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850B1 -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 Google Patents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850B1
KR101587850B1 KR1020130064604A KR20130064604A KR101587850B1 KR 101587850 B1 KR101587850 B1 KR 101587850B1 KR 1020130064604 A KR1020130064604 A KR 1020130064604A KR 20130064604 A KR20130064604 A KR 20130064604A KR 101587850 B1 KR101587850 B1 KR 10158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culture
tank
aquariu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258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5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를 위해 양식수로서 담수와 해수의 선택이 가능함과 더불어 담수와 해수에 의한 양식수 조건이 설정되면 담수의 해수의 비율이 점차 상반적으로 증감되는 기수(汽水)의 기간을 거쳐 설정된 양식수 환경으로 교환되도록 함으로써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에 유리하도록 된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는 단일의 양식수조에 대해 양식수설정환경에 따라 양식수로서의 해수와 담수가 상반적으로 증감되도록 하면서 그 해수와 담수가 증감되는 기간에 기수환경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회유성 어류로서의 민물뱀장어 친어에 대한 염분농도에 대한 삼투압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APPARATUS FOR CULTURING BROODSTORK OF EEL}
본 발명은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담수와 해수의 사이에서 회유하는 회유성 어류로서의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를 위해 양식수의 조건에 대한 선택 및 교환적인 설정(담수→해수, 해수→담수)이 가능하여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적인 사육에 적합한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어류의 분류에 따르면, 담수에서 산란/부화 및 생장하는 종류와, 해수에서 산란/부화 및 생장하는 어류 및, 번식을 위해 담수와 해수를 왕래하는 회유성 어류로 대별되는 바, 그 중에서 회유성 어류에는 연어라든지 황복처럼 담수에서 산란하고 해수에서 생장하는 소하성 어류와, 예컨대 민물뱀장어라든지 무태장어처럼 해수에서 산란하고 담수에서 생장하는 강하성 어류로 구분된다.
그러한 소하성 어류와 강하성 어류를 포함하는 회유성 어류는 담수에서 해수로 이동하거나 해수에서 담수로 이동하는 체내의 체액과 주변 수(水)의 염분 농도가 평형을 유지해야만 된다.
즉, 회유성 어류는 담수에서 해수로 이동하거나 해수에서 담수로 이동하는 경우 체내의 삼투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게 되는 바, 담수어(즉, 민물어류)는 그 체액이 주변 수의 염분 농도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피부와 아가미를 통해 수분이 삼투압에 의해 체내로 유입되어 체액을 희석시키므로 지속적으로 수분을 배출시켜야 하는 반면, 해수어는 주변 수의 염분 농도가 체액보다 높기 때문에 수분이 체외로 배출되어 버리게 되어 수분을 많이 흡수해서 보충하게 되고, 그러한 삼투압에 의한 염분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기수역(汽水域; Brackish water zone)(또는 하구역)에서 적응 및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대표적인 강하성 어류인 민물뱀장어의 생태적 회유 특성을 살펴보면, 태평양의 심해(深海)(남태평양 마리아나 제도의 서부 근해로 추정)에서 난생(卵生)부화된 렙토세팔루스(Leptocephalus; 즉, 민물뱀장어의 자어 또는 유어)의 형태로 일차 변태하여 북적도 해류를 따라 서(西)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북(北)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안에 도달하면서 실뱀장어로 이차 변태하게 된다.
그 실뱀장어는 기수역(예컨대 하구)에 집결하여 삼투압 과정에 의해 염분의 농도를 조절하고나서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로 소상하여 일정한 기간 생장하다가 산란을 위해 기수역에서 일정한 기간 체류하면서 삼투압에 의한 해수의 염분농도에 대한 조절과정을 거치고나서 다시 태평양의 심해 지역으로 회유하게 된다.
그런데, 대량의 양식을 위한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는 친어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바, 예컨대 담수에서 포획한 민물뱀장어 친어로부터 인공적인 종묘생상을 위해서는 호르몬요법에 의해 성성숙을 유도하여 배란 및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 그 담수에서 포획한 친어를 해수에서 호르몬 투여하기 위해서는 기수에서 일정한 기간 순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삼투압에 의해 해수에 적응이 가능하도록 담수로부터 기수 및 해수로의 변환이 가능한 친어관리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를 위해 양식수로서 담수와 해수의 선택이 가능함과 더불어 담수와 해수에 의한 양식수 조건이 설정되면 담수의 해수의 비율이 점차 상반적으로 증감되는 기수의 기간을 거쳐 설정된 양식수 환경으로 교환되도록 함으로써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에 유리하도록 된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관과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관이 설치되어 민물뱀장어의 친어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수조를 포함하는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급수관에 양식수급수관을 매개하여 연통되면서 내부에는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될 양식수가 저장됨과 더불어 양식수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히터가 배치된 양식수급수조와,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될 양식수의 조건(담수/해수)과 상기 양식수급수조에서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되는 양식수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설정부, 상기 조건설정부에서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과 수온에 따라 상기 양식수급수조에 입수되는 양식수가 교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히터에 의한 양식수의 온도가 승온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조건설정부에서 설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가 실행되도록 하는 상기 양식수의 조건과 수온이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캘린더부, 상기 양식수급수조의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양식수온도검출센서와, 상기 양식수조의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수온검출센서를 포함하는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식수급수조에는 담수가 입수되는 담수입수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담수입수구를 개폐하는 제 1의 전자제어밸브와, 해수가 입수되는 해수입수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해수입수구를 개폐하는 제 2의 전자제어밸브가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조건설정부에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양식수가 담수와 해수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식수설정버튼이 구비되고, 그 양식수설정버튼에 의해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은 상기 관리대상의 친어를 위한 담수→해수와 해수→담수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식수의 조건이 담수→해수와 해수→담수 중에서 선택되면 상기 양식수조의 관리대상 친어의 삼투압을 위해 상기 양식수조 내의 양식수가 기수화되는 기간을 거쳐 상기 양식수의 조건에 따라 양식수가 교환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도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식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점멸되는 광원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관과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관이 설치되어 민물뱀장어의 친어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수조를 포함하는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급수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담수입수구와 그 담수입수구의 개폐를 위한 제 1의 전자제어밸브와, 상기 양식수로서 해수가 입수되는 해수입수구와 그 해수입수구의 개폐를 위한 제 2의 전자제어밸브가 구비되면서 상기 양식수조의 급수관에 양식수급수관을 매개하여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될 양식수가 저장됨과 더불어 양식수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히터가 배치된 양식수급수조,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될 양식수의 조건(담수/해수)과 상기 양식수급수조에서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되는 양식수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설정부, 상기 조건설정부에서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과 수온에 따라 상기 양식수급수조에 입수되는 양식수가 교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히터에 의한 양식수의 온도가 승온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조건설정부에서 설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가 실행되도록 하는 상기 양식수의 조건과 수온이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일자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캘린더부, 상기 양식수급수조의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양식수온도검출센서와, 상기 양식수조의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수온검출센서를 포함하는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설정부에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양식수가 담수와 해수로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식수설정버튼이 구비되며, 그 양식수설정버튼에 의해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은 상기 관리대상의 친어를 위한 담수→해수와 해수→담수이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식수의 조건이 담수→해수와 해수→담수 중에서 선택되면 상기 양식수조의 관리대상 친어의 삼투압을 위해 상기 양식수조 내의 양식수가 기수화되는 기간을 거쳐 상기 양식수의 조건에 따라 양식수가 교환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해당하는 수조장치에는 상기 양식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점멸되는 광원이 더 포함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에 의하면, 양식수조에 급수되는 양식수에 대해 담수에서 해수 또는 해수에서 담수로의 교환적인 조건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그 양식수의 교환되는 중간에 일정한 기간에 걸쳐 관리대상의 친어에 대한 삼투압조절이 가능하도록 기수 조건이 설정됨으로써 별도의 담수 또는 해수에서의 순치를 위한 과정이 단일의 양식수조에서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민물뱀장어 친어에 대한 담수에서의 통상적인 사육이라든지 해수에서의 인공배란 호르몬 투여 작업에 편리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10은 예컨대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고 내부에는 양식대상으로서의 민물뱀장어 친어가 수용되는 양식수조로서, 그 하단은 받침구(10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 상기 양식수조(10)에는 양식수로서의 해수나 담수 또는 그 해수와 담수가 소정의 비율로 혼재하는 기수가 급수되는 급수관(12)이 하측에 배치되는 바, 그 급수관(12)에는 양식수가 토출되는 다수의 급수공(12a)이 천공된다.
상기 급수관(12)에 대응하여 사이폰방식으로 양식수가 폐수로서 배수되는 배수관(14)이 상측에 배치되는 바, 그 배수관(14)에는 사료부유물을 포함하는 양식수가 교환적으로 배수되는 다수의 배수공(14a)이 천공된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조장치에는 해수와 담수가 소정의 비율로 유입되어 상기 양식수조(10)에 대해 담수나 해수 또는 담수와 해수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는 기수를 급수해주는 양식수급수조(16)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식수급수조(16)의 내측에는 양식수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히터(18)가 배치됨과 더불어 그 상측에는 담수가 입수되는 담수입수구(18a)와 해수가 입수되는 해수입수구(18b)가 갖추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양식수조(10)에 담수나 해수 또는 담수와 해수의 혼합에 의한 기수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담수입수구(18a)와 상기 해수입수구(18b)에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및 제 2의 전자제어밸브(19a,19b)가 대응적으로 설치된다.
또,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는 양식수에 첨가될 첨가제(예컨대 친어의 성성숙을 촉진시키기 위한 호르몬제 등)가 투입되는 첨가제투입구(18c)도 선택적으로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양식수급수조(16)와 상기 양식수조(10)의 사이에는 양식수급수관(16a)이 연통되고, 그 양식수급수관(16a)에는 상기 양식수조(10)에 급수되는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급수온도검출센서(20)가 배치되는 바, 그 급수온도검출센서(20)는 상기 양식수급수조(16)의 내측에 설치해도 된다.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양식수의 현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수온검출센서(22)가 제공되는 바, 그 수온검출센서(22)는 상기 급수온도검출센서(20)에 의해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양식수 온도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면 배제되어도 된다.
그에 더하여, 해당하는 수조장치에는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를 위해 상기 양식수조(10)에 급수되는 양식수로서 해수나 담수 또는 해수와 담수가 소정의 비율로 혼재되는 기수의 조건을 설정함과 더불어 양식수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설정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조건설정부(24)에는 상기 양식수조 내에 담수로부터 해수로 교체되도록 하거나 해수에서 담수로 교체되도록 하기 위한 업/다운방식의 양식수설정버튼(24a)과 그 양식수의 온도를 증감시키기 위한 업/다운방식의 수온설정버튼(24b)이 포함된다.
상기 조건설정부(24)와 상기 급수온도검출센서(20) 및 상기 수온검출센서(22)의 출력측에는 해당하는 수조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6)가 연계된다.
상기 제어부(26)에는 상기 조건설정부(24)의 양식수설정버튼(24a)에서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즉, 담수→해수 또는 해수→담수)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양식수급수조(16)의 상기 담수입수구(18a)와 상기 해수입수구(18b)에 제공된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자제어밸브(19a,19b)를 개폐제어하기 위한 밸브제어신호(VC1, VC2)를 제공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26)에 대해서는 상기 조건설정부(24)에서 설정되는 데이터(예컨대, 담수/해수/기수의 양식수설정데이터, 상기 양식수의 온도를 설정하는 수온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28) 및, 상기 양식수조(10)내에 수용된 친어의 관리를 위해 예컨대 1일 단위의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캘린더부(30)가 연계된다.
또, 상기 제어부(26)에는 상기 양식수급수조(16)내에 유입되는 양식수의 온도를 상기 조건설정부(24)의 수온설정버튼(24b)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히터(18)를 온/오프(On/Off)구동하는 히터구동부(32)가 접속되고, 상기 양식수조(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6)의 제어하에 민물뱀장어 친어의 성성숙 및/또는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그 친어의 이석(耳石)정보형성에 유의미한 광(光)을 조사해주는 광원(34)이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에서는 상기 조건설정부(24)의 양식수설정버튼(24a)에 의해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즉, 담수→해수 또는 해수→담수)과 상기 수온설정버튼(24b)에 의해 설정되는 양식수의 온도가 상기 제어부(26)의 제어 하에 상기 데이터저장부(28)에 저장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데이터저장부(28)에는 상기 양식수설정버튼(24a)에서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즉, 담수→해수 또는 해수→담수)이 설정됨에 따라 그 양식수가 담수에서 해수로 교환되거나 해수에서 담수로 교환되는 경우 상기 양식수조(10)내에 수용된 관리대상의 친어가 삼투압에 의해 해수의 염도에 적응하기에 적합한 기간(즉, 기수 환경 기간)의 데이터도 미리 저장된다.
또, 상기 제어부(26)에 대해서는 상기 양식수의 교체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캘린더부(30)에서 제공되는 계시데이터에 기초하여 염분의 농도가 소정의 단위(예컨대 5psu; 이 단위는 기수기간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로 옅어지거나 짙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양식수급수조(16)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자제어밸브(19a,19b)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도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양식수조(10)에 양식수로서 담수가 급수된 상태를 가정하여 상기 조건설정부(24)의 상기 양식수설정버튼(24a)에 의해 양식수의 교체를 위한 조건(담수→해수)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제 1 및 제 2전자제어밸브(19a,19b)를 개폐제어하여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는 양식수의 염분의 농도가 예컨대 5psu/일의 범위로 높아지도록 상기 담수 대 해수의 비율이 변화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 제공되는 상기 담수입수구(18a)와 상기 해수입수구(18b)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수량이 통과하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제 1의 전자제어밸브(19a)의 개방시간에 대해 상기 제 2의 전자제어밸브(19b)의 개폐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는 담수로부터 해수로 교체되는 기수의 조건으로 일정한 기간 동안 유지되고, 그 기수의 양식수가 상기 양식수급수관(16a)을 경유하여 상기 급수관(12)의 급수공(12a)으로부터 급수됨과 더불어 상기 양식수조(10)내의 기존의 양식수는 폐수로서 배수관(14)의 배수공(14a)을 통해 배수된다.
따라서,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양식수는 담수에 비해 해수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기수형태로 되고, 그 기수의 양식수는 상기 양식수급수조(16)의 양식수가 완전히 해수로 교체되는 경우에 상기 양식수급수관(16a)을 통해 공급되는 양식수(해수)에 의해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양식수도 완전히 해수로 교체되며, 그에 따라 상기 양식수조(10)의 해수 조건 하에서 예컨대 친어의 성성숙유도를 포함하여 필요한 관리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조건설정부(24)의 상기 양식수설정버튼(24a)에 의해 양식수의 교체를 위한 조건(해수→담수)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26)는 상기의 '담수→해수)의 제어와는 상반되게 상기 제 1 및 제 2전자제어밸브(19a,19b)를 개폐제어하여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는 상기 담수의 비율이 해수의 비율보다 점차 높아지도록 제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양식수로서 담수가 충전된 상기 양식수조(10)에서 상기 친어에 대한 통상적인 관리를 위한 사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조건설정부(24)의 수온설정버튼(24b)에 의해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양식수 온도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양식수조(10)의 수온검출센서(22)에서 검출된 현재의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승온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히터구동부(32)를 통해 상기 히터(18)를 구동하여 상기 양식수급수조(16)내의 양식수온도를 승온시키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양식수급수관(16a)의 상기 양식수온도검출센서(20)에 의해 상기 양식수조(10)에 급수되는 양식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상기 수온검출센서(22)의 검출온도와 비교하여 근사치에 도달되거나 높은 경우에는 상기 히터구동부(32)에 의한 상기 히터(18)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캘린더부(30)에서의 계시데이터에 따라 상기 광원(34)을 점멸제어하여 상기 양식수조(10) 내의 관리대상으로서의 친어의 이석정보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바, 이석정보의 관리에 의해서는 인공적인 성성숙이 시행된 경우 날짜의 경과에 따라 자연산란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투입구(18c)에는 소정의 호르몬제라든지 영양제, 살균제 등을 포함하여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친어의 관리에 필요한 첨가제의 투입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 담수와 해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담수입수구(18a)와 해수입수구(18b)가 제공된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는 해수입수구(18b)와 그 해수입수구(18b)를 개폐하기 위한 제 2의 전자제어밸브(19b)가 구비되고 상기 양식수조(10)에 구비된 상기 급수관(12)에 연통되도록 담수입수구(18a)가 결합됨과 더불어 그 담수입수구(18a)의 개폐를 위한 제 1의 2전자제어밸브(19a)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조장치의 구성에서도 상기한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양식수 조건의 설정(즉, 담수→해수, 해수→담수)에 따라 상기 제어부(26)의 제어 하에 상기 양식수조(10)에 대한 담수 및/또는 해수의 선택적인 급수가 가능하여 상기한 일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민물뱀장어 친어의 관리적인 사육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양식수조(10)의 급수관(12)에 연통되는 상기 담수입수구(18a)를 통해 입수되는 담수의 온도가 상기 양식수급수조(16)에서 가열된 해수의 온도를 저하시킬 가능성을 고려하여 그 담수입수구(18a)측에도 별도의 수온검출센서(도시는 생략)를 설치하여 그 수온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담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26)가 상기 히터(18)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양식수조(10)에는 상기 수온설정버튼(24b)에서 설정된 수온으로 유지되도록 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양식수조의 양식수가 담수 환경에서 자연적인 친어의 사육관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캘린더부(30)에서 인가되는 일자 계시데이터에 따라 계절의 변화를 인지하여 상기 히터(18)의 가동에 의해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온도가 승온되도록 하거나 상기 광원(34)의 점멸 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의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담수입수구(18a)가 상기 급수관(12)에 연통되는 구성이 적용되지만, 상기 급수관(12)에 별개로 담수입수관을 설치해도 되며, 그 담수에 대해서도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여 상기 해수의 온도와 동일하게 상기 제어부(26)의 제어하에 상기 수온설정버튼(24b)에서 설정된 온도로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회유성 어류로서 민물뱀장어 친어를 상정하고 있지만, 해수에서 담수로 소상하는 시기의 민물뱀장어 치어의 관리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해수와 담수의 사이에서 회유하는 다른 회유성 어류(예컨대 연어 등)의 관리적인 사육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10 : 양식수조 12: 급수관,
14: 배수관, 16: 양식수급수조,
18: 히터, 20: 양식수온도검출센서,
22: 수온검출센서, 24: 조건설정부,
26: 제어부, 28: 데이터저장부,
30: 캘린더부, 32: 히터구동부,
34: 광원.

Claims (8)

  1. 내부에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관과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관이 설치되어 민물뱀장어의 친어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수조를 포함하는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급수관에 양식수급수관을 매개하여 연통되면서 내부에는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될 양식수가 저장됨과 더불어 양식수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한 히터가 배치된 양식수급수조와,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될 양식수의 조건을 담수 또는 해수로 설정하고, 상기 양식수조에서 상기 양식수조에 급수되는 양식수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설정부,
    상기 조건설정부에서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과 수온에 따라 상기 양식수급수조에 입수되는 양식수가 교환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히터에 의한 양식수의 온도가 승온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조건설정부에서 설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가 실행되도록 하는 상기 양식수의 조건과 수온이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일자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캘린더부,
    상기 양식수급수조의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양식수온도검출센서와, 상기 양식수조의 양식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수온검출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양식수급수조에는 담수가 입수되는 담수입수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담수입수구를 개폐하는 제 1의 전자제어밸브와,
    해수가 입수되는 해수입수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해수입수구를 개폐하는 제 2의 전자제어밸브가 갖추어지고,
    상기 조건설정부에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양식수가 담수와 해수로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식수설정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양식수설정버튼에 의해 설정되는 양식수의 조건은 상기 민물뱀장어의 친어를 위한 담수→해수와 해수→담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식수의 조건이 담수→해수와 해수→담수 중에서 선택되면, 상기 민물뱀장어의 친어가 변화된 삼투압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양식수가 기수화되는 기간 동안 상기 양식수급수조의 양식수 염분의 농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양식수조로 공급하되,
    상기 급수관은 상기 양식수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양식수조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이폰 방식으로 상기 양식수조 내에 있는 양식수와 함께 부유하는 사료부유물을 배출하며,
    상기 양식수급수조에서는 담수와, 해수가 소정 비율로 혼합된 기수의 염도 및 온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수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64604A 2013-06-05 2013-06-05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KR10158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04A KR101587850B1 (ko) 2013-06-05 2013-06-05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04A KR101587850B1 (ko) 2013-06-05 2013-06-05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258A KR20140143258A (ko) 2014-12-16
KR101587850B1 true KR101587850B1 (ko) 2016-01-22

Family

ID=5267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604A KR101587850B1 (ko) 2013-06-05 2013-06-05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70B1 (ko) 2016-05-20 2017-02-0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4815B (zh) * 2018-03-16 2023-11-14 南京云科芝生健康科技有限公司 鳗鱼池输水速热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41B1 (ko) 2007-08-03 2008-04-08 김종철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KR100831689B1 (ko) 2006-11-30 2008-05-22 홍시표 디지털앨범 벽걸이 수족관
KR100906732B1 (ko) * 2007-10-30 2009-07-07 이현철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89B1 (ko) * 2007-07-13 2009-05-18 오우용 활어 수조의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689B1 (ko) 2006-11-30 2008-05-22 홍시표 디지털앨범 벽걸이 수족관
KR100820041B1 (ko) 2007-08-03 2008-04-08 김종철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KR100906732B1 (ko) * 2007-10-30 2009-07-07 이현철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70B1 (ko) 2016-05-20 2017-02-0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258A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608B1 (ko)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US20220312747A1 (e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biofloc fermenter and aquaponics
KR101704970B1 (ko)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KR101726034B1 (ko)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N102792909A (zh) 利用盐碱水的鱼类养殖系统及方法
Saaid et al. Automated indoor Aquaponic cultivation technique
TWI655600B (zh) 使用ict的鰻魚水產養殖系統
KR101587860B1 (ko) 민물뱀장어 양식을 위한 수조장치
JP2014176339A (ja) 高効率一貫環境制御陸上養殖システム
CN101606499A (zh) 一种海蜇杂交育苗越冬及中间育成的方法
KR101587850B1 (ko) 민물뱀장어 친어 관리용 수조장치
RU2605197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товарных видов рыб в установках замкнут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варианты)
US5692455A (en) Fluidized bed production of oysters and other filter feeding bivalve mollusks using shrimp pond water
CN202664013U (zh) 鲍鱼海参工厂化立体混养的水质净化系统
CN212116707U (zh) 一种出水水层位置可控的循环流水养殖系统
CN109845668A (zh) 一种黑斑原鮡流水养殖培育驯化的方法
JP6980210B2 (ja) 良質な海洋環境を創出して海洋生態系の持続的保持を可能とする水生生物生産インフラシステム及び水生生物生産方法
JPH06225663A (ja) 海洋深層水を使用した宝石珊瑚の飼育方法と装置並びに輸送方法
CN205213883U (zh) 一种罗非鱼鱼苗养殖装置
CN110876354A (zh) 一种出水水层位置可控的循环流水养殖系统
CN104351097B (zh) 一种流水式贝类苗种繁育系统
CN204670148U (zh) 一种恒温控制的水产养殖箱体
KR102607502B1 (ko) 스마트 먹이 생물 배양시스템
CN211482488U (zh) 一种盐碱地稻虾循环生态养殖系统
TWM468143U (zh) 潮汐養殖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