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627B1 - 의료용 밴드 - Google Patents

의료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627B1
KR101587627B1 KR1020140082051A KR20140082051A KR101587627B1 KR 101587627 B1 KR101587627 B1 KR 101587627B1 KR 1020140082051 A KR1020140082051 A KR 1020140082051A KR 20140082051 A KR20140082051 A KR 20140082051A KR 101587627 B1 KR101587627 B1 KR 10158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and
dressing
wound
ban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989A (ko
Inventor
이훈범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27B1/ko
Priority to PCT/KR2015/006785 priority patent/WO2016003203A1/ko
Priority to CN201580046244.6A priority patent/CN106604702B/zh
Publication of KR2016000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밴드는 인체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고, 편향적인 탄성을 구비하는 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향적인 탄성을 갖는 밴드부 및 밴드부에 부착되어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부를 이용함으로써 상처를 봉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가적인 유지력을 제공하여 피부의 긴장에 따라 상처가 벌어지려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밴드{Medical bandage}
본 발명은 의료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창상 등의 치료에 유용한 밴드 타입의 의료 용품에 관한 것이다.
창상(상처, wound)이란 인체의 정상적인 조직(anatomy)이 파괴된 것을 말한다. 상처가 발생하면 인체내에서는 해당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 상처치유체계(wound healing system)와 면역시스템(immunologic system)이 동시에 작동된다.
일단 발생된 상처는 원래의 정상적인 해부학적인 모습과 기능을 갖도록 복구시키는 것이 의학의 목표이다. 이를 위하여 발생된 상처는 최단 기간 내에 흉조직이 최소화 되고 일상적인 생활에 잘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환경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흉조직은 상처가 서로 붙고 벌어지는 것을 막으며, 외부에서 균이나 이물질이 상처를 통하여 인체 내로 침투되는 것을 막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반면 흉조직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만들어 질 경우 비후성반흔(hypertrophic scar) 또는 켈로이드가 발생하게 되고, 외형적인 추형으로 인해 심리적인 열등감등을 초래하고, 인체기능에도 부적절하게 된다. 또 흉조직이 골절된 뼈사이에 끼이거나 혈액순환이 좋지 않은 흉조직으로 둘러싸일 경우에는 뼈의 결합 또는 치유에도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등 연부조직에 발생하는 흉조직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내구성은 충분히 갖도록 기능하는 다양한 드레싱 재료가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자가 삼출물을 그대로 유지 이용하여 습윤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재료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흉조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scarless wound healing)를 위해서는 상처의 양단에 걸리는 긴장(벌어지려는)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단순히 봉합사만으로 끌어 당겨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수상후 수일간 지속되는 부종으로 인한 더 높아지는 조직압력과 이에 저항하는 봉합사간에 피할 수 없는 스티치 마크(stitch mark)로 인한 새로운 흉터와 조직압력에 따른 혈액순환의 감소/차단등으로 인한 상처치유의 지연, 더 많은 흉조직의 발생 및 이차적인 감염 등을 감수해야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처의 피부의 긴장에 따른 상처가 벌어지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상처 치유 시스템을 활발히 유도가 가능한 의료용 밴드를 제공한다.
동시에 본 발명은 자가 삼출물을 그대로 유지 및 이용하여 습윤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의료용 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밴드는 인체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고, 편향적인 탄성을 구비하는 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에 상호 역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막대형 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밴드부재가 인체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면, 상기 밴드부재의 부착면의 타측면 및 상기 밴드부재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자석부재의 길이방향으로의 탄성과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의 배열방향으로의 탄성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의 배열방향으로는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자석부재의 길이 방향으로는 탄성이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 사이의 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의 배열방향으로도 탄성이 없는 비탄성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 사이에 인체의 상처에 적용되는 드레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자석부재 사이에는 인체의 상처에 적용되는 드레싱부재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드레싱부재의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편향적 탄성을 갖도록 직조되는 외피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싱부재는 항생제, 연고, 소염제, 진통제, 창상치유 성장인자, 호르몬, 스테로이드, 자가이식 세포 및 합성 조직재생 촉진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싱부재는 습윤 드레싱 제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싱부재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필름 및 하이드로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싱부재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파우더 또는 상기 CMC 파우더를 포함하는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MC 파우더 혼합물은 CMC 파우더와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 알지네이트(alginate) 및 수지(gu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우더의 혼합 및 고형화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화 시 상기 CMC 파우더 혼합물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부재는 영구 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향적인 탄성을 갖는 밴드부 및 밴드부에 부착되어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부를 이용함으로써 상처를 봉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가적인 유지력을 제공하여 피부의 긴장에 따라 상처가 벌어지려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인체의 성장인자들을 상처의 주위로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상처 치유 시스템을 향상시킴으로써 상처의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드레싱제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처를 습윤상태로 유지하여 상처의 회복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일측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타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석의 타입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의료용 밴드를 환부에 적용한 예시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류 전원이 인가되는 전자석을 이용한 의료용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전자석을 이용한 의료용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부착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타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부재(100)와 자석부재(210a, 210b)를 구비한다.
밴드 부재(100)는 인체의 일부에 부착되어 상처의 보호, 드레싱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재이며, 자석 부재(210a, 21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부재(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인체의 창상의 치유를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100)의 타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해당 타측면은 밴드 부재(100) 자체의 내구성이나 방오(anti-contamination)기능을 위한 레이어 또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부재(210a, 210b)는 밴드 부재(100)의 일 측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 때 자석 부재(210a, 210b)는 각 자석 부재(210a, 210b)의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어 역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석 부재(210a, 210b)의 배열로 인하여 두 자석 부재(210a, 210b)간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자석 부재(210a, 210b)는 영구 자석과 전자석 등 어떠한 타입의 자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별도의 추가적인 부재없이 단순히 영구 자석만으로도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전력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밴드에 포함되는 자석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 부재(210a, 210b)의 기능 중 하나는 정상적인 혈관에 존재하는 적혈구를 끌어들여 창상 주위에 혈액내 산소분압을 높여주는 것인데, 이는 적혈구내에 헤모글로빈이 들어있고 이 헤모글로빈에는 Fe++/ Fe+++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석 부재(210a, 210b)는 자기장을 형성하여 적혈구를 창상 주위로 유도함으로써 혈관 자체가 크고 굵어지는 울혈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혈관벽의 구멍들이 커져서 정상적인 창상치유 및 면역체계에 관여하는 T, B, K 임파구들 및 백혈구와 monocyte, macrophage, platelet 등이 조직 내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촉진될 수 있다. 또한 EGF, FGF, IGF, AGF, PDGF, BMP, TGF-β1, TGF-β2, TGF-β3, TGF-α, TNF-α, PDGF, FGF-1, FGF-2, FGF-4, FGF-7(KGF-1), FGF-10(KGF-2), EGF. IGF-1/Sm-C, IL-1α, IL-1β, CTGF, VEGF 등의 수많은 창상 치유 호르몬(wound healing hormone)과 성장인자들이 분비가 촉진됨으로써 창상의 치유기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자기장의 영향으로 혈액 및 체액 그리고 조직액들의 이동이 촉진된다. 즉 이들의 지속적인 생성과 자극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자료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또한 자기장은 피부 및 연부조직의 재생, 창상치료 촉진, 골절된 뼈의 유합(union) 및 재형성(remodeling)을 촉진한다고 수많은 보고들이 있다. 본 의료용 밴드(10)도 피부 및 연부조직 창상모델과 골절치료용 모델의 두 가지 모델로 모두 이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 부재(10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자석 부재(210a, 210b)가 부착된다. 자석 부재(210a, 210b)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부착됨으로써 밴드 부재(100)의 일면 중 일부(PH1)가 자석 부재(210a, 210b)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일부의 영역(PH1)은 창상 등에 접촉하거나 창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창상이 외부와 격리되는 등 물리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부재(100)는 편향적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밴드 부재(100)는 자석부재(210a, 210b)의 길이 방향(D2-D2`)으로는 탄성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는 반면 자석부재(210a, 210b)의 배열 방향(D1-D1`)으로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창상의 텐션(tension)을 감소시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관하여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밴드 부재(100) 중 창상에 대응하는 영역(PH1)은 드레싱 부재 등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비탄성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밴드 부재(100)는 거즈형 또는 습윤 드레싱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즈형의 경우 자석 등의 부착이 용이하며, 직조를 통하여 편향적인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유리하다. 습윤 드레싱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창상의 치유면에서 보다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밴드 부재(100)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필름 및 하이드로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밴드 부재(100)가 자체적으로 탄성재질로 형성되거나, 거즈형인 경우에도 별도의 편향적인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직조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탄성 부재(140a, 140b)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제1 비탄성 부재(140a)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제1 비탄성 부재(140a) 중 일부를 연결하는 제2 비탄성 부재(140b)를 배열할 수 있다.
밴드 부재(100)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비탄성 부재(140a)만 배열된 부분은 길이 방향(D2-D2`)으로는 탄성이 없으나 폭 방향(D1-D1`)으로는 탄성을 갖게 되고, 제1 비탄성 부재(140a)와 제2 비탄성 부재(140b)가 겹쳐진 부분에는 어느 방향으로도 탄성이 최소화된 상태가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비탄성 부재(140a)만 배열된 부분은 창상의 텐션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고, 제1 비탄성 부재(140a)와 제2 비탄성 부재(140b)가 겹쳐진 부분은 드레싱제 등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비탄성 부재(140a, 140b)는 밴드 부재(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되거나 밴드 부재(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습윤 드레싱에 관하여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설명한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자석의 타입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의료용 밴드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의료용 밴드를 환부에 적용한 예시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10b)는 자석 부재(210a, 210b)들 사이에 별도의 드레싱부재(25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 부재(100)는 드레싱부재(250)가 부착되는 영역은 탄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레싱부재(250)는 거즈 또는 습윤드레싱 제재 등의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레싱부재는 항생제, 연고, 소염제, 진통제, 창상치유 성장인자, 호르몬, 스테로이드, 자가이식 세포 및 합성 조직재생 촉진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창상의 치유를 보조하거나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싱부재(250)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필름 및 하이드로겔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형성되는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레이어들은 목적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251, 253, 255)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레이어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파우더 또는 상기 CMC 파우더를 포함하는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CMC 파우더 혼합물은 CMC 파우더와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 알지네이트(alginate) 및 수지(gu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우더의 혼합 및 고형화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형화 시 CMC 파우더 혼합물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PVA(polyvinyl alcohol), PVAc(polyvinyl acetate) 등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싱부재(250)는 폴리우레탄 필름(251), 폴리우레탄 폼(253) 및 하이드로콜로이드 레이어(255)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레이어(255)는 삼출액을 빠르게 흡수하여 젤화 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253)은 친수성으로서 삼출액을 흡수하고 폴리우레탄 필름(251)과 함께 상처 치유 환경을 조성한다.
한편, 자석 부재(210a, 210b)의 극성은 형성되는 자기장이 역방향을 유지하는 한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극성이 다른 자석이 아니라, 상부면과 하부면의 극성이 다른 타입의 자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두 자석 부재(210a, 210b)간에는 인력이 작용하는 것은 자명하나, 그 이전에 두 자석 부재(210a, 210b)들은 각각 다른 극성의 면이 서로 마주하려는 회전력이 더 크게 작용한다. 이러한 두 자석 부재(210a, 210b)의 회전력은 자석 부재(210a, 210b)들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비하여 창상 주위의 인체를 비교적 깊이 눌러줌으로써 두 자석 부재간의 인력과 함께 작용하여 창상의 양단면에 작용하는 텐션을 감소시키는 작용 및 효과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부재(100)는 탄성영역(PH1b)과 비탄성영역(PH1a)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탄성영역(PH1a)에는 드레싱부재(250)가 고정되어 창상을 보호할 수 있으며, 탄성영역(PH1b)은 인체에 부착되어 자석부재(210a, 210b)를 포함하는 의료용 밴드(10b) 전체를 인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비탄성영역(PH1b)은 인체에 부착되지 않고 탄성도 없기 때문에 인체를 당겨주거나 인체에 작용하는 텐션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에 비하여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를 기준으로 외측으로는 인체에 부착된 상태이며 탄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인체를 중심방향으로 잡아 당겨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피부 및 연부조직의 최소흉 창상 치료(scarless wound healing)를 하기 위해서는 첫째, 창상 양 단면에 걸리는 긴장(tension)을 최소화 하면서 양 단면 사이의 사강(dead space)를 최소화 시켜야 하며, 둘째, 창상의 치료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산소 및 영양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혈액공급이 활성화 되어야 하며, 셋째, 상처 치료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호르몬 및 성장인자들, 구체적으로는 EGF, FGF, IGF, AGF, PDGF, BMP, TGF-β1, TGF-β2, TGF-β3, TGF-α, TNF-α, PDGF, FGF-1, FGF-2, FGF-4, FGF-7(KGF-1), FGF-10(KGF-2), EGF. IGF-1/Sm-C, IL-1α, IL-1β, CTGF, VEGF 등이 최단기간에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피부에 발생한 창상에서는 창상 주위의 텐션(tension) 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줄이면서 이러한 사강(dead space)을 최소화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10b)를 인체의 창상(W)에 적용하는 경우 창상(W)에는 밴드 부재(100)의 탄성에 의한 응집력과 자석부재(210a, 210b)의 자기장에 따른 인력이 함께 작용하여 창상(W)의 양단면을 벌어지도록 하는 텐션을 상쇄시킨다. 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창상의 길이 방향으로는 밴드 부재(100)의 탄성과 자석 부재(210a, 210b)의 인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의 텐션이 그대로 유지되며, 창상(W)의 양단면을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 외의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특히 이러한 탄성에 따른 응집력과 자기장에 의한 인력은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의 외측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창상(W)의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힘을 가하지 않아 효과적인 상처 치유 환경 조성에 유리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부재(210a`, 210b`)는 밴드 부재(100)의 상부, 즉 부착면에 구비되는 드레싱 부재(250)의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석 부재(210a`, 210b`)의 작용 및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자석 부재(210a`. 210b`)가 인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석 부재(210a`, 210b`)가 인체를 자극하거나 자석 부재(210a`, 210b`)가 창상으로부터의 삼출액으로 인하여 부식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밴드 부재(100)의 접착면을 창상의 크기 및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10d)는 자석 부재(210a, 210b)가 밴드 부재(100d)의 내부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밴드 부재(100d)의 직조 또는 제조 과정 중 자석 부재(210a, 210b)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석 부재(210a, 210b)와 피부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자석 부재(210a, 210b)들 사이의 영역(PH1)뿐 아니라 밴드 부재(100d)와 인체가 접촉하는 면 전체를 창상 치유에 유리한 부재 및 재료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자석 부재(210a, 210b)에 의한 창상의 텐션 상쇄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밴드 부재(100d)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거즈형이나 습식 드레싱 제재형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드레싱 부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밴드 부재(100d) 자체를 드레싱 부재(습식 드레싱 제재)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의료용 밴드(10e)는 밴드 부재(100)가 일체형이면서도 기능적 및 재질면에서 세 부분으로 구분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 부재(100e)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의 드레싱부(151)와 양 측면의 접착부(153)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드레싱부(151)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들의 드레싱 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창상에 직접 접촉하여 상처 치유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한다. 양측의 접착부(153)들은 자석부재(210a, 210b)들을 내포하거나 상단 또는 하단에 부착된 상태로 인체에 부착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접착부(153) 들이 폭방향으로만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밴드부재(151, 153)의 인체에 부착되지 않는 일면에 부착되는 외피부재(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외피부재(150)는 밴드부재(151, 153) 들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방오 기능을 부가하며,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싱부(151) 이외의 영역, 즉 접착부(153)에만 편향적인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빠른 상처 치유가 가능하도록 돕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전자석을 구비한 의료용 밴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류 전원이 인가되는 전자석을 이용한 의료용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전자석을 이용한 의료용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2는 자석 부재(213a, 213b)를 전자석으로 구현한 경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석 부재(213a, 213b)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직류 전원을 인가하였다. 이 경우 전류가 도선(215)을 통하여 제1 자석 부재(213b)와 제2 자석 부재(213a)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회귀하게 된다.
제1 자석 부재(213b)와 제2 자석 부재(213a)는 각각 도선(215)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권취하여 형성되었으며, 제1 자석 부재(213b)는 직류 전원(500)으으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하고, 제2 자석 부재(213a)는 직류 전원(500)으로 회귀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제1 자석 부재(213b)와 제2 자석 부재(213a)의 극성은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자석 부재(213b)와 제2 자석 부재(213a)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영구 자석과 마찬가지로 인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 부재(213b)와 제2 자석 부재(213a)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자석 부재(213b)와 제2 자석 부재(213a)의 주변에 시변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교류 전원으로는 사인파형 또는 펄스형 등 다양한 교류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사인파나 펄스형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두 자석 부재(213a, 213b) 사이에는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인력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창상의 주위에는 체액 및/또는 혈액의 순환이 유도된다. 즉, 교류전원(510)에 의하여 자석 부재(213a, 213b)에 시변 자기장이 유도되면, 창상 주위에 시변 자기장이 형성됨으로써 다이나모 효과(dynamo effect)에 따라 D3-D3`방향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혈액의 순환(circulation)이 촉진된다. 이는 새로운 혈액의 공급 등에 기여할 뿐 아니라 상처 치료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호르몬 및 성장인자들을 창상 주위에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석 부재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될 수 있다. 창상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경우, 혈관확장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혈관세포간 간극이 확장됨으로써 여러가지 염증세포가 창상부위에 활발히 유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면역체계가 활성화되고 창상치유호르몬 및 성장인자들이 짧은 시간 내에 다량 공급되어 창상치유가 빨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혈관확장의 기전으로는 3가지가 고려된다.
첫째, 정적 자기장 및 시변 자기장 모든 경우에 대하여 Fe++/Fe+++을 함유하고 있는 헤모글로빈을 포함하는 적혈구들이 자기장내로 응집하게 되고, 이에 따른 혈관의 울혈현상이 나타나며 그 결과로서 혈관벽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진다.
둘째, 시변 자기장은 생체내에서 혈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혈관내의 여러 이온들(Na+, K+, Cl-등)이 혈관벽을 자극하여 혈관확장으로 혈액량이 증가하도록 한다.
셋째, 시변 자기장은 소동맥과 모세혈관, 세정맥의 평활근 등을 관장하는 교감신경계에 들어있는 생체이온들을 자극하여 혈관을 확장시킬수 있다.
즉, 정적 자기장이나 시변 자기장 모두에 대하여 혈관 확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특히 시변 자기장의 경우에는 혈관내의 여러이온들(Na+, K+, Cl-등)이 혈관벽을 자극하도록 하거나 소동맥과 모세혈관, 세정맥의 평활근 등을 관장하는 교감신경계에 들어있는 생체이온들을 자극하여 혈관을 확장시킴으로써 더욱 활발한 창상 치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정적 자기장 및 시변 자기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이론 및 가설들이 존재하며, 이들 이론에 의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가 창상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10a, 10b, 10c: 의료용 밴드
100: 밴드부재
140: 비탄성부재
210a, 210b: 자석부재
250: 드레싱부재
PH1: 부착면

Claims (17)

  1. 인체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고, 편향적인 탄성을 구비하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에 부착되고, 상호 역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한 쌍의 막대형 자석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인체의 상처에 적용되는 드레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막대형 자석부재의 길이방향으로는 탄성이 없도록 제조되고, 상기 막대형 자석부재의 폭방향으로는 탄성을 갖도록 제조되는 의료용 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되는 의료용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밴드부재가 인체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면, 상기 밴드부재의 부착면의 타측면 및 상기 밴드부재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되는 의료용 밴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 사이의 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자석부재의 배열방향으로도 탄성이 없는 비탄성부로 형성되는 의료용 밴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자석부재 사이에는 인체의 상처에 적용되는 드레싱부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의료용 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드레싱부재의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편향적 탄성을 갖도록 직조되는 외피부재가 더 포함되는 의료용 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부재는 항생제, 연고, 소염제, 진통제, 창상치유 성장인자, 호르몬, 스테로이드, 자가이식 세포 및 합성 조직재생 촉진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용 밴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부재는 습윤 드레싱 제재로 형성되는 의료용 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부재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필름 및 하이드로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레이어를 포함하는 의료용 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부재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파우더 또는 상기 CMC 파우더를 포함하는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의료용 밴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MC 파우더 혼합물은 CMC 파우더와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 알지네이트(alginate) 및 수지(gu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우더의 혼합 및 고형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의료용 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 시 상기 CMC 파우더 혼합물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에 의하여 접착되는 의료용 밴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는 영구 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구비되는 의료용 밴드.
KR1020140082051A 2014-07-01 2014-07-01 의료용 밴드 KR10158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51A KR101587627B1 (ko) 2014-07-01 2014-07-01 의료용 밴드
PCT/KR2015/006785 WO2016003203A1 (ko) 2014-07-01 2015-07-01 의료용 밴드
CN201580046244.6A CN106604702B (zh) 2014-07-01 2015-07-01 医疗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51A KR101587627B1 (ko) 2014-07-01 2014-07-01 의료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89A KR20160003989A (ko) 2016-01-12
KR101587627B1 true KR101587627B1 (ko) 2016-01-25

Family

ID=5501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051A KR101587627B1 (ko) 2014-07-01 2014-07-01 의료용 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87627B1 (ko)
CN (1) CN106604702B (ko)
WO (1) WO20160032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52B1 (ko) * 2017-09-29 2019-0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KR20210026502A (ko) 2019-08-30 2021-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449B2 (ja) * 1992-09-18 2000-07-24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1187153A (ja) 1999-12-28 2001-07-10 Tokin Corp トルマリンを含む磁気治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5716A (ja) 2005-05-24 2006-12-07 Aso Seiyaku Kk 磁石付き絆創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864B2 (ja) * 1989-07-31 1995-10-04 隆雄 束村 巻締部を有する金属製容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069449U (ja) * 1999-12-06 2000-06-23 正道 秋山 磁気治療具
JP2009541016A (ja) * 2006-06-23 2009-11-26 ジェ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り曲げ部を有する剥離シートを備える極薄創傷被覆材
CN201194878Y (zh) * 2008-05-26 2009-02-18 徐茂山 一种手术后用的切口敷贴
KR20130002638U (ko) * 2011-10-24 2013-05-03 (주)영케미칼 드레싱 밴드
CN203370019U (zh) * 2013-03-22 2014-01-01 张志伟 一种强磁伤贴
CN203953717U (zh) * 2014-05-05 2014-11-26 兰州大学 一种可调式磁力皮肤牵张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449B2 (ja) * 1992-09-18 2000-07-24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1187153A (ja) 1999-12-28 2001-07-10 Tokin Corp トルマリンを含む磁気治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5716A (ja) 2005-05-24 2006-12-07 Aso Seiyaku Kk 磁石付き絆創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52B1 (ko) * 2017-09-29 2019-0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KR20210026502A (ko) 2019-08-30 2021-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89A (ko) 2016-01-12
CN106604702A (zh) 2017-04-26
WO2016003203A1 (ko) 2016-01-07
CN106604702B (zh)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0688T3 (es) Dispositivo médico
US7507870B2 (en) Wound dressing
AU2015209243B2 (en) Traumatic wound dressing system with conformal cover
US10893983B2 (en) Method for dressing a wound
GB2415382A (en) Wound dressings for vacuum therapy
ATE473714T1 (de) Einweg-absorptionskörper zum aufsaugen von aus den wunden austretendem, flüssigem exsudat
EP1545636B1 (en) Hemostatic dressing
JP5606329B2 (ja) 創傷治療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08229658B2 (en) Conductive wound dressings and methods of use
KR101587627B1 (ko) 의료용 밴드
JP2018515308A (ja) 創傷被覆材
US20040181183A1 (en) Bandage based on the teorell-meyer gradient
US20150018742A1 (en) Self-securing medical device and method
US20080139988A1 (en) Bandage, topical agent-bearing package and topical agent-bearing element
Bobkiewicz et al. Medical terminology associated with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NPWT).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NPWT
KR102026319B1 (ko) 개량형 상처치료용 부재
KR101706916B1 (ko) 의료용 마그넷 밴드
CN217448674U (zh) 一种引流管防脱贴
WO2016108585A1 (ko) 의료용 마그넷 밴드
Sakamoto et al. The Fixation and Dressing for Meshed and Sheet Skin G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