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264B1 - 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264B1
KR101590264B1 KR1020140111251A KR20140111251A KR101590264B1 KR 101590264 B1 KR101590264 B1 KR 101590264B1 KR 1020140111251 A KR1020140111251 A KR 1020140111251A KR 20140111251 A KR20140111251 A KR 20140111251A KR 101590264 B1 KR101590264 B1 KR 10159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forming
plate portion
raw materia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수홍
윤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론텍
Priority to KR102014011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2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64Making machine elements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According the present inven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shaped nut (T)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n indented recess from a lower side of a raw material towards an upper side of the raw material; a step of forming an upper plate unit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dented recess by pressing an upp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and an extension unit extended from a circumference of an upper plate unit to a prescribed length,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a body unit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dented recess; a step of pressing the upper plate unit to spread the upper plate unit towards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te unit to form an opening par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dented recess; a step of folding the upper plate unit spread towards the circumference towards the outside to bring the upper plate unit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unit; and a step of integrating the upper plate unit and the extension unit.

Description

티형너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

본 발명은 티형너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티형너트 제조 시 스크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that prevents scrap from being generated in manufacturing a tee nut.

자동차용 T형 용접너트(이하 티형너트)는 자동차 차체에 용접되어 볼트에 의해 조립부품이 조립되는 요소부품이며, 다른 용접너트에 비하여 용접 강도가 우수하여 차체부위 중 고강도를 요구하는 부위에 사용되고 있다.T-shaped welding nuts for automobi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type nuts") are component parts that are assembled by bolts and welded to automobile bodies. They are used for parts requiring high strength among the body parts .

한편 최근에는 2008년과 2010년 대두되었던 원자재 파동 등으로 인하여 원자재 가격의 인상과 수급 불안정으로 중소기업의 경영난은 가중되었으며, 이에 따라 중국 등 동남아국가의 저가부품 공세를 방어하기 위하여 원자재의 투입중량을 감소시켜 원자재 절감과 가격경쟁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Recently, due to the rise in raw material prices and unstable supply and demand due to the fluctuations of raw materials in 2008 and 2010, SMEs suffered from a shortage of op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defend the low cost component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It is necessary to reduce raw materials and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티형너트 제조방법이 도시된다.Figs. 1 and 2 show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종래의 티형너트 제조방법은,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재료(10)를 냉각단조 등으로 가공하여 몸체부(14)와 연장부(12)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몸체부(14)에 피어싱 공정을 수행하여 상하 관통된 관통홀(15)을 형성하여, 티형너트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s shown in Fig. 1, the raw material 10 is processed by cooling forging or the like to form the body part 14 and the extension part 12. [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 the body portion 14 is pierced to form a through-hole 15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have a shape of a tee nut.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티형너트 제조방법은 상기 피어싱 공정으로 인해, 상기 관통홀(15)에 대응되는 부피의 스크랩(s)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스크랩(s)은 공정 특정 상 필수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전량 폐기할 경우에는 심각한 재료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scraps (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15) are generated due to the piercing process. Such scrap (s) is inevitably generated in a process-specific manner, and waste of serious materials is caused when the scrap is completely disposed of.

또한 이를 재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재용융 및 재성형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공정 상 로스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며, 수율을 감소시키고 티형너트의 전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it is re-used,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process loss occurs because the re-melting and re-forming process should be additionally performed, but also the yield is decreased and the total manufacturing cost of the tee nut is increas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1992-0011373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92-0011373

본 발명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은, 티형너트의 제조 과정에서 스크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고자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urpose of preventing waste of material by preventing scrap from being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tee nut.

또한 이에 따라 전체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of simplifying the entire process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은, 티(T)형너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재료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둘레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함몰홈의 둘레를 감싸는 몸체부보다 지름이 큰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판부를 가압하여 둘레 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둘레 측으로 벌어진 상판부를 외측으로 접어 상기 연장부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일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T) type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T) type nut,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n indentation groove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a raw material; Forming an extension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portion that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round the upper plate portion and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ssed groove and pressing the upper plate portion to open the peripheral por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ssed groove, Forming an opening portion, folding the upper plate portion opened to the periphery outwar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xtending portion, and integrat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그리고 상기 함몰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depression groove and the step of form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또한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함몰홈의 하부로부터 펀칭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부를 가압 파단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opening in the upper part of the recessed groove may include pressing the upper plate part by inserting a punching devi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recessed groove.

그리고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상판부에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And forming an incision line in the upper plate before the step of forming the opening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epression groove.

또한 상기 절개라인은, 상기 상판부의 중심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incision line may be radial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portion.

그리고 상기 함몰홈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원재료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 prior to the step of forming the recess, the step of machining the edge of the raw material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일체화하는 단계는,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열융착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may be thermally fused.

그리고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일체화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tep of integrat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티형너트의 제조 과정에서 스크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랩의 재사용에 따른 재용융 및 재성형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scrap is not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ee nu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of the material, an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the re-melting and re-form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use of the scrap.

둘째, 이에 따라 전체 공정이 간소화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ly, the entire process is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셋째, 제품의 수율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yield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몸체부 및 연장부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몸체부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스크랩이 발생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의 하부에 함몰홈을 형성하며, 상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몸체부, 상판부 및 연장부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를 펀칭장치로 가압하여 파단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가 파단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를 접어 연장부에 접촉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와 연장부를 일체화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에 절개라인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dy and an extension of a conventional tee-type nut manufacturing metho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e nut,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aw material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shaped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depressed grooves ar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a raw material and the upper portion is press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dy portion, an upper plate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shaped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plate is pressed and broken by a punching devic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p plate is broken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portion is fold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tended por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late and an extension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0 is a plan view showing a cutting line formed on a top plate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1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raw material 100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T)형너트의 제조를 위해, 먼저 원재료(100)가 준비된다. 상기 원재료(100)의 초기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의 편의를 위해 초기 형상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였다.As shown in FIG. 3, for the production of a tee (T) shaped nut, the raw material 100 is first prepared. The initial shape of the raw material 100 may be variously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initial shape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for convenience of processing.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먼저 상기 원재료(100)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원재료(100)의 모서리를 가공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최종 제조될 티형너트의 모서리 마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며, 공정 상황 및 제품의 최종 형상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In this state, the step of machining the edge of the raw material 100 may be performed. This step is per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 raw material 100 by machining the edges of the raw material 100 and to improve the edge finishability of the finally formed Ti nuts,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rocess conditions and final shape of the produc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100)의 하부에 함몰홈(105)을 형성하며, 상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pression groove 105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a raw material 100 and pressing an upper portion thereof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재료(1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홈(105)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홈(105) 형성과 동시에 원재료(100)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하였다. 이는 티형너트의 상판부 및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4, the step of forming the recessed grooves 105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raw material 100 is perform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100 is pressed at the same time as the recessed groove 105 is formed. This is for form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ed portion of the tee nu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즉 본 단계에서 상기 함몰홈(105)은 상측 방향으로 점차 깊어지게 되며, 원재료(100)의 상부는 가압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은 냉간단조, 열간단조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in this step, the recessed groove 105 is gradually deepen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100 is extended in the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s by the pressing force. Such a process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old forging, hot forging, and the lik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홈(105) 형성과 동시에 원재료(100)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함몰홈(105) 형성 과정과 원재료(100)의 상부 가압 과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100 is pressed at the same time as the recessed groove 105 is formed. Alternatively,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cessed groove 105 and the upper pressing process of the raw material 100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course.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홈(105) 형성과 동시에 원재료(10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공정 소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100 is pressed at the same time as the depressed groove 105 is formed,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can be further shorten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몸체부(104), 상판부(103) 및 연장부(102)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dy 104, an upper plate 103, and an extension 102 are form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함몰홈(105)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함몰홈(105) 둘레에 몸체부(1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재료(100)의 상부 가압을 통해 상기 함몰홈(105)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부(103)와, 상기 상판부(103)의 둘레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104)보다 지름이 큰 연장부(102)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body 104 is formed around the depressed groove 105 by the step of forming the depression 105 described above. An upper plate 103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pressed groove 105 through an upper pressing of the raw material 100 and a lower plate 10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round the upper plate 103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104 An extension portion 102 is formed.

이에 따라 티형너트의 기본적인 형상이 갖춰지며, 이후에는 상기 상판부(103) 측을 개구시키는 공정이 수행된다.Accordingly, the basic shape of the tee nut is provided, and then the process of opening the side of the upper plate 103 is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103)를 펀칭장치(200)로 가압하여 파단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103)가 파단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103 is pressed and broken by the punching device 200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portion 103 is broke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shaped nut.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형너트의 몸체부(104), 상판부(103) 및 연장부(102)를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상판부(103)를 가압하여 둘레 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함몰홈(105)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가 수행된다.6 and 7, after the body portion 104, the upper plate portion 103, and the extended portion 102 of the tee nut are formed, the upper plate portion 103 is pressed and opened to the peripheral side So that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depression groove 105. [

즉 상기 함몰홈(105)의 하부 측으로부터 상기 상판부(103)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원재료(100)의 재료의 강도를 초과하는 정도의 압력 수치가 될 경우 상기 상판부(103)에 파단이 발생되고, 상기 상판부(103)는 둘레 측으로 벌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upper plate portion 103 is press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depressed groove 105, when the pressure value of the material of the raw material 100 exceeds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the upper plate portion 103 is broken , The upper plate portion 103 is opened to the peripheral sid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함몰홈(105)의 하부로부터 펀칭장치(200)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부(103)를 가압 파단시키도록 하였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펀칭장치(200)는 상기 함몰홈(105)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단 중앙에 돌출부(210)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펀칭장치(200)의 상향 가압에 의해 상기 상판부(103)는 중심 지점으로부터 파단이 발생되고, 파단 발생 이후 펀칭장치(200)의 관통으로 인해 상판부(103)는 둘레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unching device 200 is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 105 to press the upper plate 103. In this embodiment, the punching device 200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cess 105, and a protrusion 2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ccordingly, the upward pivoting of the punching device 200 causes the upper plate 103 to break from the center point, and after the breaking occurs, the upper plate 103 sprea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punching device 200.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펀칭장치(200)의 형상은 본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펀칭장치(200)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하다.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hape of the punching device 200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un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method of using the punching device 200 may also be used. This will be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103)를 접어 연장부(102)에 접촉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103)와 연장부(102)를 일체화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portion 103 is fold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tended portion 102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portion 103 and the extending portion 102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도 8과 같이, 상기 함몰홈(105)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둘레 측으로 벌어진 상판부(103)를 외측으로 접어 상기 연장부(102)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상판부(103) 및 상기 연장부(102)를 일체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As shown in FIG. 8, after the step of forming an opening in the upper part of the depression groove 105, the step of folding the upper plate part 103, which is widened toward the peripheral side, to make contact with the extending part 102, (103) and the extension (102) are integrated.

즉 본 발명은 상기 상판부(103)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연장부(102) 측으로 접어 일체화시킴으로써 스크랩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rap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by integrally folding the upper plate 103 to the extension 102 side without removing the upper plate 103.

그리고 상기 상기 상판부(103) 및 상기 연장부(102)를 일체화하는 단계 역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부(103) 및 상기 연장부(102)를 열융착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부(103)는 연장부(102)에 융착되어 원재료(100)는 티형너트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step of integrating the upper plate portion 103 and the extending portion 102 may also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late portion 103 and the extending portion 102 are thermally fused . Accordingly, the upper plate 103 is welded to the extended portion 102, so that the raw material 100 can be shaped like a tee nut.

한편 상기 상판부(103)가 연장부(102)에 융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연장부(102)의 두께가 상기 상판부(103)의 부피만큼 두꺼워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형성된 연장부(102)의 두께가 설계된 수치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최초의 연장부(102) 두께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portion 102 is increased by the volume of the upper plate 103 in the process of fusing the upper plate 103 to the extended portion 102.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s 102 may be formed to be within the designed numerical error range.

이와 같은 각 단계 이후에는, 상기 몸체부(104)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티형너트의 제조가 완료된다.After each step, a step of forming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4 may be performed, thereby completing the manufacture of the T-shaped nu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은, 티형너트의 제조 과정에서 스크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랩의 재사용에 따른 재용융 및 재성형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전체 공정이 간소화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crap is no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tee nut, waste of material can be prevented, and a re-melting and re- There is an advantage not necessary. Thus, the entir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형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판부(103)에 절개라인(T)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cutting line T formed in the upper plate 103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n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상기 함몰홈(105)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상판부(103)에 절개라인(T)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10, forming the incision line T in the upper plate 103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of forming the opening in the upper part of the depression groove 105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절삭공구, 레이저 등의 가공장비를 이용하여 상판부(103)에 소정 형상으로 절개라인(T)을 미리 형성할 경우, 전술한 펀칭장치(200)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상판부(103)의 하부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판부(103)를 둘레 방향으로 벌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상판부(103)를 파단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판부(103)의 벌어짐 형상을 항상 균일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cutting line T is form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upper plate 103 by using a cutting tool, a laser, or the lik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3 is simply formed without using the above- The upper plate 103 can be ope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using such a method, it is not necessary to break the upper plate 103, so that the flare shape of the upper plate 103 can be always made uniform.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절개라인(T)은 상기 상판부(103)의 중심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각 벌어짐 피스가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판부(103) 및 연장부(102)의 일체화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incision line T is radial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3 so that each fringing piece has the same area, so that the upper plate 103 and the extension 102 )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원재료 102: 연장부
103: 상판부 104: 몸체부
105: 함몰홈 200: 펀칭장치
210: 돌출부 T: 절개라인
100: raw material 102: extension part
103: upper plate part 104:
105: recessed groove 200: punching device
210: protrusion T: incision line

Claims (8)

티(T)형너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재료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둘레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함몰홈의 둘레를 감싸는 몸체부보다 지름이 큰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판부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상판부가 파단되어,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파단된 상판부를 외측으로 접어 상기 연장부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일체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e (T) -type nut,
Forming depressed grooves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raw material;
Pressing an upper portion of the raw material to form an upper plate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pression groove and an extension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depression groove by a predetermined length around the upper plate portion;
The upper plate portion is broken by pressing the upper plate por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that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ssed groove;
Folding the broken upper plate part outwar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nded part; And
Integrat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recessed groove and the step of form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함몰홈의 하부로부터 펀칭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부를 가압 파단시키도록 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forming an opening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ssed groove may include:
And a punching device is insert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ecessed groove to press-break the upper plat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상판부에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step of forming the opening in the upper part of the recessed groove,
And forming an incision line in the upper plat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라인은,
상기 상판부의 중심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cision line,
Wherein the upper plate is radially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center of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원재료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step of forming the recessed groov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chining an edge of the raw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일체화하는 단계는,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열융착시키는 것으로 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comprises:
And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are thermally f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연장부를 일체화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티형너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integrat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And forming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KR1020140111251A 2014-08-26 2014-08-26 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 KR101590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51A KR101590264B1 (en) 2014-08-26 2014-08-26 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51A KR101590264B1 (en) 2014-08-26 2014-08-26 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264B1 true KR101590264B1 (en) 2016-02-01

Family

ID=5535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251A KR101590264B1 (en) 2014-08-26 2014-08-26 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26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9651A (en) * 2011-03-01 2012-09-20 Sakamura Hot Art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lange nu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9651A (en) * 2011-03-01 2012-09-20 Sakamura Hot Art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lange n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2940B2 (en) Method for forming a pressed compone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ssed component, and die apparatus for forming a pressed component
JP5626500B1 (en) Press forming method
US20130152656A1 (en) Thin plate burring processing method and thin plate female screw-forming method
KR101251043B1 (en) Tap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apparutus
JP2008110349A (en) Method for piercing hole using hydroforming, piercing apparatus, component manufactured by hydroforming, and structure
JP685396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oling plate
KR10159026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Shaped Nut
CN101920441B (en) Processing method of upper die and lower die of die
JP637075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nut with washer
JP2010058142A (en) Method for press-forming cylindrical component with sharp edge
EP2987665A1 (en) Method for stamping an arm for vehicle suspensions and such an arm
PT1591676E (en) Clinch nut
KR10108437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eld nut
KR101667645B1 (en) method for chamfering metal components
CN105666051A (en) Production processes for coil shell assembly and coil shell parts of clutch
KR101865732B1 (en) Nu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033047A (en) Processing technique of upper and lower pieces of axle case
KR1016502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 Case for Fuel Injection Apparatus of Automobile
KR101605422B1 (en) Lock Nut Manufacturing Method by Forging and Lock Nut Thereof
KR20070051822A (en) The stud and making mathod thereof
CN204545102U (en) A kind of split type shearing punch die
TW20171342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gniter housing including steps of breaking and shaping material, swaging forming, hexagon squeezing, a first reverse hole punching, a second reverse hole punching, hole penetration forming and a third reverse hole punching
CN203044642U (en) Plunger chip
CN203170888U (en) Cylindrical plug pin forming device
KR20110003433U (en) 6 forging shape for the lower part spline of one way clutch inner race in 6-speed automatic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