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388B1 -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388B1
KR100945388B1 KR1020080078833A KR20080078833A KR100945388B1 KR 100945388 B1 KR100945388 B1 KR 100945388B1 KR 1020080078833 A KR1020080078833 A KR 1020080078833A KR 20080078833 A KR20080078833 A KR 20080078833A KR 100945388 B1 KR100945388 B1 KR 10094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or
remote
control
electrical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0162A (en
Inventor
유병섭
백흥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랙박스
비나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랙박스, 비나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랙박스
Priority to KR102008007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388B1/en
Publication of KR2010002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컨을 이용한 전기 제품의 원격 전원 제어 시에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도 함께 원격 제어하도록 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해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부,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용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충전 배터리부에 충전하는 정전압 변환부,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에 따라 정전압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 커넥터와,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감지하는 입력부, 입력부의 감지에 따라 전원 오프 제어 신호 또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킨 경우에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확인하고 이때 전기 제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재 생성시키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전원 오프 제어 신호 또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커넥터로 송신하며, 제어부에서 재 생성시킨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그리고 커넥터 또는 전기 제품으로부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제어부에 전달하는 무선 수신부를 포함한 리모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기 제품의 대기 상태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 제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조작 없이 전 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lectrical product when controlling a remote power supply of an electrical product using a remote control, the charging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The wireless receiver receives the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battery unit and the remote control,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converts the commercial power into the constant voltage power and charges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power control signal, a connector including a 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commercial power to electrical appliances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power on / off of a user Input to detect when button is pressed, input Generates a power-off control signal or a power-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ignal, and checks the on state of the electric product when the power-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regenerates the power-on control signal when the electric product is in the off state.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off control signal or the power-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onnector,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on control signal re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electric product, and the on-off of the electric product from the connector or the electric produc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emote control including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state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wer loss generated in the standby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even in the state that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venient operation by turning on the electric product remotely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It can provide.

원격, 전원 제어, 리모컨, 커넥터, 콘센트, 플러그 Remote, power control, remote, connector, outlet, plug

Description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컨(Remote Controller)을 이용한 전기 제품의 원격 전원 제어 시에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Connector)도 함께 원격 제어하도록 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nector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in the remote power control of the electrical product using a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은 장소에서 티브이, 선풍기, 에어컨, 오디오 등과 같은 전기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 상용 전원(예를 들어, 330V, 220V 등)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콘센트(Receptacle), 멀티-탭(Multi-tap), 플러그 소켓(Plug Socket), 월 소켓(Wall Socket), 콘센틱 플러그(Concentic Plug) 등)에 해당 전기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연결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의 편리 도모 차원에서 리모컨을 주로 이용해 전기 제품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use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TVs, fans, air conditioners, audio, etc. in places such as homes and offices, connectors (eg, outlets) for receiving commercial power (eg, 330V, 220V, etc.) Receptacle, Multi-tap, Plug Socket, Wall Socket, Concentic Plug, etc. In addition,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the remote control is mainly use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ical appliances.

여기서, 해당 리모컨에 의한 전자 제품의 원격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전자 제품으로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상용 전원 이 계속해서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어 전력 손실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Here, in order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by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standby state of supplying constant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at all times through a plug connected to an outlet, and thus, commercial power through a plug connected to the outlet. This continues to be supplied to electrical appliances, resulting in power losses.

한편, 콘센트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낙뢰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과전류에 의해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전기 제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차단기가 내장된 콘센트를 사용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utlet, most of the buried type outlet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basically. However, when an overcurrent occurs due to an external factor such as a lightning strike, the overcurrent adversely affects an electric product through a plug connected to an outlet. Therefore, to prevent such overcurrent, an outlet with a separate breaker may be used.

그리고 이러한 매립형 콘센트나 차단기 내장 콘센트는 실내의 미관을 고려하여 전기 제품으로 해당 콘센트를 가리거나 별도의 설치 장소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존 콘센트들은 전기 제품에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오프(Off)하더라도,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를 통해 항상 전기 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용 전원이 계속해서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어 전력 손실 및 전자 제품의 수명 단축 등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uried type outlet or the built-in outlet of the breaker is used to cover the outlet as an electric product or to make a separate installation place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room. In addition, these existing outlets are alway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a plug connected to the electrical outlet, even if the power switch configur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turned off, so that commercial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o prevent power los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uses a shortened life of electronic products.

그래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매립형 콘센트의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탈착하여야 하며, 차단기 내장 콘센트의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콘센트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를 반드시 오프해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도 있다.So,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user has to remove the plug directly from the outlet in the case of a buried outlet, and in the case of a built-in circuit breaker, the user must turn off the power switch directly installed in the outle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컨을 이용한 전기 제품의 원격 전원 제어 시에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도 원격 제어하여 전원 온/오프(On/Off)를 수행하도록 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when the remote power control of the electrical product using a remote control to remotely control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to turn on / off (On / Off) Provided are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오프할 경우에,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도 원격으로 오프시켜 줌으로써, 전기 제품의 대기 상태 시에도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 제품의 대기 상태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제거하도록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On)할 경우에,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원격으로 먼저 온시켜 줌으로써, 전기 제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조작 없이 편리하게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시키도록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자연 광 또는 발광 장치에 의한 빛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도록 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오프할 경우에 리모컨에 구비된 발광 장치에 의해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켜 줌으로써,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기 전원을 가지고 있어야 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remotely turned off using the remote control, by turning of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remotely, the power supplied even in the standby state of the electrical product Implementing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to block the power to eliminate the power loss generated during the standby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motel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using a remote control, by remotely turning on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first, even if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separated Implement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to remotely turn on the electrical appliance conveniently without manipulation. Alternatively,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energy of light from the natural light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into electrical energy to be used to perform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or to remotely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using the remote control. In this case, by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by 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minimum standby power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is supplied by commercial power. There is no need to have it, so the power loss can be greatly reduced.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해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부, 상용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 배터리부에 충전하는 정전압 변환부, 상태 정보를 상기 리모컨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에 따라 상기 정전압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의 현재 동작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 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connector, Rechargeable battery unit for charging and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commercial power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of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charging battery unit, and check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or the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confirm the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Transmits th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s the wireless receiv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witching on / off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signal, and provides remote power control unit including a switch for switching to the electric product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or block to switch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정전압 변환부를 구동시켜 주며,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정전압 변환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drive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nd stop driving of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full.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the controller generates a switching-off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switch to control a switching-off operation, and applies a power-on control signal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When receiv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switching on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switch unit to control the switching on operation.

다르게는, 상기 제어부는,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 내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커넥터에 대하여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the controller checks th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and for th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number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n / off operation.

삭제delete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제어 신호를 반사시켜 해당 반사된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power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reflected power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해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부, 상태 정보를 상기 리모컨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에 따라 제1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의 현재 동작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 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제2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 상기 제1스위치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 배터리부에 충전하는 정전압 변환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connector, A rechargeable battery unit for charging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a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a connector;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a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 controls switching on / off operation, check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or the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s the confirmed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controls the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first 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by switching on or off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to convert the commercial power applied through the first switch to a constant voltage pow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and the It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including a second 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the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contro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에 제1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1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제1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1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full, the controller generates a first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and applies the first switch unit to control the first switching off operation, and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controlled. When the re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switching-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first switch unit to control the first switching-on oper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제2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2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제2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2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the controller generates a second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and applies the second switch to the second switch to control a second switching off operation. When the power-on control signal is applied, a second switching-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unit to control the second switching-on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전자판, 상기 태양열 전자판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축전시켜 공급하는 태양열 전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태양열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 나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nector, Solar electronic panel for condensing light from outside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Solar cell for storing and supplying electrical energy converted from the solar panel to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Power control from the remote control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solar cell to control the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in the wireless receiving unit, and the commercial power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switch on or off the electrical appliance It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tooth.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태양열 전자판에 골고루 확산시켜 주기 위한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lens unit for evenly spreading the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solar panel.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켜 해당 반사된 빛이 상기 태양열 전자판에 집광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flected light is focused on the solar electronic pane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에서 발생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전자판, 상기 태양열 전자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nector, Solar electronic panel for conden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to convert into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and controls the switching on / off operation by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solar electronic panel And a control unit to switch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o switch or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to the electrical appli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감지에 따라 전원 오프 제어 신호 또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킨 경우에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확인하고 이때 상기 전기 제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재 생성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전원 오프 제어 신호 또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재 생성시킨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그리고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기 제품으로부터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무선 수신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mote control, An input unit for detecting a case of pressing a power on / off button of a user, and generates a power off control signal or a power 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input unit, and when the power 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 control unit which re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n off state, and transmits a power-off control signal or a power-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connector and regenerates the power;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nnector or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on-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from the electrical product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es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transmission to the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가 포함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connecto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기 제품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전원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무선 송신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distinguishing the connector and the electric product from a power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태양열 반사판으로 유출하는 발광 장치부,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커넥터의 스위칭 온 상태 및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전기 제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 하는 무선 송신부, 그리고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기 제품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스위칭 온 상태 및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무선 수신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mote control, A light emitting device unit generating light and flowing out to the solar reflector provided in the connector, an input unit for detecting a case of pressing a power on / off button of a user,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input unit, and switching of the connector A controller for checking an on state and an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generate a power-on control signal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n off state,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ower-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Switching on state and phase of the connector from the connector or the electrical appliance Provided is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including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delivered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모컨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전원 온/오프 버튼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 및 상기 커넥터로 순차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오프시킨 후에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remote control,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on / off butto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an electrical appliance to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connector to confirm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n, an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n state, generating a power-off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o the connector, by remotely turning off the connector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ut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The step of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power off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nnector. And provides 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ff the connectors to the remote after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remotely.

여기서 상기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는,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를 상기 요청 신호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f the request signal may include including, in the request signal,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connector when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do.

삭제delete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when the electric product is in a power-off state, and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 product by remotely turning on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그리고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 제품 또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재 생성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may includ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ff. Confirming, and i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ff st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remotel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원 온/오프 버튼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using a remote control, detect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on / off button, the power on / off When the button is sensed,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and generates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to be discharged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the remote control of the connector It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n / off.

여기서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 제품 또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발 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원격으로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on / off of the connector may includ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Checking whether the state is on, an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n state,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flows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to drive the connector and remotely. And turning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다르게는,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 제품 또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may includ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and receiving the power product. Checking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battery is on, an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n state, generating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flowing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to drive the connector,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 off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to remotely turn off the connector to cut off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그리고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mote on / off of the connector,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 off state,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flows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to drive the connector. And remotely turning on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이때,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 제품으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remote on / off of the connector may includ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to determine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Determining whether it is off, an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ff stat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o remotely turn on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do.

그리고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ly on / off of the connector may include generating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flowing out of the solar panel of the connector to drive the connector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 off state.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and remotely turning on the connector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의 전원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 상기 전기 제품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 및 상기 커넥터로 순차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오프시킨 후에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the light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connector or from outside Driving the connector using energy,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of the electrical appliance, checking whether the power off control signal is used, and if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 off control signal, Turning off the provided switch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blocking of the commercial power, the power-off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nnector sequentially transmitted, Turn off the connector after remotely powering off the appliance. It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ff the case.

여기서, 상기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제품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hecking of the power off control signal may include checking a switching on state of the switch or an on state of the electric product when the power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electric product. When the switching on state or the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dentifying that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 off control signal.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 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 용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이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a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converting the commercial power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when the charging capacit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wherein the charging is performed. If the capacity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charging capacity is full, and if the charging capacity is ful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blocking the conversion of the commercial power to constant voltage power .

다르게는,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centrating light from outside and converting the light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그리고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커넥터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상기 전원 제어 신호로부터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a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or from the power control signal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그리고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를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a power on control signal, and when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 on control signal, turn on a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or and use the same.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이때, 상기 전원 온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제품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ower-on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the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of the electrical appliance, checking the switching off state of the switch or the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that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 on control signal when the switching off state or the electric product is off.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인 경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by condensing the incoming light from the outside Converting into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driving, driving the connector using the converted electrical energy, checking a switching on state of a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or or an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in the switched on state or the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dentifying a power-off control signal as being applied, and turning off the switch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이러한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may include checking a switching off state of the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or or an off state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in the case of the switching off state of the switch or the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dentifying as authorized and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by turning on the switch.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컨을 이용한 전기 제품의 원격 전원 제어 시에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도 원격 제어하여 상용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제품의 대기 상태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 제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조작 없이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tely controlling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t the time of remote power control of the electrical appliance using the remote control to turn on / off the commercial power,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wer loss generated during the standby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by remotely turning on the electrical applianc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 광 또는 발광 장치에 의한 빛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도록 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오프할 경우에 리모컨에 구비된 발광 장치에 의해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켜 줌으로써,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기 전원을 가지고 있어야 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rting the energy of the light by the natural light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into electrical energy to be used to perform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or to remotely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remote control In this case, by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by 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minimum standby power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is supplied by commercial power. There is no need to have it, which greatly reduces power los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제품에 연결되어 상용 전원(예를 들어, 330V, 220V 등)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부(11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부(120)를 포함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connector 110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for example, 330V, 220V, etc.)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a remote controller 120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커넥터부(110)는 상용 전원을 제공받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해 줄 수 있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콘센트, 멀티-탭, 플러그 소켓, 월 소켓, 콘센틱 플러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전기 제품의 플러그(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내에 구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르게는 상용 전원을 제공받는 전선 내에 구비시킬 수도 있다.The connector unit 110 is a means that can receive a commercial power supply to the electrical product, for example, an outlet, a multi-tap, a plug socket, a wall socket, an outlet plug, etc. may be used. It may be provided in a plug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alternatively, may be provided in a wire provided with commercial power.

그리고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신호(즉,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고 해당 수신받은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온/오프한다. 즉,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에, 전원 스위치 자동 오프를 통해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전기 제품의 대기 상태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에, 전원 스위치 자동 온을 통해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전기 제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즉, 대기 상태)에서도 별도의 조작 없이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unit 110 receives a wireless signal (ie,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urns on / off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 product according to the received power control signal. That is, when the connector unit 110 receives the power-off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y block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the power switch automatic off, the standby of the electrical product Eliminate power loss in the state. In addition, when the connector unit 110 receives a power-on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y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automatic power switch,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cut off. Even in the state (i.e., in the standby state), the electric appliance is remotely turned on without any manipulation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

다르게는, 커넥터부(110)는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각 커넥터에 대한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원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전원 제어 동작을 각각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티브이가 연결된 제1커넥터, 에어컨이 연결된 제2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부(110)의 경우,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받은 전원 제어 신호에서 먼저 식별 번호(예를 들어, 티브이)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티브이가 연결된 제1커넥터에 대하여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Alternatively, the connector unit 110 may have a plurality of connectors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which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are connected, respectively, where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connector is assigned to the user and thus Th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product to be controlled may be performed respective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nector unit 110 including the first connector to which the TV is connected and the second connector to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he connector unit 110 may be a power control signal first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for example, the TV) is checked and a power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first connector to which the TV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number is connected.

여기서, 식별 번호는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부(110)와 리모컨부(120), 그리고 리모컨부(120)와 전자 제품 간의 무선 통신이 동일한 방식(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에 커넥터부(110)를 전자 제품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수신받은 전원 제어 신호에서 자신의 식별 번호를 확인한 후에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number may not only be used to distinguish each connector, but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nector unit 11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nd the electronic product is the same (for example, infrared rays). Communication) may also be used as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distinguishing the connector 110 from electronic products. At this time, the connector 110 checks its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o turn on /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커넥터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부(111), 정전압 변환부(112), 충전 배터리부(113), 제2스위치부(114), 제어부(115), 무선 송수신 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상으로 커넥터부(110)가 전기 제품의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unit 110 includes a first switch unit 111, a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112, a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a second switch unit 114, a control unit 115, and a wireless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16 is included. Herein, a case in which the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 plug of an electric product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제1스위치부(111)는 예를 들어, 릴레이(Relay),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트라이악(TRIAC, Triode AC Switc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정전압 변환부(112)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한다. 즉, 제1스위치부(111)는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1스위칭 온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상용 전원을 정전압 변환부(112)로 스위칭하며, 또한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1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정전압 변환부(112)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한다.The first switch 111 may use, for example, a relay, a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a triac (triode AC switch), or the like, and may be switched on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5. OFF to switch or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ie, AC power)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112. That is, the first switch unit 111 is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on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15 to switch the commercial power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112, and also to apply the first switching unit 115. 1 is switched 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off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that is switched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112.

정전압 변환부(112)는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온에 의해 제1스위치부(111)를 통해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인가받고, 해당 인가받은 상용 전원을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할 수 있는 직류 전원(즉,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된 정전압 전원을 충전 배터리부(113)에 인가하여 충전되도록 한다.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112 receives a commercial power source (ie, AC power) through the first switch unit 111 by switching on the first switch unit 111 and charges the applied commercial power battery unit ( It is converted into a DC power source (ie, a constant voltage power source) that can be charged to 113, and the converted constant voltag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charging battery unit 113 to be charged.

충전 배터리부(113)는 예를 들어, 슈퍼갭, 고용량 콘덴서, 충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커넥터부(110)(즉, 제어부(115))의 원격 전원 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여 제어부(115)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충전 배터리부(113)는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에서 정전압 변환부(112)로부터 정전압 전원을 인가받고,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가 될 때까지 해당 인가받은 정전압 전원을 충전한 후에,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해당 충전된 전원을 제어부(115)로 공급 한다.For example,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may use a super gap, a high capacity capacit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like, and charge the power required for remote power control of the connector unit 110 (that is, the controller 115) to control the controller 115. ) Serves as a supply. That is,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receives the constant voltage power from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112 be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f the charging capacity, and charges the applied constant voltage power until the charging capacity becomes ful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5, the charged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15.

제2스위치부(114)는 예를 들어, 릴레이, SCR, 트라이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한다. 즉, 제2스위치부(114)는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2스위칭 온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상용 전원을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며, 또한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2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한다.For example, the second switch unit 114 may use a relay, an SCR, a triac, and the like, and are switched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5 to connect commercial power (ie, AC power) through a plug. Switch to or cut off electrical appliances. That is, the second switch unit 114 is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on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15 to switch the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connected through a plug, and also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15. 2 Switching off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off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that is switched through the plug to the connected electrical appliance.

제어부(115)는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양을 감지하고 해당 감지된 충전 용량에 따라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15)는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온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만충 상태인 경우에 제1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1스위치부(111)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15)는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인지를 비교하고, 해당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제1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1스위치부(111)에 인가한다. 여기서, 해당 기준치는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양을 감지하고, 제1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1스위치부(111)에 인가하여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무선 신호(즉,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수신받고, 제2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2스위치부(114)에 인가하여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과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원을 미리 테스트 등을 통해 설정해 둔 값(즉, 제어부(115)가 대기 상태(즉, 상용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의 양)이다.The control unit 115 receives a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detects an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and detects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according to the detected charge capacity. The switching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111 is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ler 115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is in a full state in the switched-on state of the first switch unit 111, and generates a first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in the case of the full state. To be applied to the first switch section 111.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5 compares whether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switching 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unit 111, and when the re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switching on control. The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first switch 111. Here, the reference value detects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generates a first switching-on control signal, and applies the first switch unit 111 to switch the first switch unit 111. To perform an on operation, receive a wireless signal (ie, a power-on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6, and generate a second switching on control signal to generate the second switch unit 114. ) Is a value that is set in advance to test the minimum power required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such as to perform a switching-on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unit 114 (testing, etc.) That is,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perform the control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commercial power is cut off).

그리고 제어부(115)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무선 신호(즉,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받고 해당 인가받은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15)는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온 상태에서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제2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2스위치부(114)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15)는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제2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2스위치부(114)에 인가한다.The controller 115 receives a wireless signal (ie,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and switches on the second switch unit 114 according to the received power control signal.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115 generates a second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when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n the switching-on state of the second switch unit 114 to generate the second switch unit ( 114).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5 generates a second switching-on control signal when the power-on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n the switching off state of the second switch 114. 114).

다르게는, 제어부(115)는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또는,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무선 신호에 실어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리모컨부(120)로 송신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컨부(120)를 통해 쉽게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또는,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는 전기 제품 측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전류량을 체크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나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는 이유는, 커넥터부(110)의 동 작 상태와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간의 불일치를 막기 위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부(110)는 스위칭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기 제품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5 load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f the connector unit 110 to the remote control unit 120 via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16. By transmitting,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f the connector 110 through the remote control unit 120. Here, the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can be known in such a way as to check the current amount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side. In addition, the reason for confirm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or the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to prevent inconsistency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and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particular the connector unit 110 is to prevent the electrical appliance from being in the off state in advance despite being in the switched on state.

또한 다르게는, 제어부(115)는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나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커넥터부(110)의 동작 상태와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에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제2스위치부(114)를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15)는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기 제품을 오프시킨 경우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바로 제2스위치부(114)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5 check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or the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so that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and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 second switch unit 114 may be controlled to be in the same state as the power state of the product. In particular, when the user manually turns off the electric appliance in the switched on state of the second switch unit 114, the controller 115 passes the predetermined time or immediately turns the second switch unit 114 to the off state. It can be controlled to be switched.

무선 송수신부(116)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며, 무선 통신(예를 들어,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리모컨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특히, 무선 송수신부(116)는 리모컨부(120)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무선 수신부만 구성하여도 상관없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즉, 무선 송수신부(116)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 및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115)로 전달한다.The wireless transceiver 116 performs a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5,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etc.). Send and receive signals. In particular,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receives the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in this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ly the wireless receiver may be configured. That is,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receives the power-off control signal and the power-on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power-off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115.

이때, 무선 송수신부(116)가 적외선 통신을 통해 리모컨부(12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는, 실내의 미관을 고려하여 전기 제품으로 커넥터부(110)를 가리거나 외부로 보이지 않는 실내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무선 송수신부(116)가 리모컨부(120)와 송수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직접적으로 주고받기 어려운 실정을 고려하여, 리모컨부(120)와 송수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반사시켜 해당 반사된 적외선 신호가 무선 송수신부(116)와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반사판은 리모컨부(120)로부터 수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특정 방향(즉, 무선 송수신부(116)가 있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경(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리모컨부(120)로부터 수신하는 적외선 신호가 반사되어 무선 송수신부(116)로 가장 잘 유입될 수 있도록 실내 벽면에 설치해 준다.At this time, when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the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of the connector unit Since it is most often installed on an indoor wall that does not cover or look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at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s difficult to directly exchange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e remote control unit A reflection plate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ay be further included to reflect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120 to allow the reflected infrared signal to exchange wit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Here, the reflector has a reflecto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can reflect the infrare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in a specific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s located), The infrared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is reflected and installed on the indoor wall so that it can be best introduced into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다르게는, 무선 송수신부(116)는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또는,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무선 신호에 실어 리모컨부(120)로 송신한다. 또한 다르게는, 무선 송수신부(116)는 커넥터부(110) 내에 구성하지 않고, 별도로 구성을 형성시켜 전선 등을 이용하여 커넥터부(110)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load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f the connector unit 110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15 to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o send. Alternativel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6 may not be configured in the connector unit 110, but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110 by using a wire or the like.

한편, 커넥터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스위치부(111)를 사용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 변환부(211), 충전 배터리부(212), 스위치부(213), 제어부(214), 무선 송수신부(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정전압 변환부(211), 충전 배터리부(212), 스위치부(213), 제어부(214), 무선 송수신부(215)는 도 1에 도시된 정전압 변환부(112), 충전 배터리부(113), 제2스위치부(114), 제어부(115), 무선 송수신부(116)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므로, 유 사한 역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의 커넥터부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Meanwhile, the connector 110 does not use the first switch 111 as shown in FIG. 1, and as shown in FIG. 2,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211,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212, and the switch are illustrated in FIG. 2. The unit 213, the controller 214,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215 may be included. Here,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211,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212, the switch unit 213, the controller 214,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215 are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112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llustrated in FIG. 1. 113,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switch 114, the controller 115,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descriptions of similar roles will be omitted and only other portions will be described. 2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a connector portion of a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전압 변환부(211)는 제어부(214)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며,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인가받고, 해당 인가받은 상용 전원을 충전 배터리부(212)에 충전할 수 있는 직류 전원(즉,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제어부(214)에 인가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정전압 변환부(112)도 정전압 변환부(21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211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4, receives a commercial power source (that is, an AC power source), and a DC power source that can charge the applied commercial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212 ( That is, it is converted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214. 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112 shown in FIG. 1 may also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211.

충전 배터리부(212)는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정전압 변환부(112)에서 변환된 정전압 전원을 원격 전원 제어에 필요한 전원으로 충전하였다가 제어부(214)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212 charges the constant voltage power converted by the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112 with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4,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controller 214.

제어부(214)는 충전 배터리부(212)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 정전압 변환부(211)를 구동시켜 충전 배터리부(212)에 정전압 전원을 충전시켜 주며, 충전 배터리부(212)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일 때에 정전압 변환부(211)의 구동을 정지시켜 준다.The controller 214 charges the constant voltage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212 by driving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211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212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hen the charging capacity of 212 is full, the driving of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211 is stopped.

다른 한편, 커넥터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스위치부(111), 정전압 변환부(112), 충전 배터리부(113)를 사용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 전자판(311)을 포함한 태양열 전지(312)를 구비시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313), 제어부(314), 무선 송수신부(315)는 도 1에 도시된 제2스위치부(114), 제어부(115), 무선 송수신부(116)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의 커넥터 부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unit 110 does not use the first switch unit 111,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112,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a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The solar cell 312 including the solar electronic plate 311 may be provided. Here, since the switch unit 313, the controller 314,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315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switch 114, the controller 115,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llustrated in FIG. The description is omitted. Figure 3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a connector portion of 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태양열 전자판(311)은 외부로부터 빛을 유입받거나 집광하고 해당 유입받은 빛 또는 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태양열 전지(312)로 인가해 준다. 여기서, 해당 빛은 자연 광인 태양 빛을 이용하거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발광 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되는 빛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발광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빛은 직진성이 강하고 고열의 에너지를 가질 수 있는 빛으로, 예를 들어 레이저 광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olar panel 311 receives or collects light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the received light or condensed into electric energy, and applies the converted electric energy to the solar cell 312. In this case, the light may be a natural light, or may use light generated by a light emitting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y artificial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light that has a strong straightness and may have high heat energy. For example, laser light may be used.

태양열 전지(312)는 제어부(314)가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의 양만큼, 태양열 전자판(311)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축전시켜 해당 축전된 전원을 제어부(314)에 공급해 줌으로써, 제어부(314)가 바로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The solar cell 312 stores the electric energy transferred from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by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314 to perform the switching on / off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13, thereby storing the stored power. By supplying the control unit 314, the control unit 314 immediately performs the switching on / off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13.

그리고 커넥터부(110)는 외부로부터 빛을 유입받거나 집광하고 해당 유입받은 빛 또는 집광을 태양열 전자판(311)에 골고루 확산시켜 줌으로써, 태양열 전자판(311)이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효율을 증가하도록 하기 위한 광 유입 수단(바람직하게는, 렌즈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unit 110 receives or collects light from the outside, and spreads the received light or light evenly on the solar panel 311, whereby the solar panel 311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t may further comprise a light inlet means (preferably, a lens portion (not shown in the fig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increase the.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는, 실내의 미관을 고려하여 전기 제품으로 커넥터부(110)를 가리거나 외부로 보이지 않는 실내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태양열 전자판(311)이 직접적으로 빛을 유입받기 어려운 실정을 고려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켜 해당 반사된 빛이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에 집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반사판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특정 방향(즉, 태양열 전자판(311)이 있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경(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이 반사되어 태양열 전자판(311)으로 가장 잘 집광될 수 있도록 실내 벽면에 설치해 준다.Alternatively, since the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door wall surface that does not cover the outside or invisible to the connector unit 110 with electrical appliances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room, the solar panel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311 is hard to directly receive the light,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flected light can be focused on the solar electronic plate 311 of the connector unit 110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rawing may be further included. At this time, the reflector has a reflecto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can reflect the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in a specific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the ligh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reflection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wall so that the solar panel 311 can be best focused.

또 다른 한편, 커넥터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송수신부(315) 없이, 리모컨부(120)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오프할 경우에, 리모컨부(120)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된 빛을 태양열 전자판(311)에서 집광하고 해당 집광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제어부(314)에 공급해 줌으로써, 제어부(314)가 바로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이때, 해당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제어부(314)가 바로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unit 110, without the wireless transceiver 315 shown in Figure 3, when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o remotely turn on / of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s collected in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and the light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supplied to the controller 314.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14 immediately performs the switching on / off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13. In this case, the converted electric energy should be sufficient to allow the control unit 314 to immediately perform the switching on / off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13.

리모컨부(12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할 시에 원격 전원 제어를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로도 전송한다. 즉, 리모컨부(120)는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오프할 경우에,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주기 위한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로 송신하며, 또한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할 경우에,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먼저 온시켜 주기 위한 전원 온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로 송신한다.The remote control unit 120 also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for remote power control to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controlling power to the electric product remotel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unit 120 remotely turns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for remotely turning off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110, and when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remotely turned on, the connector unit 11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power-on control signal for remotely turning on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first. To send).

다르게는,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 플러그를 통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가진 커넥터부(110)의 경우, 리모컨부(120)는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를 전원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커넥터부(110)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커넥터만을 전원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식별 번호는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부(110)와 리모컨부(120), 그리고 리모컨부(120)와 전자 제품 간의 무선 통신이 동일한 방식(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에 커넥터부(110)를 전자 제품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로도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connector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which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are connected through respective plugs, the remot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for each connector. By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nector unit 110, only th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controlled for power. Here, the identification number may not only be used to distinguish each connector, but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nector unit 11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nd the electronic product is the same (for example, infrared rays). Communication) may also be used as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distinguishing the connector 110 from electronic products.

그리고 리모컨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21), 제어부(122), 무선 송수신부(123)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remote controller 120 includes an input unit 121, a controller 122, and a wireless transceiver 123.

입력부(121)는 사용자가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하기 위한 버튼(즉,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전원 온/오프 명령을 제어부(122)에게 통보한다.The input unit 121 detects when a user presses a button (that is, a power on / off button)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electric product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22 of the detected power on / off command.

제어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온/오프 명령에 따라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 즉, 제어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온 명령에 따라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하며, 또한 입력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오프 명령에 따라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power on / off command applied from the input unit 121 and transmits the power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hat is,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ower-on command applied from the input unit 121 and transmits the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and also supplies power according to the power-off command applied from the input unit 121. The off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제어 신호(즉, 전원 온 제어 신호 또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다르게는, 커넥터부(110)와 함께 전기 제품)로 전송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무선 송신부만 구성하여도 상관없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해당 무선 통신은 다수 개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기 제품과의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고 커넥터부(110)와의 무선 통신은 무선 송수신 효율이 좋은 RF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3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that is, a power-on control signal or a power-off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22 to the connector unit 110 (or alternatively,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gether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this case, only the wireless transmitter may be configured. 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a plurality of schemes.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ic product may use infrared communication, which is commonly us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or 110 may use RF communication with good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이때,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전원 제어 신호를 커넥터부(110)에만 송신하거나, 커넥터부(110)와 전기 제품에 함께 송신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22)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커넥터부(110)에 송신한 후에, 커넥터부(110) 또는 전기 제품으로부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수신받아 확인하고, 이때 전기 제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만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재 생성시켜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2)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의 경우에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커넥터부(110)로만 송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only to the connecto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2, or transmits it to the connector 110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together. That is,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and then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n state of the electrical product from the connector unit 110 or the electrical appliance. Received and confirm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23, and at this time only to generate the power-on control sig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23 only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ff to transmit to the electrical applian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2 transmits only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123 in the case of a power-off control signal.

다르게는, 리모컨부(120)는 디스플레이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또는 음성 출력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제어부(122)는 커넥터부(11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 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또는,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켜 준다.Alternatively, the remote controller 12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so that the controller 122 may include a connector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f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110 and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한편, 무선 송수신부(123)가 적외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실내의 미관을 고려하여 전기 제품으로 커넥터부(110)를 가리거나 외부로 보이지 않는 실내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무선 송수신부(123)가 커넥터부(110)와 송수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직접적으로 주고받기 어려운 실정을 고려하여, 리모컨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판을 통해 적외선 신호를 커넥터부(110)와 송수신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infrared commun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room to cover the connector unit 110 with electrical appliances or on the indoor wall surface not visible to the outside Since the installation is most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onnector unit 110,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reflector as described above the infrared signal To transmit and receive to the connector unit 110.

다른 한편, 리모컨부(120)는 발광 장치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할 시에,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켜 발광 장치부에서 발생되는 빛을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으로 유출해 준다. 여기서, 발광 장치부는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직진성이 강하고 고열의 에너지를 가질 수 있는 빛(예를 들어, 레이저 광 등)을 발생시켜 준다. 이때, 실내의 미관을 고려하여 전기 제품으로 커넥터부(110)를 가리거나 외부로 보이지 않는 실내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발광 장치부가 발생시킨 빛이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에 직접적으로 유입되기 어려운 실정을 고려하여, 발광 장치부는 빛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판을 통해 커넥터부(110)로 유출해 준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unit 120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driving the electric power to remotely control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to emit light The light emitted from the device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solar panel 311 of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generates light (for example, laser light, etc.) that may have strong straightness and high energ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2. 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cover the connector unit 110 or installed in the interior wall surface that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since mos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portion of the solar panel of the connector (110)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enter the 311, the light emitting device portion exits the light to the connector portion 110 through the reflecting plate as described above.

다시 말해서, 리모컨부(120)는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오프할 경우에, 발광 장치부에서 빛을 발생시켜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로 유 출해 준다. 이에,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태양열 전자판(311)을 통해 빛을 유입받아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즉, 스위칭 온 동작 상태)를 확인한 후에,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오프 동작을 수행하여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product is remotely turned off, the remote control unit 120 generate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discharges it to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 product is connected. Accordingly, the connector unit 110 receives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and check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hat is, the switching-on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and then the switch unit ( The switching-off operation of 313 may be performed to cut off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product.

그리고 리모컨부(120)는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할 경우에, 발광 장치부에서 빛을 발생시켜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로 유출해 준다. 이에,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태양열 전자판(311)을 통해 빛을 유입받아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즉, 스위칭 오프 동작 상태)를 확인한 후에,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 동작을 수행하여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리모컨부(120)는 전기 제품(또는, 커넥터부(110))으로부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에, 전기 제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만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remote control unit 120 remotely turns on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generates light and flows out to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Thus, the connector unit 110 receives the ligh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and check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e, the switching-off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and then the switch unit ( The switching-on operation of 313 is performed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 product.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unit 120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on-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unit 110), the power is turned on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only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off state Send control signals to electrical appliances.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7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4 to 7.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방법 중에서 리모컨부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부(12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in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wer of an electric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부(12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할 시에 원격 전원 제어를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로도 전송해 준다.As shown in FIG. 4, the remote controller 120 also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for remote power control to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power is remotely controlled. .

우선, 사용자가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하기 위해서 리모컨부(120)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즉,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 입력부(121)는 전원 온/오프 버튼의 누름을 감지한 후에 전원 온/오프 명령을 제어부(122)에게 통보한다.First, when a user presses a button (that is, a power on / off butto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o remotely control an electric product, the input unit 121 detects pressing of a power on / off button. After that, the control unit 122 is notified of the power on / off command.

이에, 제어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전원 온/오프 명령을 통보받았는지를 확인한다(S401). 이때, 상술한 단계 S401에서 전원 온/오프 명령을 통보받은 경우, 제어부(122)는 전기 제품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S402). 이때,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 플러그를 통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부(110)의 경우, 제어부(122)는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를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22 checks whether the power on / off command has been notified from the input unit 121 (S401). At this time, when the power on / off command is notified in step S401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22 generates a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the powe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402).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connector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through each plug, the control unit 122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connector in the power status check request signal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ly. Transfer to section 123.

이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 또는 전기 제품 측으로 전송한다(S403). 이때,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이유는, 커넥터부(110)의 동작 상태와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간의 불일치를 막기 위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부(110)는 스위칭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기 제품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the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to the connector 110 or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403). In this case, the reas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is to prevent inconsistency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and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particular, although the connector unit 110 is switched on, This is to prevent being turned off in advance.

그런 후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커넥터부(110) 또는 전기 제품 측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122)에 전달한다.Thereafter,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receives the power status check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connector 110 or the electrical appliance sid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22.

그러면, 제어부(122)는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확인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체크한다(S404). 여기서, 제어부(122)는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부(1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Then, the controller 122 checks the power state chec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o check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n (S404). Here, the controller 122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20 to inform the user.

이때, 상술한 단계 S404에서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122)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S405). 여기서,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 플러그를 통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부(110)의 경우, 제어부(122)는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를 전원 오프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 또한, 식별 번호는 각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부(110)와 리모컨부(120), 그리고 리모컨부(120)와 전자 제품 간의 무선 통신을 동일한 방식(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에 커넥터부(110)를 전자 제품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로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n state in step S404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off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405). Here, in the case of the connector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through each plug, the control unit 122 includes th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connector in the power-off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ceiver Forward to 123.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not only used to distinguish each connect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nd the electronic product in the same manner (for example, infrared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nnector 110 may also be used as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distinguishing the electronic product.

이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로 전송함으로써,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S406).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a power-off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to the connector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remotely turning off the connector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It is to block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S406).

다르게는, 제어부(122)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기 제품 및 커넥터부(110)로 순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전기 제품이 원격으로 오 프된 후에 커넥터부(110)가 원격으로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22 sequentially transmits a power-off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nnector 11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o that the connector 110 is remote after the electrical appliance is remotely turned off. It can also be turned off.

반면에, 상술한 단계 S404에서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부(122)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S407). 이때,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 플러그를 통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부(110)의 경우, 제어부(122)는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를 전원 온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ff state in step S404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407).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connector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through each plug, the control unit 122 includes th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connector in the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ceiver Forward to 123.

이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로 전송함으로써,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도록 한다(S408).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the power-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to the connector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remotely turning on the connector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Commercial power is to be supplied to the electric product (S408).

그런 다음에, 제어부(122)는 전기 제품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S409).Then, the control unit 122 generates a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the powe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409).

그러면,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 또는 전기 제품 측으로 전송한다(S411). 그런 후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커넥터부(110) 또는 전기 제품 측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122)에 전달한다.Then,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the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to the connector 110 or the electrical appliance 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411). Thereafter,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receives the power status check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connector 110 or the electrical appliance sid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22.

이에 따라, 제어부(122)는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확인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지를 체크한다(S411).Accordingly, the controller 122 checks the power state chec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o check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ff (S411).

이때, 상술한 단계 S411에서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부(122)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재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 다(S412). 이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으로 전송함으로써,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시켜 주도록 한다(S413).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ff stat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411, the control unit 122 regenerates the power-on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3 (S412). 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a power-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to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remotely turning on the electrical product (S413).

다르게는, 상술한 단계 S407에서 S413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어부(122)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커넥터부(110) 및 전기 제품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커넥터부(110)가 원격으로 온된 후에 전기 제품이 원격으로 온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413 in step S407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and sequentially transmits the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110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After the connector unit 110 is remotely turned on, the electrical appliance may be remotely turned on.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방법 중에서 리모컨부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부(120)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에서 발생되는 빛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in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ower of an electric product by using light generated by a light emitt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부(12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할 시에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켜, 발광 장치부에서 발생되는 빛을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으로 유출해 준다.As shown in FIG. 5, the remote controller 120 drives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remotely control power of the electric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nects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product. It flows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311 of (110).

우선, 사용자가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하기 위해서 리모컨부(120)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 입력부(121)는 전원 온/오프 버튼의 누름을 감지한 후에 전원 온/오프 명령을 제어부(122)에게 통보한다.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on / off butto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20 to remotely control the electric product, the input unit 121 detects the pressing of the power on / off button and then turns on the power on / off. The control unit 122 is notified of the off command.

이에, 제어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전원 온/오프 명령을 통보받았는지를 확인한다(S501). 이때, 상술한 단계 S501에서 전원 온/오프 명령을 통보받은 경 우, 제어부(122)는 전기 제품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S502).Accordingly, the controller 122 checks whether the power on / off command has been notified from the input unit 121 (S501). At this time, when the power on / off command is notifi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1, the control unit 122 generates a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the powe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fer (S502).

이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 측으로만 전송하는데, 이런 경우는 커넥터부(110) 내에 무선 송수신부(315)가 없을 때이다(S503). 반면에, 커넥터부(110) 내에 무선 송수신부(315)가 있는 경우에는, 무선 송수신부(123)가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커넥터부(110)로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a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only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transceiver 315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10. It is when there is no (S503).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wireless transceiver 315 in the connector unit 110,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also transmits a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to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an transmit

그런 후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전기 제품(또는, 커넥터부(110)) 측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122)에 전달한다.Thereafter,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receives the power status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22.

그러면, 제어부(122)는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확인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체크한다(S504).Then, the controller 122 checks the power state chec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o check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n (S504).

이때, 상술한 단계 S504에서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122)는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키고 해당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전기 제품의 플러그에 연결된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으로 유출해 커넥터부(110)를 구동시켜 줌과 동시에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주도록 한다(S505).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n stat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4, the control unit 122 drives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generates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to generate solar electrons of the connector unit 110 connected to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utflow to the plate 311 to drive the connector unit 110 and at the same time to turn off the connector unit 110 remotely (S505).

다르게는, 제어부(122)는 빛을 발생시켜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으로 유출시킴과 동시에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커넥터부(110)로 전송함으로써, 빛에 의해 커넥터부(110)를 구동시켜 주는데 사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원 오프 제어 신호에 의해 전기 제품의 플러 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22 generates light and discharges it to the solar panel 311 of the connector unit 110,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power-off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123. By transmitting, it is used to drive the connector unit 110 by l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commercial power supply su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by remotely turning off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by the power-off control signal. To block.

여기서, 제어부(122)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기 제품 및 커넥터부(110)로 순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전기 제품이 원격으로 오프된 후에 커넥터부(110)가 원격으로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커넥터부(110) 내에 무선 송수신부(315)가 있는 경우이다.Here, the control unit 122 sequentially transmits a power-off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nnector unit 11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o that the connector unit 110 is remotely turned off after the electrical appliance is remotely turned off. It can also be turned off. This is the case where there is a wireless transceiver 315 in the connector 110.

반면에, 상술한 단계 S504에서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부(122)는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키고 해당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으로 유출해 줌으로써,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도록 한다(S506).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ff stat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4, the controller 122 drives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generates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to generate solar heat of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By leaking to the electronic plate 311, the connector 110 connected to the plug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remotely turned on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S506).

다르게는, 제어부(122)는 빛의 유출과 함께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커넥터부(110)로 전송함으로써,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것은 커넥터부(110) 내에 무선 송수신부(315)가 있는 경우이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along with the leakage of light and transmits the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11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o remotely connect the connector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Turn on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electrical appliances. This is the case where there is a wireless transceiver 315 in the connector 110.

그런 후에, 제어부(122)는 전기 제품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하며(S507), 이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또는, 커넥터부(110)) 측으로 전송한다(S508).After that,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507), whereb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controls the controller. The power state check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122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unit 110) 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508).

이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123)는 전기 제품(또는, 커넥터부(110)) 측으로부 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122)에 전달하며, 제어부(122)는 무선 송수신부(123)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확인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지를 체크한다(S509).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receives the power status check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22, and the controller 122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ly. The power state chec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unit 123 is checked to check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ff (S509).

이때, 상술한 단계 S509에서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부(122)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S510). 이에, 무선 송수신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으로 전송함으로써,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시켜 주도록 한다(S511).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the power-off stat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9, the controller 122 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S510). Accordingly,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ransmits the power-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2 to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remotely turning on the electrical product (S511).

다르게는, 상술한 단계 S506에서 S511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어부(122)는 빛 유출 및 전원 온 제어 신호 전송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즉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커넥터부(110)의 태양열 전자판(311)으로 유출시킨 다음에, 바로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무선 송수신부(123)를 전기 제품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부(110)가 원격으로 온된 후에 전기 제품이 원격으로 온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511 in the above-described step S506, the control unit 122 to sequentially perform the light leakage and power-on control signal transmission, that is, by generating a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connector 110 After draining to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of), immediately generates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ransmit the wireless transceiver 123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electrical appliance is remote after the connector 110 is remotely turned on It can also be turned 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방법 중에서 커넥터부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부(120)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플러그에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통해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a connector unit in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ure 6 is a remote to remotely control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the connector 110 connected to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metho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통신 을 통해 수신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온/오프한다. 이때,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 플러그를 통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부(110)의 경우, 커넥터부(110)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 내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식별 번호에 전자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의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nector unit 110 turns on / off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al product connected through a plug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connector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through each plug, the connector unit 110 is an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e controller may perform a power control operation of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number.

우선, 제어부(115)는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양을 감지한 후에(S601),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이하인지를 비교한다(S602). 여기서, 제어부(115)는 제1스위치부(111)가 스위칭 온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온 상태인 경우에는 현재 충전 배터리부(113)로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있는 중이므로, 상술한 단계 S601부터 반복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15 receives the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5 detects an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601), and compares whether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13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602). Herein, the control unit 115 checks whether the first switch unit 111 is in the switched on state, and when the first switch unit 111 is in the switched on state, the controller 115 performs a charging operation to the current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Since it is present, it may be repeated from the above-described step S601.

다르게는, 제어부(115)는 상술한 단계 S601을 수행하지 않고도 이벤트 발생 시에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제공받을 때에 충전 배터리부(113)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이 기준치 이하인지를 바로 비교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15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when receiving the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when an event occurs without performing step S601 described above. You can also compare immediately.

이때,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115)는 제1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1스위치부(111)에 인가한다(S603).In this case,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602, the controller 115 generates a first switching-on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first switch unit 111 (S603).

이에, 제1스위치부(111)는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1스위칭 온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상용 전원을 정전압 변환부(112)로 스위칭하며, 정전압 변환부(112)는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온에 의해 제1스위치부(111)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 전원(즉, 교류 전원)을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할 수 있는 직류 전원(즉,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충전 배터리부(113)에 인가하여 충전되도록 한다(S604).Accordingly, the first switch unit 111 is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first switching-on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15 to switch the commercial power supply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112, and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112 may include the first switch. By switching on of the switch unit 111, a commercial power source (that is, AC power source) applied through the first switch unit 111 as a DC power source (ie, a constant voltage power source) capable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The conversion is applied to the charging battery 113 to be charged (S604).

그리고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나, 상술한 단계 S604의 동작을 수행한 후에, 제어부(115)는 소정의 시간 주기로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605). 이때, 제어부(115)는 제1스위치부(111)가 스위칭 온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제1스위치부(111)의 스위칭 온 상태인 경우에 상술한 단계 S605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602 described above or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step S604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15 charges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Check whether the capacity is full (S605).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5 may check whether the first switch unit 111 is in the switched on state and perform the above-described step S605 when the first switch unit 111 is in the switched on state.

다르게는, 제어부(115)는 소정의 시간 주기로 체크하지 않고 이벤트 발생 시에 충전 배터리부(113)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제공받을 때에 충전 배터리부(113)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의 양이 만충 상태인지를 바로 비교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15 does not check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checks whether the amount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113 is full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13 is supplied when an event occurs. You can also compare

이때,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601로 복귀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충전 배터리부(113)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 제어부(115)는 제1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1스위치부(111)에 인가한다(S606).At this time,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is not full at step S605 described abov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01 described above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3 is ful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605, the controller 115 generates a first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first switch unit 111 (S606). .

이에, 제1스위치부(111)는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1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정전압 변환부(112)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 한다(S607).Accordingly, the first switch 111 is switched off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15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witched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112 (S607).

한편, 상술한 단계 S601부터 단계 S607가지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태양열 전자판(311)이 외부로부터 빛을 유입받거나 집광하고 해당 유입받은 빛 또는 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태양열 전지(312)로 인가해 줄 수도 있다.Meanwhile,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steps S601 to S607 described above,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receives or collects light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the received light or condensed into electric energy to convert the converted electric energy. It may be applied to the solar cell 312.

이에, 태양열 전지(312)는 제어부(314)가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의 양만큼, 태양열 전자판(311)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축전시켜 해당 축전된 전원을 제어부(314)에 공급해 줌으로써, 제어부(314)가 태양열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바로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Accordingly, the solar cell 312 stores electric energy delivered from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by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314 to perform the switching on / off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13. By supplying the supplied power to the control unit 314, the control unit 314 receives power from the solar cell to perform the switching on / off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13 immediately.

그런 다음에, 제어부(115)(또는, 제어부(314); 이하 설명의 편의상으로 생략함)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116)(또는, 무선 송수신부(315); 이하 설명의 편의상으로 생략함)를 통해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한다(S608).Then, the control unit 115 (or the control unit 314;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16 (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15; It is checked for convenience) to receive the power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power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off control signal (S608).

다르게는, 제어부(115)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즉, 제2스위치부(114)(또는, 스위치부(313); 이하 설명의 편의상으로 생략함)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인가받은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임을 식별한다.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115 receives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that is, the second switch unit 114). (Or the switching-on state of the switch unit 313; hereinafter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the on state of the electric product, and identify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the power-off control signal.

만약에, 상술한 단계 S608에서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온 상태에서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제어부(115)는 제2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2스위치부(114)에 인가한다(S609).If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n the switching-on state of the second switch unit 114 in the above-described step S608, the controller 115 generates a second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switch 114 is applied (S609).

이에 따라, 제2스위치부(114)는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2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한다(S610).Accordingly, the second switch unit 114 is switched off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15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that is switched to the electrical product connected through the plug (S610).

반면에, 상술한 단계 S608에서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지 않은 경우, 제어부(115)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인가받은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한다(S611).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s not applied in step S608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15 checks whether the power-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2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s a power-on control signal. (S611).

다르게는, 제어부(115)는 리모컨부(12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즉,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인가받은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임을 식별한다.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115 receives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that is, the second switch unit 114). Switching off state) or the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check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a power-on control signal.

이에, 상술한 단계 S611에서 제2스위치부(114)의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무선 송수신부(116)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제어부(115)는 제2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2스위치부(114)에 인가한다(S612).Thus, when the power-on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16 in the switching-off state of the second switch unit 114 in the above-described step S611, the controller 115 generates a second switching on control signal by It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unit 114 (S612).

그러면, 제2스위치부(114)는 제어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2스위칭 온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상용 전원을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여 공급해 준다(S613).Then, the second switch unit 114 is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second switching-on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15 to switch and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connected through the plug (S613).

도 7은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방법 중에서 커넥터부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즉, 도 7은 본 발명의 이 실 시 예에 따른 리모컨부(120)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에 의해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플러그에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통해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a connector unit in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ure 7 is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the connector 110 connected to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송수신부(315)가 없는 경우에 리모컨부(120)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에 의해 발생된 빛을 태양열 전자판(311)에서 집광하고 해당 집광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제어부(314)에 공급해 줌으로써, 제어부(314)가 바로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즉, 태양열 전자판(3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는, 제어부(314)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리모컨부(120)로부터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전원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신호로도 사용된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or unit 110 emits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20 when there is no wireless transceiver 315 illustrated in FIG. 3. By condensing at 311 and converting the collected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supplying it to the control unit 314, the control unit 314 immediately performs the switching on / off control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13. That is,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14 and also as a power control sig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electric produc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20. Used.

우선, 제어부(314)는 태양열 전자판(311)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S701) 해당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즉,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체크하여, 태양열 전자판(311)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은 경우를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주기 위한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았음으로 식별한다(S702).First, the controller 314 receives electrical energy through the solar panel 311 (S701)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using the supplied electrical energy. In this case,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or 110 (that is, The switching-on state of the switch unit 313) or the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when the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hrough the solar panel 311, the connector unit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onnected is remotely turned off. It is identified that the power-off control signal to enable the operation (S702).

만약에, 상술한 단계 S702에서 태양열 전자판(3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로 식별한 경우, 제어부(314)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스위치부(313)에 인가한다(S703).If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311 is identified as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n step S702, the controller 314 generates a switching-off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switch unit 313 ( S703).

이에, 스위치부(313)는 제어부(314)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되어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한다(S704).Thus, the switch unit 313 is switched off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314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is switch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hrough the plug (S704).

반면에, 상술한 단계 S702에서 태양열 전자판(3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로 식별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314)는 커넥터부(110)의 현재 동작 상태(즉, 스위치부(313)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를 체크하여, 태양열 전자판(311)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은 경우를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 커넥터부(110)를 원격으로 온시켜 주기 위한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았음으로 식별한다(S705).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311 is not identified as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n step S702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14 i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unit 110 (that is, the switch unit ( The switching off state of 313) or the off state of the electric product, and for remotely turning on the connector 110 to which the plug of the electric product is connected when electric energy is supplied through the solar panel 311. The power-on control signal is identified as being received (S705).

이때, 상술한 단계 S705에서 태양열 전자판(3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원 온 제어 신호로 식별한 경우, 제어부(314)는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스위치부(313)에 인가한다(S706).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olar electronic panel 311 is identified as the power-on control signal in step S705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314 generates a switching-on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switch unit 313 (S706). ).

그러면, 스위치부(313)는 제어부(314)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온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되어 상용 전원을 플러그를 통해 연결된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여 공급해 준다(S707).Then, the switch unit 313 is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switching-on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314 to switch and supply the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s connected through the plug (S707).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오프할 경우에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도 원격으로 온/오프시켜 줌으로써, 전기 제품의 대기 상태 시에도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 제품의 대기 상태 시에 발생되는 전력 손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기 제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조작 없이 편리하게 전기 제품을 원격으로 온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한 자연 광 또는 발광 장치에 의한 빛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도록 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오프할 경우에 리모컨에 구비된 발광 장치에 의해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켜 줌으로써,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기 전원을 가지고 있어야 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tely turns on / of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used to remotely turn on / off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t can cut off the power loss caused by the standby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it is possible to remotely turn on the electrical appliance conveniently without any operation even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cut off. It converts the energy of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nto electrical energy to be used to perform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or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electrical appliances remotely using the remote control. By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 to turn on / of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ere is no need to wait at least should have the power to perform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s on the connector to allow significantly reduce power loss has been described on the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like. Such an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있어 커넥터부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FIG. 2 is another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unit in FIG. 1.

도 3은 도 1에 있어 커넥터부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3 is still another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unit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8)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커넥터는,The connector,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해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부,Rechargeable battery unit for charging and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상용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 배터리부에 충전하는 정전압 변환부,A constant voltage converter converting commercial power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상태 정보를 상기 리모컨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에 따라 상기 정전압 변환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의 현재 동작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 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check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or the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ting the confirmed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wireless receiving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the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정전압 변환부를 구동시켜 주며,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정전압 변환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And driving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nd stopping driving of the constant voltage converter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fu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When a power-off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a switching-off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witch unit to control a switching-off operation. When the power-on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the switch-on is switched on.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witch unit to control a switching-on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 내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커넥터에 대하여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When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is checked, and the switching on / off operation is controlled for th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number. Remote pow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제어 신호를 반사시켜 해당 반사된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power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allow the reflected power control signal to be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삭제delete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커넥터는,The connector,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해서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부,Rechargeable battery unit for charging and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상태 정보를 상기 리모컨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에 따라 제1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커넥터의 현재 동작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 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제2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ing a first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checking a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or or an on /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ting the checked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econd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A first 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commercial power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제1스위치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 배터리부에 충전하는 정전압 변환부, 그리고A constant voltage converter converting commercial power applied through the first switch unit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제2스위치부A second 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에 제1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1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부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제1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1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full, a first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first switch unit to control the first switching off operation, and when the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and applying a switching on control signal to the first switch to control the first switching-on opera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제2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2스위칭 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제2스위칭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스위치부에 인가하여 제2스위칭 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When a power off contro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a second switching off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unit to control a second switching off operation, and a power 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And a second switching 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unit to control the second switching on operation when the second switching 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커넥터는,The connector,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전자판,Solar electronic panel that collects light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상기 태양열 전자판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축전시켜 공급하는 태양열 전지,A solar cell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supply electrical energy converted by the solar panel to power required for a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태양열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solar cell and controls a switching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the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커넥터는,The connector,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태양열 전자판에 골고루 확산시켜 주기 위한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The remote power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lens unit for evenly spreading the light from the outside to the solar panel.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켜 해당 반사된 빛이 상기 태양열 전자판에 집광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reflected light is focused on the solar electronic panel.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커넥터는,The connector,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에서 발생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전자판,Solar electronic panel for conden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to convert into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상기 태양열 전자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A controller for controlling switching on / off operation by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solar panel;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여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스위칭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Switch unit for switching on or off the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y switching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리모컨은,The remote control,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감지하는 입력부,Input unit for detect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on / off button, 상기 입력부의 감지에 따라 전원 오프 제어 신호 또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킨 경우에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확인하고 이때 상기 전기 제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재 생성시키는 제어부,A power-off control signal or a power-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input unit, and when the power-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power-on control is checked when the electric product is in the off state. A control unit for regenerating the signal,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전원 오프 제어 신호 또는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재 생성시킨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그리고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ower-off control signal or a power-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connector, and transmit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re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기 제품으로부터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무선 수신부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from the connector or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가 포함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The remote pow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containing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connector, if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기 제품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전원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무선 송신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And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distinguishing the connector from the electrical product in a power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한 원격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A remote power control device having a connector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remote contro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produc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리모컨은,The remote control,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태양열 반사판으로 유출하는 발광 장치부,A light emitting device unit generating light and flowing out to the solar reflector provided in the connector;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감지하는 입력부,Input unit for detect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on / off button, 상기 입력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커넥터의 스위칭 온 상태 및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전기 제품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input unit, and checking a switching on state of the connector and an on state of the electric appliance to generate a power-on control signal when the electric appliance is in an off state;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그리고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기 제품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스위칭 온 상태 및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무선 수신부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switching on state of the connector and the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from the connector or the electrical appliance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리모컨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remote control, 사용자에 의한 전원 온/오프 버튼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로 전송하는 단계,Genera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ignal to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a user presses the power on / off button;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Receiving a power status check signal from the connector to check whether the power status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n, and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n state, generating a power-off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o the connector, by remotely turning off the connector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 및 상기 커넥터로 순차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오프시킨 후에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commercial power includes remotely turning off the connector after remote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by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power off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nnector. Power control method.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는,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request signal,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커넥터에 대해 부여된 식별 번호를 상기 요청 신호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If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each o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cluding an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each connector in the request signal. 삭제delete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Genera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when the electric appliance is in a power-off state, and remotely turning on the connector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 appliance; Control method.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전기 제품 또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to confirm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ff, and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재 생성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And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 off state, re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o remotely turn on the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wer of an electrical product using a remote control, 사용자가 전원 온/오프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on / off button, 상기 전원 온/오프 버튼의 누름을 감지한 경우,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발광 장치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그리고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power on / off button is pressed; and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Generating light by the light emitting unit and flowing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o remotely turn on / off the connector 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전기 제품 또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to confirm whether the electrical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n, and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원격으로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n state,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flows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thereby driving the connector and remotely turning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Step to block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전기 제품 또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온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Receiving a power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or the connector to confirm whether the electrical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n, and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그리고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n state, generating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flowing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to drive the connector; and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 격으로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off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to turn off the connector remotely to cut off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or 26,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ff state,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flows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to drive the connector and remotely turn it on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 확인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전기 제품으로부터 전원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Receiving a power status check signal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to check whether the power status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off, and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시키는 단계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 off state, genera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o remotely turn on the electrical applianc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or 26,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오프시키는 단계는,Remotely turning on / off the connector, 상기 전기 제품이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 장치부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상기 커넥터의 태양열 전자판으로 유출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그리고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 power-off state, generating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unit and flowing out to the solar electronic plate of the connector to drive the connector; and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커넥터로 송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ower-on control signal to the connector to remotely turn on the connector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의 전원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Driving the connector by using power of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connector or light energ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상기 전기 제품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check whether the power-off control signal;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When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off control signal, by turning off the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or to cut of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상기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 제품 및 상기 커넥터로 순차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전기 제품의 전원을 원격으로 오프시킨 후에 상기 커넥터를 원격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The cutting off the commercial power may include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power off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connector, and remotely turning off the connector after remotely powering off the electrical applianc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whether a charg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상기 충전 용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을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When the charging capacity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converting the commercial power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충전 용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If the charging capacity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checking whether the charging capacity is full, and 상기 충전 용량이 만충 상태인 경우, 상기 상용 전원이 정전압 전원으로 변환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Blocking the conversion of the commercial power into a constant voltage power when the charging capacity is ful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And condensing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into electrical energy and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required for the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전원 오프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Determining whether the power-off control signal is, 상기 전기 제품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그리고Checking a switching on state of the switch or an on state of the electric appliance when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오프 제어 신호임을 식별하는 단계Identifying that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 off control signal when the switch is in a switched on state or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n on stat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각기 다른 전자 제품이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커넥터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상기 전원 제어 신호로부터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If the different electronic products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from the power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or.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Checking whether the powe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a power-on control signal; and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를 온시켜 상용 전원을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If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on control signal,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electrical product by turning on a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o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제35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전원 온 제어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Checking whether the power-on control signal, 상기 전기 제품의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그리고Checking a switching-off state of the switch or an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when receiving a power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온 제어 신호임을 식별하는 단계Identifying that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 power on control signal when the switch is in the off state or in the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전기 제품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through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커넥터의 원격 전원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단계,Condensing light from outside and converting the light into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a remote power control operation of the connector; 상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Driving the connector using the converted electrical energy;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Checking a switching on state of a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or or an on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온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온 상태인 경우,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Identifying a power-off control signal as being applied when the switch is in a switched on state or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 an on state, and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전기 제품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Turning off the switch to cut off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Checking the switching off state of the switch provided in the connector or the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상태 또는 상기 전기 제품의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온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그리고Identifying a power-on control signal as being applied in the switched off state of the switch or in the off stat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상용 전원을 전기 제품으로 공급하는 단계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by turning on the switch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원 제어 방법.Remote p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KR1020080078833A 2008-08-12 2008-08-12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0945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33A KR100945388B1 (en) 2008-08-12 2008-08-12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33A KR100945388B1 (en) 2008-08-12 2008-08-12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62A KR20100020162A (en) 2010-02-22
KR100945388B1 true KR100945388B1 (en) 2010-03-04

Family

ID=4209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33A KR100945388B1 (en) 2008-08-12 2008-08-12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3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6624A (en) * 2019-07-04 2019-09-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Wireless controlled molding group, wireless switch on wall, electrical equipment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937Y1 (en) * 2006-03-03 2006-05-23 (주)엠에스텍 Wireless power saving plug socket
KR20070081927A (en) * 2006-02-14 2007-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Television having remotecontrol ability and method thereof
KR20070106912A (en) * 2006-05-01 2007-11-06 이효영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927A (en) * 2006-02-14 2007-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Television having remotecontrol ability and method thereof
KR200416937Y1 (en) * 2006-03-03 2006-05-23 (주)엠에스텍 Wireless power saving plug socket
KR20070106912A (en) * 2006-05-01 2007-11-06 이효영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62A (en)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642B1 (en) Stand by electric power intercep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RU2419932C1 (en) Plug device
US20080218148A1 (en) Intelligent Power Control
JP2017523758A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1211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KR20000023100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electrical apparatus
ITTO20090214A1 (en) POWER CIRCUIT FOR REMOTE IGNITION OF ELECTRIC APPLIANCES
US20210003982A1 (en) Wireless control module, wireless wall switch, powered device and system
KR20110139744A (en)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CN105379045A (en) LPS architecture for UPS systems
KR102220760B1 (en) Standby power cuttinng-off apparatus
KR100945388B1 (en)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O2007136213A1 (en) Electric outlet device
KR20180082489A (en) Interne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enabling connection of electronic devices in use via Internet
RU2185040C1 (en) Method, system, and regulator power unit for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domestic appliances, primarily for luminosity control of lighting fixtures
KR201100179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stand-by electric power
KR200231921Y1 (en) Rf remote control power switching apparatus
KR101072489B1 (en) Stand by electric power intercep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20227B1 (en)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CN104882973A (en) Composite apparatus system
KR102327693B1 (en) Socket device and socke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964489B1 (en) Plug apparatus
KR20210016261A (en) Switch appliance
KR101123731B1 (en) Conn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882972A (en) Composite apparatu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