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912B1 -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912B1
KR101587912B1 KR1020150004147A KR20150004147A KR101587912B1 KR 101587912 B1 KR101587912 B1 KR 101587912B1 KR 1020150004147 A KR1020150004147 A KR 1020150004147A KR 20150004147 A KR20150004147 A KR 20150004147A KR 101587912 B1 KR101587912 B1 KR 10158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die
ball
pres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세신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신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신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나아가 취급이 용이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압입봉과, 상기 압입봉 우측에 구비된 슬리브스토퍼와, 상기 슬리브스토퍼 우측에서 위치하여 실린더의 우측 단부를 마감하는 캡과, 상기 캡의 우측 외부에서 부터 제2 슬리브까지 관통 결합되는 강제 방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forcible insertion device of the welding stud bol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취급이 용이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웰딩 스터드볼트는 I형 강재, ㄷ형 강재 등과 같은 건축용 강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용 강재와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웰딩 스터드볼트는 선단에 접속홈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홈에 통전단자(通電端子)의 기능을 하는 알루미늄 볼을 접속하여 제품이 완성되는데, 이는 웰딩 스터드볼트와 건축용 강재와의 전기적 접촉을 양호하게 하고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웰딩 스터드볼트는 통상적으로 최종 공정에서 웰딩 스터드볼트 선단을 압입장치 내부로 삽입하여 선단에 볼을 압입하고, 상기 볼이 빠지지 않도록 볼의 주변에 코킹부를 형성하는데, 종래의 압입장치는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볼 압입장치는 코킹부를 형성하는 다이스가 압입 고정되어 있거나, 완충장치 없이 구비되어 웰딩 스터드볼트에 의해 다이스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이스의 단부가 고스란히 받아낸다.
상기한 다이스의 단부에는 웰딩 스터드볼트 단부에 코킹부를 형성하는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된 다이스 또는 완충장치가 없는 다이스의 원형 돌출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원형 돌출부의 내구성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되고, 이러한 내구성 저하는 다이스 교체 주기를 빈번하게 한다.
둘째, 웰딩 스터드볼트의 선단에 압입하기 위해 공급된 볼을 고정하는 볼 스토퍼의 구성이 복잡하고, 고장이 빈번했다. 상기한 볼 스토퍼는 작동홈의 내부에 볼 스토퍼가 접속되고, 상기 볼 스토퍼의 하단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작동홈의 내부로 분진 등의 이물질들이 유입되면서 볼 스토퍼 및 스프링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볼 스토퍼의 고장 또한 생산 라인을 멈추게 하여 웰딩 스터드볼트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셋째, 볼 압입이 완료된 웰딩 스터드볼트가 압입장치에서 자동으로 방출되지 않을 때 압입장치를 분해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 중 압입장치를 분해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되면, 생산 라인이 멈추게 되고, 이러한 사고는 웰딩 스터드볼트의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472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32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스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볼 스토퍼의 구조가 개선 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 압입을 마친 스터드볼트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는 외부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압입봉과, 상기 압입봉 우측에 구비된 슬리브스토퍼와, 상기 슬리브스토퍼 우측에서 위치하여 실린더의 우측 단부를 마감하는 캡과, 상기 캡의 우측 외부에서 부터 제2 슬리브까지 관통 결합되는 강제 방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린더 내부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다이스 구성에 의해 다이스에 가해지는 하중이 탄성에 의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다이스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면 다이스 선단의 원형 돌출부 및 다이스 전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스의 중앙공 내부 테두리 아랫쪽에 볼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도록 볼 스토퍼 구성을 간소하게 개선하여 볼 스토퍼의 고장을 방지한다. 이러한 볼 스토퍼의 개선은 볼 스토퍼의 작동 이상으로 인해 볼 압입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의 우측 외부에서 부터 제2 슬리브까지 관통 결합되는 강제 방출봉을 구성하여 제작이 완료된 웰딩 스터드볼트가 압입장치에서 자동으로 방출되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압입장치의 분해 없이 웰딩 스터드볼트를 강제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파절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 단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의 절반을 절개한 상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내부의 제1 슬리브(110) 및 제2 슬리브(130)와, 상기 슬리브(110)(130)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다이스(120)와, 상기 다이스(120)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압입봉(140)과, 상기 압입봉(140) 우측에 구비된 슬리브스토퍼(150)와, 상기 슬리브스토퍼(150) 우측에서 위치하여 실린더(100)의 우측 단부를 마감하는 캡(160)과, 상기 캡(160)의 우측 외부에서 부터 제2 슬리브(130)까지 관통 결합되는 강제 방출봉(170)을 포함한다.
위 구성은 실린더(100)의 상부에서 압입봉(140)의 선단부 쪽으로 볼(102)이 공급되고, 슬리브(120)(130) 내부에 구성된 다이스(120)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볼을 하나씩 대기 상태로 준비한 다음, 압입봉(140)의 작용에 의해 상기 볼을 웰딩 스터드볼트의 선단으로 접속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압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100)는 원통형으로서, 내부로 제1 슬리브(110), 제2 슬리브, 다이스(120), 압입봉(140), 슬리브스토퍼(150), 강제 방출봉(170)의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는 볼 공급공(BH)이 슬리브의 내부를 향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볼 공급공(BH)에는 볼 가이드(101)가 접속되고, 상기 볼 가이드(101)를 통해 볼(102)이 공급된다.
상기 실린더(100)의 내부에는 제1 슬리브(110)가 접속된다. 상기 제1 슬리브(110)는 원통형으로서, 중앙에는 다이스 접속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리브의 좌측 상단에는 볼 공급공(BH)이 내부를 향해 관통 형성되고, 우측 상단에는 키 삽입공(113)이 내부를 향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키 삽입공(113)의 내측 테두리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키 삽입공(113)에는 키(114)가 체결된다.
상기 제1 슬리브(110)의 다이스 접속공(111)에는 다이스(120)가 접속된다. 상기 다이스는 원통형으로서 좌측 몸통은 직경이 좁고, 우측 몸통은 직경이 크게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다이스(120)의 중앙에는 전체를 관통하는 중앙공(CH)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공의 내부에는 볼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 몸통의 좌측 단부에는 원형 돌출부(124)가 형성되고, 좌측 몸통의 상부에는 볼 공급공(BH)이 내부를 향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볼 공급공(BH)의 우측으로는 키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스(120)의 우측으로는 제2 슬리브(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슬리브는 원통형으로서 중앙에는 전체를 관통하는 중앙공(CH)이 형성되되, 우측 방향을 향해 계단식으로 확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리브의 좌측 단부에는 다이스 수용홈(131)이 형성되어 다이스(120)의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다이스 수용홈(131)의 우측 단부에는 방출 스프링홈(132)이 3개 이상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방출 스프링(133)이 접속된다. 상기 방출 스프링홈(132)의 우측 단부에서 제2 슬리브(130)의 우측 단부까지는 방출봉 관통공(SH)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스(120)의 중앙공(CH)과, 제2 슬리브(130)의 중앙공(CH)에는 압입봉(140)이 탄성 접속된다. 상기 압입봉(140)은 좌측 선단에서 우측 선단 방향을 향해 계단식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입봉(140)의 우측으로는 원기둥 형상의 받침대(14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41)의 우측으로는 받침 스프링(142)이 구비된다. 압입봉(140)은 다이스(120)와 제2 슬리브(130)의 중앙공(CH)에서 받침 스프링(142)의 탄성에 의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141)의 우측으로는 슬리브스토퍼(150)가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스토퍼(150)는 중앙에 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좌측 단부 중앙에는 받침대 수용홈(151)이 형성되어 받침대(141)가 수용된다. 상기 받침대 수용홈(151)의 우측으로는 받침 스프링홈(152)이 형성되어 받침 스프링(142)이 접속된다. 상기 받침대 수용홈(151)의 주변으로는 방출봉 관통공(SH)이 슬리브스토퍼 전체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상기 방출봉 관통공(SH)의 형성 위치는 제2 슬리브(130)에 형성된 방출봉 관통공(SH)과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슬리브스토퍼(150)의 우측으로는 캡(160)이 구비된다. 상기 캡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계단식으로 직경이 확장된다. 캡은 실린더(100)와 체결 가능토록 형성되고, 방출봉 관통공(SH)이 캡 전체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상기 방출봉 관통공(SH)의 형성 위치는 슬리브스토퍼(150)에 형성된 방출봉 관통공(SH)과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캡(160)의 방출봉 관통공(SH)에는 강제 방출봉(170)이 접속된다. 상기 강제 방출봉(170)은 캡(160)의 우측 외부에서 부터 다이스(120)의 우측 단부까지 관통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의 결합 단면도로서, 위 도면을 참조하여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100)의 내부에는 제1 슬리브(110), 제2 슬리브(130), 다이스(120), 압입봉(140), 슬리브스토퍼(150)가 수용되고, 실린더(100)의 우측 단부에는 캡이 체결된다. 강제 방출봉(170)은 캡, 슬리브스토퍼(150), 제2 슬리브(13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100) 내부의 좌측 단부에는 제1 슬리브(110)가 수용되고, 상기 제1 슬리브(110)의 내부에는 다이스(120)의 좌측 몸통이 접속된다. 상기한 접속 결합에서 실린더(100), 제1 슬리브(110), 다이스(120)의 볼 공급공(BH)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제1 슬리브(110)의 키홈(123)으로는 키(114)가 체결되고, 상기 키(114)의 하단부는 다이스(120)의 키홈(123)으로 수용된다.
제1 슬리브(110)의 우측에 구비된 제2 슬리브(130)는 내부로 다이스의 우측 몸통을 수용한다. 다이스 수용홈(131)의 내부에 형성된 방출 스프링홈(132)에는 방출 스프링(133)이 수용된다. 상기 방출 스프링의 좌측 단부는 다이스(120)의 우측 단부와 접촉하며 탄성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스(120)는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의 내부에서 방출 스프링(133)의 탄성에 의해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슬리브(110)와 다이스(120)의 내부에는 압입봉(140)이 수용된다. 상기 압입봉(140)의 우측으로는 받침대(14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41)의 우측으로는 받침 스프링(142)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141)와 받침 스프링(142)은 슬리브스토퍼(150)의 내부로 수용되며, 받침대(141)의 좌측 단부는 압입봉(140)의 우측 단부와 접촉된다. 따라서 압입봉(140)은 다이스(120)와 제1 슬리브(1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일정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다이스(120)의 중앙공(CH) 내부 테두리 아랫쪽에는 볼 스토퍼(1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볼 스토퍼(122)는 슬리브에 형성된 볼 공급공(BH)의 중심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에 구성되어, 다이스(120)의 중앙공(CH)으로 공급된 볼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 방출봉(170)의 좌측 단부는 다이스(120)의 우측 단부와 접촉된다. 상기 강제 방출봉(170)의 우측 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강제 방출봉(170)의 이동에 의해 다이스(120)는 좌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4a,4b는 본 발명에 의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조 작업 및 볼이 압입될 접속홈(201) 형성 작업이 완료된 웰딩 스터드볼트(200)는 접속홈(201)이 형성된 측이 제1 슬리브(110)의 다이스 접속공으로 접속된다. 볼(102)은 실린더(100), 제1 슬리브(110), 다이스(120)의 볼 공급공을 통해 일직선 상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 때 최하측에 위치된 볼은 볼 스토퍼(122)에 의해 좌측 하단이 지지되고, 우측은 압입봉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볼의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다이스(120)는 방출 스프링(133)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나, 웰딩 스터드볼트(2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이스(120) 또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받침 스프링은 수축되어 다이스가 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웰딩 스터드볼트(20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던 다이스(120)는 제2 슬리브(130)의 다이스 수용홈 우측 단부와 맞닿으며 이동이 중지된다. 하지만, 웰딩 스터드볼트(200)이 이동에 따라 볼(102)과 압입봉(140)은 우측으로 이동을 계속한다. 상기 웰딩 스터드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면 압입봉(140)은 압입봉 우측의 받침대(141)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는 받침대(141)가 슬리브스토퍼(150)의 받침대 수용홈(151) 단부와 접촉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동이 멈추어진 압입봉(140)은 볼(102)의 좌측을 지지하여 웰딩 스터드볼트의 접속홈으로 볼이 압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볼의 압입이 완료되면 다이스(120) 좌측 단부의 원형 돌출부(124)가 웰딩 스터드볼트의 접속홈 주변을 강제적으로 파고 들어 볼 주변을 코킹한다. 이러한 코킹 작업은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웰딩 스터드볼트(200)가 제1 슬리브(110)의 다이스 접속공에서 자동으로 방출되지 않을 때에는 강제 방출봉(17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볼 압입장치의 분해 없이 웰딩 스터드볼트를 방출한다. 강제 방출봉(170)의 좌측 단부는 다이스(120)의 우측 단부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강제 방출봉에 좌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강제 방출봉에 밀려 다이스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이스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이스의 좌측에 위치된 웰딩 스터드볼트 또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강제 방출봉에 의해 웰딩 스터드볼트는 방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웰딩 스터드볼트(200)의 제조방법은 직선상의 금속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단조 공정에 의해 웰딩 스터드볼트의 일측에 헤드 부분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접속홈을 형성하여 웰딩 스터드볼트의 접속홈이 형성된 측을 제1 슬리브(110)의 내부로 접속하면, 압입봉이 실린더(100) 외부에서 공급된 볼(102)을 접속홈에 압입 고정시켜 웰딩 스터드볼트의 제작이 완료되며, 제작이 완료된 웰딩 스터드볼트는 방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방출되어 자동 이탈되고, 다시 새로운 웰딩 스터드볼트가 공급되어 볼 압입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에서 다이스를 탄성 설치하여 다이스와 웰딩 스터드볼트의 접촉에 의해 다이스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다이스의 불필요한 마로를 최소화하고, 볼 스토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볼 스토퍼의 고장 및 오작동을 해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완료된 웰딩 스터드볼트가 압입장치에서 방출되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강제 방출봉(170)의 작동에 의해 볼 압입장치의 분해 없이 웰딩 스터드볼트를 방출시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것이다.
100: 실린더 101: 볼 가이드
102: 볼 110: 제1 슬리브
111: 다이스 접속공 113: 키 삽입공
114: 키 120: 다이스
121: 원형 돌출부 122: 볼 스토퍼
123: 키홈 130: 제2 슬리브
131: 다이스 수용홈 132: 방출 스프링홈
133: 방출 스프링 140: 압입봉
141: 받침대 142: 받침 스프링
150: 슬리브스토퍼 151: 받침대 수용홈
152: 받침 스프링홈 160: 캡
170: 강제 방출봉 200: 웰딩 스터드볼트
210: 접속홈 BH: 볼 공급공
CH: 중앙공 SH: 방출봉 관통공

Claims (4)

  1.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내부의 제1 슬리브(110) 및 제2 슬리브(130)와,
    상기 제1 슬리브(110), 제2 슬리브(130)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다이스(120)와,
    상기 다이스(120)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 설치된 압입봉(140)과,
    상기 압입봉(140) 우측에 구비된 슬리브스토퍼(150)와,
    상기 슬리브스토퍼(150) 우측에 위치하여 실린더(100)의 우측 단부를 마감하는 캡(160)과,
    상기 캡(160)의 우측 외부에서 부터 제2 슬리브(130)까지 관통 결합되는 강제 방출봉(17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리브(110)의 다이스 접속공(111)과 제2 슬리브(130)의 다이스 수용홈(131)에는 다이스(120)가 탄성 설치되되,
    상기 다이스(120)는 원통형으로서 좌측 몸통은 직경이 좁고, 우측 몸통은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좌측 몸통의 좌측 단부에는 원형 돌출부(124)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전체를 관통하는 중앙공(CH)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공(CH)의 내부 테두리 아랫쪽에는 볼 스토퍼(1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이스(120)의 중앙공(CH)과, 제2 슬리브(130)의 중앙공(CH)에는 압입봉(140)이 탄성 접속되되, 상기 압입봉(140)의 우측으로는 원기둥 형상의 받침대(14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41)의 우측으로는 받침 스프링(142)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 스프링(142) 및 받침대(141)는 슬리브스토퍼(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제 방출봉(170)의 우측 단부는 캡(160)의 우측 외부로 노출되고, 강제 방출봉(170)의 좌측 단부는 다이스(120)의 좌측 단부와 접촉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4. 삭제
KR1020150004147A 2015-01-12 2015-01-12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KR10158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47A KR101587912B1 (ko) 2015-01-12 2015-01-12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47A KR101587912B1 (ko) 2015-01-12 2015-01-12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912B1 true KR101587912B1 (ko) 2016-01-25

Family

ID=5530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147A KR101587912B1 (ko) 2015-01-12 2015-01-12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9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226B1 (ko) 2018-04-16 2018-12-10 정근태 웰딩 스터드 볼트 플럭스볼 압입 장치
KR101944889B1 (ko) 2017-09-27 2019-02-01 대진볼트공업(주) 웰딩 스터드 볼트 제조장치
KR102044432B1 (ko) * 2019-05-08 2019-11-13 정갑희 웰딩 스터드볼트 제조장치
KR102044424B1 (ko) * 2019-05-08 2019-11-14 정갑희 웰딩 스터드볼트 제조장치
KR20230001653A (ko) * 2021-06-29 2023-01-05 김인곤 스터드볼트의 발화제 삽입 자동화 장치
KR20230044804A (ko) *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오션로드테크 공급 능력이 향상된 스터드볼트의 발화제 삽입 자동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016A (ja) * 1992-05-25 1993-12-03 Daido Kikai Seisakusho:Kk スタッドボルトの製造装置
KR20030040322A (ko) * 2003-04-28 2003-05-22 한국정밀공업(주) 웰딩 스터드의 제조장치
KR20090003230U (ko)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대길통상 웰딩 스터드 볼트 제조장치
KR101064722B1 (ko) 2009-07-10 2011-09-14 주식회사 삼진화스너 웰딩 스터드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016A (ja) * 1992-05-25 1993-12-03 Daido Kikai Seisakusho:Kk スタッドボルトの製造装置
KR20030040322A (ko) * 2003-04-28 2003-05-22 한국정밀공업(주) 웰딩 스터드의 제조장치
KR20090003230U (ko)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대길통상 웰딩 스터드 볼트 제조장치
KR101064722B1 (ko) 2009-07-10 2011-09-14 주식회사 삼진화스너 웰딩 스터드 제조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889B1 (ko) 2017-09-27 2019-02-01 대진볼트공업(주) 웰딩 스터드 볼트 제조장치
KR101927226B1 (ko) 2018-04-16 2018-12-10 정근태 웰딩 스터드 볼트 플럭스볼 압입 장치
KR102044432B1 (ko) * 2019-05-08 2019-11-13 정갑희 웰딩 스터드볼트 제조장치
KR102044424B1 (ko) * 2019-05-08 2019-11-14 정갑희 웰딩 스터드볼트 제조장치
KR20230001653A (ko) * 2021-06-29 2023-01-05 김인곤 스터드볼트의 발화제 삽입 자동화 장치
KR102528837B1 (ko) 2021-06-29 2023-05-03 주식회사 오션로드테크 스터드볼트의 발화제 삽입 자동화 장치
KR20230044804A (ko) *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오션로드테크 공급 능력이 향상된 스터드볼트의 발화제 삽입 자동화 장치
KR102598733B1 (ko) 2021-09-27 2023-11-03 주식회사 오션로드테크 공급 능력이 향상된 스터드볼트의 발화제 삽입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912B1 (ko) 웰딩 스터드볼트의 볼 압입장치
KR101064722B1 (ko) 웰딩 스터드 제조 장치
US10384259B2 (en) Stock ejector assembly
US2846278A (en) Positioning means for guide assemblies of punch press die sets
US11413677B2 (en) Guide pin assembly for metal forming dies and method
US2276050A (en) Method of connecting pins to bars
US9737923B2 (en) Stock ejector assembly
CN101994737A (zh) 功能元件、将功能元件引入金属片部件的方法及零件总成
EP3087575B1 (de) Elektromagnetische stellvorrichtung
KR20070025212A (ko) 스러스트축의 형단조 금형장치
CN219234483U (zh) 轴承压装工装
US4387583A (en) Bending and forming tool
CN105834325A (zh) 阀门密封环压制装置
US2177377A (en) Method of attaching parts
CN208375190U (zh) 一种轴承安装工具
CN103185898A (zh) 轴承保持架装配压铆前的铆钉检查装置
WO2018077561A1 (de) Magnetventil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CN218214991U (zh) 一种绕线治具
EP1058938B1 (de) Vorrichtung zum schalt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insbesondere grenztaster
WO2017005030A1 (zh) 一种顶杆自动对轴同心装置
CN202453513U (zh) 轴承保持架装配压铆前的铆钉检查装置
CN204018629U (zh) 一种气动压铆冲头
US20220412400A1 (en) Ball joint, method of manufacturing a ball joint, and tool for manufacturing a ball joint
JP7108251B2 (ja) 袋ナット用の電気抵抗溶接電極
KR101152594B1 (ko) 금형핀 가이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