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744B1 -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 - Google Patents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44B1
KR101588744B1 KR1020100094726A KR20100094726A KR101588744B1 KR 101588744 B1 KR101588744 B1 KR 101588744B1 KR 1020100094726 A KR1020100094726 A KR 1020100094726A KR 20100094726 A KR20100094726 A KR 20100094726A KR 101588744 B1 KR101588744 B1 KR 10158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3124A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44B1/en
Publication of KR20120033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1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8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pressure, coolant flow, or liquid-cool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76Draining or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9Expansio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는,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구성되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와 연결되는 브리드(breath) 관과, ⅱ)상기 브리드 관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 조절부재를 포함한다.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intaining a constant internal pressur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constituted in a cooling system of a vehicle, And ii)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rid tube and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 tube to the outside or sucking the outside ai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

Description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at can maintain a pressur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within a certain rang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냉각수를 엔진의 연소실 부위로 순환시켜 고온의 엔진을 수냉식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Generally, the vehicle employs a cooling system that circulates cooling water to the combustion chamber portion of the engine to cool the engine at a high temperature by water cooling.

특히, 연료 전지 차량에는 연료와 산화제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바,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수로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Particularly, the fuel cell vehicle is provided with a fuel cell that generates electric energy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a fuel and an oxidizer, and employs a cooling system capable of cooling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 energy as cooling water have.

상기와 같은 냉각 시스템에는 엔진 또는 연료 전지를 냉각시키며 가열된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는 냉각수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저장 탱크는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부피 팽창 및 수축이 일어난다.Such a cooling system includes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that can cool the engine or the fuel cell and store the heated cooling water, which volume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a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hanges.

따라서, 냉각수 저장 탱크는 냉각수의 온도의 변화에 따라 내부 압력이 크게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되는데, 시스템의 밀폐 시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개방 시 냉각수가 증발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그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냉각수가 부족하게 되어 냉각수를 자주 보충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the internal pressure is great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when the system is closed. As a result, when the system is opened, the cooling water evaporat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oling water is insufficient and the cooling water must be frequently replenish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서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which can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within a certain range as a simple structure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는,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구성되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와 연결되는 브리드(breath) 관과, ⅱ)상기 브리드 관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 조절부재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intaining a constant internal pressur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constituted in a cooling system of a vehicle, And ii)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rid tub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 tube to the outside or sucking the outside ai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재는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이 상승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창과,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이 하강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창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may include an air discharge window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leed tube when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rises, And an air suction wind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bridging tube when the brine tube is opened.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재는 상기 공기 배출창 및 공기 흡입창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브리드 관과 연결되는 본체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hinged to the air discharge window and the air suction window, and connected to the bleed pipe.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는, 상기 공기 배출창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창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air discharge window is rotatably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and the air suction window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창은 제1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공기 흡입창은 제2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 타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air outlet window is hinged to one side of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rough a first hinge pin. The air suction window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rough a second hinge pin, And can be hinged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공기 배출창이 그 본체부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for preventing the air discharge window from being rotated inward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창이 그 본체부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topper for preventing the air suction window from being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 배출창 및 공기 흡입창이 연결되는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both sides of the main body may be inclined so that the air discharge window and the air suction window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창 및 공기 흡입창은 이의 하단부가 스프링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air discharge window and the air suction window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via a spring at a lower end thereof.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는,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구성되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와 연결되는 브리드(breath) 관과, ⅱ)상기 브리드 관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 조절부재를 포함한다.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intaining a constant internal pressur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constituted in a cooling system of a vehicle, Wherein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a breath tu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ii) is connected to the brid tube, and is expand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an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nd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ges to the outside when the brine pipe rises.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재는 상기 브리드 관과 연결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탄성시트와,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may include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bleed pipe, and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n air discharge window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 tube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rises to a set pressure or more.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창은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air discharge window may be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rough a hinge pin.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공기 배출창이 그 본체부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 stopper may be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air discharge window from being rotated inward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탄성시트와 공기 배출창이 설치되는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elastic sheet and the air discharge window are installed may be inclined.

또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리드 관은 나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the brid tube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에 의하면, 냉각수 저장 탱크의 공기 구멍에 나선형의 브리드 관을 설치하므로, 냉각수 저장 탱크에서 공기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습윤 공기를 냉각하고 그 습윤 공기를 냉각하며 생성된 응축수를 냉각수 저장 탱크의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른 배출 공기의 완충 역할을 하여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iral brid tube is provided in the air hol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The cooling water is cooled, the humid air is cooled,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nd the discharge water is buffered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브리드 관에 연결되며 공기 배출창과 공기 흡입창을 설치한 압력 조절부재를 구비하므로,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brid tube and includes the air discharge window and the air suction window,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can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이 증가할 때 그 압력을 흡수하거나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이 낮은 때 압력 감소분을 보상할 수 있는 탄성시트와,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때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배출창을 설치한 압력 조절부재를 구비하므로,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sheet absorbs the pressur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increases or the pressure reduction can be compensat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is low.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can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becaus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provided with the air discharge window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when the temperature rises excessively.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se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and 2B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100)는 냉각수를 엔진의 연소실 부위로 순환시켜 고온의 엔진을 수냉식으로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ressure regulator 100 for a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oling system that circulates cooling water to a combustion chamber portion of an engine to cool a high temperature engine in a water-cooled manner.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100)는 냉각수로서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료 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시스템에 채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100 for the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one applied to the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engine as the cooling water, and may be a device for cool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fuel cell by the cooling water Cooling system.

여기서, 상기 냉각 시스템에는 엔진 또는 연료 전지를 냉각시키며 가열된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는 냉각수 저장 탱크(1)를 구비하고 있다.Here, the cooling system is provided with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capable of cooling the engine or the fuel cell and storing the heated cooling water.

이 경우,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1)는 냉각수가 저장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부(3)와, 그 저장 공간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5)를 형성하고 있다. In this case,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has an inlet portion 3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and a discharge portion 5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space.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100)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냉각수가 외부로 증발하여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100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intain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constant and prevents the cooling water from being evaporate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브리드 관(10)(bread tube)과, 압력 조절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100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bread tube 10 and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30, 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리드 관(10)(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숨관" 이라고도 한다)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저장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브리드 관(10)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상단부 측에 구비된 공기 구멍(7)과 연결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rid tube 10 (also commonly referred to in the art as a "breath tube")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The brid tube 10 is connected to the air hole 7 provid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즉, 상기 브리드 관(10)의 일측 단부는 냉각수 저장 탱크(1)의 공기 구멍(7)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압력 조절부재(30)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brid tube 1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hole 7 of the coolant storage tank 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브리드 관(10)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공기 또는 외부 공기의 스트림을 연장하기 위해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idges 10 are formed in a spiral shape to extend a stream of the inside air or the outside air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브리드 관(10)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냉각수 저장 탱크(1)에서 공기 구멍(7)을 통해 배출되는 습윤 공기를 냉각하고 그 습윤 공기를 냉각하며 생성된 응축수를 냉각수 저장 탱크(1)의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며,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른 배출 공기의 완충 역할을 하여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Since the brid tub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the brine tub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ols the wet ai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through the air hole 7, To the storage spac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and functions as a buffer for the discharge ai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조절부재(30)는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라 브리드 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30 functions to discharge the air in the bridges 10 to the outside or to suck the outside ai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이러한 압력 조절부재(30)는 본체부(31)와, 그 본체부(31)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창(41), 및 공기 흡입창(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30 includes a main body 31, an air discharge window 41 provided in the main body 31, and an air suction window 51.

상기 본체부(31)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housing)으로서 구비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브리드 관(10)의 다른 일측 단부와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다.The main body 31 is provided as a housing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ridging tube 10 mentioned above.

상기 공기 배출창(41)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압력이 상승하는 때, 브리드 관(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부(31)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구(33: 이하 도 2a 참조)를 개폐하는 게이트로서 이루어진다.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le tube 10 when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rises and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33 (See FIG. 2A).

상기 공기 배출창(41)은 제1 힌지핀(H1)을 통하여 본체부(31)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제1 힌지핀(H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본체부(31)의 배출구(33)를 개폐시킨다.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1 through the first hinge pin H1 and rotates around the first hinge pin H1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33).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창(41)은 본체부(31)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본체부(31)에는 공기 배출창(41)이 그 본체부(31)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43)가 설치된다.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rotatably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1. 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rotated inside the main body 31 in the main body 31 The first stopper 43 is provided.

상기 제1 스토퍼(43)는 공기 배출창(41)의 하단부에 대응하여 본체부(31)의 내측에 설치된다.The first stopper 43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31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window 41.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창(51)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압력이 하강하는 때, 브리드 관(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부(31)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흡입구(35: 이하 도 2b 참조)를 개폐하는 게이트로서 이루어진다.The air suction window 51 is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bridging tube 10 when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lowered. (See Fig. 2B, hereinafter).

상기 공기 흡입창(51)은 제2 힌지핀(H2)을 통하여 본체부(31)의 상단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제2 힌지핀(H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본체부(31)의 흡입구(35)를 개폐시킨다.The air suction window 51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1 through the second hinge pin H2 and rotates around the second hinge pin H2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35).

이 경우, 상기 공기 흡입창(51)은 본체부(31)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본체부(31)에는 공기 흡입창(51)이 그 본체부(31)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61)가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air suction window 51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31. The air suction window 5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part 31, The second stopper 61 is provided.

상기 제2 스토퍼(61)는 공기 흡입창(51)의 하단부에 대응하여 본체부(31)의 외측에 설치된다.The second stopper 61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31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wer end of the air suction window 51.

한편, 상기한 바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부재(30)의 본체부(31)는 공기 배출창(41) 및 공기 흡입창(51)이 개방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닫히면서 배출구(33)와 흡입구(35)를 폐쇄할 수 있도록 그 공기 배출창(41) 및 공기 흡입창(51)이 설치된 양측면이 한 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31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easily closed by its own weight in a state where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are opened, Both side surfaces of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so as to close the suction port 33 and the suction port 35.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2A and 2B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우선 냉각수 저장 탱크(1)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가 높아 그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냉각수 저장 탱크(1) 내부의 습윤 공기는 저장 탱크(1)의 공기 구멍(7)을 통해 나선형의 브리드 관(10)으로 배출된다.2A,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tored in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high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torage tank 1 rises, humid air in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flows into the storage tank 1, Through the air hole (7) of the spiral brid tube (10).

이 경우, 상기 브리드 관(10)에서는 공기 구멍(7)을 통해 배출되는 습윤 공기를 냉각하고 그 습윤 공기를 냉각하며 생성되는 응축수를 공기 구멍(7)을 통해 냉각수 저장 탱크(1)의 저장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brid tube 10, the wet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holes 7 is cooled, the wet air is cooled, and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holes 7 into the storage space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브리드 관(10)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른 배출 공기의 완충 역할을 하여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bridges 10 serve to buffer the discharge ai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thereby minimizing the discharge of the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의해 그 저장 탱크(1) 내부의 공기가 브리드 관(10)을 통해 압력 조절부재(30)의 본체부(31) 내부로 배출된다.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causes the air in the storage tank 1 to be discharg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31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30 through the bridged pipe 10.

그러면, 상기 본체부(31)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이 형성되므로, 그 압력에 의해 공기 배출창(41)은 본체부(31)의 외측으로 회전하며 배출구(33)를 개방하게 된다.A predetermined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31 so that the air discharge window 41 rotat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31 and opens the discharge port 33 by the pressur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배출창(41)이 개방됨으로 본체부(31) 내부의 공기가 배출구(33)를 통해 배출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opened,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31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3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can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do.

이러는 동안, 상기 본체부(31) 내부의 압력이 공기 흡입창(51)에 작용하게 되는 바, 그 공기 흡입창(51)은 제2 스토퍼(61)에 의해 스토핑되면서 본체부(31)의 외측으로 회전하지 않고 그 본체부(31)의 흡입구(35)를 폐쇄한 상태에 있다.The air suction window 51 is stopped by the second stopper 61 and the pressure of the air suction window 51 is applied to the main body 31 And the suction port 35 of the main body portion 31 is closed without rotating to the outside.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공기 배출창(41)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본체부(31)의 배출구(33)를 폐쇄하게 된다.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rotated by its own weight to close the discharge port 33 of the main body 31 .

이 때, 상기 공기 배출창(41)은 본체부(31)의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하면서 그 본체부(31)의 배출구(33)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formed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31 being inclined, the discharge port 33 of the body portion 31 can be closed while being easily rotated by gravity.

한편, 도 2b에서와 같이,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낮은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 저장 탱크(1)의 공기 구멍(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low as shown in FIG. 2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hole 7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이 경우,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1)의 공기 구멍(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브리드 관(10)을 통해 본체부(31)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게 된다.In this case, as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hole 7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31 through the bridged pipe 10.

그러면, 상기 본체부(31)의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므로, 그 부압에 의해 공기 흡입창(51)은 본체부(31)의 내측으로 회전하며 그 본체부(31)의 흡입구(35)를 개방하게 된다.The air suction window 51 is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31 by the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suction port 35 of the main body part 31 is opened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흡입창(51)이 개방됨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구(35)를 통해 본체부(31)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suction window 51 is opened so that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31 through the suction port 35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within a certain range .

이러는 동안, 상기 본체부(31) 내부의 부압이 공기 배출창(41)에 작용하게 되는 바, 그 공기 배출창(41)은 제1 스토퍼(43)에 의해 스토핑되면서 본체부(31)의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고 그 본체부(31)의 배출구(33)를 폐쇄한 상태에 있다.A negative pressure in the main body 31 acts on the air discharge window 41. The air discharge window 41 is stopped by the first stopper 43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31 And the discharge port 33 of the main body portion 31 is closed without being rotated inward.

그리고, 이러는 과정을 거치며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공기 흡입창(51)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본체부(31)의 흡입구(35)를 폐쇄하게 된다.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air suction window 51 is rotated by its own weight and closes the suction port 35 of the main body 31 .

이 때, 상기 공기 흡입창(51)은 본체부(31)의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하면서 그 본체부(31)의 흡입구(35)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suction window 51 is formed such that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31 are inclined, the suction port 35 of the main body 31 can be closed while being easily rotated by gravity.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100)에 의하면, 냉각수 저장 탱크(1)의 공기 구멍(7)에 나선형의 브리드 관(10)을 설치하므로, 냉각수 저장 탱크(1)에서 공기 구멍(7)을 통해 배출되는 습윤 공기를 냉각하고 그 습윤 공기를 냉각하며 생성된 응축수를 냉각수 저장 탱크(1)의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며,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른 배출 공기의 완충 역할을 하여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100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iral bridging tube 10 is provided in the air hole 7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So as to cool the wet ai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through the air hole 7 to cool the wet air and supply the generated condensed water to the storage spac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harge of the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by acting as a buffer for the discharge ai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mpressor 1.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브리드 관(10)에 연결되며 공기 배출창(41)과 공기 흡입창(51)을 설치한 압력 조절부재(30)를 구비하므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30 connected to the brid tube 10 and having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is provid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t can be maintained in a certain range.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와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3 and Fig. 1 denote the same components.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1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라 공기 배출창(41) 및 공기 흡입창(51)이 개방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그 공기 배출창(41)과 공기 흡입창(51)을 중력과 함께 탄성력으로서 폐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100 for a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embodiment,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are opened and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are made to be elastic force together with gravity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it can be closed.

이를 위해, 상기 공기 배출창(41) 및 공기 흡입창(51)은 이의 하단부가 스프링(91)을 통해 제1 및 제2 스토퍼(43, 6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43 and 61 through the springs 91, respectively.

즉, 상기 공기 배출창(41) 및 공기 흡입창(51)은 내각수 저장 탱크(1)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회전하면서 본체부(31)의 배출구(33)와 흡입구(35)를 개방할 수 있다.That is,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are opened to open the discharge port 33 and the suction port 35 of the main body part 31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in the interior water storage tank 1 .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창(41) 및 공기 흡입창(51)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중력 및 스프링(9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본체부(31)의 배출구(33)와 흡입구(35)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air discharge window 41 and the air suction window 51 are rota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gravity and the spring 91, The discharge port 33 and the suction port 35 of the discharge port 31 can be easily clos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1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100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lectric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200)는 브리드 관(110)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이 이루어지고,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는 때 브리드 관(110)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압력 조절부재(130)를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200 for a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bleed pipe 110,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30 can be configured to absorb external air into the bleed pipe 110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lower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조절부재(130)는 브리드 관(110)과 연결되는 본체부(131)와, 본체부(131)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탄성시트(171)와, 본체부(131)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때 브리드 관(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창(1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30 may include a main body 131 connected to the bleed pipe 110 and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13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31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 And an elastic sheet 171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131 so as to allow the air inside the bridle tube 110 to flow upwardl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rises above the set pressure And an air discharge window 141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상기 본체부(131)는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133) 및 제2 배출구(134: 이하 도 5b 참조)를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있다.The main body 131 has a first discharge port 133 and a second discharge port 134 (see FIG. 5B) for discharging air in the internal spac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상기 탄성시트(171)는 본체부(131)의 제1 배출구(133)를 막으며 그 본체부(131)의 일측면에 부착 설치되고, 본체부(131)의 내부 압력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는 얇은 고무 시트로서 이루어진다.The elastic sheet 171 covers the first outlet 133 of the main body 131 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31. The elastic sheet 171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body 131 As a thin rubber sheet.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창(141)은 본체부(131)의 제2 배출구(134)를 개폐할 수 있게 그 본체부(131)의 다른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때 제2 배출구(134)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The air discharge window 14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31 so as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discharge port 134 of the main body 131.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For discharging air through the second outlet 134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outlet 134 rises excessively above the set pressure.

상기 공기 배출창(141)은 힌지핀(H)을 통하여 본체부(131)의 다른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본체부(131)의 제2 배출구(134)를 개폐시킨다.The air discharge window 141 is hinged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31 through the hinge pin H and rotates about the hinge pin H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34 of the main body 131 ).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창(141)은 본체부(131)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본체부(131)에는 공기 배출창(141)이 그 본체부(131)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143)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43)는 공기 배출창(141)의 하단부에 대응하여 본체부(131)의 내측에 설치된다.The air discharge window 141 is rotatably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131. The air discharge window 141 is rotated in the main body 131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31 A stopper 143 is provided to prevent the stopper 143 from coming off. The stopper 143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31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window 141.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2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00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우선 냉각수 저장 탱크(1)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가 높아 그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냉각수 저장 탱크(1) 내부의 공기는 저장 탱크(1)의 공기 구멍(7)을 통해 나선형의 브리드 관(110)으로 배출된다.5A,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tored in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high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torage tank 1 rises, the air inside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1 And is discharged to the helical brid tube 110 through the air hole 7.

여기서,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에 의해 그 저장 탱크(1) 내부의 공기가 브리드 관(110)을 통해 압력 조절부재(130)의 본체부(131) 내부로 배출된다.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causes the air in the storage tank 1 to be discharg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131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30 through the bleed pipe 110.

그러면, 상기 본체부(131)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이 형성되므로, 그 압력에 의해 탄성시트(171)는 제1 배출구(133)를 통해 외측으로 팽창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흡수한다.The elastic sheet 171 expands outwardly through the first outlet 133 to pressuriz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by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main body 131 Absorb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낮은 경우, 공기 구멍(7)을 통해 본체부(131)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게 되는 바, 탄성시트(171)는 제1 배출구(133)를 통해 내측으로 수축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 내부 압력의 감소분을 보상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is low,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131 through the air hole 7. The elastic sheet 17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133 to compensate for the reduction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탄성시트(171)가 제1 배출구(133)를 통해 외측으로 팽창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공기 배출창(141)은 본체부(131)의 외측으로 회전하며 제2 배출구(134)를 개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rises excessively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the elastic sheet 171 expands through the first outlet 133 to the outside The air discharge window 141 rotat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31 and opens the second discharge port 134.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시트(171)가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공기 배출창(141)이 개방됨으로 본체부(131) 내부의 공기가 제2 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되면서 냉각수 저장 탱크(1)의 내부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elastic sheet 171 absorb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discharge window 141 is opened so that the air in the main body 131 flows in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34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1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200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lectric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110... 브리드 관 30, 130... 압력 조절부재
31, 131... 본체부 33... 배출구
35... 흡입구 41, 141... 공기 배출창
43... 제1 스토퍼 51... 공기 흡입창
61... 제2 스토퍼 133... 제1 배출구
134... 제2 배출구 171... 탄성시트
10, 110 ... bridges 30, 130 ... pressure regulating member
31, 131 ... main body portion 33 ... outlet
35 ... inlet port 41, 141 ... air outlet window
43 ... first stopper 51 ... air suction window
61 ... second stopper 133 ... first outlet
134 ... second outlet 171 ... elastic sheet

Claims (12)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구성되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로서,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와 연결되는 브리드(breath) 관; 및
상기 브리드 관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재는,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이 상승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창과,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이 하강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창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배출창 및 공기 흡입창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브리드 관과 연결되는 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배출창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창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1. A pressure regulator for a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maintaining a constant internal pressur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med in a cooling system of a vehicle,
A breath tu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nd
And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rid tub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 tube to the outside or sucking the outside ai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An air discharge window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bridging tube when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rises; and an air suction window for sucking outside air into the bridging tube when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is lowered,
The air discharge window and the air suction window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brid tube, the air discharge window is rotatably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and the air suction window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increa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창은 제1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공기 흡입창은 제2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discharge window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hinge pin,
And the air suction window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hinge pi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공기 배출창이 그 본체부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창이 그 본체부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2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main body portion,
A first stopper for preventing the air discharge window from being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topper for preventing the air intake window from being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 배출창 및 공기 흡입창이 연결되는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air discharge window and the air suction window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discharge cha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창 및 공기 흡입창은 이의 하단부가 스프링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discharge window and the air suction window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via a spring at the lower end thereof, respectively.
차량의 냉각 시스템에 구성되는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로서,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와 연결되는 브리드(breath) 관; 및
상기 브리드 관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조절부재는, 상기 브리드 관과 연결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탄성시트와,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때 상기 브리드 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1. A pressure regulator for a vehicle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 maintaining a constant internal pressure of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formed in a cooling system of a vehicle,
A breath tu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nd
The expansion valve being connected to the brid tube and expanding and shrinking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rises, pressure control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 tube to the outside (3)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includes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bleed pipe, an elastic shee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xpanding and contracting according to an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And an air discharge window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bridges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rises.
삭제delet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창은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공기 배출창이 그 본체부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discharge window is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rough a hinge pin,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air discharge window from being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탄성시트와 공기 배출창이 설치되는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rein both sides of the elastic sheet and the air discharge window are inclined.
제1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드 관은 나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각수 저장 탱크의 압력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Wherein the brid tub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KR1020100094726A 2010-09-29 2010-09-29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 KR101588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26A KR101588744B1 (en) 2010-09-29 2010-09-29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26A KR101588744B1 (en) 2010-09-29 2010-09-29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24A KR20120033124A (en) 2012-04-06
KR101588744B1 true KR101588744B1 (en) 2016-01-26

Family

ID=4613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726A KR101588744B1 (en) 2010-09-29 2010-09-29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7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642Y1 (en) * 2005-01-26 2005-07-01 코스모이엔지(주) Safety cap of coolent reservoil tan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5623U (en) * 1991-05-07 1992-11-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Overflow hose for condensation tank
KR100246579B1 (en) * 1997-02-12 2000-04-01 유무성 Cool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642Y1 (en) * 2005-01-26 2005-07-01 코스모이엔지(주) Safety cap of coolent reservoil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24A (en)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924B1 (en) Cooling device of compressed air in fuel cell system
RU2712553C2 (en) Engine intake assembly (embodiments) and method for engine
US9490509B2 (en) Motor vehicle with battery cooling system
US8870020B2 (en) Closure device for a housing, sealed off from the environment, and a housing
US9732663B2 (en) Cooling system
FR3076342B1 (en) THERMAL CONDITIONING CIRCUIT
JP2008016346A (en) Secondary battery storage device
EP2750908B1 (en) Cooling system
KR1023430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battery cell modules
US20200052355A1 (en) Active internal air cooled vehicle battery pack
KR101588744B1 (en) Pressure control device of coolant tank for vehicle
WO2019202266A1 (en) Thermal 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424365B1 (en) Battery cooling apparatus
US20170365896A1 (en) Encapsula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thermal damage to batte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984991B2 (en) Gas storage system
KR102359946B1 (en) Control method of coolant control valve unit
WO2021070806A1 (en) Hydrogen cooling device, hydrogen supply system, and refrigerator
JP2008053081A (en) Pressure control valve
JP2007016988A (en) High-pressure tank
KR102181352B1 (en) Air conditioning module and system for battery
JPH1134675A (en) Fuel tank
JP2019071367A (en) Laser oscillator
US6736115B1 (en) Air induction system comprising thermal pump for hydrocarbon vapor control
JP7021026B2 (en)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US10406934B2 (en) Fuel cell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