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179B1 -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179B1
KR101590179B1 KR1020140085386A KR20140085386A KR101590179B1 KR 101590179 B1 KR101590179 B1 KR 101590179B1 KR 1020140085386 A KR1020140085386 A KR 1020140085386A KR 20140085386 A KR20140085386 A KR 20140085386A KR 101590179 B1 KR101590179 B1 KR 10159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slab
rib
distance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044A (ko
Inventor
김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8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1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PC 슬래브의 설치 구조는 PC 슬래브 사이의 이음 부분이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사이의 셋백 공간에 위치하여 숨겨지기 때문에 이음부분에 별도의 코킹 공사 또는 마감 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균열 제어, 누수에 따른 얼룩 등에 대한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PC 슬래브의 이음부분을 숨기면서 동일한 한 쌍의 리브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건축 마감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its connection part being concealed by coupled rib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PC 슬래브 사이의 이음 부분이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사이의 셋백 공간에 위치하여 숨겨지기 때문에 이음부분의 하부면에 별도의 코킹 공사 또는 마감 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균열 제어, 누수에 따른 얼룩 등에 대한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PC 슬래브의 이음부분을 숨기면서 동일한 한 쌍의 리브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건축 마감 효과가 우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만드는 방법과,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방법(precast concrete slab, PC 슬래브)이 있다.
한편, 이러한 PC 슬래브 위에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완성하는 방법도 있는데, 더블티 PC 슬래브(double tee PC slab), 복수 개의 리브를 갖는 PC 슬래브, 역리브 PC 슬래브, hollow core PC slab, half PC slab 등과 같은 PC 슬래브에 토핑 콘크리트를 일반적으로 50mm~200mm 정도 타설하여 슬래브를 만든다.
이러한 PC 슬래브를 연속적으로 배치한 경우, PC 슬래브 사이의 이음 부분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도 1 및 도 2의 더블티 PC 슬래브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상기 더블티 PC 슬래브를 보여주고, 도 2는 더블티 PC 슬래브의 위에 현장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PC 슬래브(1) 사이의 이음 부분(조인트, 3)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격이 심한 경우 이를 가리기 위해서 하부면에 별도의 코킹 공사 또는 마감 공사가 필요하고, 얇은 토핑 두께로 인해 이음부분(3)에 상부 균열이 쉽게 발생하며, 이에 따라 보수, 유지관리 등의 공사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이음 부분(3)의 코킹 및 마감 공사가 요구되는 경우 골조 공사 중 슬래브 공사비 부분의 5%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비용이 상당히 크다.
아울러, 상기 이음 부분(3)에 균열에 의한 누수 등이 발생하면 쉽게 얼룩이 생기므로 미관이 좋지 못하고 유지 관리가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동일한 PC 슬래브인 경우에도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솟음량의 차이로 인해 이음부분에서 이격이 발생될 수 있고, PC 슬래브가 설치될 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지 못해서 불규칙한 이격 거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PC 슬래브 사이의 이음 부분이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사이의 셋백 공간에 위치하여 숨겨지기 때문에 이음부분에 별도의 코킹 공사 또는 마감 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균열 제어, 누수에 따른 얼룩 등에 대한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PC 슬래브의 이음부분을 숨기면서 동일한 한 쌍의 리브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건축 마감 효과가 우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는 수평판(10)의 양측단에 형성된 리브(46)가 이웃하는 PC 슬래브의 리브(46)와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PC 슬래브의 이음부분(50)이 한 쌍의 리브(46)에 의해서 숨겨짐으로써 이음부분(50)이 시선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간격(d)은 PC 슬래브의 하부 측방향에서 이음부분(50)을 보았을 때 리브(46)로 인해서 상기 이음부분(50)이 숨겨질 수 있는 간격이다.
상기 양측단의 리브(46) 사이에 한 쌍의 리브(40)(43) 또는 두 쌍의 리브(40)(43) 또는 세 쌍의 리브(40)(43)가 PC 슬래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판에 형성될 수 있는데, 리브(40)와 리브(43)는 상기 간격(d)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배치를 아래에서 바라보면 동일한 리브 패턴이 반복된다.
상기 간격(d)은 20mm 내지 3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측단 리브(46)의 바깥쪽 측면(47)에는 돌기(48)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48)는 이웃하는 PC 슬래브의 돌기(48)와 협력하여 상기 간격(d)을 유지한다.
상기 수평판(10)은 리브(46)의 바깥쪽 측면(47) 보다 바깥쪽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된 부분(12)은 돌기(48)와 함께 홈(49)을 형성한다. 공사 현장에서 PC 슬래브 위에 타설된 현장 토핑 콘크리트가 상기 홈(49)에 채워져서 쐐기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리브(40)(43) 사이에서 수평판(10)의 두께(t)는 압축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은 주몰드(400)와 보조몰드(450)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작방법은, (a) 수평판(10) 및 리브(46)의 구조와 형합하는 구조를 갖는 주몰드(400)를 준비하고, 돌기(48) 및 홈(49)과 형합하는 구조를 갖는 보조몰드(450)를 준비하는 단계; (b) 보조몰드(450)를 주몰드(400)에 결합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제조하는 단계; (c) 슬래브 양생이 완료된 후 보조몰드(450)와 주몰드(400)를 분리하는 단계; (d) 보조몰드(450)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슬래브를 주몰드(400)로부터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PC 슬래브 사이의 이음 부분이 인접한 한 쌍의 리브 사이의 셋백 공간에 위치하여 숨겨지기 때문에 이음부분에 별도의 코킹 공사 또는 마감 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균열 제어, 누수에 따른 얼룩 등에 대한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PC 슬래브의 이음부분을 숨기면서 동일한 한 쌍의 리브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건축 마감 효과가 우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둘째,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더블티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더블티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연속적으로 설치된 더블티 PC 슬래브의 위에 현장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 단면도.
도 7은 도 3의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8a는 도 3의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연속적으로 설치된 PC 슬래브의 위에 현장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b는 도 8a와 같이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구조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 본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PC 슬래브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1은 도 9의 D-D'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PC 슬래브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4는 도 9 및 도 12의 PC 슬래브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철근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5는 도 9 및 도 12의 PC 슬래브에서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철근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6은 도 3, 도 9, 도 12 및 도 14의 PC 슬래브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PC 슬래브(100)는 수평판(10) 및, 수평판(10)에서 아래로 형성된 리브(40)(43)(46)를 구비한다.
수평판(10)과 리브(40)(43)(46)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PC 슬래브(100)에는 철근, 철선, 강재 등이 매립될 수 있으며,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판(10)과 리브(40)(43)(46)에는 PC 슬래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래티스 철근(20)과 종방향 철근(22)(24)과 단부 철근(26)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래티스 철근(20)을 대신하여 개별 스터럽 철근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점은 도 14, 1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래티스 철근(20)은 지그재그로 절곡된 철근으로서, 수평판(10) 위로 주기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부분은 PC 슬래브(100)와 현장 토핑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킨다. 도면에는 PC 슬래브(100)의 단부와 중앙부에 래티스 철근(20)이 균일한 밀도로 배치되었지만, PC 슬래브(100)의 단부에는 중앙부에 비해서 래티스 철근(20)이 더 촘촘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종방향 철근(22)(24)은 PC 슬래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40)(43)(46)의 하단과 수평판(10)에 각각 설치된다.
단부 철근(26)은 PC 슬래브(100)의 단부에 설치되는데, 그 한쪽 끝단은 외부에 노출된다.
리브(40)(43)(46)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판(10)의 아랫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되, PC 슬래브(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수평판(10)의 중앙 부분에는 한 쌍의 리브(40)(43)가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수평판(10)의 양측단에는 하나의 리브(46)가 각각 형성된다.
리브(40)(43)(46)의 폭(w)은 PC 슬래브(100)의 길이방향 중앙부분 보다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 쪽으로 갈수록 커진다. 하지만, 리브(40)(43)(46)의 폭(w)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일정)할 수도 있다.
한 쌍의 리브(40)(43)는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간격(d)은 리브(40)(43)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인데, 간격(d)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그리고, 리브(40)(43) 사이에서 수평판(10)의 두께(t)는 압축력에 저항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즉, 리브(40)(43) 사이 부분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수평판(10)에 작용하는 압축력이 크면 그에 따라 상기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양측단의 리브(46)는,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PC 슬래브(100)의 리브(46)와 상기 간격(d)만큼 이격된다. 리브(46)는 리브(40)(43)와 동일한 외부 형상(즉, 동일한 리브 높이와 폭(w))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PC 슬래브(10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였을 경우에 동일한 리브 패턴이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미감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간격(d)은 PC 슬래브(100)의 이음 부분(조인트 부분, 50)이 인접한 한 쌍의 리브(46)에 의해서 숨겨지도록 하기 위한 간격으로서, 20mm 내지 30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d)이 20mm 보다 작으면 PC 슬래브(100)의 배치가 조금만 비틀어지더라도 눈에 확연하게 띄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간격(d)이 300mm 보다 크면 외부에서 쉽게 이음부분(50)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리브의 폭(w)은 50mm 내지 30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d)은 돌기(48)에 의해서 유지될 수 있다. 돌기(48)는 리브(46)의 바깥쪽 측면(47)에 PC 슬래브(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이웃하는 PC 슬래브(100)의 돌기(48)와 접촉되거나 거의 근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간격(d)을 유지한다.
돌기(48)는 리브(46)의 하단으로부터 리브(46)의 폭(w) 이상의 높이(h)에 위치하거나 리브(46)의 하단으로부터 간격(d) 이상의 높이(h)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48)가 상기 높이(h)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면 이음부분(50)이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PC 슬래브(100)는 돌기(48) 구조로 인해서 기존의 슬래브와는 다른 제조방법이 요구되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한편, 수평판(10)은 상기 바깥쪽 측면(47) 보다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는데, 상기 연장된 부분(12)의 길이는 돌기(48)의 돌출 길이 보다는 짧다. 따라서, 돌기(48)와 상기 연장된 부분(12) 사이에는 홈(49)이 형성되고, 상기 홈(49)은 이웃하는 PC 슬래브(100)의 홈(49)과 함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에는 현장 토핑 콘크리트(C)가 채워진다.
상기 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는 인접한 PC 슬래브(100)에 각각 다른 수직력이 작용할 때 수직력으로 인해 PC 슬래브(100)가 상하로 서로 다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음부분(50)의 균열을 방지한다. 즉, 상기 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는 쐐기작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PC 슬래브(도 1의 1)는 연속적으로 설치되면 PC 슬래브(1)의 이음 부분(도 2의 3)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코킹 공사 또는 마감 공사가 필요하였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구조에서는 PC 슬래브(100)의 이음 부분(50)이, 상기 이음 부분(50)의 바로 아래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제외하고는, 주차장과 같은 넓은 면적에 대해 한 쌍의 리브(46)에 의해 숨겨져서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음 부분(50)은 리브(46)에 의해서 가려져서 어두우므로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 코킹 공사 또는 마감 공사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공사 기간을 없앨 수 있다.
아울러, PC 슬래브(100)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경우, 리브(46)는 이웃하는 PC 슬래브(100)의 리브(46)와 한 쌍이 되어 리브(40)(43)와 동일한 패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서는 동일한 리브 패턴이 반복되기 때문에 우수한 외부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나아가, 리브(40)(43) 사이의 좁은 공간 및/또는 리브(46) 사이의 좁은 공간에는 전선, 조명 램프 등과 같은 설비를 매달기 위한 행거(도면에 미도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종래에는 행거를 설치하기 위해서 수평판(10)을 천공해야 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좁은 공간의 리브 측면을 활용하여 지지 및 행거를 설치할 수 있다.
도 8b는 PC 슬래브(100)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구조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 본 것을 보여주는데, 이음 부분(50)이 리브(46)에 의해 가려져서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리브 패턴이 반복되기 때문에 우수한 외부 미감을 연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한 쌍의 리브(40)(43)가 수평판(10)의 양측단 사이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양측단 사이에 리브(40)(43)가 존재하지 않거나 한 쌍의 리브(40)(43)가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쌍의 리브(40)(43)가 수평판(10)의 폭을 3 분할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세 쌍의 리브(40)(43)가 수평판(10)의 폭을 4 분할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그 구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 슬래브(100)의 하중을 줄이고 콘크리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경량체(도면에 미도시)를 수평판(10) 위에 설치한 후 현장 토핑 콘크리트(C)를 타설할 수도 있다. 경량체는 콘크리트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 예를 들어, EPS, 플라스틱, 경량 기포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구성과 설치방법은 당업계에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C 슬래브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D-D'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PC 슬래브(100)와 비교하여, 상기 PC 슬래브(200)는 리브(40)(43)(46)의 길이가 짧고 이에 따라 수평판(10)의 양쪽 단부(14)의 두께가 두껍다는 차이점과, 리브(40)(43)(46)의 폭(w)이 PC 슬래브(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차이점들을 제외하면 PC 슬래브(200)는 PC 슬래브(1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PC 슬래브(200)는 수평판(10)의 양쪽 단부(14)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양쪽 단부(14)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PC 슬래브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PC 슬래브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11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PC 슬래브(200)와 비교하여, 상기 PC 슬래브(300)는 수평판(10)의 양쪽 단부(14)와 리브(40)(43)(46)가 만나는 부분에 반원(16)이 형성된다는 차이점과, 리브(40)(43)(46)의 폭(w)이 PC 슬래브(300)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차이점들을 제외하면 PC 슬래브(300)는 PC 슬래브(2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한편, 도 14와 도 15는 PC 슬래브(200)(300)에서 래티스 철근(20)을 대신하여 스터럽 철근(25)과 철근(27)이 사용된 것을 보여주는데, 도 14는 PC 슬래브(200)(300)의 단부(14)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고 도 15는 PC 슬래브(200)(300)의 단부(14)를 제외한 부분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14와 도 15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13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14)에서는 스터럽 철근(25)이 사용되고, 상기 단부(14)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철근(27)이 사용된다. 단부(14)에 작용하는 응력이 큰 경우에는 스터럽 철근(25)이 촘촘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PC 슬래브(100)(200)(300)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평판(10) 및 리브(40)(43)(46)의 구조와 형합하는 구조를 갖는 주몰드(400)를 준비하고, 홈(49) 및 돌기(48)와 형합하는 구조를 갖는 보조몰드(450)를 준비한다. 주몰드(400)는 수평판(10)과 리브(40)(43)(46)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보조몰드(450)는 홈(49)과 돌기(48)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주몰드(400)에 각종 철근(도 16에 미도시)을 배근하고, 보조몰드(450)를 주몰드(400)의 양측 상단에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은 볼트(도면이 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양생이 완료되면 볼트를 풀어서 보조몰드(450)와 주몰드(400)의 결합을 해제한 후, 보조몰드(450)를 제거한다.
이어서, PC 슬래브(100)(200)(300)를 주몰드(400)로부터 탈형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PC 슬래브(100)(200)(300) 위에 현장 토핑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중에서 PC 슬래브의 이음 부분(50)이 리브(46)에 의해서 숨겨지도록 하고 PC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었을 때 동일한 리브 패턴이 반복되도록 하는 구성은 현장 토핑 콘크리트(C) 없이 PC 슬래브(100)(200)(300)'만'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수평판 20 : 래티스 철근
22, 24 : 종방향 철근 25 : 스터럽 철근
26 : 단부 철근 27 : 철근
40, 43, 46 : 리브 48 : 돌기
49 : 홈 50 : PC 슬래브의 이음 부분
100, 200, 30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400 : 주몰드 450 : 보조몰트
d : 리브 사이의 간격 W : 리브의 폭
h : 돌기의 높이 C : 현장 토핑 콘크리트

Claims (7)

  1. 수평판 및 수평판의 아랫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리브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수평판(10)의 양측단에는 하나의 리브(46)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단의 리브(46)는 이웃하는 슬래브의 양측단에 형성된 리브(46)와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되고, 상기 간격(d)은 슬래브의 하부 측방향에서 슬래브와 슬래브의 이음부분을 보았을 때 리브(46)로 인해서 상기 이음부분이 숨겨질 수 있는 간격이고,
    상기 양측단의 리브(46) 사이에 한 쌍의 리브(40)(43) 또는 두 쌍의 리브(40)(43) 또는 세 쌍의 리브(40)(43)가 슬래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판에 형성되고,
    리브(40)와 리브(43)는 상기 간격(d)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슬래브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배치를 아래에서 바라보면 동일한 리브 패턴이 반복되며,
    상기 간격(d)은 20mm 내지 300mm이고,
    상기 양측단의 리브(46)의 바깥쪽 측면(47)에는 돌기(48)가 형성되고,
    돌기(48)는 이웃하는 슬래브의 돌기(48)와 협력하여 상기 간격(d)을 유지하며,
    상기 간격(d)은 리브(40)와 리브(46) 사이의 거리 및 리브(43)와 리브(46) 사이의 거리 보다 좁고,
    돌기(48)는 리브(46)의 하단으로부터 리브(46)의 폭(w) 이상의 높이(h)에 위치하거나 리브(46)의 하단으로부터 간격(d) 이상의 높이(h)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판(10)은 리브(46)의 바깥쪽 측면(47) 보다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12)은 돌기(48)와 함께 홈(49)을 형성하며,
    공사 현장에서 슬래브 위에 타설된 현장 토핑 콘크리트가 상기 홈(49)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브(40)(43) 사이에서 수평판(10)의 두께는 압축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 구조.
  7. 삭제
KR1020140085386A 2014-07-08 2014-07-08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 KR10159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86A KR101590179B1 (ko) 2014-07-08 2014-07-08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86A KR101590179B1 (ko) 2014-07-08 2014-07-08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044A KR20160006044A (ko) 2016-01-18
KR101590179B1 true KR101590179B1 (ko) 2016-01-29

Family

ID=5530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386A KR101590179B1 (ko) 2014-07-08 2014-07-08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1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362B1 (ko) * 2012-05-15 2012-10-17 삼표건설 주식회사 패널의 전단 저항력 보강 구조를 갖는 피씨 슬래브 및 상기 피씨 슬래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553A (ko) * 2009-02-06 2010-08-16 지석원 멀티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10083237A (ko) * 2010-01-14 2011-07-20 김익배 멀티슬래브의 분담폭 과설계를 개선한 지하주차장 시공용 티티에스 슬래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362B1 (ko) * 2012-05-15 2012-10-17 삼표건설 주식회사 패널의 전단 저항력 보강 구조를 갖는 피씨 슬래브 및 상기 피씨 슬래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044A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334B1 (ko)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1765107B1 (ko)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JP505159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0179B1 (ko)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설치구조 및,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제작 방법
KR101916744B1 (ko) 강성이 향상된 교량 상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US20200256054A1 (en) Precast Concrete Panel and Method
KR20170128054A (ko)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7227B1 (ko)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내화 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KR101451267B1 (ko) 조립형 pc부재 제작용 시스템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KR101338862B1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층간 슬래브 시공방법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1912308B1 (ko) 발코니를 일체로 형성하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CN109352793A (zh) 一种多阶段预制轨道板的制造方法
KR101962709B1 (ko) 트랜치가 형성된 합성 데크 슬래브 시공 방법
JP2007284980A (ja) 段差部が強化された段差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
CN216839920U (zh) 一种混凝土外墙的接茬连接结构
CN215291442U (zh) 一种用于狭窄空间模板加固的支撑架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