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044B1 -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044B1
KR101589044B1 KR1020140047709A KR20140047709A KR101589044B1 KR 101589044 B1 KR101589044 B1 KR 101589044B1 KR 1020140047709 A KR1020140047709 A KR 1020140047709A KR 20140047709 A KR20140047709 A KR 20140047709A KR 101589044 B1 KR101589044 B1 KR 10158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ignal
building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277A (ko
Inventor
방완주
최연석
Original Assignee
(주)유니콤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콤티디 filed Critical (주)유니콤티디
Priority to KR102014004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0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내의 사람의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물내 근무자들이 개별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일정주기로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무선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재부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재부재 정보관리기기; 및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부재정보를 수신받아 재부재 여부에 따라 각 층과 지역별/Zone/섹터별 조명을 제어하는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수신받아 재부재 정보와 밀집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명과 냉난방기기들의 상태 또는 설정값을 제어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하게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Energy control apparatus based on position recognition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소지한 재실자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효율적으로 건물의 에너지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재실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ID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재실자의 정확한 위치와 재실자의 근무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재실자에게 최적의 조명 또는 냉난방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건물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한 것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국제유가의 급등에 의해 에너지 사용에 따른 에너지 고갈문제와 이로 인한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에너지 자원 해외 의존도는 약 97%에 달하고 있으며 국가 에너지 총사용량에 대한 건물부분의 에너지 소비량은 전체 소비량의 약 28%를 차지한다.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율은 건물의 크기, 건물의 위치, 주거자의 활동패턴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빌딩 사무실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용도별 에너지 구성비의 경우 공조용 에너지가 약 50%, 조명 및 콘센트용 에너지가 약 33%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는 거주자의 쾌적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냉·난방, 환기, 조명 등의 실내 환경 조절을 목적으로 소비되는 에너지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적인 조치는 물론, 실질적인 에너지 사용형태, 시스템의 효율, 정상적인 작동 및 운전 스케줄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함으로써 건물이 최상의 에너지 효율을 유지하도록 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정의된다.
건물 에너지 관리는 관리 측면에서 자동제어 시스템의 스케줄 제어 기능과 관리자들이 주기적으로 순회하며 근무자 재실여부를 확인하고, 불필요한 에너지를 차단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루틴한 제어논리와 인력동원이 요구되는 방식은 빌딩과 건물이 고층화·대형화되면서 에너지 관리 효율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지금까지 건물 내 근무자의 재·부재 정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기술은 단순한 재실 및 조도 센서 정보와 자동제어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은 빌딩 에너지 관리 효과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기술, 건물의 에너지원 및 설비요소별 정보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위치기반 건물 공간 지능화 기술, 원격 빌딩 에너지 유지 보수 EOM(Energy Optimization & Maintenance) 기술,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운영 데이터 기반 에너지절감 대체 분석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특허등록번호 10-1327410에 다기능 재실 감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구획된 공간에 마련된 전력 소모용 기기의 동작을 인체가 발산하는 열 또는 인체가 발산하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체 감지 신호를 검출하여 사람의 재실 여부에 따라 전력 소모용 기기의 전원 ON/OFF 동작을 제어한다.
현재, 건물내 근무자의 재부재 파악을 위해 주로 적외선(PIR, Pyroelectric Infrared Ray) 방식 및 초음파 방식, 마이크로파 방식의 센서들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재실 감지용으로 사용되는 센서 시스템은 빌딩 내 특정 공간 내에 근무자의 존재 유무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 건물 내 존재하는 근무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 및 지역별 근무자 현황 등을 파악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실질적인 에너지 절약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특허등록번호 10-1327410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를 소지한 재실자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시행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ID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정보 확인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실자의 정확한 위치파악이 필요한 곳에 위치보정용 신호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재실자의 정확한 위치파악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는 건물내의 사람의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물내 근무자들이 개별적으로 소유하면서 일정주기로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무선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재부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재부재 정보관리기기; 및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부재정보를 수신받아 재부재 여부에 따라 각 층과 지역별/Zone/섹터별 조명 및 냉난방 설정 값을 제어하는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건물의 조명 및 냉난방 에너지를 제어한다.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은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지역별 근무자들의 밀집정도에 따라 조명의 밝기 조정 또는 냉난방 세기를 지역별 밀집정도에 따라 제어하는 기능이 더 포함한다.
상기 빌딩자동화 제어 시스템은 재부재정보관리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근무자 ID에 따라 각 근무자들의 성향 또는 근무조건에 따라 조명 및 냉난방 설정값을 조정하여 주는 개인화 맞춤형 제어 기능이 더 포함되어 쾌적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ID가 할당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CPU;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Zone 구분 ID를 포함하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전원을 구동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별도 전용 무선 송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기기를 사용하며, 능동형 RFID 태그가 부착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ID가 할당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 수신시 신호의 무선특성 정보 및 코드정보를 추출하는 무선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신호정보를 원격지의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특성 정보는 단말기별 수신감도세기, 상기 코드 정보는 단말기ID 정보 또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는 원격지에서 복수개의 수신기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상기 단말기들의 건물내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계산부; 상기 위치계산부에 의해 측정된 단말기들의 개별위치 및 특정 공간내 위치되는 단말기 위치를 계산하며, 각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미리 설정된 지역정보와 매칭 작업을 수행하여 지역내 단말기 존재 여부 및 단말기들의 밀집도를 포함하는 재부재현황을 측정하며 단말기의 재부재정보를 저장하는 재부재정보 처리 및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의 재부재 정보를 원격지의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해 프로토콜변환 및 통신을 담당하는 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수신기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은 수신기 ID 정보, 단말기 무선특성(수신감세기), 단말기 ID 정보 또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는 지역별 위치한 단말기ID, 단말기별 현재 위치, 지역별 밀집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의 무선 송신 신호기반으로 위치를 추출하는 방식에서는 건축 및 전파 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정밀도를 보정하기 위해 특정 지역의 경계나 위치에서 지역들을 구별할 수 있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는 특정 지역의 경계나 지역들을 구분하도록 다수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Zone 구분 ID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ID 정보, 단말기의 무선 특성(수신감도세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정보를 상기 수신기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기에 의해 단말기 ID 정보, 단말기의 무선 특성(수신감도세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정보, 수신기 ID 정보를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 전달되면,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는 단말기별 수신감도세기에 의해 삼각측량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정보에 의해 현재 단말기의 지역 위치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으로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ID 정보와 단말기의 무선특성 인 수신감도세기를 수신받아 단말기ID별로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에 의해 삼각측량 방식으로 단말기 ID로 식별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는 단말기가 단말기 ID와 수신감도세기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하고, 수신기가 근무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재부재 정보 관리기기로 전송하면, 재부재 정보 관리기기가 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근무자 재부재 여부와 밀집도를 포함하는 재부재 정보를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조명/공조)으로 전송하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조명/공조)은 상태 ON/OFF 또는 목표 설정값를 제어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지역별 근무자들의 정보에 따라 근무자들의 취향에 맞추어진 조명 및 냉난방환경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도록 한다.
빌딩자동화시스템(BAS)의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은 재실 감지 장치를 사용한 조명 ON/OFF 제어, 냉난방 ON/OFF 제어 등의 건물 에너지 관리를 제공하는 스마트 빌딩 또는 인텔리전트 빌딩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은 외국산 제품이 국내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고, 국내 제품과 외국산 제품의 기술 격차로 인하여 건물부분의 주도권을 상실하고 있으며, 주요 빌딩에는 주로 외국산 제품이 채택되고 있으며, 본 특허기술은 국내 빌딩자동제어시스템(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및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분야의 에너지 절감 기술력 향상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리라 예상된다.
도 1은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재실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근무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난방 및 조명제어를 하여 에너지 절감 방안을 적용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단말기 위치인식기반 에너지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단말기 위치인식기반 에너지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재부재 정보 관리기기에서 단말기의 무선 신호의 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기법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정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재실감지 장치를 사용하여 근무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난방 및 조명제어를 하는 에너지 절감 방안을 적용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는 근무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ID가 할당되며, 단말기가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하고, 수신기는 단말기 ID와 수신감도세기, Zone 구분 ID, 수신기 ID를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 전송하면,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는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며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를 Zone 구분 ID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보정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는 현재 근무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의 근무자 존재 여부와 밀집도(지역내 단말기들의 밀집도, 지역내 사람의 수)를 포함하는 재부재 정보를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조명/공조)으로 전송하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은 재부재 여부 및 밀집도에 따라 층별 지역(area)/존(zone)/섹터(sector)별로 조명 ON/OFF를 제어하거나 또는 지역별로 난방 ON/OFF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이고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한다.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은 직원에게 단말기 발급시, 단말기 ID를 등록하고 신상정보, 회사명, 근무지, 근무시간을 데이타베이스(DB)에 저장한다.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 조명 제어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조명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해당위치에서 근무자를 인식시에는 조명을 100% ON 시키고, 타근무자의 인식시에는 조명을 50% 만 ON 시키며, 통로에서 이동자 감지시에는 통로 조명을 100% ON 시키고, 통로에 이동자가 없는 것으로 감시지에는 통로조명을 50% 만 ON 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단말기 위치인식기반 에너지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단말기 위치인식기반 에너지제어 장치는 단말기(100), 수신기(110),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으로 구성된다.
단말기(100)는 자의적으로 코드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배터리 및 CPU, 무선 송신부를 가진 모바일 기기이다. 예를들면,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별도 전용 무선 송신장치를 사용하며, 능동형 RFID 태그(Active RFID 태그)를 가진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100)와 수신기(110) 사이의 정보 전송방식은 ISM 밴드로 허가된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방식을 의미한다.
단말기(100)로부터 수신기(110)로 전송하는 정보는 단말기 ID정보이다.
수신기(110)는 정해진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유선 정보로 변환하여 주는 무선신호 변환부(RF ANT + RF Modem),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서 무선전파특성(수신감도세기)을 추출하는 신호추출부,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 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를 구비한다.
수신기(110)로부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 전송하는 정보는 수신기 ID, 단말기 무선특성(수신감도세기), 단말기 ID를 포함한다.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는 위치 계산부(121), 재부재 정보 처리 및 저장부(122), 타기기 인터페이스부(123)를 포함한다.
위치계산부(121)는 건물의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신기들(110)의 고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수신된 단말기들의 ID와 무선특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기와 수신기들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한 후, 삼각측량 또는 무선 핑거프린트 등과 같은 무선신호 위치추론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ID로 식별된 개별 단말기들의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위치추론 알고리즘은 본 발명에서 자세한 언급은 하지 않는다.
재부재 정보 처리 및 저장부(122)는 각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미리 설정된 지역정보와 매칭 작업을 수행하여 지역별 재부재 현황(지역내 단말기 존재 여부 및 단말기들의 밀집도)을 계산하고, 저장한다.
타기기 인터페이스부(123)는 재부재 정보(단말기별 현재 위치, 지역별 위치한 단말기ID, 지역별 단말기의 밀집도)를 원격지에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용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조명/냉난방 공조 설비)이 인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재부재 정보를 변환하여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는 건물내의 사람의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물내 근무자들이 개별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일정주기로 단말기 ID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100);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10); 상기 수신기(110)로부터 단말기의 무선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수신된 단말기의 무선특성 정보(수신감도세기)를 사용하여 삼각측량 또는 무선 핑거프린트 등과 같은 무선신호 위치 추론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수신기들과의 상대 거리(D1,D2,D3)를 계산한 후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시각대별 Zone 구분 ID를 수신받아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하며, 개별 단말기의 재부재정보를 저장하고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30)으로 전송하는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 및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부재정보를 수신받아 재부재 여부에 따라 각 층과 지역별 조명 ON/OFF 제어 및/또는 난방 ON/OFF를 제어하는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30)을 포함하며,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30)은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한 재부재 정보를 수신받아 단말기의 위치의 재부재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명 ON/OFF 및/또는 난방 ON/OFF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기(110)의 신호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이 더 포함되어 단말기의 재부재 정보에 따라 건물의 층별 지역/존/섹터별 조명 ON/OFF 및/또는 난방 ON/OFF를 제어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단말기 ID가 할당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CPU;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Zone 구분 ID를 포함하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전원을 구동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별도 전용 무선 송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기기를 사용하며, 능동형 RFID 태그(Active RFID Tag)가 부착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110)는 수신기 ID가 할당되고, 정해진 주파수를 사용하며,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유선 정보로 변환하며 RF 안테나(RF ANT)와 RF 모뎀(RF modem)을 구비하는 무선신호 변환부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신호의 무선전파특성(수신감도세기)을 추출하는 신호추출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신호의 무선특성 정보 및 코드정보를 추출하는 무선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신호정보를 원격지의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특성 정보는 단말기별 수신감도세기, 상기 코드 정보는 단말기ID 정보 및/또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는 원격지에서 복수개의 수신기들(110)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상기 단말기들(100)의 건물내 현재 단말기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계산부(121); 상기 위치계산부(121)에 의해 측정된 단말기들의 개별위치 및 특정 공간내 위치되는 단말기 위치를 계산하여 재부재정보를 저장하는 재부재정보 처리 및 저장부(122); 및 상기 재부재 정보를 원격지의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23)에 전송하기 위해 프로토콜변환 및 통신을 담당하는 타기기 인터페이스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수신기들(110)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은 수신기 ID 정보, 단말기 무선특성(수신감도세기), 단말기 ID 정보 및/또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는 지역별 위치한 단말기ID, 단말기별 현재 위치, 지역별 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는 위치 계산부(121), 재부재 정보 처리 및 저장부(122), 타기기 인터페이스부(123)를 포함한다.
위치계산부(121)는 이미 알려진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수신기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수신한 단말기들의 무선특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기와 3대의 수신기들과의 상대거리를 계산한 후, 삼각측량 또는 무선핑거프린트 등과 같은 무선신호 위치추론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개별 단말기들의 위치를 측정한다.
재부재 정보 처리 및 저장부(122)는 각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미리 설정된 지역정보와 매칭하여 지역별 재부재 현황(지역내 단말기 존재 여부 및 단말기 밀집도)을 계산하고 단말기의 재부재 정보를 저장한다.
타기기 인터페이스부(123)는 단말기의 재부재 정보(단말기별 현재위치, 지역별 위치한 단말기ID 정보, 지역별 밀집도 정도)를 원격지에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용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조명/냉난방 공조 설비)이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재부재 정보를 변환하여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송신 신호기반으로 위치를 추출하는 방식에서는 건축 및 전파 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정밀도를 보정하기 위해 특정 지역의 경계나 위치에서 지역들을 구별할 수 있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140)는 특정 지역의 경계나 지역들을 구분하도록 다수개 장치들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14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단말기 ID 및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수신기(110)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110)로부터 단말기 ID 정보, 단말기의 무선 특성(수신감도세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수신기 ID 정보를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 전달되면,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는 단말기(100)의 수신감도세기에 의해 삼각측량으로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에 의해 현재 시각의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으로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수신기(110)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ID 정보와 단말기의 무선특성 인 수신감도세기를 수신받아 단말기ID 별로 무선특성의 신호의 세기에 의해 삼각측량 방식으로 상대 거리를 계산하여 단말기 ID별로 식별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는 수신기(110)로부터 단말기(100)의 무선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수신한 단말기의 무선특성 정보를 이용한 상대 거리를 계산한 후, 삼각 측량 또는 무선 핑거프린트(Fingerprint) 등의 무선신호 위치 추론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단말기별 위치에 의해 개별 단말기의 재부재정보를 저장하고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부재정보를 수신받은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30)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단말기의 재부재 여부에 따라 실시간으로 각 층과 지역별 조명 ON/OFF 및/또는 난방 ON/OFF를 제어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한다.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은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 보정에 사용하기 위해 미리 빌딩의 다양한 지점들에서 실험치에 의해 측정된 기준 단말기의 수신감도세기에 대응하는 위치측정 샘플링 값을 포함하는 통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은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부터 재부재 정보를 수신받아 근무자의 단말기의 위치에 근거하여 빌딩 내 층별 지역별/존/섹터별 근무자 존재 여부와 밀집도를 파악하고, 단말기의 재부재 여부에 따라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조명/공조)의 조명 ON/OFF 또는 난방 ON/OFF를 제어한다.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은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지역별 근무자들의 밀집정도에 따라 조명의 밝기 조정 또는 냉난방 세기를 지역별 밀집정도에 따라 제어하는 기능이 더 포함한다.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은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부터 전송되는 근무자 ID에 따라 각 근무자들의 성향 또는 근무조건에 따라 조명 및 냉난방 설정값을 조정하여 주는 개인화 맞춤형 제어 기능이 더 포함되어 쾌적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재부재 정보 관리기기(120)의 위치계산부(121)에서 단말기의 무선 신호의 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기법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은 거리 측정을 사용한 Lateration 방법과 각도 측정을 사용한 Angulation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거리 측정을 이용한 Lateration 방법은 단말기가 측정되는 시각에서 단말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 3개의 수신기는 3차원의 교차점으로부터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3개의 각각의 수신기들과의 상대 거리(D1, D2, D3)를 계산한 후, 건물 내 층/지역/Zone/섹터를 측정하여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 경우, 삼각측량 기법으로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는 20~30m의 측정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재부재 정보 관리기기(120)의 위치계산부(121)는 삼각 측량 기법으로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시간대별로 여러 지점들에 설치된 위치보정 신호 송신 장치(140)로부터 검출된 Zone 구분 ID에 의해 현재 시각에서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한다.
또한,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무선 신호의 수신감도세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은 빌딩의 다양한 측정 지점에서 미리 수집된 기준 단말기의 수신감도세기와 맵핑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표본 수집을 통해 측정된 통계 정보와 비교하여 무선 신호의 수신감도세기에 따라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RSSI는 단말기와 수신기의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쇠 정보를 수집한 표본 수집을 통해 측정된 통계 정보를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기법이다.
또한, 이동하는 단말기에 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태그에서 발사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삼각 측량 기법이나, Proximity matching법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삼각 측량 기법은 3개 이상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감도세기 또는 신호의 도착 시간(ToA:Time of Arrival)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Proximity matching법은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의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에 저장된 빌딩의 다양한 지점들에서 표준 표본으로 설정된 실제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측정한 많은 신호감도세기에 따른 위치측정 샘플링 값을 포함하는 통계정보와 비교하여 삼각 측정 기법에 의해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를 세밀하게 보정하여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단말기 위치인식기반 에너지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단말기 위치인식기반 에너지제어 장치는 단말기(100), 수신기(110),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를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서, 위치보정 신호 송신 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140)로부터 수신된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수신받은 상기 단말기(100)는 단말기ID 정보와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기(110)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110)는 단말기ID와 단말기의 무선특성(수신감도세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로 전송하며,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는 상기 단말기(100)의 무선 신호의 세기에 의해 삼각 측량으로 측정된 단말기 ID로 식별된 현재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고, 단말기별 위치보정 송신 신호에 포함된 Zone 구분 ID에 의해 그 시간대별 단말기 ID로 식별된 단말기의 세부 위치를 정밀하게 보정한다.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120)는 삼각측량으로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가 30m이내의 측정 거리 오차가 있으므로, 시각대별로 10~20m 이내의 지역의 존(Zone)을 식별하는 Zone 구분 ID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한다.
예를들면, Zone 구분 ID는 출입구, 1층/2층/3층/4층 현관 및 사무실, 회의실, 복사실, 화장실 등과 같이 빌딩 내의 지역의 존(Zone)을 구분하는 ID를 할당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수신기(110)로부터 단말기(1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무선특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기와 수신기들과의 상대 거리를 계산한 후 삼각 측량 또는 무선 핑거프린트 기법을 사용하여 단말기별 위치보정 송신 신호에 포함된 Zone 구분 ID에 의해 그 시간대별 단말기 ID로 식별된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하여 개별 단말기의 재부재정보를 저장하고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12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부재정보를 수신받은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30)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단말기의 재부재 여부에 따라 실시간으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으로 각 층과 지역별 조명 ON/OFF 및/또는 난방 ON/OFF를 제어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한다.
또한,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은 데이타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 단말기의 신호감도세기와 위치가 맵핑된 통계정보와 실제 측정한 근무자의 단말기의 신호 감도 세기를 비교하여 무선신호 위치 추론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130)은 근무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근무자 존재 여부와 밀집도를 파악하고, 재실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재부재 여부에 따른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조명/공조)의 조명 ON/OFF를 제어하고, 측정된 밀집도에 따라 난방의 ON/OFF를 제어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난방 제어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은 스마트 빌딩(Smart Building)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난방 제어 시스템과 연동되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과 연결된 조명 제어 시스템은, 예를들면, 산업용 RS422/RS485로 연결된 층별 조명 컨트롤러(controller)(131), 층별 조명 컨트롤로와 전력선(PLC)으로 연결된 조명등을 층별/지역/존/섹터(floor/area/zone/sector)별로 제어하여 재실자 단말기의 위치 감지시 마다 원격으로 사무실 조명등의 배열 단위인 최소 섹터(scetor) 단위의 조명 ON/OFF를 제어하며, 지역(area) 단위로 조명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에 연결된 조명 제어 시스템은 인식 조명과 이동 조명을 감지한다. 예를들면, 인식 조명 인식시, 정상적으로 많은 근무자의 메인 조명은 100% ON 시키고, 근무자의 식별조명은 50%만 ON 시킨다.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통로의 이동 조명은 100% 조명등을 ON시키고, 사람이 없을시는 조명의 50% 만을 ON으로 동작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과 연결된 조명 제어 시스템은 기 설정된 조명 제어 메카니즘에 따라 일정 시간(5분) 동안 층별 지역(area)의 존(Zone)에 위치가 감지된 단말기를 소지한 근무자의 인식 조명 인식시, 근무자의 식별조명은 50% ON 시킨다. 일정 시간(5분) 동안 층별 지역(area)의 존(Zone)에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감지되지 않고 단말기 소지자가 계속 이동하는 경우 재실 여부로 판단하지 않으며, 이 경우 메인 조명은 꺼지고(OFF), 보조등으로 사용되는 사이드 조명만 켜지도록 50%의 통로의 이동 조명을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과 연결된 조명 제어 시스템은 일정 시간 동안 층별 지역(area)의 zone에 단말기의 위치가 감지되어 재실로 판단되면, 단말기를 소지한 사람의 재실 여부에 따라 섹터(sector) 단위로 조명을 ON/OFF 시킨다. 예를들면, 2층에 재실이 감지된 단말기들의 위치(A1, A2, B,C)가 감지되면 층별 해당 지역(area)/존(zone)의 일정시간 동안 단말기들의 위치가 감지된 섹터(sector)의 조명들만 ON 시키고,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기가 위치가 감지되지 않는 층별 해당 지역(area)/존(zone)의 나머지 섹터의 나머지 조명들을 OFF 시킨다.
만약,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과 연결된 조명 제어 시스템은 일정 시간 동안 건물의 층별 지역/존/섹터에 단말기 위치가 하나도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해당 층별 지역/존/섹터에 메인 조명들과 사이드 조명을 전부 OFF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한다.
예를들면,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과 연결된 난방 제어 시스템은 겨울철 또는 여름철에 건물 에너지 절감 계획에 따라 사람들의 밀집도에 따라 냉난방이 제어되며, 건물의 층별 지역(area)에 기준치 이상으로 밀집도가 높으면 계절에 따라 겨울철에 공조 시스템을 ON으로 구동하여 지역(area) 단위로 난방을 가동하거나 또는 여름철에 냉방되도록 지역(area) 단위로 설치된 에어컨을 가동하고,
건물의 층별 지역(area)에 기준치 이상으로 밀집도가 낮으면 계절에 따라 겨울철에 공조 시스템을 OFF로 구동하여 지역(area) 단위로 난방을 가동하지 않거나 또는 여름철에 지역(area) 단위로 설치된 에어컨을 가동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건물 에너지를 절감한다.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130)과 연결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냉난방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은 단말기 ID와 무선 신호의 신호감쇄세기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재부재 정보와 밀집도 정보를 수신받아 조명 ON/OFF 제어, 냉난방 ON/OFF 제어 등의 건물 에너지 관리를 제공하는 스마트 빌딩 또는 인텔리전트 빌딩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단말기 110: 수신기
120: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 121: 위치 계산부
122: 재부재 정보 처리 및 저장부 123: 타기기 인터페이스부
130: 빌딩자동화 제어 시스템 131: 조명 콘트롤러
140: 위치보정 신호 송신 장치

Claims (12)

  1. 건물내의 사람의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물내 근무자들이 개별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일정주기로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무선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재부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재부재 정보관리기기; 및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부재정보를 수신받아 재부재 여부에 따라 각 층과 지역별/Zone/섹터별 조명 및 냉난방 설정 값을 제어하는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무선 송신 신호기반으로 위치를 추출하는 방식에서는 건축 및 전파 환경에 따라 가변되는 위치정밀도를 보정하기 위해 특정 지역의 경계나 위치에서 지역들을 구별할 수 있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는 특정 지역의 경계나 지역들을 구분하도록 다수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Zone 구분 ID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ID 및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단말기 ID 정보, 단말기의 무선 특성(수신감도세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수신기 ID 정보를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 전달되면,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는 단말기의 수신감도세기에 의해 삼각측량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의 Zone 구분 ID에 의해 현재 단말기의 지역 위치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으로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 시스템은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지역별 근무자들의 밀집정도에 따라 조명의 밝기 조정 또는 냉난방 세기를 지역별 밀집정도에 따라 제어하는 기능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딩자동화 제어 시스템은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근무자 ID에 따라 각 근무자들의 성향 또는 근무조건에 따라 조명 및 냉난방 설정값을 조정하여 주는 개인화 맞춤형 제어 기능이 더 포함되어 쾌적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ID가 할당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CPU;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Zone 구분 ID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전원을 구동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별도 전용 무선 송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기기를 사용하며, 능동형 RFID 태그가 부착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위치인식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ID가 할당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 수신시 신호의 무선특성 정보 및 코드정보를 추출하는 무선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신호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신호정보를 원격지의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특성 정보는 단말기별 수신감도세기, 상기 코드 정보는 단말기ID 정보 또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는 원격지에서 복수개의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상기 단말기들의 건물내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계산부;
    상기 위치계산부에 의해 측정된 단말기들의 개별위치 및 특정 공간내 위치되는 단말기 위치를 계산하며, 각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미리 설정된 지역정보와 매칭 작업을 수행하여 지역내 단말기 존재 여부 및 단말기들의 밀집도를 포함하는 재부재현황을 측정하여 단말기의 재부재정보를 저장하는 재부재정보 처리 및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의 재부재 정보를 원격지의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해 프로토콜변환 및 통신을 담당하는 타기기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신기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은 수신기 ID 정보, 단말기 무선특성(수신감도세기), 단말기 ID 정보 또는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부재 정보는 지역별 위치한 단말기ID 정보, 단말기별 현재 위치, 지역별 밀집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있어서,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기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단말기ID 정보와 단말기의 무선특성 인 수신감도세기를 수신받아 단말기ID별로 무선 특성의 신호의 세기에 의해 삼각측량 방식으로 상대 거리를 계산하여 단말기 ID로 식별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수신받은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ID 정보와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단말기ID 정보와 단말기의 무선특성(수신감도세기), 위치보정 송신 신호(Zone 구분 ID)를 수신한 상기 재부재 정보관리 기기는 상기 단말기의 무선 신호의 세기에 의해 삼각측량 방식으로 단말기 ID로 식별된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시간대별 단말기 ID로 식별된 단말기의 세밀한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빌딩 자동화 제어시스템으로 상기 단말기의 ID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KR1020140047709A 2014-04-21 2014-04-21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KR10158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09A KR101589044B1 (ko) 2014-04-21 2014-04-21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09A KR101589044B1 (ko) 2014-04-21 2014-04-21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77A KR20150122277A (ko) 2015-11-02
KR101589044B1 true KR101589044B1 (ko) 2016-01-29

Family

ID=5459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709A KR101589044B1 (ko) 2014-04-21 2014-04-21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741A (ko) * 2016-10-18 2018-04-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기반의 상향링크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778B1 (ko) * 2019-09-18 2020-06-11 주식회사 디자인쏨니엄 전시관 조명 제어 방법
KR102296037B1 (ko) * 2020-03-17 2021-09-01 주식회사 건강나눔 스포츠시설 회원 및 에너지 통합 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49B1 (ko) 2012-01-06 2013-03-15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에너지절감기능을 구비한 조명컨트롤장치 및 방법
KR101258605B1 (ko) * 2012-11-29 2013-04-26 주식회사 동양이엔씨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능형 빌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096A (ko) * 2010-05-20 2011-11-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 환경 정보를 사용한 증강 현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7410B1 (ko) 2013-04-30 2013-11-08 (주)다진시아이엠 다기능 재실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49B1 (ko) 2012-01-06 2013-03-15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에너지절감기능을 구비한 조명컨트롤장치 및 방법
KR101258605B1 (ko) * 2012-11-29 2013-04-26 주식회사 동양이엔씨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능형 빌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741A (ko) * 2016-10-18 2018-04-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기반의 상향링크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02205B1 (ko) * 2016-10-18 2019-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기반의 상향링크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77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3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s of medical devices
US11598546B2 (en) Occupancy sensing and building control using mobile devices
KR100951692B1 (ko)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9807849B2 (en) Automatically commissioning lighting controls using sensing parameters of the lighting controls
CN102160293B (zh) 用于确定对象的位置的方法和系统以及射频识别标签组件
US20180045474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US20150134085A1 (en) Association of a portable sensor device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202103064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sensing technology
KR101589044B1 (ko) 단말기의 위치인식 기반 에너지제어 장치
CN109964515B (zh) 用于定位系统的电子信标
CN109215155B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工地管理系统
EP2730106A1 (en) Supporting a positioning of an apparatus that is based on periodic transmissions of the apparatus
US9578721B2 (en) Instrument control device, instrument control system, instru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4361371A (zh) 基于rfid技术的定位系统和定位方法
KR20180016820A (ko) 재실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91897A1 (en) Low Frequency Magnetic Inductio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N101469902B (zh) 基于无线定位的空调控制系统和方法
CN110986297A (zh) 一种基于uwb定位的实验室空调节能控制方法及系统
KR20190076332A (ko) 지능형 IoT 기반 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 모델
US11306934B2 (en) Air-conditioning system control apparatus using degree of influence between air-conditioning indoor units
CN204143471U (zh) 基于rfid技术的定位系统
CN104991224A (zh) 基于ZigBee和RFID的隧道定位安全管理系统
KR101313721B1 (ko) 무선통신형 위치인식 시스템
US11570743B2 (en) Control system, control program, control method, and transmitter used in control system
CN111147277A (zh) 一种基于边缘计算的社区房屋节能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