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013B1 - 피크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피크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013B1
KR101588013B1 KR1020140039628A KR20140039628A KR101588013B1 KR 101588013 B1 KR101588013 B1 KR 101588013B1 KR 1020140039628 A KR1020140039628 A KR 1020140039628A KR 20140039628 A KR20140039628 A KR 20140039628A KR 101588013 B1 KR101588013 B1 KR 10158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power
history
power amount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145A (ko
Inventor
정호성
신승권
김형철
박종영
조용현
김주욱
박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0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사 및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변전소 전력량을 측정하는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 기 설정된 철도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철도환경정보 검출부 및 변전소 전력량과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 해석을 수행하여 예상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피크전력을 기 설정된 목표 피크전력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역사부하설비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크전력 제어 장치{PEAK POWE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피크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과 역사부하 각각의 전력량,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시간 전력해석을 통해 피크전력을 예측 및 제어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크전력요금제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피크전력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것이다.
여기서, 피크전력은 15분간의 평균전력(전력사용량[kWh]/공급시간[h])이며, 일정시간마다 검침한 값 중 월 최대치가 당월 피크전력이 된다.
통상적으로,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은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열차 부하에 의해 각 변전소마다 급변하게 된다. 그 결과 변전소마다 전력피크가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특히, 피크전력은 전력요금을 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데, 전력요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피크전력에 대한 제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피크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전소로부터 전력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단순 차단하는 것에 한정될 뿐,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단계별로 최대 수요전력의 목표치를 미리 설정해 놓고, 최대 수요전력이 목표치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된 역사부하설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피크전력을 목표값 이하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순한 전력량의 증가량을 예측하여 미리 설정된 역사설비부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열차 부하의 변화량에는 실시간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미리 설정된 역사부하의 단계적 제어를 통해 최대부하를 제어하기 때문에 정밀한 예측 및 제어가 불가능하고, 과도한 역사부하설비 제어시 이용객의 도시철도 이용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243053호(2013.03.07)의 '실시간 피크전력 및 예상 전기요금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순차적 부하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과 역사부하 각각의 전력량,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시간 전력해석을 통해 피크전력을 예측 및 제어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전소의 피크전력을 감소시켜 전력 요금을 감소시키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도차량의 부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역사부하설비에 대한 단계적 제어를 통해 최대부하를 제어하여 피크전력에 대한 정밀한 예측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피크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크전력 제어시 도시철도 이용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장치는 역사 및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변전소 전력량을 측정하는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 기 설정된 철도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철도환경정보 검출부; 및 상기 변전소 전력량과 상기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 해석을 수행하여 예상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예상 피크전력을 기 설정된 목표 피크전력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역사부하설비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철도 시스템의 전력 공급 계통에서 전력을 수급받아 상기 철도차량 및 상기 역사부하설비로 공급하는 변전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철도차량 전력량 측정부; 및 상기 역사설비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역사부하설비 전력량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철도환경정보는 상기 철도차량의 운행과 상기 역사설비부하 운영에 대한 스케쥴 정보 및 역사 실내외의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케쥴 정보는 상기 철도차량의 운행시간에 대한 철도차량 운행 시간 간격 정보, 및 상기 역사부하설비별 가동 여부와 가동 시간에 대한 역사부하설비 운영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환경정보는 상기 역사 실내의 온도와 습도, 상기 역사 실외의 온도와 습도, 및 상기 역사 실내의 이용인원에 따른 혼잡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 제어 서버는 상기 변전소 전력량과 상기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 해석을 통해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을 산출하는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을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역사부하설비에 대한 운영 시나리오를 변경하는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 및 상기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역사부하설비를 제어하는 역사부하설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영 시나리오는 상기 역사부하설비별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에 대한 역사부하설비 운영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이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이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 되도록 상기 운영 시나리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역사부하설비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이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역사부하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 제어 서버는 상기 변전소 전력량과 상기 철도환경정보 및 상기 운영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과 역사부하의 전력량, 철도차량의 운영 스케쥴 정보, 및 역사 내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시간 전력해석을 통해 피크전력을 예측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은 변전소의 피크전력을 감소시켜 전력 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부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역사부하설비에 대한 단계적 제어를 통해 최대부하를 제어하여 피크전력에 대한 정밀한 예측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피크전력 제어시 도시철도 이용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철도환경정보 검출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통합 제어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철도환경정보 검출부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통합 제어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장치는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 철도환경정보 검출부(20) 및 역사부하설비(40)를 포함한다.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는 변전소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통합 제어 서버(30)에 전달한다.
여기서, 변전소는 철도차량을 운행하고 역사부하설비(40)를 운영하는 열차 시스템의 전력 공급 계통에 있어서 한전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수급받아 철도 시스템의 각종 부하에 공급하는 것으로써, 철도차량이 레일을 따라 운행할 수 있도록 철도차량 및 역사부하설비(40) 각각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는 상기한 변전소로부터 철도차량 및 역사부하설비(40)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는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철도차량 전력량 측정부(11) 및 역사부하설비(4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역사부하설비 전력량 측정부(12)를 포함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철도환경정보 검출부(20)는 철도환경정보를 검출한다. 철도환경정보에는 철도차량의 운행과 역사설비부하 운영에 대한 스케쥴 정보, 및 역사 실내외의 환경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철도환경정보 검출부(20)는 스케쥴 정보를 검출하는 스케쥴 정보 검출부(21) 및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환경정보 검출부(22)를 포함한다.
스케쥴 정보에는 철도차량의 운행시간에 대한 철도차량 운행 시간 간격 정보, 및 역사부하설비별 가동 여부와 가동 시간에 대한 역사부하설비 운영 스케쥴 정보가 포함된다. 아울러, 스케쥴 정보는 도시철도 전체를 통합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철도 시스템 운영 서버(미도시), 또는 역사에 설치되어 해당 역사를 운영 및 관리하는 역사 관리 서버(미도시) 등을 통해서 검출될 수 있다.
철도차량 운행 시간 간격 정보는 철도차량의 운행시간의 간격 등에 대한 정보로써, 해당 역사에 진입 및 진출하는 철도차량들이 해당 역에 진입 및 진출하는 시간, 철도차량이 해당 역에 진입 및 진출 시간차 등이 모두 포함된다.
역사부하설비 운영 스케쥴 정보에는 역사에 설치되는 역사부하설비(40), 즉 공조설비(41), 조명설비(42), 전산설비(43), 통신설비(44) 등의 운영 스케쥴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역사부하설비 운영 스케쥴 정보에는 각 역사부하설비별 기동 및 정지 시간 등이 포함된다.
환경정보에는 역사 실내의 온도와 습도, 역사 실외의 온도와 습도, 및 역사 실내 혼잡도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과 역사 실내외의 환경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사부하설비(40)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자연 환경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환경정보는 도시철도 전체를 통합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철도 시스템 운영 서버(미도시), 또는 역사에 설치되어 해당 역사를 운영 및 관리하는 역사 관리 서버(미도시) 등을 통해서 검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도환경정보에는 철도차량을 운행하고 역사부하설비(40)를 운영하는 철도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통합 제어 서버(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합 제어 서버(30)는 변전소 전력량과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시간 전력해석을 통해 예상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피크전력을 기 설정된 목표 피크전력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역사부하설비(40)를 제어한다.
통합 제어 서버(30)는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31), 비교부(32),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 역사부하설비 제어부(34) 및 데이터베이스부(35)를 포함한다.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31)는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에 의해 측정된 변전소 전력량, 및 철도환경정보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된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해석을 수행하고, 이 실시간 전력해석을 토대로 예상 피크전력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예상 피크전력량은 변전소 전력량 및 철도환경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피크전력 예상값인 바, 변전소 전력량 및 철도환경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철도차량은 철도 교통 및 정상적인 인원 수송을 위해 기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지속적으로 운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상 피크전력량은 실제적으로 역사부하설비별 운영 여부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역사부하설비별 운영 여부는 철도환경정보에 의해 해당 역사별로 자체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역사부하설비별 운영에 대한 운영시나리오를 변경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상기한 예상 피크전력량을 예측하고, 이 예측된 예상 피크전력량을 토대로 역사부하설비(40)를 제어하여 피크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철도차량 전력량, 역사부하설비 전력량,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 변전소 용량 등에 따라 철도차량의 운행 스케쥴을 조정하는 것도 포함한다.
한편, 비교부(32)는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31)에 의해 산출된 예상 피크전력량과 기 설정된 목표 피크전력량을 비교하여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목표 피크전력량은 전력요금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피크전력량으로써, 해당 변전소 또는 역사마다 각기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전력요금이 변전소 마다 각기 산정되기 때문이다.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는 역사부하설비(40)에 대한 운영 시나리오를 변경한다. 이러한 운영 시나리오에는 각 역사부하설비별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상 피크전력량 및 목표 피크전력량과의 오차 등에 따라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운영 시나리오는 예상 피크전력량에 따라 각 역사부하설비별로 그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역사부하설비 제어부(34)는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에 의해 검출된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역사부하설비(40) 각각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35)는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에 의해 측정된 변전소 전력량, 철도환경정보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된 철도환경정보 및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에 의해 검출된 운영 시나리오를 저장한다.
한편,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변전소 전력량과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시간 전력량 해석을 통해 예상 피크전력량을 산출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에 의해 운영 시나리오가 입력되면, 이 운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량 해석을 다시 수행한다. 이에, 비교부(32)는 예측 피크전력량을 목표 피크전력량과 비교하고, 이때 예측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이면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가 다시 운영 시나리오를 검출한다.
이러한 과정은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고, 이때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 되면, 역사부하설비 제어부(34)가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역사부하설비(40)를 제어한다.
더욱이, 상기한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역사부하설비(40)를 제어하더라도, 기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해당 시점에서 변전소 전력량 및 철도환경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전력량 해석을 통해 예상 피크전력량을 다시 산출하고, 해당 시점에서의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이면, 상기한 과정을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 되도록 반복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방법을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크전력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먼저 변전소는 철도차량 및 역사부하설비(40)에 전력을 각각 공급한다. 이에, 철도차량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기 설정된 철도차량 스케쥴 정보에 따라 운행한다. 또한, 역사부하설비(40)는 기 설정된 역사부하설비 스케쥴 정보에 따라 역사부하설비(40)를 제어한다(S10).
이 과정에서,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는 상기한 철도차량 및 역사부하설비(40)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S20), 철도환경정보 검출부(20)는 철도환경정보를 검출한다(S30). 이때, 데이터베이스부(35)는 변전소 전력량과 철도환경정보를 저장한다.
이어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31)는 상기한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10)에 의해 측정된 변전소 전력량 및 철도환경정보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된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량 해석을 수행하여 예상 피크전력량을 산출하고(S40), 이 예상 피크전력량을 데이터베이스부(35)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비교부(32)는 예상 피크전력량과 목표 피크전력량을 비교하여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0).
단계(S50)에서의 판단 결과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면 상기한 역사부하설비(40)를 제어하는 단계(S10)로 리턴하여 현재의 역사부하설비 스케쥴 정보에 따라 역사부하설비(40)를 계속 제어한다.
반면에, 단계(S50)에서의 판단 결과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이면,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가 역사부하설비(40)에 대한 운영 시나리오를 변경하고, 변경된 운영 시나리오를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31)에 전달한다. 이때,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는 운영 시나리오를 데이터베이스부(35)에 저장한다.
한편,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31)는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에 의해 변경된 운영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실시간 전력량 해석을 다시 수행하고, 비교부(32)는 예측 피크전력량을 목표 피크전력량을 다시 비교하여 예측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은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이를 통해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인 운영 시나리오를 최종적으로 검출한다(S60).
이와 같이 운영 시나리오가 최종적으로 검출되면, 역사부하설비 제어부(34)는 단계(S10)으로 리턴하여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33)에 의해 검출된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역사부하설비(40)를 제어한다(S10).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예상 피크전력량이 목표 피크전력량 이하가 되도록 역사설비를 제어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설정시간마다 반복 수행된다.
이에 상기한 과정(S20~60)은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운영 시나리오는 복수 회에 걸쳐 변경될 수 있어 역사부하설비(40)는 단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역사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피크전력을 지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부(35)에 저장된 변전소 전력량, 철도환경정보 및 운영 시나리오는 운영 시나리오의 변경 및 갱신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철도차량과 역사부하의 전력량, 철도차량의 운영 스케쥴 정보, 및 역사 내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시간 전력해석을 통해 피크전력을 예측 및 제어한다.
본 실시예는 변전소의 피크전력을 감소시켜 전력 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철도차량의 부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역사부하설비(40)에 대한 단계적 제어를 통해 최대부하를 제어하여 피크전력에 대한 정밀한 예측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피크전력 제어시 도시철도 이용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 11: 철도차량 전력량 측정부
12: 역사부하설비 전력량 측정부 20: 철도환경정보 검출부
21: 스케쥴 정보 검출부 22: 환경정보 검출부
30: 통합 제어 서버 31: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
32: 비교부 33: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
34: 역사부하설비 제어부 35: 데이터베이스부
40: 역사부하설비 41: 공조설비
42: 조명설비 43: 전산설비
44: 통신설비

Claims (11)

  1. 역사 및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변전소 전력량을 측정하는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
    기 설정된 철도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철도환경정보 검출부; 및
    상기 변전소 전력량과 상기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 해석을 수행하여 예상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예상 피크전력을 기 설정된 목표 피크전력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역사부하설비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철도환경정보는 상기 철도차량의 운행과 상기 역사부하설비 운영에 대한 스케쥴 정보 및 역사 실내외의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철도 시스템의 전력 공급 계통에서 전력을 수급받아 상기 철도차량 및 상기 역사부하설비로 공급하는 변전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철도차량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철도차량 전력량 측정부; 및
    상기 역사부하설비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역사부하설비 전력량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정보는
    상기 철도차량의 운행시간에 대한 철도차량 운행 시간 간격 정보, 및 상기 역사부하설비별 가동 여부와 가동 시간에 대한 역사부하설비 운영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는
    상기 역사 실내의 온도와 습도, 상기 역사 실외의 온도와 습도, 및 상기 역사 실내의 이용인원에 따른 혼잡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서버는
    상기 변전소 전력량과 상기 철도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전력 해석을 통해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을 산출하는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을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역사부하설비에 대한 운영 시나리오를 변경하는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 및
    상기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역사부하설비를 제어하는 역사부하설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시나리오는
    상기 역사부하설비별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에 대한 역사부하설비 운영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이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 이상이면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이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 되도록 상기 운영 시나리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부하설비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예상 피크전력량이 상기 목표 피크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운영 시나리오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역사부하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서버는
    상기 변전소 전력량과 상기 철도환경정보 및 상기 운영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전력 제어 장치.
KR1020140039628A 2014-04-02 2014-04-02 피크전력 제어 장치 KR10158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28A KR101588013B1 (ko) 2014-04-02 2014-04-02 피크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28A KR101588013B1 (ko) 2014-04-02 2014-04-02 피크전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45A KR20150115145A (ko) 2015-10-14
KR101588013B1 true KR101588013B1 (ko) 2016-01-26

Family

ID=5435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628A KR101588013B1 (ko) 2014-04-02 2014-04-02 피크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0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6786A1 (ja) * 2008-09-03 2010-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
KR101012145B1 (ko) * 2008-12-11 2011-02-07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철도부하 시스템의 피크전력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339A (ko) * 2005-06-07 2006-12-12 주식회사 마니정보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KR101035657B1 (ko) * 2009-09-15 2011-05-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운행 통합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6786A1 (ja) * 2008-09-03 2010-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
KR101012145B1 (ko) * 2008-12-11 2011-02-07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철도부하 시스템의 피크전력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45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2902B2 (en) Real-time electric vehicle fleet management
US20160349725A1 (en) Deman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50018872A (ko) 빌딩 내의 디바이스의 가상 수요 검사
JP5914210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6302197B2 (ja) 電力需給制御装置及び電力需給制御方法
WO2013084268A1 (ja) 異主体間連携による資源融通方式
KR20130074043A (ko) 오차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수용가 수요전력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3198A (ko) 에너지 수요 동적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7535239A (ja) 無効電力量の消費を最適化する方法
JP6394087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10193663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468467A (zh) 一种应用于嵌入式控制系统的空调冷负荷实时预测算法
CN103155351A (zh) 供电控制装置和供电控制方法
CN105190193A (zh) 空调控制装置、空调控制系统和空调控制方法
JP7142291B2 (ja) 充電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KR20170079513A (ko)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5951270B2 (ja) 空気調和機の消費電力量管理制御システム、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消費電力量管理制御方法
JP2011193639A (ja) デマンド制御装置およびデマンド制御方法
KR101588013B1 (ko) 피크전력 제어 장치
JP6016681B2 (ja) 省エネルギーシステム
US10205320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KR101753907B1 (ko) 건물군 에너지 수요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474936B1 (ko) Ai 기반의 복합제어센서를 활용한 자율제어 통합빌딩 시스템
TW201523465A (zh) 即時需量控制系統及其控制方法
JP6038542B2 (ja) 空調機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