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740B1 -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6740B1 KR101846740B1 KR1020160153721A KR20160153721A KR101846740B1 KR 101846740 B1 KR101846740 B1 KR 101846740B1 KR 1020160153721 A KR1020160153721 A KR 1020160153721A KR 20160153721 A KR20160153721 A KR 20160153721A KR 101846740 B1 KR101846740 B1 KR 101846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controller
- portable terminal
- mobile terminal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9—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optical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by means of mobile telephony
-
- H02J13/0065—
-
- H02J13/007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콘센트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결합되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aving energy by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an outlet for connecting an electric power source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saving energy by being connected to an outl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controller that can be controlled by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easily control electric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 appliance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통상적으로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는 전자기기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전자기기를 콘센트 장치로부터 제거하거나 콘센트 장치의 공급 전원 자체를 차단했다. 하지만,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통상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전자기기와 콘센트 장치를 계속 연결시켜 놓은 상태에서 이용하게 된다.In general, the standby power cut-off receptacle is used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wastage by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that is continuously consumed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Conventionally, in order to shut off the standby power, The supply power itself has been cut off. However, since this is a very cumbersome task, users are aware of the fact that standby power is consumed, but still use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utlet device while keeping it connected.
이에 종래에 개시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68638호에서 전원 게이트부와, 전원 게이트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외부 신호를 전송하는 전원선택 송신부로 구성되어, 휴지시의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잔량의 전류를 원격으로 차단하여 비사용시에도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근원적으로 줄이거나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stand-by power supply disconnecting receptacle,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68638, a power gate unit and a power source gate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d / wireless lines to receive an external signal, and a power source And a selective transmission unit for remotely shutting off the remaining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ic apparatuses when the apparatus is at rest so that the standby power supplied even when not in use is basically reduced or cut off.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전원 게이트부의 대기전력을 원격으로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나, 송수신부를 통한 단방향 제어방식으로 인해 다양한 전원 게이트부의 원격 제어에 한계가 따랐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remote control of various power gate portions due to a technique for remotely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power gate portion us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rtion or a unidirectional control method us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rtion.
즉, 가정용으로 사용시 각 방마다 사용되는 다수개의 전원 게이트부의 추가등록 및 삭제, 변경에 어려움이 따르고, 또 각각의 전원 게이트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콘센트홀에 대한 개별적인 대기전력 차단이 불가능하여 일률적으로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동일한 전원 게이트부에 사용 전자기기와 불사용 전자기기가 함께 연결시 불사용 전자기를 통한 대기전력 소모를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따랐다.That is, it is difficult to additionally register, delete, or change a plurality of power source gates used in each room when using the power source unit for home use, and it is impossible to individually cut off standby power for a plurality of outlet holes provided in each power source gate unit, ,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ndby power consumption through non-use electromagnetic can not be blocked when a used electronic device and a non-used electronic device are connected together in the same power gate portion.
한편, 콘센트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종래의 기술의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8778호(2011. 11. 01. 공고)가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1078778 (published on November 11, 2011) disclose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blocking standby power of an outlet.
도 1은 상기 종래 특허 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 구성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standby power automotive switch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도 1에서 종래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100)는 벽체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이동형으로도 구성이 가능하고, 옥내 배선에 따라 TV, 냉장고, 세탁기, 전기 난로 같은 여러 가지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통해 접속하여 사용하는 콘센트장치와 연결구조를 가지며, 상시전원 또는 대기전력 차단 여부를 스위치장치(100)에 의하여 제어한다. 1, the conventional stand-by power automotive switch 100 can be fixedly mounted on a part of a wall, or can be configured as a portable type. According to indoor wiring, a plug of various electric devices such as a TV,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the switch device 100 controls whether or not to cut off the power supply or the standby power at all times.
도 1에서 도면번호 110은 제어부로, 상기 콘센트장치의 플러그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전자기기에 상시전원 공급상태, 미사용시 대기전력 차단상태를 설정하거나 상기 스위치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고, 도면번호 12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스위치장치(100)와 연동된 콘센트장치와 체결된 전자기기에 상시전원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전원스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버튼형태 또는 ON/OFF의 스위치 형태로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1,
또한, 전원스위치(120)의 버튼을 1회 누르면 하기에 기술될 상기 LED 구동부에 상시 LED가 구동되고 상기 스위치 장치(100)에 연결된 콘센트에 상시전원이 인가되고, 1회 더 누르면 상시전원이 차단되어 해당 콘센트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When the button of the
또한, 도면번호 130은 선택스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스위치장치(100)와 연동된 콘센트장치와 체결된 전자기기의 미사용에 따른 해당 콘센트장치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선택하게 되며, 이는 전원스위치(120)와 같이 버튼형태 또는 ON/OFF의 스위치 형태로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택스위치(130)도 상기 전원스위치(120)의 원리와 같이 해당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스위치장치(100)에 연결된 콘센트에 대기전력 차단기능이 설정되고, 한번 더 누르면 콘센트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When the user presses a corresponding button on the principle of the
또한, 도면번호 140은 전류센서로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전원스위치(120)가 구동되고 상기 선택스위치(130)의 대기전력차단 설정에 따라 유입된 전력의 해당 전류량을 체크하거나, 해당 전자기기의 정격를 확인하여 설정된 대기전력 이하 시 자동 차단되도록 전자기기의 전류량을 체크하며, 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센서(1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삽입부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해당 측정된 전력량의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한다.
도면 번호 170은 입력설정부로서, 플러그 삽입부와 체결된 전자기기와 상기 스위치장치(100)의 대기전력 차단을 설정하거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해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버튼으로 구성되며, 한편, 상기의 입력설정부(170)은 다수개의 key pad로 구성되어 key pad의 입력창을 통해 대기전력 차단을 위해 콘센트장치(200)에 체결된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선택스위치(120)의 구동에 따라 해당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구동하거나, 1개의 입력 버튼으로 구성되어 5초 이상 누르면 대기전력 차단기능 해제 또는 10초 이상 누르면 대기전력차단 동작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번호 160은 LED 구동부로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전원스위치(120)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시전원이 공급될 때 상시전원 설정 여부를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스위치(130)의 대기전력 차단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설정부(170)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표시하거나, 구동상태가 점등신호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LED 구동부(160)는 대기, 리모콘, 상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적절한 색상의 LED를 설정할 수 있다.
도면번호 190은 무선수신부로서 상기 선택스위치(120)의 버튼 구동중 전자기기의 리모콘 송신기(도면 미도시)와 연동되어 리모콘 송신기의 전송(ON)신호에 따라 외부 리모콘 구동상태로 설정되거나, 리모콘 송신기의 신호 미전송(OFF)시 대기전력 차단설정을 위해 리모콘 송신기의 전송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무선수신부(190)는 스위치장치(100)의 내부에 모듈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면번호 180은 디스플레이부로서 상기 스위치장치(100)의 상기 전류센서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의 측정된 전력량이 A/D 컨버터를 통해 변환되어 해당 측정된 전력량을 표시하거나, 상기 입력설정부(170)의 구동신호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여부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리모콘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리모콘을 사용하여 전자기기를 off하여도 또 다른 과정을 거쳐야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ls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andby power cut-off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standby power can be shut off after another process is performed even when the remote control is used to turn off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mote control.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으로 콘센트에 흐를 수 있는 대기 전력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차단하기 할 수 있는 기술이 특허출원번호가 제10-2015-0063925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인 선행특허문헌에 아래 도 2~도 4와 같이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ology capable of easily and automatically shutting off standby power that can flow into a socket with a smartphone i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63925, entitled " Quot;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s. 2 to 4 below.
도 2~도 4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예이다.FIGS. 2 to 4 are examples of the prior art relating to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of a receptacle using a smartphone.
도 2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1)은 콘센트(10) 전단 또는 후단에 실치되는 것으로 콘센트의 입력 전원의 공급을 on하거나 off하는 스위칭 모듈(20)과, 스위칭 모듈 후단에 연결되는 콘센트(10)와, 근거리 통신모듈인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고 키 입력부에서 ID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70)과, 상기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수신하여 수신부 모듈(60)로 전송하는 수신부(50)와, 상기 수신부(50)에서 수신한 ID를 수신하여 전원의 입력부에 구성된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하는 수신부 모듈(60)과, 상기 스위칭 모듈(20)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AC를 DC로 변환하는 SMPS(30)와, 상기 SMPS(30)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부 모듈에 연결되어 스위칭 모듈 off 시에 수신부 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턴스(40)로 구성된다.2,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1 of a socket-outlet using a smartphone includes a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스마트 폰(70)에서 등록된 ID를 전송하면 수신부(50)가 수신하여 수신부 모듈(60)로 전송하고 수신부 모듈(60)은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한다.2, when a registered ID is transmitted from the
스위칭 모듈(20)이 on 상태에서는 캐패시턴스(40)가 충전되며 수신부 모듈(6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되므로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수신부(50)를 통하여 수신한 수신부 모듈(60)이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폰(70)에서 다시 ID를 전송하면 수신부 모듈(60)은 스위칭 모듈(20)을 off하여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off하도록 제어하며, 수신부 모듈은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스위칭 모듈(20) on 시에 충전된 캐패시턴스(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스마트 폰과 통신할 수 있는 수신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수신부 모듈이 콘센트 전단에 구축된 스위칭 모듈을 on, off 하도록 제어하면 콘센트와 전자기기 사이에 존재하는 대기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참고로, SMPS(30)는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AC/DC 컨버터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ception signal of the recep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martphone, if the reception module is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switching module built in the front of the outlet, the standby power existing between the outlet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mpletely cut off. For reference, the SMPS 30 is an AC / DC converter that converts AC power to DC power.
도 3은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다른 일예이다.3 is another example of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for an outlet using a smartphone.
도 3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콘센트(10) 전단 또는 후단에 실치되는 것으로 콘센트의 입력 전원의 공급을 on하거나 off하는 스위칭 모듈(20)과, 근거리 통신 모듈인 와이파이(WiFi) 모듈을 설치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ID를 부여하고 키 입력부에서 ID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70)과, 상기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 ID를 수신하여 MCU(60-1)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수신부(50-1)와, 상기 와이파이 수신부(50-1)에서 수신한 ID를 수신하여 전원의 입력부에 구성된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하는 MCU(60-1)와, 상기 스위칭 모듈(20)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AC를 DC로 변환하는 SMPS(30)와, 상기 SMPS(30)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MCU(60-1)에 연결되어 스위칭 모듈 off 시에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턴스(40)로 구성된다.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of the outlet using the smartphone of FIG. 3 includes a
스마트 폰(70)에서 등록된 ID를 전송하면 와이파이 수신부(50-1)가 수신하여 MCU(60-1)로 전송하고 MCU는 스위칭 모듈(20)의 on-off를 제어한다.When the
스위칭 모듈(20)이 on 상태에서는 캐패시턴스(40)가 충전되며 MCU(60-1)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되므로 스마트 폰(70)에서 전송한ID를 와이파이 수신부(50-1)를 통하여 수신한 MCU(60-1)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폰(70)에서 다시 ID를 전송하면 MCU(60-1)는 스위칭 모듈(20)을 off시킨다. When the
스위칭 모듈이 off 되면 off되기 전 동안에 캐패시턴스(40)에 충전된 전력이 MCU(60-1)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switching module is turned off,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스마트 폰과 통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수신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MCU가 콘센트 전단에 구축된 스위칭 모듈을 on, off 하도록 제어하면 콘센트와 전자기기 사이에 존재하는 대기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ception signal of the Wi-Fi receiver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if the MCU is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switching module built in the front of the outlet, the standby power existing between the outlet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mpletely cut off.
도 4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의 제어흐름도의 일예이다.4 is an example of a control flowchart of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of a receptacle using a smartphone.
도 4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스마트 폰이 사용자의 ID를 등록받고 ID를 MCU로 전송하는 단계(S11)와, 초기 전원 공급에 의하여 MCU가 수신한 ID를 기초로 하여 스위칭 모듈을 on하는 단계(S12)와, 스위칭 모듈이 on되어 캐패시턴스에 전력이 충전되는 단계(S13)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ID를 MCU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S14)와, 상기 MCU가 스위칭 모듈을 off 하여 콘센트로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5) 및 스마트 폰이 ID를 다시 전송하여 캐패시턴스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MCU가 스위칭 모듈을 on하여 콘센트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단계(S16)로 구성되며, 전술한 단계 S13 내지 단계 S16이 반복될 수 있다. MCU에서 수신한 ID를 기초로 하여 스위칭 모듈을 on하는 단계는 초기에 MCU 전원을 공급하고 이후에서는 스위칭 모듈 off 시에 캐패시턴스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스위칭 모듈을 on 한다. 4, a method of interrupting the standby power of a socket using a smartphone includes a step S11 of registering a user's ID and transmitting an ID to the MCU, a step S11 of switching an idle power based on the ID received by the MCU, A step S12 of turning on the module, a step S13 of charging the capacitance with the switching module turned on, a step S14 of transmitting the ID from the smartphone to the MCU again, (S15) of turning of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o the outlet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and causing the smartphone to transmit the ID again so that the MCU turns on the switching module by using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capacitance to supply the commercial power to the outlet S16), and the above-described steps S13 to S16 may be repeated. On the basis of the ID received from the MCU, the step of turning on the switching module initially supplies the MCU power, and then turns on the switching module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 capacitance when the switching module is off.
전술한 종래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stand-by power cut-off system of a socket using a smart phon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atent documents can have the effect of automatically shutting off standby power using a smart phone.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콘센트의 대기 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하는 발명은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연구 및 발명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ventions for reducing energy by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an outlet have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nd invented until now.
본 발명은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controller that can be controlled by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easily control electric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 appliance connected to an outlet us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는,The outlet controller,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건물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갖는 제 2 콘센트와,A second outlet having a plug inserted into a first outlet provided on a building wall;
상기 제 2 콘센트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지면으로부터 1m~1.5m 높이의 벽면에 부착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by an electric wire and attached to a wall surface of 1m to 1.5m heigh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상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에 의한 턴온 내지 턴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버턴부를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Bluetooth, Wi-Fi, or infrared communication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 button unit that enables the user to turn on or of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센트에는 멀티 콘센트의 플러그 또는 전자기기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of a multi-outlet or a plug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utl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제 2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멀티 콘센트 또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power supply to the multi-outlet or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use of the outlet controller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기존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바로 적용 가능하므로 별도의 교체 비용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1.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an outlet installed in an existing building, so there is no need for a replacement cost.
2. 사람의 허리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는 까닭에 휴대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도 손으로 버튼부를 조작하기 용이하다,2. It is easy to manipulate the button part by hand even if there is no portable terminal because it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waist of the person,
3. 본 발명의 제어기가 다수의 콘센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 하나로 전력 공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3. When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outlet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power supply to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제1실시 예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제2실시 예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콘센트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의 일예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standby power automotive switch.
2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standby power cut-off system for a socket outlet using a conventional smart phone.
3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conventional smart phone.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tandby power cut-off method using a conventional smartphone.
5 is an example of an outlet controller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termina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ceptacle controller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termina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콘센트에 연결?? 있는 전기기기 등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차단 여부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n outlet using local communication or infrared communication.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easily control whether electric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 device or the like is shut off.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는 건물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갖는 제 2 콘센트와, 상기 제 2 콘센트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지면으로부터 1m~1.5m 높이의 벽면에 부착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5, the outlet controller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outlet having a plug inserted into a first outlet installed on a building wall, a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through a wire, And a control unit attached to a wall surface of 1 m to 1.5 m height from the ground so a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제어부는 스마트 폰, 태블릿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에 의한 턴온 내지 턴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버턴부를 구비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는 적외선 통신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실시예 중의 하나로 휴대 단말기에 적외선 송수신 모듈이 없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내지 와이파이 통신만으로 제어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Bluetooth, Wi-Fi, or infrared communication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and a button unit that enables the user to turn on or off the device. For referenc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rared communica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 receive a control signal only through Bluetooth or Wi-Fi communic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have an infrar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본 발명의 제 2 콘센트에는 멀티 콘센트의 플러그 또는 전자기기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 2 콘센트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콘센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구성된다. A plug of the multi-outlet or a plug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able into the second recep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econd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outlet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콘센트에 플러그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기기기 또는 멀티 콘센트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가능해지므로 본 발명의 제어부를 휴대 단말기로 간편하게 조작하여 전기기기 등으로 전력 공급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appliance or the multi-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lug can be interrupted or enabled,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to easily control the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appliance or the like have.
즉, 본 발명의 경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제 2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멀티 콘센트 또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 가능하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multi-outlet or the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by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특히 본 발명의 콘센트 제어기는 근거리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기와 최초 페어링 이후 근접시 자동 연결방식으로 페어링되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콘센트 항목에 표시될 수 있다.The outlet controller,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by Bluetooth, Wi-Fi and infrared communication. Particularly, , Which in this case can be displayed in the management outlet entry of the application.
여기서, 블루투스,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은 휴대 단말기가 콘센트 제어기와 근접하는 영역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페어링되고, 페어링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알림창이 활성화될 수 있다.Here,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including the Bluetooth and the Wi-Fi is automatically paired and paired when the mobile terminal enters an area close to the outlet controller, and at the same time, an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or a notification window for confirming whether to execute the application Can be activated.
그리고, 휴대 단말기와 페어링된 콘센트 제어기는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콘센트 항목에 등록될 수 있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된 각각의 콘센트 제어기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콘센트 제어기의 명칭 및 세부정보를 수정할 있다(예, 거실콘센트, 안방콘센트) 이는 통상의 IT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술이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utlet controller pair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outlet item of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input the name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outlet controller so that the information on each outlet controller displayed at the application can be grasped at a glance (Eg, a living room outlet, a wall outlet). This is a commonly used technology in ordinary IT technology, so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콘센트 제어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사용 전자기기를 통하여 소모되는 불필요한 대기전력을 간편하게 차단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standby power consumed through the unused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blocked by separately controlling the outlet controller.
한편, 본 발명의 콘센트 제어기에는 버튼부가 추가로 더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도 제 2 콘센트를 손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Meanwhile, the outlet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so that the second outlet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hand even in the absence of a portable terminal.
버튼부가 온/오프되는 경우 제 2 콘센트와 제 1 콘센트간의 전력 공급이 ON/OFF되어 제 2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기기로의 전력 공급 제어가 가능하다.When the button unit is turned on / off, power supply control between the second outlet and the first outlet is turned on / off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bove-described outlet controller,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기존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바로 적용 가능하므로 별도의 교체 비용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1.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an outlet installed in an existing building, so there is no need for a replacement cost.
2. 사람의 허리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는 까닭에 휴대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도 손으로 버튼부를 조작하기 용이하다,2. It is easy to manipulate the button part by hand even if there is no portable terminal because it is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waist of the person,
3. 본 발명의 제어기가 다수의 콘센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 하나로 전력 공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3. When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outlet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power supply to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3)
건물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갖는 제 2 콘센트와,
상기 제 2 콘센트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지면으로부터 1m~1.5m 높이의 벽면에 부착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과, 사용자에 의한 턴온 내지 턴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버턴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기가 상기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통신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최초로 페어링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콘센트 제어기와 근접하는 영역에 진입 시 자동으로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 됨과 동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알림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와 콘센트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상기 콘센트 제어기의 명칭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A socket outlet controllable by a portable terminal,
A second outlet having a plug inserted into a first outlet provided on a building wall;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by a wire and attached to a wall surface of 1 m to 1.5 m heigh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Bluetooth, Wi-Fi, or infrared communication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button unit that enables the user to turn on or off the device,
If the outlet controller is first pair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Bluetooth, Wi-Fi or infrared communica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utomatically paired when entering the area close to the outlet controller,
At the same time as the pairing,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activates the application or activates a notification window to confirm wheth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Wherein the paired portable terminal and the outlet controller ar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name information of the outlet controller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can be modified.
상기 제 2 콘센트에는 멀티 콘센트의 플러그 또는 전자기기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고,
상기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와 상기 콘센트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콘센트 항목에 등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of the multi-outlet or the plug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utlet,
Wherein the paired portable terminal and the outlet controller can be registered in a management outlet item of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제 2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멀티 콘센트 또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로 제어 가능한 콘센트 제어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multi-outlet or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721A KR101846740B1 (en) | 2016-11-18 | 2016-11-18 |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721A KR101846740B1 (en) | 2016-11-18 | 2016-11-18 |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6740B1 true KR101846740B1 (en) | 2018-05-18 |
Family
ID=6245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3721A KR101846740B1 (en) | 2016-11-18 | 2016-11-18 |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674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1769A (en) * | 2019-05-14 | 2020-11-24 |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at |
KR102595695B1 (en) * | 2022-12-20 | 2023-10-27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Portable Smart Electric Cord Reel Device |
-
2016
- 2016-11-18 KR KR1020160153721A patent/KR10184674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1769A (en) * | 2019-05-14 | 2020-11-24 |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at |
KR102197569B1 (en) | 2019-05-14 | 2020-12-31 |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at |
KR102595695B1 (en) * | 2022-12-20 | 2023-10-27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Portable Smart Electric Cord Ree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28011Y1 (en) | Multi outlet apparatus having cut off function of waiting power supply | |
RU2419932C1 (en) | Plug device | |
US20140088779A1 (en) | Smart power strip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 |
US20140067144A1 (en) |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843820B1 (en) | Smart multitap and smart multitap system using thereof | |
KR101685062B1 (en) | A artificial intelligent wall outlet for automatic quiescent power cut-off and recovery function | |
CN103928799A (en) | Intelligent plug and household appliance control system provided with same | |
KR101077016B1 (en) | Power saving multi-tab and control system thereof | |
US20180364778A1 (en) |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 | |
KR101143758B1 (en) | Electric Energy Saving System Using Inteligent Socket and Remote Controll | |
KR101846740B1 (en) | Outlet controller being controllable with mobile terminal | |
KR20140063395A (en) |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system | |
KR200464008Y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ptacl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 |
KR20160032662A (en) | Blocking System of Standby Powewr of Electronic Equipment | |
KR101479659B1 (en) | Method for individual and group controlling for multitap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multitap and multitap group controlled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 |
KR20140118250A (en) |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 |
KR101448695B1 (en) | A plug socket of power saving control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1108098B1 (en) | Apparatus for individual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power lin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 |
CN106054645A (en) | Smart home energy-saving system based on Internet-of-things | |
TWI482385B (en) | Power control system | |
CN203243555U (en) | Novel intelligent and induction combination switch | |
KR101041410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electric device in system for cut off function of waiting power supply | |
US8749093B2 (en) | Electric receptacle module | |
US10110279B2 (en) |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field device | |
KR101818707B1 (en) | Standby current cut-off system for the 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