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880B1 -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 Google Patents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880B1
KR101588880B1 KR1020140012903A KR20140012903A KR101588880B1 KR 101588880 B1 KR101588880 B1 KR 101588880B1 KR 1020140012903 A KR1020140012903 A KR 1020140012903A KR 20140012903 A KR20140012903 A KR 20140012903A KR 101588880 B1 KR101588880 B1 KR 101588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drive
drive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2477A (en
Inventor
김구환
류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to KR102014001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880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는 상용 전력을 구동 유니트에서 요구하는 구동 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구동 유니트로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 유니트 및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조절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니트에는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복수 단계로 구분하는 분석부, 상기 구동 유니트가 상기 복수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소모 전력을 소모하도록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A smart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commercial power into driving power required by a driving unit, analyz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 power unit that provides the driv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n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wherein the adjustment unit includes: an analysis unit for dividing a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drive unit into a plurality of step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driv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스마트 전원 장치{SMART POWER SUPPLY APPARATUS}[0001]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고, 구동 장치의 소모 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wer suppl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drive apparatus and adjus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apparatus.

최근 컴퓨터, TV, 오디오 등과 같은 전력소비 장치는 회로 구성이 집적화되고, 신호처리기술이 고속화 및 고정 밀화되어 동작 전원의 안정화가 필연적으로 요구되었다.In recent years, power consump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TVs, and audio have been required to stabilize the operating power by integrating circuit structures and speeding up and downsizing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그 결과, 전력소비 장치는 자동 파워 온/오프 기능과 같은 다기능을 구비하게 되고, 전력소비 장치의 전원 공급도 정상 모드와 대기 모드로 구분되어, 정상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전력이 소모되고, 대기모드에서는 기본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었다.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device is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an automatic power on / off function, and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consumption device is divided into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In the normal mode, , The standby mode consumes a minimum amount of power to perform basic functions.

하지만, 전력소비 장치와 같이 대기 모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에 의한 전기 요금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이용자의 부담이 가중되게 되었다.However, if the standby mode continues for a long time, such as a power consumption device, the electric charge due to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nd the burden on the user increases.

상기와 같은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는 플러그를 직접 뽑아 전원을 차단해야 하지만, 사용자가 전력소비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를 아웃렛에서 뽑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시 플러그를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order to reduc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o disconnect the power by directly disconnecting the plug.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power consumption device, the plug is unplugged from the outlet, There wa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17730호에는 이동 단말기가 AP(Access Point)에 연결된 여부에 따라 전력기기에 대기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대기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술로 국한되고 있으며 구동 중인 대기 장치의 소모 전력을 조절하는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KOKAI Publication No. 2002-0017730 discloses a technique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standby power to a power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but is limited to a technique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standby power source And there is no way to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of a running standby devic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1773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17730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고, 구동 장치의 소모 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전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smart power supply capable of providing power to a drive apparatus and adjus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apparatu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는 상용 전력을 구동 유니트에서 요구하는 구동 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구동 유니트로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 유니트 및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조절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니트에는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복수 단계로 구분하는 분석부, 상기 구동 유니트가 상기 복수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소모 전력을 소모하도록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A smart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commercial power into driving power required by a driving unit, analyz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 power unit that provides the driv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n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wherein the adjustment unit includes: an analysis unit for dividing a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drive unit into a plurality of step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driv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는 상용 전력을 구동 유니트에서 요구하는 구동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유니트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소모 전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조절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전원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The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unit for converting commercial power into driving power required by the driving unit, and an adjusting unit for analy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 The adjustment unit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는 조절 유니트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요청에 따라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smart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by including the adjustment unit.

제어 신호에 의한 제어가 가능한 구동 유니트에 대해서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 유니트로 전송함으로써 구동 유니트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 drive signal is generated for a drive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drive unit, so that the drive unit can be easily controlled.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제어가 가능한 구동 유니트에 대해서는 구동 유니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설정 주기로 차단함으로써 구동 유니트를 제어할 수 있다.For a drive unit that can be controlled only by manual operation, the drive unit can be controlled by interrup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unit at a set cycl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에 의하면 현재 구동 유니트에서 소모 중인 전력보다 낮은 소모 전력을 의도하는 경우 구동 유니트를 완전히 오프(off)시키는 대신 낮은 전력을 소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니트의 중지로 예상되는 사용자측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sumed power is lower than that consumed in the current drive unit, it is possible to consume low power instead of completely turning off the drive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user side expected by stopping the drive unit.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는 에어컨 등 하나의 제품에 조절 유니트와 함께 전원 유니트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pow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usability by including a power unit together with the control unit in a single product such as an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조절 유니트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특정 지역에서 전체적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분석부에서 파악된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조절 유니트에서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djustment unit of the smart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power consumed in a particular area.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e unit detected by the analysis unit. Fig.
5 is a graph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drive unit in an adjustment unit constituting the smart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서 굵은 화살표는 전력의 흐름 방향이고, 얇은 화살표는 각종 신호의 흐름 방향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조절 유니트(170)를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bold arrow indicates the flow direction of the electric power, and the thin arrow indicates the flow direction of various signals.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djustment unit 170 that constitutes the smart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전원 장치는 전원 유니트(150) 및 조절 유니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wer supply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50 and an adjustment unit 170.

전원 유니트(150)는 상용 전원(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력을 구동 유니트(130)에서 요구하는 구동 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용 전력으로 220V 교류가 입력되면 전원 유니트(150)는 변압기, 평활 회로, 정류 회로 등을 거쳐 15V 직류, 5V 직류 등 구동 유니트(130)에서 요구하는 구동 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convert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110 into driving power required by the driving unit 130. For example, when 220 V AC is input by commercial power, the power unit 150 can be converted into drive power required by the drive unit 130, such as a 15 V direct current, a 5 V direct current, etc. through a transformer, a smoothing circuit, a rectifier circuit and the like.

상용 전원(110)은 벽면, 바닥 등의 시설물에 설치된 아웃렛(outlet), 소형 발전기 등일 수 있다.The commercial power source 110 may be an outlet installed in a facility such as a wall or a floor, a small generator, and the like.

구동 유니트(130)는 에어컨, 선풍기, TV 등의 전기 제품(10)에서 구동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요소로, 각 전기 제품(10)에서 구동 전력을 사용하며 전원 유니트(150)를 제외한 부분에 해당한다.The driving unit 130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by driving power in an electrical product 10 such as an air conditioner, a fan, and a TV. The driving unit 130 uses driving power from each electrical product 10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excluding the power unit 150 do.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에서 '스마트'는 외부의 지령에 따라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는 조절 유니트(170)를 포함한다.In the smart pow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mart' means that the driving unit 13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n external command. To implement this 'smart' function, the smart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itioning unit 170.

조절 유니트(170)는 구동 장치의 소모 전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절 유니트(170)의 구동을 위해서는 적절한 전력 공급이 필요하며, 이때의 전력은 전원 유니트(15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력일 수 있다. 즉, 조절 유니트(170)는 전원 유니트(15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adjustment unit 170 may analy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and control the drive unit 13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or the driving of the adjusting unit 170, an appropriate power supply is required, and the power at this time may be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hat is, the adjustment unit 170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구동 유니트(13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조절 유니트(170)는 전원 유니트(150)로부터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전력의 완전 차단은 구동 유니트(130)의 비구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동 유니트(130)를 구동하는 목적을 전혀 이루지 못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130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djustment unit 170 may cut off the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driving unit 130, thereby completely cutting of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ing unit 130. Full interruption of power means that the driving unit 130 is not driven. Therefore, the driving unit 130 can not be driven at all.

도 3은 특정 지역에서 전체적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power consumed in a particular area.

예를 들어 어느 한 국가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살펴보면 항상 고른 것이 아니라 특정 시간에서 피크값을 갖는다. 해당 피크값은 시간상으로 가장 무더운 시간이거나 가장 추운 시간에 많이 나타난다. 해당 시간에 냉방 시설이나 난방 시설의 가동이 증가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if you look at the power consumed in a country, it is not always selected, but has a peak value at a certain time. The peak value is the most sultry time in the time or the most cold time.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air-conditioning or heating system increases at that time.

피크값보다 높은 전력이 생산된다면 별다른 문제는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일시점에 생산된 전력은 해당 시점에서 소모되지 않으면 버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피크값을 충분히 커버하는 Pm의 전력이 생산된다면 도 3에서 빗금친 부분의 전력이 버려진다. 이는 막대한 자원을 낭비하는 것으로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자원의 낭비를 고려하여 피크값을 커버하지 못하는 Pd의 전력이 생산된다면 t1~t2에서 정전 사태 등 각종 사고가 발생할 것은 자명하다.If the power is higher than the peak value, there may be no problem. However, it is common that power produced at one point is discarded if it is not consumed at that point in time. Therefore, if the power of P m that sufficiently covers the peak value is produced, the power of the hatched portion in Fig. 3 is discarded. It is never desirable to waste enormous resources. If power of P d is produced that does not cover the peak value considering the waste of resources, it is obvious that various accidents such as power failure occur at t 1 ~ t 2 .

위 문제를 해결하는 이상적인 방안은 적절한 생산 전력 Pp를 설정하고, 이에 맞춰 점선의 피크값을 실선의 피크값으로 낮추는 것이다. 피크값을 낮추기 위해 위험 소모 전력 Pd를 설정하고 소모 전력이 Pd 이상이면 정부에서 전력 사용을 자제할 것을 국민에게 요구 또는 강제할 수 있다.An ideal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is to set the appropriate production power P p and lower the peak value of the dotted line to the peak value of the solid line accordingly. If the hazardous power P d is set to lower the peak value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greater than P d, the government may require or force the public to refrain from using electricity.

그런데, 이러한 요구/강제에 따라 t1~t2 시간에 냉난방 기구 등 각종 전기 기기의 사용을 중지하면 사용자는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계장에서 해당 시간 동안 냉난방 기구의 사용이 중지되면 닭이 폐사 또는 동사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닭이 폐사 또는 동사하지 않을 최소 수준으로 냉난방 기구를 구동해야 한다.However, if the use of various electric devices such as air-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s is stopped during the period from t 1 to t 2 according to the request / enforcement, the user may suffer a great damage. For example, if the use of air-conditioning equipment is stopped during the time at the poultry farm, the chicken may be dead or verb. To prevent this, the chickens must drive the air-conditioning system to a minimum level that will not be ours or ours.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조절 유니트(170)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조절 유니트(170)는 전원 유니트(150)로부터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완전한 차단 대신 구동 유니트(130)를 구동시키되 소모 전력을 줄이는 것으로 국가의 요구와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이때의 전력의 완전한 차단은 도 3에서 t1~t2 구간동안 전력이 차단되는 것일 수 있다.1 and 2, the adjustment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is object. The adjustment unit 170 drives the drive unit 130 instead of completely shutting off the driv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drive unit 130 so a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 Complete blocking of the power of this case may be one which the power during interval t 1 ~ t 2 in FIG. 3 blocks.

이를 위해 조절 유니트(170)는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는 조절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djustment unit 170 may include an adjustment unit 175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130.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은 구동 유니트(130)의 구동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목표 온도가 25도일 때 에어컨의 제1 소모 전력에 비하여 목표 온도가 28도일 때 에어컨의 제2 소모 전력이 적다. 따라서, 에어컨에서 제1 소모 전력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제2 소모 전력을 사용하도록 하려면, 조절부(175)는 에어컨의 목표 온도가 28도가 되도록 에어컨을 제어하면 된다.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varies depending on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ing unit 130. [ For example,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is 25 degrees, the second consumption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is less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28 degrees than the first consumed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ly, in order to use the second consumed pow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sumed electric power is used, the controller 175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such that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is 28 degrees.

다른 예로, 선풍기가 2단의 회전 속도일 때 선풍기의 제1 소모 전력에 비하여 1단의 회전 속도일 때 선풍기의 제2 소모 전력이 적다(1단의 회전 속도보다 2단의 회전 속도가 빠른 경우). 따라서, 선풍기에서 제1 소모 전력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제2 소모 전력을 사용하도록 하려면, 조절부(175)는 선풍기의 회전 속도가 1단이 되도록 선풍기를 제어하면 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an is rotating at two speeds, the second consumption power of the fan is small at one rotation speed compared to the first consumption power of the fan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two stages is faster than that of the first stage ). Accordingly, in order to use the second consumed electric pow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sumed electric power is used in the electric fan, the controller 175 may control the electric fan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fan becomes the first speed.

이 경우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국가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구동 유니트(130)를 비구동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요구도 적절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drive unit 130 is reduced, the requirement of the user can be adequately satisfi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riving unit 130 is not driven while satisfying the national demand.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기 위해 조절부(175)는 구동 유니트(130)의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구동 유니트(130)의 전단에서 획득 가능한 정보는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이다. 소모 전력으로 구동 유니트(130)의 구동 모드를 파악하기 위해 조절 유니트(170)에는 분석부(173)가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30, the adjusting unit 175 needs to grasp the state of the driving unit 130. Basically, the information obtainable at the front end of the drive unit 130 is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e unit 130. [ The analysis unit 173 may be provided in the adjustment unit 170 to determine the drive mode of the drive unit 130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분석부(173)는 구동 중인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분석할 수 있다. 조절부(175)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분석부(173)에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알아야 한다.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은 측정부(17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73 can analyze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during driving. The controller 175 may control the drive unit 13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In order to analyze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e unit 130 in the analysis unit 173,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e unit 130 must be known. The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drive unit 130 can b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71.

측정부(171)는 부하 장치의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측정부(171)는 전원 유니트(150)로 유입되는 상용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171)는 상용 전원(110)과 전원 유니트(150)의 사이에 배치되고, 측정부(171)에서 측정된 소모 전력은 구동 유니트(130)가 마련된 전기 제품(10) 전체의 소모 전력일 수 있다. 즉, 측정부(171)에서 측정된 소모 전력은 구동 유니트(130), 전원 유니트(150), 조절 유니트(170) 전체의 소모 전력일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171 can measure the consumed power of the load device. For example, the measuring unit 171 can measure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by measuring the commercial power flowing into the power unit 150. The measurement unit 171 is disposed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11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71 i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electrical product 10 provided with the drive unit 130 Power consumption. That is, the consumed pow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71 may b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ing unit 130, the power unit 150, and the adjusting unit 170 as a whole.

구동 유니트(130)는 대체로 다양한 동작 모드를 갖고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전원 유니트(150), 조절 유니트(170)는 단일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 유니트(150) 자체의 소모 전력 및 조절 유니트(170) 자체의 소모 전력은 일정할 수 있다.The drive unit 130 has generally various operation modes. Therefore,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e unit 130 can be varied. On the contrary,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adjustment unit 170 may have a single operation mode,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itself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djustment unit 170 itself may be constant.

따라서, 전원 유니트(150)의 소모 전력과 조절 유니트(170)의 소모 전력을 사전에 측정하고, 측정부(171)의 측정 결과에서 사전에 측정된 전원 유니트(150)와 조절 유니트(170)의 소모 전력을 빼면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측정부(171)에서 측정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은 제품 전체(구동 유니트(130), 전원 유니트(150), 조절 유니트(170) 포함)의 소모 전력이어도 무방하다.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djustment unit 170 are measured in advance, and the measured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adjustment unit 170 The consumption power of the drive unit 130 can b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onsumed power. Or the consumption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71 may be the consumed power of the entire product (including the driving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adjusting unit 170).

도 4는 분석부(173)에서 파악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drive unit 130 detected by the analysis unit 173. FIG.

분석부(173)는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복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일정 시간동안 또는 지속적으로 분석하면 소모 전력 패턴을 알 수 있다.The analyzer 173 can divid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130 into a plurality of levels.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can be known by analyzing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continuously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예를 들어 목표 온도 25도의 제1 구동 모드와 목표 온도 28도의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에어컨을 가정한다. 사용자가 제1 구동 모드로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분석부(173)는 제1 구동 모드에 대응하는 소모 전력 P1을 획득한다. 사용자가 제2 구동 모드로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분석부(173)는 제2 구동 모드에 대응하는 소모 전력 P2를 획득한다. 제1 구동 모드로 구동 중인 에어컨이 제2 구동 모드로 변경되면 에어컨의 소모 전력은 P1으로부터 P2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분석부(173)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소모 전력은 무시하고 P1 단계와 P2 단계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air conditioner has a first driving mode with a target temperature of 25 degrees and a second driving mode with a target temperature of 28 degrees. When the user uses the air conditioner in the first driving mode, the analyzer 173 acquires the consumed power P 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mode. When the user uses the air conditioner in the second driving mode, the analyzer 173 acquires the consumed power P 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mode. When the air conditioner driving in the first driving mode is changed to the second driving mode, the consumption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may gradually decrease from P 1 to P 2 . The analyzer 173 can analyze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in the P 1 and P 2 stages by ignoring the gradually decreasing consumed power.

해당 에어컨이 목표 온도 22도의 구동 모드, 목표 온도 31도의 구동 모드 등을 갖는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해당 구동 모드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분석부(173)에서는 해당 구동 모드에 대한 소모 전력을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분석부(173)에서 분석된 분석 결과는 사용자의 에어컨 사용 패턴에 부합되는 결과가 된다. 다시 말해 분석부(173)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구동 모드의 소모 전력은 획득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분석부(173)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는 조절부(175) 역시 사용자의 사용 패턴 중 하나로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구동 유니트(130) 사용 패턴으로 구동 유니트(130)를 구동시키면 사용자의 목적을 적절히 달성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Even if the air conditioner has the driving mode of the target temperature of 22 degrees and the driving mode of the target temperature of 31 degrees,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driving mode, the analyzing unit 173 can not obtain the consumed power for the driving mode. Accordingly, the analysis result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73 is in accordance with the air conditioner usage pattern of the user.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73 can not acquire the consumption power of the drive mode not used by the user, and accordingly controls the drive unit 13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zer 173 The drive unit 130 is controlled by one of the usage patterns of the user. At this time, if the driving unit 130 is driven by the usage pattern of the driving unit 130 of the user, it can be assumed that the user's purpose is appropriately achieved.

조절부(175)는 구동 유니트(130)가 분석부(173)에서 분석된 복수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소모 전력을 소모하도록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절부(175)는 구동 유니트(13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절 유니트(170)에 구동 유니트(130)와 통신하는 통신부(177)가 마련되면 제어 신호는 구동 유니트(130)로 송신되고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리모컨으로 제어되는 에어컨이 마련된 경우 통신부(177)가 해당 리모컨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7)에는 구동 유니트(130)의 수신 모듈과 매칭되는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의 통신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전기 제품(10) 내에 설치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통신부(177)는 조절 유니트(170)와 구동 유니트(130)를 연결하는 유선 신호 라인을 포함해도 무방하다.The controller 175 may control the drive unit 130 such that the drive unit 130 consumes power consum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ages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73. [ The control unit 175 ma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unit 130. [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77 communicating with the driving unit 130 is provided in the adjusting unit 170,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130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30. For example, when an air conditioner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unit 177 can also function as the remote control. To this end,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matching the receiving module of the driving unit 130 may be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unit 177. The communication unit 177 may include a wire signal line for connecting the adjustment unit 170 and the drive unit 130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installed in the same electrical product 10. [

조절부(175)는 분석 결과 중에서 타겟으로 하는 소모 전력인 타겟 전력이 측정부(171)에서 측정될 때까지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유니트(130), 구동 중인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171),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는 조절 부가 피드백 제어 관계인 것과 유사하다. 조절부(175)는 구동 유니트(13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을 설정 주기에 따라 차단하는 것으로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5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30 until the target power, which is a target consumed power, i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71 in the analysis result. A driving unit 130, a measuring unit 171 for continuously measuring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during driving, and an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30 are similar to those in the feedback control relationship. The control unit 175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30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0 or by interrupting the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조절 유니트(170)는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부(177)는 구동 유니트(130) 또는 전기 제품(10)의 소모 전력을 외부(서버(190) 또는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The adjustment unit 17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77 for receiving from the outside a request signal requesting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130. [ The communication unit 177 at this time may transmit the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drive unit 130 or the electric product 10 to the outside (the server 190 or the terminal).

국가 등 전력을 생산하는 주체 측에서 서버(190)를 마련하고 해당 서버(190)로 통제 가능한 스마트 전원 장치를 통해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줄이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서버(190)로부터 스마트 전원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가 요청 신호이다. 통신부(177)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와 통신하고, 해당 단말기로부터 요청 신호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물론, 조절 유니트(170)에서 측정된 소모 전력을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A server 19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a manufacturer of power such as a country to reques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ing unit 130 to be reduced through a smart power supply controllable by the server 190. At this tim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90 to the smart power supply is a request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177 may communicate with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used by a user and receive a request signal from the terminal.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measured power consumed by the adjustment unit 170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요청 신호의 수신시 전원 유니트(150)로부터 구동 유니트(13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불측의 피해를 줄 수 있다.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unit 130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is cut off upon reception of the request signal,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130 can be easily reduced. However, as mentioned above, it can damage the user unintentionally.

요청 신호와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조절 유니트(170)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 유니트(130)의 현재 소모 전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73)에서 분석된 분석 결과의 범위 내에서 현재 소모 전력보다 낮은 타겟 전력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타겟 전력이 소모되도록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절 유니트(170)는 요청 신호의 수신시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대신 적은 소모 전력으로 구동되도록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한다. 따라서, 요청 신호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불측의 피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사용자가 구동 유니트(130)를 사용하는 패턴이므로 분석 결과 내에서 구동 유니트(130)를 구동시키면 적어도 사용자에게 큰 피해를 끼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In order to meet the request signal and the user's request, the adjustment unit 170 can grasp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130 when the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n, within the range of the analyzed result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73, the target power lower than the current consumed power can be selected. The driving unit 13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target power is consumed.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driving unit 130 so as to be driven with low consumption power instead of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130 upo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request of the request signal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unintentionally damaged. Since the analysis result is a pattern in which the user uses the driving unit 130, it can be estimated that driving the driving unit 130 within the analysis result will not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user at least.

서버(190) 또는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통신부(177)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7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90 or the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using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한편, 통신부(177)는 구동 유니트(130)로부터 구동 유니트(130)의 구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7)에는 구동 유니트(130)와 통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지그비, 이더넷 등의 유선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동일 전기 제품(10) 내에 구동 유니트(130)와 조절 유니트(170)가 함께 마련되므로 유선 통신 라인으로 서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77 can receive driving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130 from the driving unit 130.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77 may be provided with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ZigBee, or Ethernet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riving unit 130. Of course, since the drive unit 130 and the adjustment unit 170 are provided together in the same electrical product 10, they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communication line.

분석부(173)는 동일 시점에서 통신부(177)를 통해 입수된 구동 정보와 측정부(171)를 통해 입수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매칭시켜 분석 결과로 저장할 수 있다. 조절부(175)는 분석 결과 중에서 선택된 타겟 전력에 대응하는 구동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구동 정보로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73 may match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7 and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obtain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71 at the same time and store the analysis result. The controller 175 may extract dr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arget power from the analysis results, and may control the drive unit 130 using the extracted drive information.

통신부(177)에 의하면 목표 온도 25도의 제1 구동 모드와 목표 온도 28도의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에어컨의 예에서 분석부(173)는 소모 전력 P1과 함께 제1 구동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분석부(173)는 소모 전력 P2와 함께 제2 구동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조절부(175)는 현재 소모 전력이 소모 전력 P1인 상태에서 요청 신호에 의해 소모 전력 P2를 타겟 전력으로 선택한 경우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곧바로 제2 구동 모드로 구동되도록 에어컨에 지령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unit 177, in the example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first drive mode of the target temperature of 25 degrees and the second drive mode of the target temperature of 28 degrees, the analysis unit 173 can acquire the first drive mode together with the consumed power P 1 . Similarly, the analyzer 173 can acquire the second drive mode together with the consumed power P 2 . The controller 175 may instruct the air conditioner to be driven in the second drive mode immediately with reference to the analysis result when the consumed electric power P 1 is selected as the target electric power P 2 by the request signal in the state where the consumed electric power is the consumed electric power P 1 .

분석 결과에 구동 모드가 소비 전력에 매칭되어 있지 않으면 조절부(175)는 소모 전력 P2가 될 때까지 지원 가능한 다양한 구동 모드(26도 모드, 27도 모드 등)로 에어컨이 동작하도록 지령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소모 전력 P2를 만족하는 구동 모드를 찾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통신부(177)에 의해 구동 유니트(130)로부터 구동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If the driving mode is not matched to the power consumption, the controller 175 may instruct the air conditioner to operate in various driving modes (26 degree mode, 27 degree mode, etc.) that can be supported until the consumed power is P 2 have. However, in this case, it may take a considerable time to find a drive mode satisfying the consumed power P 2 . This problem can be easily solved by acquiring the drive information from the drive unit 130 by the communication unit 177.

측정부(171), 분석부(173), 조절부(175), 통신부(177)에 의하면 요청 신호의 수신시 도 4에서와 같이 현재 소모 전력 P1을 소모 중인 구동 유니트(130)의 제1 구동 모드를 제2 구동 모드로 변경시킴으로써 타겟 전력 P2가 소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통신부(177)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수단이 구동 유니트(130)에 마련되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measuring unit 171, the analyzing unit 173, the adjusting unit 175 and the communication unit 177, upon receipt of the request signal,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30, The target power P 2 can be consumed by changing the drive mode to the second drive mode. However, in order to do so, a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77 and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must be provided in the drive unit 130. [

그런데,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작하는 선풍기 등의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통한 구동 유니트(130)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또는 요청 신호 수신시 현재의 소모 전력이 분석 결과의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소모 전력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더 이상 구동 유니트(130)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것으로 소모 전력을 낮출 수 없다.However, in the case of a fan or the like which is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30 through the control signal. Or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may be the lowest power within the range of the analysis result. In this case as well, the power consumption can not be lowered by controlling the drive mode of the drive unit 130 any more.

이와 같이 구동 유니트(130)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것으로 소모 전력을 낮출 수 없는 경우 조절부(175)는 전원 유니트(150)로부터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75)는 전원 유니트(150)와 구동 유니트(13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모드 또는 전원 유니트(150)과 구동 유니트(130)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175)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교번하여 실행함으로써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sumption power can not be lowered by controlling the drive mode of the drive unit 130, the controller 175 controls the drive unit 130 by using a function of shutting of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drive unit 130 The unit 130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unit 175 operates in a first mod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unit 150 and the drive unit 130 or a second mode for disconnec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unit 150 and the drive unit 13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75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130 by alternately performing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조절 유니트(170)에서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drive unit 130 in the adjustment unit 170 constituting the smart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회전 속도가 1단, 2단으로 조절되는 선풍기를 가정한다.For example, suppose a fan whose rotational speed is adjusted to one stage and two stages.

분석부(173)에 의하면 1단, 2단 각각의 회전 속도에서 소모되는 2단계의 소모 전력 P2, P1이 획득된 상태일 수 있다. 요청 신호의 수신시 현재 2단 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선풍기의 현재 소모 전력이 P1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현재 소모 전력을 P2로 낮추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용자가 1단 버튼을 수동으로 눌러 소모 전력 P2를 달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조절 유니트(170)에서 자동으로 1단 버튼을 누르는 것은 불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nalysis unit 173, the consumed powers P 2 and P 1 consumed at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may be obtained. When the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of the fan may be P 1 in a state where the current two-step button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best way to lower the current consumption to P 2 is to manually depress the first-stage button to achieve the power consumption P 2 . However, it is impossible to automatically press the first-step button in the adjustment unit 170.

조절 유니트(170)는 1단 버튼을 누르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조절 유니트(170)가 제1 모드로 동작되면 2단 버튼이 눌려진 상태의 선풍기는 소모 전력 P1을 소모한다. 일정 시간 T동안 제1 모드로 구동되던 조절 유니트(170)가 제2 모드로 구동되면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므로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은 0이다. 이때, 제2 모드가 시간 T동안 유지된다면 2T동안 소모된 전력량은 2T동안 1단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소모된 전력량과 동일하다.The adjustment unit 170 may utilize the function of interrup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unit 130 to provide an effect similar to pressing the one-step button. When the adjustment unit 170 is operated in the first mode, the fan of the state where the second-stage button is pushed consumes the consumed power P 1 . When the control unit 170 driven in the first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T is driven in the second mod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unit 130 is cut off,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130 is zero. At this time, if the second mode is maintained for the time 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during 2T is equal to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 the state where the one-step button is pressed for 2T.

다시 말해 조절 유니트(170)는 전원 유니트(150)로부터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을 설정 주기로 차단함으로써 구동 유니트(130)에서 소모되는 현재 소모 전력량을 타겟 전력량으로 맞출 수 있다. 이때의 설정 주기는 도 3에서 t1~t2 구간 동안보다 작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djustment unit 170 cuts off the driv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drive unit 130 at a predetermined cycle, thereby adjusting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consumed in the drive unit 130 to the target power amount. The set period at this time may be smaller than the period t 1 to t 2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유니트(130)의 구동 상태가 현재 소모 전력 P1을 소모하는 상태로 되어 있어도, 조절 유니트(170)에 의해 설정 주기마다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소모 전력량은 소모 전력이 P2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4, even when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ing unit 130 is in a state consuming the current consumed power P 1 , the power is cut off by the adjusting unit 170 every set period, so that the consumed power is P 2 It is the same as a state that is maintained continuously.

한편, 조절 유니트(170)의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교번 구동은 도 3의 t1~t2 구간 내에서 복수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불측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alternate driving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of the adjusting unit 170 must b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t 1 to t 2 sections in FIG. 3, thereby minimizing the untoward damage to the user.

이상에서 살펴본 스마트 전원 장치는 구동 중인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171), 측정부(171)의 출력값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유니트(130)의 소모 전력 패턴을 획득하는 분석부(173) 및 소모 전력 패턴의 범위 내에서 타겟 전력을 추출하고 구동 유니트(130)에서 타겟 전력을 소모하도록 구동 유니트(130)를 제어하는 조절부(175)를 포함하고 있다.The smart power supply unit described above includes a measuring unit 171 for measuring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130 in operation and an analyzing unit 171 for analyzing the output value of the measuring unit 171 to obtain a consumed power pattern of the driving unit 130 And an adjusting unit 175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30 to extract the target power within the range of the consumed power pattern and to consume the target power in the driving unit 130. [

이때의 소모 전력 패턴은 앞에서 살펴본 분석부(173)의 분석 결과일 수 있으며, 소모 전력 패턴에는 구동 유니트(130)가 오프된 상태의 소모 전력은 비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전원 장치는 요청 신호의 수신시 t1~t2 구간 동안 구동 유니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불측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at this time may be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173, and the consumed power pattern may not include the consumed power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unit 130 is off. Accordingly, the smart power supply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unit 130 during the period of t 1 to t 2 upon receipt of the request signal, thereby preventing unexpected damage to the use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전기 제품 110...상용 전원
130...구동 유니트 150...전원 유니트
170...조절 유니트 171...측정부
173...분석부 175...조절부
177...통신부 190...서버
10 ... electrical products 110 ... commercial power
130 ... drive unit 150 ... power unit
170 ... adjustment unit 171 ... measuring unit
173 ... Analysis section 175 ... Control section
177 ... communication unit 190 ... server

Claims (11)

상용 전력을 구동 유니트에서 요구하는 구동 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구동 유니트로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 유니트; 및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조절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니트는 복수의 구동 모드를 가지며,
상기 구동 유니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중 선택된 특정 구동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조절 유니트에는 구동 중인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파악하는 것으로 상기 특정 구동 모드의 소모 전력을 파악하고 파악된 각 특정 구동 모드의 소모 전력을 복수 단계로 구분하는 분석부, 상기 구동 유니트가 상기 복수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소모 전력을 소모하도록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조절부가 마련되는 스마트 전원 장치.
A power unit for converting commercial power into drive power required by the drive unit and providing the drive power to the drive unit; And
And an adjustment unit for analyzing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e uni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Wherein the drive unit has a plurality of drive modes,
Wherein the drive unit operates in a specific drive mod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rive modes at the user's sel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analyzing unit for determining the consumed power of the specific driving mode by grasping the consumed power of the driving unit being driven and classifying the consumed power of each specific driving mode into a plurality of step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 to consume power consumed by any one of the ste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전원 유니트로 유입되는 상용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분석하는 스마트 전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by measuring the commercial power flowing into the power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니트가 수동 제어되거나 가장 낮은 소모 전력을 사용 중일 때 소모 전력의 감소가 요구되면,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전원 유니트와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전원 유니트와 상기 구동 유니트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제2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소모 전력의 감소가 요구되는 구간 동안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를 복수 횟수로 교번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스마트 전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drive unit is manually controlled or when the consumption power is reduced when the lowest consumed electric power is being used, the adjustment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mod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rive unit or a first mod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rive unit In the second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 by alternately performing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in a plurality of times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reduction of the consumed electric power is requi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전원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전력으로 구동되는 스마트 전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stment unit is driven by the driv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구동 유니트의 현재 소모 전력을 파악하고, 상기 복수 단계의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소모 전력보다 낮은 타겟 전력을 선택하고, 상기 타겟 전력이 소모되도록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스마트 전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rom the outside a request signal requesting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selects a target power lower than the current consumed power within the range of the plurality of steps, and controls the drive unit to consume the target power, Smart power supply to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구동 유니트로부터 상기 구동 유니트의 구동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니트는 동일 시점에서 입수된 상기 구동 정보와 상기 구동 유니트의 소모 전력을 매칭시켜 상기 분석 결과로 저장하며, 상기 분석 결과 중에서 선택된 타겟 전력에 대응하는 구동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구동 정보로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스마트 전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from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drive information obtained at the same time wit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and stores the result as the analysis result, extracts dr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arget power from the analysis result, To control the driv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구동 유니트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니트는 상기 구동 유니트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구동 유니트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전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stment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riv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drive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12903A 2014-02-05 2014-02-05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KR101588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03A KR101588880B1 (en) 2014-02-05 2014-02-05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03A KR101588880B1 (en) 2014-02-05 2014-02-05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77A KR20150092477A (en) 2015-08-13
KR101588880B1 true KR101588880B1 (en) 2016-02-12

Family

ID=5405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03A KR101588880B1 (en) 2014-02-05 2014-02-05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88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4250A (en) * 2012-07-05 2014-01-23 Sharp Corp Controller,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181A (en) * 2006-04-03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10042866A (en) * 2009-10-20 2011-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network system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61363B1 (en) 2010-08-19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and controll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172602B1 (en) * 2010-08-24 2012-08-08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dministrating electric power per appli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4250A (en) * 2012-07-05 2014-01-23 Sharp Corp Controller,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77A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02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levels to save energy
TWI530112B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device,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nitoring power method thereof
KR101453549B1 (en) Smart plug
US20140067143A1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GB2445990B (en) Pilot signal transmiss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3125374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CA3061536C (en) Secondary radio for diagnostic/debug
CN104836344B (en) Monitoring system of distribution transformer based on WIFI radio communications
GB2513197A (en) Energy reporting unit
CN105242558A (en) Control method and equipment for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and client equipment
KR101278125B1 (en) Dimming control apparatus using sensing of volts alternating current in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1864025B1 (en) Electrical outlet via the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Intelligent Motion
KR101588880B1 (en) Smart power supply apparatus
CN107329404B (en)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and intelligent gateway
KR20130072450A (en) Receptacle controlling apparatus, pow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KR10091986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aving power using distance information
CN201860002U (en) Intelligent socket
KR101846740B1 (en)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KR101318862B1 (en) Control device for illumination and receptacle
KR20220105404A (en) High Power Source System
CN106527258A (en) Dazzling polar light power supply
KR101133995B1 (en) Device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electric power
JP6144842B1 (en) Power saving device
KR101286587B1 (en) System for reducing electric power using sensors
KR100945388B1 (en)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