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660B1 -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660B1
KR101589660B1 KR1020140195512A KR20140195512A KR101589660B1 KR 101589660 B1 KR101589660 B1 KR 101589660B1 KR 1020140195512 A KR1020140195512 A KR 1020140195512A KR 20140195512 A KR20140195512 A KR 20140195512A KR 101589660 B1 KR101589660 B1 KR 10158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centrated waste
evaporation
condens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래
이지훈
박승철
김정주
박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20Disposal of liquid waste
    • G21F9/22Disposal of liquid waste by storage in a tank or oth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농축폐액공급수조, 증발건조용기, 응축기 및 응축수저장조를 포함하는 이동식 농축폐액 증발건조장치의 구성에서 응축수저장조를 방사선 피폭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배치함으로써 운전원이나 정비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는 증발건조용기, 재생열교환기, 응축기, 응축수저장조 및 농축폐액공급수조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응축수저장조를 방사선 피폭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Configuring your machine for a removable container arrangement for concentrated waste treatment containing the radio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의 구성기기인 농축폐액공급수조, 증발건조용기, 응축기 및 응축수저장조의 배치를 적정하게 하여 효율적인 방사선 차폐를 통해 운전원과 정비원의 방사선 피폭 최소화, 액체 및 기체 방사성 폐기물의 누출방지, 건조슬러지의 안전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일부 수처리 업체에서 재해지역의 음용수나 생활용수의 기급 조달 목적으로 멤브레인과 탈염기 등을 이용한 이동식 수처리장치를 개발하여 운영하거나 정수처리장에서 발생된 슬러지 처리를 목적으로 농축 및 탈수설비 등을 차량에 장착한 이동식 슬러지 처리장치를 개발하여 필요한 장소 및 시기에 현장에서 대응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원전의 경우 대형기기의 화학세정으로 발생한 난분해성 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증발 및 고온 연소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폐수처리장치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식 장치들은 특별히 유독하거나 고방사성을 띤 물질을 처리하는 창치가 아니므로 필요한 요소기술들을 콤팩트하게 제작하여 이동식 컨테이너 내에 배치하였으므로 효율적 방사선 차폐와 기기배치로 운전원과 정비원의 방사선 피폭 최소화, 액체 및 기체 방사성 폐기물의 누출방지, 건조슬러지의 안전한 배출 등의 측면에서 고방사성 물질인 농축폐액의 차리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한편, 후쿠시카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소 비상시 액체 방사성 폐기물 처리설비가 마비되었을 때 후속조치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동식 처리설비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최근에는 발전소 운영 중 비정상적인 폐액이 발생하거나 계통수의 오염 등으로 인해 발전소의 정상운영이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유사시에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는 이동식 처리설비에 더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식 처리설비는 정밀여과막이나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전처리공정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주처리공정 등 복합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식 증발건조기는 이러한 복합공정을 구성하는 단위공정으로써 전처리 및 주처리공정에서 발생된 고형물과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은 농축폐액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콤팩트하게 구성된 이동식 증발건조기가 고방사성 농축폐액을 처리해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별도의 방사선 차폐막 설치를 최소화 하여도 내부의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각 구성기기를 배치하거나 설계할 필요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5-0023594호(1995.08.18.자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559467호(2002.07.13.자 공개)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7278호(2001.04.02.자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농축폐액공급수조, 증발건조용기, 응축기 및 응축수저장조를 포함하는 이동식 농축폐액 증발건조장치의 구성에서 응축수저장조를 방사선 피폭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배치함으로써 운전원이나 정비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공냉식 냉각기과 공기 정화기 및 현장제어반은 컨테이너의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중심부의 방사선 차폐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의 환기성을 양호하게 하고, 원전원과 정비원의 접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이나 정비의 빈도가 높은 각종 펌프와 밸브 및 계측기들을 가능한 차폐가 잘되고 접근성이 양호한 곳에 배치함으로써 조작이나 점검 및 정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는 증발건조용기, 재생열교환기, 응축기, 응축수저장조 및 농축폐액공급수조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응축수저장조를 방사선 피폭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농축폐액공급수조와 증발건조용기가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그 둘레를 응축수저장조가 둘러싸도록 배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농축폐액공급수조와 증발건조용기 사이에는 재생열교환기와 응축기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농축폐액공급수조와 증발건조용기 사이의 응축기에 인접하여 응축수 진공탱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응축수저장조 외부측에 밀폐/차폐벽이 더 배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밀폐/차폐벽 외측으로 공기정화기, 냉각기, 제어반, 시료시료채취실이 배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증발건조용기의 상부측 컨테이너 상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확장루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증발건조용기의 상부덮개는 실린더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덮개의 상승시 확장루프를 밀어 올리되 하강시에는 확장루프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특징은 증발건조용기, 재생열교환기, 응축기, 응축수저장조 및 농축폐액공급수조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증발건조용기, 재생열교환기, 응축기 및 농축폐액공급수조는 응축수저장조로 둘러 싸이는 오염구역; 오염구역의 외부로 형성되는 밀폐/차폐벽; 및 밀폐/차폐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청정구역으로 구획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특징은 증발건조용기, 재생열교환기, 응축기, 응축수저장조 및 농축폐액공급수조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응축수저장조를 차폐수단으로 배치하되 증발건조용기 상부의 컨테이너 상부에 확장루프가 승강 가능하게 더 구성되어 실린더를 통해 확장루프와 증발건조용기 상부덮개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응축수저장조를 방사선 피폭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배치함으로써 운전원이나 정비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공냉식 냉각기과 공기 정화기 및 현장제어반을 컨테이너의 양쪽 가장자리 배치를 통해 중심부의 방사선 차폐기능을 겸할 수 있음은 물론, 원전원과 정비원의 접근성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조작이나 정비의 빈도가 높은 각종 펌프와 밸브 및 계측기들을 가능한 차폐가 잘되고 접근성이 양호한 곳에 배치함으로써 조작이나 점검 및 정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100)를 구성하는 기기의 배치구조를 살펴보면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응축수저장조(116)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100)의 구성에 있어 응축수저장조(116)를 방사선 피폭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배치하여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를 차폐시킴으로써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100)는 고방사성 농축폐액이 처리되는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를 응축수저장조(116)로 둘러싸도록 설계하여 응축수저장조(116)로 하여금 차폐벽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처럼 응축수저장조(116)를 통해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를 둘러싸도록 설계함으로써 응축수저장조(116) 내측의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저장조(116)를 통해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를 둘러싸도록 하는 경우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폐액공급수조(118)와 증발건조용기(110)가 컨테이너(100) 내부에 전후 좌우로 배치된 응축수저장조(116) 내측의 중심 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차폐벽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저장조(116)는 컨테이너(100) 내부의 후방측에 최대한 인접되게 전후 좌우로 울타리 형태의 차폐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하되 울타리 형태의 응축수저장조(116) 내측 중심부 좌우측에 농축폐액공급수조(118)와 증발건조용기(110)를 배치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농축폐액공급수조(118)와 증발건조용기(110)의 좌우측 배열구조 사이에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열교환기(112)와 응축기(114)를 배치하였으며, 농축폐액공급수조(118)와 증발건조용기(110) 사이의 응축기(114)에 인접하여 응축수 진공탱크(114a)를 배치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저장조(116)를 통해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를 둘러싸도록 한 설계를 통해 응축수저장조(116)로 하여금 차폐벽으로 기능하도록 한 구조에 더하여 본 발명에는 응축수저장조(116) 외부 즉,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저장조(116)의 좌우측과 전방측에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이 더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응축수저장조(116)의 좌우측과 전방측에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를 배치함으로써 방사선량이 높은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는 응축수저장조(116)와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에 의해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저장조(116)의 외측으로 설치된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의 외측으로 공기정화기(122), 냉각기(124), 제어반(126) 및 시료시료채취실(128)을 배치하였다. 이때, 공기정화기(122)와 냉각기(124)는 좌측 밀폐/차폐벽(120a)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어반(126)은 우측 밀폐/차폐벽(120b)의 우측에 배치되며, 시료채취실(128)은 전방측 밀폐/차폐벽(120c)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응축수저장조(116)를 컨테이너(1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설계하면 차폐벽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사선 준위가 높은 농축폐액공급수조(118)는 응축수저장조(116)보다 안쪽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방사선량이 가장 높은 증발건조용기(110)는 컨테이너(10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2Mev 에너지의 감마선에 대한 물의 1/10가층 두께가 60cm 정도인 점을 고려하여 주변을 특수 설계된 응축수저장소(116)가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운전원이나 정비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할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공기정화기(122), 냉각기(124) 및 제어반(126)을 컨테이너(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하여 중심부의 방사선 차폐 역할을 겸하고, 공기의 환기성, 운전원과 정비원의 접근성이 양호하도록 하였다. 또한, 스케일 형성으로 방사선 준위가 높아질 수 있는 재생열교환기(112)도 컨테이너(100)의 중심부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기타 조작이나 정비의 빈도가 높은 시료채취실(128 : 각종 펌프와 밸브 및 계측기를 포함한다)은 가능한 한 차폐가 잘되고 접급성이 양호한 곳에 일괄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이나 점검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증발건조용기(110)의 상부측 컨테이너(100) 상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확장루프(130)가 더 구성되며, 증발건조용기(110)의 상부덮개(110a)는 실린더(130)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실린더(130)를 통해 상부덮개(110a)의 상승시키게 되면 상승되는 상부덮개(110a)는 확장루프(13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실린더(130)를 통해 상부덮개(110a)의 하강시에는 확장루프(130)는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응축수저장조(116)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100)에 있어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는 응축수저장조(116)로 둘러 싸이는 오염구역, 오염구역의 외부로 형성되는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 및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의 외측에 배치되는 청정구역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물론,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오염구역의 응축수저장조(116)에 의해 둘러싸인 증발건조용기(110), 재생열교환기(112), 응축기(114) 및 농축폐액공급수조(118)의 배치와 응축수 진공탱크(114a)의 배치구조는 앞서 기술한 구조와 동일하고,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의 배치구조 역시 앞서 기술한 구조와 동일하며, 청정구역의 공기정화기(122), 냉각기(124), 제어반(126) 및 시료채취실(128) 역시 앞서의 배치구조와 동일한 배치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정리하면 도 1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증발건조기의 구성기기 중 응축수저장조(116)를 컨테이너의 가장자리에 배치하여 주요 구성기기를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차폐벽 기능을 하게 하였다. 방사선량이 가장 높은 증발건조용기(110)는 컨테이너(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차폐효과를 크게 하고 건조슬러지 배출관(132)과 배출밸브(134) 및 건조슬러지 하부배출 관통구(136)의 구성을 원활하게 하였다. 2Mev 에너지의 감마선에 대해 물의 1/10가층 두께가 60cm 정도인 점을 고려하여 특수 설계된 응축수저장조(116)가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설비 운전이나 점검/정비 중 운전원 및 전비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공기정화기(122)와 냉각기(124) 및 제어반(126)을 컨테이너(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배치하여 외부 환경에 대한 방사선 차폐를 돕고, 원활한 급기와 배기가 요구되는 공기정화기(122)와 냉각기(124)에 공기의 환기성이 양호하도록 함은 물론, 운전원과 정비원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조작이나 점검 및 정비의 빈도가 높은 각종 펌프와 밸브 및 계측기를 포함한 시료채취실(128)을 차폐가 잘되고 접근성이 좋은 전면에 일괄 배치하고, 건테이너(100) 밖에서 별도의 엑세스도어(138)를 설치함으로써 기기의 조작이나 점검/정비 및 시료채취를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컨테이너(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어반(126), 공기정화기(122), 냉각기(124), 밸브/펌프/계측기를 포함한 시료채취실(128) 안쪽으로 기밀이 유지되는 밀폐/차폐벽(120a, 120b, 120c)를 설치하였다.
도 2 를 참조하면 증발건조용기(110)의 배출관(132)과 배출밸브(134)가 컨테이너(100)의 바닥에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컨데이너(100) 바닥에 원격 개폐가 가능한 하부배출 관통구(136)를 구성하여 건조된 슬러지를 컨데이너(100) 하부 바깥에 준비된 건조슬러지 수집용기(14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동식 컨테이너(100)의 천정 높이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증발건조용기(110)를 바닥부터 설치하여 증발건조용기(110)의 내용적 높이를 가능한 한 높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비상상황에서 컨테이너(100)는 트레일러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트레일러 밑에서 최종 건조물을 수집하면 차폐와 운반이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트레일러 탑재가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하여 컨테이너(100) 크기에 맞추어 좌/우측 접이식으로 제작된 4개의 지지 및 차폐물(142)을 구비함으로써 건조슬러지 배출을 고려한 지면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증발건조기 상부의 컨테이너 천정은 일정면적이 밀폐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상승하도록 특수 설계된 컨테이너 상부 확장루프(102)를 설치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증발건조기가 고방사성 농축폐액을 처리하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컨데이너 내에 별도의 차폐벽 설치를 최소화하여도 2Mev 에너지의 감마선에 대한 물의 1/10가층 두께가 60cm 정도인 점을 미루어 볼 때 운전원이나 정비원의 방사선 피폭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컨테이너 110. 증발건조용기
110a. 상부덮개 112. 재생열교환기
114. 응축기 114a. 응축수진공탱크
116. 응축수저장조 118. 농축폐액공급수조
120a, 120b, 120c. 밀폐/차폐벽 122. 공기정화기
124. 응축기 126. 제어반
128. 시료채취실 130. 실린더
132. 건조슬러지 배출관 134. 배출밸브
136. 건조슬러지 하부배출 관통구 138. 엑세스도어
140. 건조슬러지 수집용기 142. 지지 및 차폐물

Claims (10)

  1. 증발건조용기, 재생열교환기, 응축기, 응축수저장조 및 농축폐액공급수조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장조를 방사선 피폭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배치하되 상기 증발건조용기의 상부측 컨테이너 상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확장루프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폐액공급수조와 증발건조용기가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그 둘레를 상기 응축수저장조가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폐액공급수조와 증발건조용기 사이에는 재생열교환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폐액공급수조와 증발건조용기 사이의 상기 응축기에 인접하여 응축수 진공탱크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장조 외부측에 밀폐/차폐벽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차폐벽 외측으로 공기정화기, 냉각기, 제어반, 시료채취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건조용기의 상부덮개는 실린더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상승시 상기 확장루프를 밀어 올리되 하강시에는 상기 확장루프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9. 삭제
  10. 증발건조용기, 재생열교환기, 응축기, 응축수저장조 및 농축폐액공급수조를 포함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장조를 차폐수단으로 배치하되 상기 증발건조용기 상부의 상기 컨테이너 상부에 확장루프가 승강 가능하게 더 구성되어 실린더를 통해 상기 확장루프와 상기 증발건조용기 상부덮개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KR1020140195512A 2014-12-31 2014-12-31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KR10158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12A KR101589660B1 (ko) 2014-12-31 2014-12-31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12A KR101589660B1 (ko) 2014-12-31 2014-12-31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660B1 true KR101589660B1 (ko) 2016-02-15

Family

ID=5535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512A KR101589660B1 (ko) 2014-12-31 2014-12-31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96B1 (ko) 2018-11-23 2019-10-07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성 폐기물의 핵종분석용 이동형 모듈시스템
CN110797131A (zh) * 2019-11-08 2020-02-14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具有可变屏蔽层的新型集装箱辐射防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1207A (ja) * 2012-10-12 2014-05-08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の冷却装置及び高レベル放射性廃棄物の冷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1207A (ja) * 2012-10-12 2014-05-08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の冷却装置及び高レベル放射性廃棄物の冷却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96B1 (ko) 2018-11-23 2019-10-07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성 폐기물의 핵종분석용 이동형 모듈시스템
CN110797131A (zh) * 2019-11-08 2020-02-14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具有可变屏蔽层的新型集装箱辐射防护装置
CN110797131B (zh) * 2019-11-08 2021-04-0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具有可变屏蔽层的集装箱辐射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8781B2 (ja) 原子炉格納容器換気系用フィルタ
CN107073143B (zh) 用于处理医疗废物的设备及其使用方法
CN104575647B (zh) 一种放射性废树脂屏蔽转运方法及其转运装置
KR101589660B1 (ko)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폐액 처리용 이동식 컨테이너 구성기기 배치구조
CN104575651A (zh) 放射性污染废水的处理装置
US4828691A (en) Submersible purification system for radioactive water
CN203861629U (zh) 用于垃圾房空气处理的双重杀菌净化装置
KR101173832B1 (ko) 원자력발전소의 폐수지 건조장치
KR101696373B1 (ko)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US10192648B2 (en) Tank closure cesium removal
KR102337210B1 (ko) 아스팔트 저장탱크의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처리 및 탈취장치
CN214829130U (zh) 一种可循环式污水处理设备
TWM631139U (zh) 一般病房加載負壓隔離模組
KR101696369B1 (ko) 원자력 발전소의 배기계통 내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KR100956694B1 (ko) 고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318861Y1 (ko) 방사성 폐기물 건조장치
CN212855958U (zh) 一种危险废物存储箱
CN113694677A (zh) 一种肥料加工用废气处理系统
RU21081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отходов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устройсвом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отходов
CN210777870U (zh) 一种用于处理放射性废水的吸附装置
CN210837201U (zh) 海上核动力平台放射性废物处理舱段
CN110491540A (zh) 一种放射性废物的处理方法
CN213000615U (zh) 药物离心系统
CN110342732A (zh) 一种用于生活污水净化装置
CN213771709U (zh) 一种雨水消毒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