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220B1 - 정원용 식물경계대 - Google Patents

정원용 식물경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220B1
KR101589220B1 KR1020130139521A KR20130139521A KR101589220B1 KR 101589220 B1 KR101589220 B1 KR 101589220B1 KR 1020130139521 A KR1020130139521 A KR 1020130139521A KR 20130139521 A KR20130139521 A KR 20130139521A KR 101589220 B1 KR101589220 B1 KR 10158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boundary
plant
soi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906A (ko
Inventor
한승원
장하경
김재순
정명일
송정섭
서효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3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2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정원용 식물경계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는 토양 내부에 매설되도록 마련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원용 식물경계대{bordering tool for plant}
본 발명은 정원용 식물경계대에 관한 것이다.
열섬현상 등 인공지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이 사회적 관심거리가 되면서 건물 옥상이나 베란다에 정원을 꾸미는 방식으로 인공지반을 녹화시키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때는 먼저 인공지반에 위에 얇게 토양을 깔고, 그 위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간단히 녹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녹화과정에서는 하나의 제한된 공간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군을 식재할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식물군들 사이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지 않으면, 식물군별로 그 특성에 맞게 관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 이때 식물군들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토양에서는 한 쪽 식물군의 식물 뿌리가 다른 쪽 식물군의 생육공간으로 침투하게 되면서 식물의 생육 환경이 어렵게 될 우려가 커지게 되며, 이러한 뿌리 간섭 현상은 토심이 얇게 형성되는 인공 정원 등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식물군들 사이의 경계가 되는 토양에 경계대를 매설하여 식물군 사이의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면서 식물군들 상호 간의 뿌리 간섭현상을 억제해 볼 수 있겠으나, 단순한 판형태의 경계대를 토양에 매설할 경우에는 식물군 사이의 경계를 명확하게 표시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유실 등을 통해 경계대가 손상될 우려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식물경계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식물경계를 보다 명확하게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정원용 식물경계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토양 내부에 매설되도록 마련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용 식물경계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연장방향 끝단에 마련된 끝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토양에 매설되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끝단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마련된 길이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부와 끝단부는 상호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길이가변부는 상호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 사이사이는 절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는 접음안내선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음안내선은 점선 형태로 절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에 따르면, 토양 내부로 매설되는 베이스부 상부에 마련된 연장부를 접어 베이스부 인근 표토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물군 사이의 경계를 보다 명확하고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의 설치 단면도로,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 중도가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원용 식물경계대(1)는 식재된 식물군 사이의 경계를 구축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박판을 소재로 하여 금속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정원이라 함은 일반적인 정원은 물론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옥상정원과, 작물 재배를 위한 텃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경계대(1)는 토양 내부에 매설되도록 마련된 저부의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장된 연장부(20)를 포함한다.
경계 구축시 베이스부(10)는 인접한 식물군들 사이의 뿌리간섭 현상을 차단하도록 하단이 토양 저부 지면에 지지되도록 토양 내부에 매설된다.
그리고 연장부(20)는 연장방향 끝단에 마련된 끝단부(40)와, 베이스부(10)와 함께 토양에 매설되는 형태로 베이스부(10)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끝단부(40)와 베이스부(10) 사이에 마련된 길이가변부(30)를 포함한다. 길이가변부(30)와 끝단부(40)는 상호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길이가변부(30)는 상호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31)를 통해 구성된다.
길이가변부(30)와 끝단부(40) 사이, 길이가변부(30)와 베이스부(10) 사이, 그리고 길이가변부(30)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결부(31) 사이에는 접힘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접음안내선(51)이 마련될 수 있다. 접음안내선(51)은 식물경계대(1) 표면에 홈을 내거나, 점선 형태로 절개 가공을 하여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식물경계대(1)를 사용하여 식물군들 사이의 경계를 구축할 경우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가 토양에 매설되도록 한 상태에서 베이스부(10)와 길이가변부(30) 사이와, 한 쌍의 연결부(31) 사이를 한 번씩 수직으로 절곡하거나, 두 쌍의 연결부(31) 사이만 두 번 수직으로 절곡하는 형태로 끝단부(40)를 베이스부(10) 인근 표토(a)에 지지되도록 하거나 표토(a) 내부 토양(b) 속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식물군 사이의 경계를 간단히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으로 표토(a)를 덮어 토양 상부로 노출되는 연결부(31)는 식물군 사이 경계의 두께를 형성하여 경계가 보다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며, 끝단부(40)는 베이스부(10) 인근 표토(a)에 지지되거나 표토(a)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경계가 구축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표토를 덮는 연결부(31)의 수는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 이때는 베이스부(10) 상부의 길이가변부(30) 중 일부를 절곡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베이스부(10)와 함께 토양(b)에 수직으로 매설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베이스부(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경계를 구축할 토심의 깊이에 따라 토양(b) 내부로 매설되는 식물경계대(1) 저부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물경계대(1)의 설치 형태는 적어도 베이스부(10)가 토양에 매설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1)는 수평상태로 표토(a) 상부로 노출되며, 적어도 끝단부(40)는 일부가 표토(a) 내부로 삽입되거나 표토(a)에 지지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일부 연결부(31)는 베이스부(10)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베이스부(10)와 함께 토양(b)에 매설되거나, 끝단부(40)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식물경계대(1)의 지지 및 고정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식물군 사이의 경계가 곡선 형태로 마련될 경우, 식물경계대(1)는 경계를 따라 굽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경계 구축에 용이하게 되는데, 이때 베이스부(10)가 휜 상태에서도 베이스부(10)에 대한 연장부(20)의 접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20) 사이사이는 절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1은 절개부를 가리킨다.
또한 식물군 사이의 경계 중도가 각지도록 굽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베이스부(10)는 베이스부(10)를 길이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 접음안내선(52)을 구비할 수 있다.
접음안내선(52)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경계대(1)를 필요시 전달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접음안내선(52)은 점선 형태로 절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식물경계대 10: 베이스부
20: 연장부 30: 길이가변부
31: 연결부 40: 끝단부
51,52: 접음안내선

Claims (5)

  1. 토양 내부에 매설되도록 마련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는 연장방향 끝단에 마련된 끝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토양에 매설되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끝단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마련된 길이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부와 끝단부는 상호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길이가변부는 상호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용 식물경계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 사이사이는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용 식물경계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를 길이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는 접음안내선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용 식물경계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안내선은 점선 형태로 절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용 식물경계대.
KR1020130139521A 2013-11-18 2013-11-18 정원용 식물경계대 KR10158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521A KR101589220B1 (ko) 2013-11-18 2013-11-18 정원용 식물경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521A KR101589220B1 (ko) 2013-11-18 2013-11-18 정원용 식물경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06A KR20150056906A (ko) 2015-05-28
KR101589220B1 true KR101589220B1 (ko) 2016-02-03

Family

ID=5339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521A KR101589220B1 (ko) 2013-11-18 2013-11-18 정원용 식물경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2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412B2 (ja) * 1997-06-19 2000-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ガ型フォトレジス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938140B1 (ko) 2009-07-28 2010-01-22 (주)한동알앤씨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1148244A (ja) 2010-01-25 2011-08-04 Akio Kubo 書類包みカバーシート及び書類ファイル仕切り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4196B2 (ja) * 1989-06-20 1999-03-24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152928U (ja) * 2009-05-21 2009-08-20 光海陸産業株式会社 緑化兼用境界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412B2 (ja) * 1997-06-19 2000-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ガ型フォトレジス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938140B1 (ko) 2009-07-28 2010-01-22 (주)한동알앤씨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1148244A (ja) 2010-01-25 2011-08-04 Akio Kubo 書類包みカバーシート及び書類ファイル仕切り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06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3171A1 (en) Interlocking landscape edging block
JP5291730B2 (ja) 防草マット
KR101589220B1 (ko) 정원용 식물경계대
JP5565988B2 (ja) 植物栽培システム
US10462984B1 (en) Watering system
CN104265151A (zh) 金字塔形荔枝树的修剪采摘用三脚梯
KR102275217B1 (ko) 다목적 식물 재배 장치
CN203912691U (zh) 夹壁槽壁面设孔槽种植技术
JP5813930B2 (ja) 緑化装置
WO2011096889A1 (en) Reversible planter board
KR101242556B1 (ko) 수목보호용 매트 고정대
JP7017201B2 (ja) 育苗容器
RU2000103243A (ru) Способ посадки соснового леса на горельниках
CN104206227A (zh) 隐蔽式树木支撑技术
CN104823619A (zh) 夹壁槽壁面设孔槽种植技术
KR200497791Y1 (ko) 공기뿌리 활착대
KR101281608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고정용 블럭
JP7134539B1 (ja) 育苗ポット
JP6041228B2 (ja) 枠体
CN205115990U (zh) 采摘果园栈道
RU2182758C2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шпалерно-карликового сада
KR101465072B1 (ko) 정원 마감용 펜스
JP3106976U (ja) 栽培棚
NL1024811C2 (nl) Kweekblokstabilisator en toepassing daarvan.
KR20220083079A (ko) 토마토 줄기의 유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