마, 감자, 당근, 양파, 토란, 무,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토마토, 미나라, 파드득나물, 쑥갓, 양상추, 부추, 셀러리, 파 등의 채소와, 히야신스(Hyacinth), 크로커스(Crocus), 수선화, 아이리스(Iris), 튤립(Tulip),아마릴리스(Amaryllis) 등의 알뿌리 식물과, 아보카도(Avocado), 파인애플 등의 과일을 들 수 있다.
수경재배는 흙 없이 영양분이 있는 물을 이용하여 재배하기 때문에 깨끗한 채소나 작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설비와 경비가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가정에서 수경재배를 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13-0004354호(특허문헌 1)에서는 가정용 다단식 수경재배기가 제안된 바 있고,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069510호(특허문헌 2)에서는 좁은 공간에서 많은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다단으로 구성된 가정용 수경재배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을 비롯한 대부분의 종래 기술은 수경재배를 위한 수통이 다단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여 설치 장소에 제약이 따를 뿐 아니라 각각의 수통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단순히 수경재배만 할 수 있을 뿐 다른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13-0004354호 공개실용신안공보(2013.7.15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069510호 공개특허공보(2001.7.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 내에서 각종 수경재배를 할 수 있으면서도 장치가 비대하지 않아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수족관 또는 어항을 겸할 수 있어서 관상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정용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체 면이 폐쇄되고 일부 면 또는 전체 면이 투명하게 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자 형태로서, 일부분에 개폐 도어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이 내부 공간에서 평행하게 가로질러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수경 하우징;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물 수용이 가능한 상자 형태로서, 가장자리가 외벽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의 물 수용 공간이 상기 외벽의 높이보다 낮은 격벽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일측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재배통;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배치되어 하우징 저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재배통으로 이송하는 급수관과 연결된 수중 모터;
일정 길이와 면을 가진 판 형태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상에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의 양 변에 거치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경식물을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홀이 형성된 트레이;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경 하우징의 저부는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어항 용도로, 상기 재배통은 수경식물을 재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수경 하우징의 일측에 급수구 또는 배수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하는 환풍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경 하우징 내의 물 또는 상기 재배통 내의 물 중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경 하우징의 내부 조명을 위해 조명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가 여러 가지 형태의 수경식물에 구애받지 않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홀을 대체하여 내측에 대관통홀 형성되며, 상기 대관통홀에는 신축 및 탄성을 가진 와이어가 격자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에 의하면, 가정에서 손쉽게 수경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구조 및 사용이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설치 공간의 제약 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생식물의 종류에 따라 채소나 과일을 재배하는 경우 깨끗한 먹거리를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어린 아이들이 식물이 자라나는 과정을 볼 수 있어서 자연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수족관 또는 어항을 겸할 수 있으므로 수생식물과 어류를 이용하여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흐르는 물에 의해서 가습이 되므로 겨울철 실내의 습도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공기 정화를 통해 숙면과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 중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 중 제2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 중 트레이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 중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 중 제2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경재배 장치는, 하우징(10), 재배통(20), 모터(30) 및 트레이(40)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전체 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 상자 형태이고, 일부 면 또는 전체 면은 투명한 합성수지나 유리를 통해 제조되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일부분에 개폐 도어(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 도어(11)는 내부 공간으로 상기 트레이(40)를 넣고 빼거나, 또는 어항이나 수족관 설치를 위해 모터(30)나 수초, 바위 등을 넣고 빼기 위한 용도로서, 예를 들면 일측 단부에 경첩(12)이 연결되어서 상기 경첩(12)을 기점으로 개폐 도어(11)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폐 도어(11)가 예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용도를 만족하는 것이면 그 형태나 구조에 제한은 없다.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15)이 내부 공간에서 평행하게 가로질러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15)은 상기 트레이(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크기에 따라서 여러 쌍이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15)의 하부에는 재배통(20)이 배치된다.
상기 재배통(2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물 수용이 가능한 상자 형태로서, 가장자리는 외벽(21)으로 둘러싸여 있고 내부의 물 수용 공간은 격벽(22)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격벽(22)의 높이는 상기 외벽(21)보다 낮게 설치되고, 상기 격벽(22)에 의해 구획된 영역 중 일측 영역의 바닥면에는 배수공(23)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30)는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바닥에 배치되어 수경 하우징(10) 저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재배통(20)으로 이송하기 위해 수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모터(30)와 상기 재배통(20) 사이에는 급수관(31)이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40)는 사실상 수경식물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길이와 면을 가진 판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레일(15) 상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양 변에 거치홈(41)이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40)의 내측에는 수경식물이 상하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지지홀(4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경 하우징(10) 저부에는 물을 저장한 다음 물고기를 키울 수 있고, 어항을 꾸미기 위해 바닥에는 모래나 자갈을 넣을 수도 있고, 기타 수초나 바위 등을 넣어서 실제 바닷속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여도 좋다.
상기 트레이(40)의 각 지지홀(42)에 수경식물을 꽂아 넣은 다음 트레이(40)를 레일(15) 상에 안착시키면, 수경식물의 뿌리 부분이 재배통(20)에 수용된다.
상기 수중 모터(30)를 작동시켜서 수경 하우징(10) 저부에 저장된 물을 재배통(20)으로 공급하면, 재배통(20)에 물이 저장되므로 상기 수경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재배통(20)으로 이송된 물은 격벽(22)에 의해 일시 저장되었다가 격벽(22)을 타고 넘어 배수공(23)을 통해 다시 수경 하우징(10)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0)를 연속해서 작동시키면, 수경 하우징(10) 내에서 어항을 이루는 물이 재배통(20)으로 공급되었다가 다시 배수공(23)을 통해 회수되는 형태로 하여 순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격벽(22)은 일종의 오버플로우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급수구(13)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수경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물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 배수구(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환풍을 위해 전기적으로 회전하는 팬(16)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팬(16)은 수경 하우징(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외부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환풍을 위해 수동 환풍구(1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환풍구(18)는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19)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수동으로 상기 커버(19)를 밀거나 당길 수 있고, 그 위치에 따라 상기 환풍구(18)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경 하우징(10) 내부의 물을 재배통(20)으로 공급할 때 모래나 이물질 등이 재배통(2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중 모터(30)의 물 유입구에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제1필터(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통(20)의 배수공(23) 상부에는 재배통(20) 내의 이물질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제2필터(5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2필터(50)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패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어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나 재질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 개폐 도어(11)를 통해 꺼내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재배통(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필터 기능을 상실했을 경우 교체할 수 있게 마련된다.
한편,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내부 공간 일측에는 빛을 발할 수 있는 조명등(6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명등(60)은 형광등이나 LED 등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경하우징(10)의 이동 편의성을 위해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하단에는 캐스터(7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캐스터(70)는 수경 하우징(10)을 받치는 받침대(71)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 장치 중 트레이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의 형태와 같이 트레이(40)에 지지홀(42)이 천공된 경우 그 크기가 한정적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수경식물을 지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즉 지지홀(42)보다 두꺼운 수경식물은 끼워서 지지할 수 없으며, 반대로 너무 가는 수경식물은 지지홀(42)에 의해 똑바로 서지 못하고 경사지게 되므로 역시 재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0) 내측에는 상기 지지홀(42)을 대체하여 대관통홀(41')이 형성되며, 상기 대관통홀(41')에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 및 탄성을 가진 와이어(43)가 격자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43)가 늘어나거나 굽혀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경식물의 두께에 관계없이 지지할 수 있으며, 수경식물을 상기 대관통홀(41') 중 어느 위치라도 꽂아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보호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경하우징 11: 개폐 도어
12: 경첩 13: 급수구
14: 배수구 15: 레일
17: 제어부 18: 환풍구
19: 커버
20: 재배통 21: 외벽
22: 격벽 23: 배수공
30: 모터 31: 급수관
32: 제1필터 40: 트레이
41: 거치홈 42: 지지홀
50: 제2필터 60: 조명등
70: 캐스터

Claims (9)

  1. 전체 면이 폐쇄되고 일부 면 또는 전체 면이 투명하게 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자 형태로서, 일부분에 개폐 도어(11)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레일(15)이 내부 공간에서 평행하게 가로질러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수경 하우징(10);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물 수용이 가능한 상자 형태로서, 가장자리가 외벽(21)으로 둘러싸이고 내부의 물 수용 공간이 상기 외벽의 높이보다 낮은 격벽(22)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일측 바닥면에 배수공(23)이 형성된 재배통(20);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배치되어 하우징 저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재배통으로 이송하는 급수관(31)과 연결된 수중 모터(30);
    일정 길이와 면을 가진 판 형태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상에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의 양 변에 거치홈(4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경식물을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홀(42)이 형성된 트레이(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11)는 일측 단부에 경첩(12)이 형성되어 경첩을 기점으로 회동 개폐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급수구(13) 또는 내부 공간의 물을 외부로 빼내기 위한 배수구(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일측에 환풍을 위해 전기적으로 회전하는 팬(1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일측에 환풍을 위해 환풍구(18)가 구비되고, 상기 환풍구는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19)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모터(30)의 물 유입구에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제1필터(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통(20)의 배수공(23) 상부에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제2필터(5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 하우징(10)의 내부 공간 일측에 조명등(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40) 내측에는 상기 지지홀(42)을 대체하여 대관통홀(41')이 형성되며, 상기 대관통홀에는 신축 및 탄성을 가진 와이어가 격자 상으로 배치되어 수경식물을 지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 장치.
KR1020140056543A 2014-05-12 2014-05-12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KR10159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43A KR101590808B1 (ko) 2014-05-12 2014-05-12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43A KR101590808B1 (ko) 2014-05-12 2014-05-12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23A KR20150129923A (ko) 2015-11-23
KR101590808B1 true KR101590808B1 (ko) 2016-02-03

Family

ID=5484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543A KR101590808B1 (ko) 2014-05-12 2014-05-12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99A (ko) 2019-11-19 2021-05-27 그린산업 주식회사 소형 수경재배 장치
KR20210097901A (ko) 2020-01-31 2021-08-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경재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0631B2 (ja) * 2016-02-08 2020-0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耕栽培装置
KR102297932B1 (ko) 2019-04-11 2021-09-0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수경 재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20241418A1 (ja) * 2019-05-29 2020-1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耕栽培装置
KR102388457B1 (ko) * 2021-06-30 2022-04-21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복층 구조의 수족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95Y1 (ko) 1998-04-09 2001-01-15 한상우 수경재배기형 덮개를 가진 수족관
KR101333902B1 (ko) 2012-05-23 2013-11-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농수산 융복합 생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89B1 (ko) 2001-04-07 2003-11-12 박규식 가정용 수경재배기
KR101026265B1 (ko) * 2008-10-09 2011-04-05 대한민국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US8350675B2 (en) 2010-04-30 2013-01-08 Symbol Technologies, Inc. Trigger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can using image recognition
KR20130009323A (ko) * 2011-07-15 2013-01-23 강세열 수경재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95Y1 (ko) 1998-04-09 2001-01-15 한상우 수경재배기형 덮개를 가진 수족관
KR101333902B1 (ko) 2012-05-23 2013-11-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농수산 융복합 생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99A (ko) 2019-11-19 2021-05-27 그린산업 주식회사 소형 수경재배 장치
KR20210097901A (ko) 2020-01-31 2021-08-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경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23A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808B1 (ko)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
US9374953B2 (en)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enclosure with support structure
US8966816B2 (en) Aquaponics system
KR101102733B1 (ko) 가정용 식물 재배 장치
KR101423127B1 (ko) 수경재배장치
US20150250134A1 (en)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CN105104158A (zh) 智能水培蔬菜种植柜
KR200476709Y1 (ko) 수경재배장치
KR101466179B1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20180052229A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101176434B1 (ko) 어항을 구비한 화분
TWM539768U (zh) 植耕設備改良
KR100858994B1 (ko)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KR20140120039A (ko) 식물 재배기
CN207284359U (zh) 一种组合式立体植物栽培器
TWM473049U (zh) 直立式魚菜共生裝置
CN106106379A (zh) 用于人工饲养南方小花蝽的装置和方法
JP2554820Y2 (ja) 観賞用鉢物植物への自動底面灌水装置
KR20170004396A (ko) 가정용 채소 재배장치
KR20150091640A (ko) 실내 텃밭
KR101411149B1 (ko) 양액 재배기
AU2015296234B2 (en)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enclosure with support structure
KR20190125730A (ko) 기능성 화분
KR101831989B1 (ko) 농가형 아파트
JP2011030477A (ja) 家庭用・食育用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