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453B1 - 식품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453B1
KR101589453B1 KR1020150046910A KR20150046910A KR101589453B1 KR 101589453 B1 KR101589453 B1 KR 101589453B1 KR 1020150046910 A KR1020150046910 A KR 1020150046910A KR 20150046910 A KR20150046910 A KR 20150046910A KR 101589453 B1 KR101589453 B1 KR 10158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urified water
food
delete delet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영
안경훈
안이성
Original Assignee
안태영
안경훈
안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영, 안경훈, 안이성 filed Critical 안태영
Priority to KR102015004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수를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정제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정제될 식품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정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품 정제장치{An apparatus for purifying of food}
본 발명은 식품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곡류나 채소와 같은 농업 식품을 일정 기간 동안 정제수로 세척하여 식품에 포함된 화학물질을 정제시키는 식품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자연 생태계의 파괴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현대식 농업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는 계속되고 있고, 친환경적인 방법을 통하여 유기농 농업과 같이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배제한 과정의 농업 방식에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를 결합한 농업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영농 현장에서 농약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농부들에게는 작업의 안정성 측면에서 상당한 매력이 있다고 하겠다.
여기서 친환경 농업이란 농업이 가지고 있는 홍수조절, 토양보전 등 공익적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그리고 사료첨가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농업을 말한다. 심지어는 그 지역에서 나오는 재료를 쓰도록 권장하고, 유전자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품종조차도 사용해서는 안되는 농업 방식인데, 친환경 농산물은 가장 고급인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로 나눈다.
그러나 2008년 OECD 보고서에서 전 세계 비료 농약 사용량 데이터를 보면, 한국은 농약 사용량 1위, 비료 사용량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농약은 농산물에 남아 소비자들의 건강은 물론, 토양, 물 등 환경오염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농약은 해충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균형도 깨뜨린다. 또한 농약을 사용하는 사람은 농약 중독에 걸릴 위험이 있고, 농약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암에 걸릴 위험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게다가 농약이나 화학비료로 재배한 백미, 현미, 고구마, 감자 등으로 인하여 유해한 화학물질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출처 : 한국식품과학회).
이러한 식품군은 우리에게 주요 양식이 되는 구성으로 인위적인 화학물질로 오염된 경우, 활성산소 발생의 요인이 되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지구상의 인류가 앓고 있는 질병의 원인으로 귀결되고 있다(출처 : 존스홉킨스 대학 의학부(영국 1991년)). 또한 가축도 오염된 곡물 사료를 취식하면서 활성산소 과잉으로 인하여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때문에 항생제를 남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취식용 가축이 요염되면서 육류에 의해 인류가 2차적으로 오염되어 결과적으로는 인류의 몸에 과잉 활성산소가 축적되고 있다.
따라서 농약과 화학비료에 오염된 농작물을 세정하여 인류와 가축의 질병 예방에 필요한 식품 정제장치의 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약이나 화학비료로 재배되는 곡류나 채소와 같은 농업 식품을 설정된 시간 동안 흐르는 정제수로 세척하여 식품에 포함된 화학물질 세척하고, 정제된 식품을 가공할 수 있도록 세척하는 식품 정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수를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정제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정제될 식품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정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부는 외부에서 정제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정제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는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제2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부는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단턱 상에 설치되는 제1분리판과, 상기 제2단턱 상에 설치되는 제2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 상에서 상기 제1단턱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단턱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리판은 사용자가 상기 제1분리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1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리판은 상기 제2분리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 본체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1걸이편과, 하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2걸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걸이편과 제2걸이편은 상기 용기 본체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정제장치는 상기 공급부로 공급될 정제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정제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재유입 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배출부와 순환유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정제수를 배출모드 또는 순환모드로 제어하는 3방 밸브, 상기 3방 밸브가 순환모드로 작동 시, 상기 순환유로 상의 정제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정제장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내부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식품으로부터 정제수에 의해 분리된 중금속을 포집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사용자가 곡류를 저장하여 정제할 때, 저장된 곡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눈금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에 따르면,
첫째, 식품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해 두면, 농약과 화학비료와 같은 화학물질을 깨끗하게 정제할 수 있고,
둘째, 곡식이나 야채의 종류별로 설정된 시간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셋째, 흐르는 정제수를 사용하여 수용성의 화학물질을 정제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넷째, 전자적인 제어가 아닌 자연법칙을 이용하여 별도의 유지비용이 없으며,
다섯째, 정제수의 공급이 미세하게 흐르기 때문에 수도 요금이 극히 적게 소요됨과 동시에, 별도의 정제수 저장탱크를 이용하여 정제수를 재순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의 정면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의 상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의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에 대해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100)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100)의 정면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100)의 상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식품 정제장치(100)의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3)이 형성된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110) 일 측면에 마련되는 공급부(120)와, 상기 용기 본체(110) 타 측면에 마련되는 배출부(130)와,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113)을 분할하는 차단부(140) 및 상기 수용공간(113)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110) 상에 결합되는 커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원통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재질 또한 금속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여러 종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110)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물론 상기 차단부(140) 및 커버부(15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형상에 따라서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는 저장된 곡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눈금자(115)를 포함한다. 상기 눈금자(115)는 예컨대 사용자의 인원에 따른 1인분에서 복수의 단위 인분으로 표시하거나, 단위 용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10) 내주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단부(140)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설치될 때 간섭되도록 제1단턱(111)과 제2단턱(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턱(111)은 상기 제2단턱(112) 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140)는 상기 제1단턱(111)에 설치되는 제1분리판(141)과, 상기 제2단턱(112)에 설치되는 제2분리판(142)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2분리판(142)의 단면적이 상기 제1분리판(14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물론 상기 제2단턱(112)이 상기 제1단턱(111)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분리판(141)은 상기 제2단턱(112)에는 걸리지 않고 통과하여 상기 제1단턱(111)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제2분리판(142)은 상기 제2단턱(112)에 걸쳐서 설치가 된다. 그러면 상기 제1분리판(141)과 제2분리판(142) 사이에는 수용공간(113) 상에서 저장공간(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 본체(110)를 양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파지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116)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1걸이편(117)과, 하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2걸이편(118)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걸이편(117)과 제2걸이편(118)은 상기 용기 본체(11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되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제1걸이편(117)과 제2걸이편(118)을 잡고, 상기 용기 본체(110)를 들거나 뒤집어서 상기 저장공간(114)에 정제된 식품을 별도의 용기에 담기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자성체(119)가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119)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119)는 상기 수용공간(113)에 저장된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중금속과 같은 이물질을 인력으로 끌어당겨 부착시키며,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아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 마련된다. 상기 자성체(119)는 영구자석과 같이 자성을 보유한 것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상기 자성체(119)가 하나 또는 복수개 삽입될 수 있도록 포켓구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하부 측면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수를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부(120)를 통해 유입된 정제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110)의 측면 상에서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제1단턱(1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제2단턱(112)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수용공간(113)으로 유입된 정제수는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를 가득 채우면서 상기 저장공간(114) 내부의 식품을 정제하고, 상기 배출부(130)를 통해 화학물질과 함께 용해 또는 혼합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20)는 외부에서 정제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120)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정제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밸브(12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유량 제어밸브(121)의 개폐 정도에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공급되는 정제수의 양이 조절된다. 예컨대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가 비어 있는 경우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정제수가 가득 찰 때 까지는 상기 유량 제어밸브(121)를 최대 개방하고,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정제수가 가득 찬 경우 상기 유량 제어밸브(121)를 최소 개방하여 최소한의 정제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차오른 정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공간(114) 또는 제2단턱(112)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분리판(142)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113)으로부터 분리된 또 다른 공간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식품은 상기 제2분리판(142)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114) 내에만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부(13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130)는 배출된 정제수를 폐수구까지 전달시키는 배출관(131)이 마련된다. 예컨대 폐수구는 상기 용기 본체(110)가 개수대에 위치한 경우, 개수대에 마련된 배수구가 될 수 있으며, 기타 외부로 폐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장소로 연결되며, 장소 위치에 따른 배출부(130)의 정제수 전달이 용이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배출부(130)의 일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차단부(140)는 상기 제1분리판(141)에 마련되는 제1손잡이(141a)와, 상기 제2분리판(142)에 마련되는 제2손잡이(14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손잡이(141a)와 제2손잡이(142a)는 사용자가 상기 제1분리판(141)과 제2분리판(142)을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파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부에 저장된 식품을 외부로 옮길 때 상기 제1분리판(141)이 동시에 탈거되어 용기를 파손하지 않도록 돌기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서 상기 제1단턱(111) 상부에 돌출되며, 상기 제1분리판(141)을 상기 제1단턱(111) 상에 설치하면서 사용자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가압하면 상기 돌기부재와 간섭되면서 상기 제1분리판(141)이 설치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용기 본체(110)를 거꾸로 뒤집어도 상기 제1분리판(141)은 탈거되지 않고 설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200)는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될 정제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60), 상기 배출부(130)를 통하여 배출된 정제수를 상기 저장탱크(160)로 재유입 시키는 순환유로(170), 상기 배출부(130)와 순환유로(1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130)를 통하여 배출된 정제수를 배출모드 또는 순환모드로 제어하는 3방 밸브(V), 상기 3방 밸브(V)가 순환모드로 작동 시, 상기 순환유로(170) 상의 정제수를 상기 저장탱크(160)로 공급시키는 순환펌프(P)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160)는 일정 용량의 정제수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60) 내부의 정제수가 외력 없이 상기 용기 본체(1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160)의 위치는 상기 용기 본체(11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저장탱크(160)는 상기 공급부(120)와 연결되며, 중간에 상기 유량 제어밸브(1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60)는 상기 유량 제어밸브(121)의 최소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저장탱크(160)의 정제수가 적어도 1시간 공급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30)에서 배출된 정제수는 폐수로 버려질 수 있지만, 상기 순환유로(170)는 상기 배출부(130)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60)로 재공급하여 정제수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면 정제수를 절약할 수 있고, 생태계 보호에 있어 한 발 앞장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60)는 상기 유량 제어밸브(121)를 최소 개방 상태에서 적어도 2시간 공급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저장탱크(160)의 용량이 너무 적으면 정제수를 재순환하면서 오염 정도가 급속도록 나빠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170) 상에는 배출된 정제수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탱크(16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임시탱크(161)는 상기 순환펌프(P)를 지속적으로 가동시키지 않고, 간헐적으로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동하여 정제수를 상기 저장탱크(16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300)는 내부에 수용공간(313)이 형성된 용기 본체(310)와, 상기 용기 본체(310) 일 측면에 마련되는 공급부(320)와, 상기 용기 본체(310) 타 측면에 마련되는 배출부(330)와, 상기 용기 본체(310) 내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313)을 분할하는 차단부(340) 및 상기 용기 본체(3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313) 내부의 정제수를 배출하거나, 또는 저장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물 배수부(3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식품 정제장치(300)는 대용량의 규모를 가지며, 식당이나, 공공기관 또는 군부대와 같이 많은 인원이 단체로 사용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용기 본체(31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용량이기 때문에 근거리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에 바퀴가 구비된 지지구조를 구비하거나, 또는 설치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지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310)와 배출부(330) 및 차단부(340)의 구조는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곡물 배수부(380)는 상기 용기 본체(3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 본체(310)에 정제수를 공급하는 공급부(320)가 연결되고, 또한 저장공간(314) 내부에 저장된 정제된 식품이나 식품을 정제한 정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381)가 마련된다.
예컨대, 상기 저장공간(314) 상에 식품이 저장되고, 제2분리판(342)을 닫은 후, 정제수를 공급하여 저장된 식품의 세척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상기 용기 본체(310)의 상부로부터 도구를 이용하여 세척된 식품을 외부로 옮겨서 저장하거나 음식의 재료로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공간(314) 내부에서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식품은 사용자가 직접 옮길 수 있고, 또한 상기 저장공간(314)의 하측에 결합된 제1분리판(341)을 제거하면서 상기 곡물 배수부(380)를 통해 하측으로 모이게 되면, 상기 배수밸브(381)를 개방하여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물 배수부(380)는 곡물뿐만 아니라, 작은 크기의 야채나 과일도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320)로부터 유량제어밸브(321)를 최대 개방하여 정제수를 공급받으면서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용기 본체(310) 상부에서 별도의 정제수를 공급받게 되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식품을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는 흐르는 물에서 식품에 포함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순수한 식품만을 섭취할 수 있도록 정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용기 본체(110)를 정제수의 공급과 배출이 원활한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공급부(120)와 배출부(130)를 각각 정제수 공급과 배출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용기 본체(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상기 제1분리판(141)을 장착한다. 상기 제1분리판(141)은 정제가 완료된 후 상기 용기 본체(110)를 뒤집었을 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부재에 간섭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제1분리판(141)이 결합되면, 상기 저장공간(114) 내부에 곡류나 야채 등의 식품을 저장한다. 이때 곡류와 같이 시간 단위로 오랜 시간 정제가 필요한 식품은 정제수에 불어서 그 부피가 커지는 것을 감안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저장공간(114)에 저장되는 식품 중, 백미는 상온(주변온도 15℃ 이상)에서 약 1시간, 상온 미만일 경우 약 2시간 정제가 이루어지고, 현미는 온도에 따라서 약 6~12시간, 발아현미는 약 24시간, 건조된 나물 종류는 약 10~30분의 정제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공급부(120)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60)나 정수기, 또는 수도에 직접 연결하여 정제수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120)로 정제수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유량 제어밸브(121)가 마련되어 정제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급부(120)를 통하여 정제수를 공급하기 전에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별도로 정제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다른 용기에 정제수를 담아서 상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부어서 채울 수 있고, 별도의 공급라인을 통해 동시에 또는 각각 공급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공급부(120)를 통하여 정제수가 공급되면 상기 저장공간(114)에서 일정 시간동안 식품의 정제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부(130)에서는 상기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된 정제수가 용해 또는 혼합된 오염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오염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60)와 순환유로(170)를 이용하여 정제수를 강제 순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정제가 완료된 식품은 사용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별도의 조리 도구로 옮겨지거나, 저장용기로 옮겨 담아져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정제장치를 이용하여 흐르는 정제수를 통하여 설정 시간동안 정제된 식품들은 농약이나, 화학물질과 같은 오염 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과산화 지질 MDA의 정상수치 : 0~500fp 범위에서, 정제되지 않은 일반 쌀을 한 끼 섭취하게 되면 2500~5000fp의 과잉 활성산소가 형성되는데 이는 약 72시간 지속적으로 영양소를 파괴하게 되며, 혈액(혈전)이나 배뇨(MDA) 검사로 확인된다. 이러한 과잉 활성산소는 일 예로 농약이나 화학비료의 화학물질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고, 화학물질은 소화, 분해, 흡수가 어려워 위장, 소장, 대장의 대사진행 과정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배출 때까지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모하게 만드는데, 이때 에너지에는 영양소와 반응하면서 활성산소가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수반하게 된다.
이렇게 활성산소와 결합된 혈전은 신장에 부담을 주고 병행혈전의 과부하로 일부는 심장으로 되돌아가 혈액에 중첩되어 혈관질환이나 성인병, 영양 결핍으로 인한 면역력 결핍의 원인이 되지만, 상기 식품 정제장치를 이용하면 활성산소의 생성이 억제되어 만병의 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300 : 식품 정제장치
110 : 용기 본체 111 : 제1단턱
112 : 제2단턱 113 : 수용공간
114 : 저장공간 115 : 눈금
116 : 파지부 117 : 제1걸이편
118 : 제2걸이편 119 : 자성체
120 : 공급부 121 : 유량 제어밸브
130 : 배출부 131 : 배출관
140 : 차단부 141 : 제1분리판
141a : 제1손잡이 142 : 제2분리판
142a : 제2손잡이 150 : 커버부
160 : 저장탱크 161 : 임시탱크
170 : 순환유로 V : 3방밸브
P : 순환펌프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수를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정제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정제될 식품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차단부;
    상기 공급부로 공급될 정제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정제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재유입 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배출부와 순환유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정제수를 배출모드 또는 순환모드로 제어하는 3방 밸브;
    상기 3방 밸브가 순환모드로 작동 시, 상기 순환유로 상의 정제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시키는 순환펌프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정제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정제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는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제2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부는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단턱 상에 설치되는 제1분리판과, 상기 제2단턱 상에 설치되는 제2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 상에서 상기 제1단턱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단턱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분리판은 사용자가 상기 제1분리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1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리판은 상기 제2분리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 본체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1걸이편과, 하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2걸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걸이편과 제2걸이편은 상기 용기 본체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내부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식품으로부터 정제수에 의해 분리된 중금속을 포집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사용자가 곡류를 저장하여 정제할 때, 저장된 곡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눈금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정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46910A 2015-04-02 2015-04-02 식품 정제장치 KR10158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10A KR101589453B1 (ko) 2015-04-02 2015-04-02 식품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10A KR101589453B1 (ko) 2015-04-02 2015-04-02 식품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453B1 true KR101589453B1 (ko) 2016-01-29

Family

ID=5531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10A KR101589453B1 (ko) 2015-04-02 2015-04-02 식품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4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09Y1 (ko) * 2001-05-26 2001-10-17 메이트무역 주식회사 야채류 세정기
KR20050048741A (ko) * 2003-11-20 2005-05-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 세척기
JP2008301709A (ja) * 2007-06-05 2008-12-18 Yoshiizumi Sangyo Kk 野菜洗浄機の制御方法
JP2009284883A (ja) * 2008-06-02 2009-12-10 Miura Co Ltd 農作物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09Y1 (ko) * 2001-05-26 2001-10-17 메이트무역 주식회사 야채류 세정기
KR20050048741A (ko) * 2003-11-20 2005-05-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 세척기
JP2008301709A (ja) * 2007-06-05 2008-12-18 Yoshiizumi Sangyo Kk 野菜洗浄機の制御方法
JP2009284883A (ja) * 2008-06-02 2009-12-10 Miura Co Ltd 農作物洗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Accumulation of cadmium in the edible parts of six vegetable species grown in Cd-contaminated soils
Liang et al. Effects of feeding frequency and photoperiod on water quality and crop production in a tilapia–water spinach raft aquaponics system
KR101556288B1 (ko) 양봉용 소비
Parolin Ombrohydrochory: Rain-operated seed dispersal in plants–With special regard to jet-action dispersal in Aizoaceae
US7033509B2 (en) Methods and processes for iodine disinfection
Code et al. ACTIVE INGREDIENT
Aliste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four insecticides and their main generated transformation products in soil and pepper crop irrigated with reclaimed agro-wastewater under natural sunlight
KR101589453B1 (ko) 식품 정제장치
Dusci et al. Evaluation of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for biological solids control in raft aquaponic systems and the protective effectiveness of root guards
KR20160124369A (ko) 식품 정제장치
ES2539777T3 (es) Equipo y método de aplicación de fungicidas de eficacia máxima y constante de vertido cero
CN208798492U (zh) 抑制细菌生长的水培蔬菜种植柜
KR101409038B1 (ko) 농작물의 재배장치
KR2012009057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5571B1 (ko) 김가루 거름장치
CN204207042U (zh) 一种蔬菜清洗池
CN207355252U (zh) 一种鱼和蔬菜的生态养殖系统
León-Cañedo et al. Mercury in basil (Ocimum basilicum) grown simultaneously with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y aquaponics
Nair et al. Zinc and copper uptake by silver beet grown in secondary treated effluent
US20050109687A1 (en) Treating apparatus for organic waste
Deb et al. Wastewater in Agricultur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jewumi et al. Physiological evaluation of spent engine oil contamination on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three vegetables (Telfairia occidentalis, Corchorus olitorius and Amaranthus hybridus)
CN202604701U (zh) 自洁装置
Singh et al. Monitoring of HCH residues in animal feeds
CN209268118U (zh) 一种便于采摘的蔬菜种植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