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032B1 -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032B1
KR101587032B1 KR1020090057864A KR20090057864A KR101587032B1 KR 101587032 B1 KR101587032 B1 KR 101587032B1 KR 1020090057864 A KR1020090057864 A KR 1020090057864A KR 20090057864 A KR20090057864 A KR 20090057864A KR 101587032 B1 KR101587032 B1 KR 10158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power factor
handover
cell
handover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397A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0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셀 자원(Cell Resource)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Power Factor)값에 쓰레쉬홀드(Threshold) 값을 설정하는 전력 인자 설정부;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측정하는 전력 인자 모니터링부; 상기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상기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 및 상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HSPA/HSPA+와 같은 전체 셀의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기술의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핸드오버 파라미터, 자원 할당, 전력 인자 값

Description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olling Hand-Over Parame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WCDMA, HSDPA, HSUPA 및 HSPA+ 등과 같은 이종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각기 다른 단말기가 하나의 셀 내에 공존하는 네트워크에서 전력(Power)의 상태에 따라 전용 채널(DCH: 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의 핸드오버 관련 파라미터를 어댑티브(Adaptive)하게 변경함으로써, 인터/인트라 셀 간섭(Intra/Inter Cell Interference)을 줄이고, 이로 인해 셀 내 전력을 세이브할 수 있도록 하며, 세이브된 전력은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재할당되도록 하여 셀 내 처리량(Throughput)이 향상되도록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진화에 따라 종래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동영상 서비스와 같은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에 대한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고속의 통신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무선자원을 많이 점유하므로 무선 자원의 고갈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게 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고속 회선 서비스의 경우 핸드오버(Handover)시 천이할 셀의 무선자원이 부족할 경우, 최악의 경우 호 단절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즉, 종래의 소프트 핸드오버 설정의 경우, 셀 내의 유효 코드 및 전력 자원이 없더라도 전용 채널(DCH: Dedicated Channel)에 대한 자원 할당이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보다 높은 우선순위(Priority)가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용 채널에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따라서,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에 대한 전체 셀 처리량(Cell Throughput)의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셀 처리량 향상을 위하여 인트라/인터 셀 간섭을 감소(Reduction)시키고, 이를 통해 전력 자원을 세이브하고, 셀 처리량 향상을 위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한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셀 자원(Cell Resource)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Power Factor)값에 쓰레쉬홀드(Threshold) 값을 설정하는 전력 인자 설정부;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측정하는 전력 인자 모니터링부; 상기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상기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 및 상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셀 자원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 값에 쓰레쉬홀드(Threshold) 값을 설정하는 전력 인자 설정 단계;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측정하는 전력 인자 모니터링 단계; 상기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상기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 단계; 및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하는 자원 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WCDMA, HSDPA, HSUPA 및 HSPA+ 등을 지원하는 각기 다른 단말기가 하나의 셀 내에 공존하는 네트워크에서 전력(Power)의 상태에 따라 전용 채널(DCH: 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의 핸드오버 관련 파라미터를 어댑티브(Adaptive)하게 변경함으로써, 인터/인트라 셀 간섭(Intra/Inter Cell Interference)을 줄이고, 이로 인해 셀 내 전력을 세이브할 수 있도록 하며, 세이브된 전력은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재할당되도록 하여 셀 내 처리량(Throughput)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셀 내 코드 및 전력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전용 채널 데이터 호에 대하여 셀 내 자원을 측정하여 어댑티브(Adaptive)하게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시킴으로써,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HSPA/HSPA+와 같은 전체 셀의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기술의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 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시스템은 제 1 단말기(110), 제 2 단말기(112), 제 1 기지국(122) 및 제 2 기지국(124)을 포함한다.
제 1 단말기(110) 및 제 2 단말기(112)는 이동통신망과 연동하여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제 1 단말기(110) 및 제 2 단말기(112)는 WCDMA, HSDPA, HSUPA 및 HSPA+ 등과 같이 이종 이동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여기서, HSDPA와 HSUPA는 HSPA로 표현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122) 및 제 2 기지국(124)은 위치 등록 기능,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기능,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말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120)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지국(120)은 HSUPA가 적용된 기지국을 말하며, HSPA+로의 진화 가능한 기지국이다. 예를 들어서, WCDMA의 경우 모든 사용자(User)들마다 각자 고유의 전용 채널(DCH: Dedicated Channel)을 할당 받아서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게 되고, 자원의 효율성 측면으로 인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대 384 kbps(규격상 최대 2 Mbps)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서, HSDPA 다운링크(DownLink)의 경우, 공유 채널(Share Channel)(HS-DSCH)로 여러 사용자가 간에 공유함으로 인해, 셀 내 다른 사용자가 없는 경우 사용자 한 명은 셀 내 모든 자원을 이용하여 최대 14.4 Mbps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HSPA+의 경우도 HSDPA와 마찬가지로 HS-DSCH를 이용하게 되는데, HSDPA와의 차이점으로 Higher Order Modulation(16 QAM -> 64 QAM)의 사용으로 인해 기존 데이터 전송 속도의 증대(14.4 Mbps -> 21 Mbps)될 수 있다. 비동기 WCDMA 시스템의 경우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들 간에 코드가 직교 코드(Orthogonal Code)로 구분되고, 이런 특징으로 인해 한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이 다른 사용자들에게 간섭(Interference)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셀의 중심부에 비해 엣지(Edge) 지역으로 갈수록 간섭이 강하게 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전력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기지국과 단말기는 더 높은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곧 셀 내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간섭이 증가하게 됨을 의미한다. WCDMA의 경우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가 가능하게 되고, 핸드오버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셀과 동시에 데이터 채널을 개설하고 두 개 이상의 셀에서 데이터를 전송 받게된다. 이는 한 셀 내의 다른 유저들에게도 다른 셀의 간섭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HSDPA의 경우 신호 채널(Signaling Channel)은 소프터/스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HS-DSCH 채널은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소프터/스프트 핸드오버에 비해 하드 핸드오버로 인한 핸드오버 안정성에 약간의 영향은 있지만, 하나의 호(Call) 유지를 위해 두 개 이상 셀의 자원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 HSDPA의 경우 한 유저가 셀 내 다수의 직교 코드와 많은 전력을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므로, 소프트 핸드오버의 경우 두 개 이상 셀의 코드와 전력 손실이 너무 크기 때문에 규격적으로도 하드 핸드오버만을 지원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3GPP Release 6의 기능 중 SRB(Signaling Radio Bear) on HSPA의 경우 HSPA에서 별도의 전용 채널로 개설되는 시그럴링 베어러(Signaling Bearer)가 HSPA의 공유 채널에 포함되게 되면서 직교 코드를 세이브할 수 있고, SRB 데이터의 전송 속도 향상도 가능하게 된다. 즉, 기존 전용 채널에서 HS-DSCH를 이용하게 되면서 핸드오버 시 안정성에는 작지만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HSPA호의 경우, 셀에서 셀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공동 채널(Common Channel)(CPICH, P-SCH, S-SCH, P-CCPCH, S-CCPCH, PICH, AICH 등), 전용 채널 호에 필요한 전력 자원을 할당하고 남은 유효 전력을 할당받게 된다. 즉, HS-DSCH 채널은 셀 내 모든 유저가 공유할 수 있어야 하므로, 셀 내 단말기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력이 전송된다. 즉, 전용 채널과 같은 전력 제어가 없다.
음성에 비해 큰 직교 코드를 사용하는 WCDMA 데이터 호의 경우 최대 스프레딩 인자(Spreading Factor) 8(셀 내에서 호(Call)를 위해 사용 가능한 SF8 코드는 최대 7개)을 사용하여 최대 384 Kbps의 속도가 가능하다. 여기서, PS호는 일반적으로 64 Kbps, 128 Kbps, 384 Kbps 트래픽 베어러(Traffic Bearer)를 사용한다. WCDMA 데이터 호가 셀의 중심에서 셀 엣지로 이동하거나 셀 엣지 지역에서 설정된 경우, 호의 퀄리티(Quality) 유지를 위한 전력 제어 알고리즘(Power Control Algorithm)으로 인해 셀의 중심에서 보다 더 높은 전력이 할당되게 된다. 이러한 전력 제어로 인해 호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하나의 호가 다른 호 에 비해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한다는 점과 셀 내의 다른 단말기들의 간섭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러한 WCDMA 전용 채널 호가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를 진행할 경우, 두 개 이상의 기지국과 베어러(Bearer)를 설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10)가 전용 채널 데이터 호 진행 중 소프트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경우, 두 개의 기지국인 제 1 기지국(122)과 제 2 기지국(124)에서 데이터를 전송받게 되지만, 이러한 신호는 제 2 단말기(112)에는 인트라/인터 셀 간섭(Intra/Inter Cell Interference)으로 작용하게 된다.
만약, 제 2 단말기(112)도 전용 채널 데이터 호를 진행 중이라면 제 1 단말기(110)로 인한 간섭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좀 더 높은 전력을 사용하여야 하고 결국 두 개의 기지국인 제 1 기지국(122)과 제 2 기지국(124) 모두의 코드 자원/전력 자원을 점유하는 동시에, 제 1 기지국(122)과 제 2 기지국(124)의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기지국 내의 다른 HSDPA호에 할당할 수 있는 전력 자원을 줄어들게 만든다. 여기서, 코드 자원이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코드로서, 하나의 셀 내에 한정된 개념이다.
즉, 셀 내의 코드 자원/전력 자원이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다수의 단말기가 호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WCDMA 전용 채널 호의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는 셀 내의 처리량을 저하시키는 원인의 하나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셀 내의 코드 자원/전력 자원이 여유가 있더라도, WCDMA 전용 채널 호의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드 자원/전력 자원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HSPA/HSPA+)에 할당하고 이로 인해 셀 처리량 향상이 가 능하게 된다. HSPA+의 경우 높은 Modulation으로 변조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기존보다 더 높은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셀 내의 전력 자원 세이브는 HSPA+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전술한 두 가지 경우 모두 높은 스프레딩 인자(Spreading Factor)와 높은 전력 자원을 소모하는 전용 채널 데이터 호의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를 방지할 경우에는 셀의 처리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를 하드 핸드오버로 변경할 경우 핸드오버 품질에 대한 우려가 대두될 수 있으나, 이미 HSDPA 또는 SRB over HSPA의 경우 하드 핸드오버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려할 정도의 품질 저하는 발생하지 않으며, 코드 자원/전력 자원에 여유가 생길 경우 다시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로 변경할 수 있다.
기지국(120)은 셀 자원(Cell Resource)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Power Factor) 값에 쓰레쉬홀드(Threshold) 값을 설정하고,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측정하며,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하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은 HSPA(High Speed Packet Access)에 대한 자원 및 HSPA+에 대한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추가 할당된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은 Higher Order Modulation으로 인한 에러(Error) 발생 확률이 낮아지게 된 다. 또한, 셀 자원은 셀 자원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각 채널의 앨리먼트(Element)들도 포함한 개념이다.
또한, 기지국(120)은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소프트 핸드오버가 하드 핸드오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거나 소프트 핸드오버의 파라미터 중 TTT(Time To Trigger) 파라미터의 값을 짧게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TTT 파라미터는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으로 특정 신호 품질을 만족하는 경우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파라미터이다.
또한, 기지국(120)은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하인 경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기지국(120)은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전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도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도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는 도 1을 통해 전술한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시스템에서 기지국(12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 치를 기지국(120)이라 칭한다.
기지국(120)은 전력 인자 설정부(210), 전력 인자 모니터링부(220),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230) 및 자원 할당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20)이 전력 인자 설정부(210), 전력 인자 모니터링부(220),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230) 및 자원 할당부(240)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지국(12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전력 인자 설정부(210)는 셀 자원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 값에 쓰레쉬홀드 값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력 인자 설정부(210)는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하인 경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력 인자 설정부(210)는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전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 한다.
전력 인자 모니터링부(220)는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230)는 소프트 핸드오버가 하드 핸드오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거나 소프트 핸드오버의 파라미터 중 TTT(Time To Trigger) 파라미터의 값을 짧게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TTT 파라미터는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으로 특정 신호 품질을 만족하는 경우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파라미터이다.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230)는 전력 인자 모니터링부(220)의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전용 채널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원 할당부(240)는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추가로 할당된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자원은 Higher Order Modulation으로 인한 에러(Error) 발생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은 HSPA(High Speed Packet Access)에 대한 자원 및 HSPA+에 대한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지국(120)은 셀 자원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 값에 쓰레쉬홀드(Threshold) 값을 설정하고(S310),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모니터링하여 측정하며(S320), 모니터링된 결과에 근거하여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30). 즉, 기지국(120)은 셀 자원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 값에 특정 수준의 쓰레쉬 홀드 값을 설정하여, 셀 내 유효 전력(즉,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할당하기 이전 전력)이 특정 값 이하로 내려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단계 S330의 확인 결과,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기지국(120)은 전용 채널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한다(S340). 즉, 기지국(120)은 소프트 핸드오버가 하드 핸드오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거나 소프트 핸드오버의 파라미터 중 TTT(Time To Trigger) 값을 짧게 조정한다.
예를 들어서, 기지국(120)은 셀 내 유효 전력이 특정 값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기존 전용 채널 데이터 호(64 Kbps, 128 Kbps 및 384 Kbps)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이다. 즉, 기지국(120)은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가 하드 핸드오버로 변경되도록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하거나, 소프터/소프트 핸드오버 관련 파라미터 중 TTT 파라미터의 값을 짧게 조정하는 것이다.
기지국(120)은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한다(S350).
또한, 기지국(120)은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코드 자원 및 전 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하인 경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기지국(120)은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전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서는 기지국(120)이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지국(120)이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 처리량 향상을 위하여 인트라/인터 셀 간섭을 감소(Reduction)시키고, 이를 통해 전력 자원을 세이브하고, 셀 처리량 향상을 위한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하기 위한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분야에 적용되어, 셀 내 코드 및 전력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전용 채널 데이터 호에 대하여 셀 내 자원을 측정하여 어댑티브(Adaptive)하게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시키으로써,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HSPA/HSPA+와 같은 전체 셀의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기술의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도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 1 단말기 112: 제 2 단말기
120: 기지국 122: 제 1 기지국
124: 제 2 기지국

Claims (8)

  1. 셀 자원(Cell Resource)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Power Factor)값에 쓰레쉬홀드(Threshold) 값을 설정하는 전력 인자 설정부;
    이종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각기 다른 단말기가 하나의 셀 내에 공존하는 네트워크에서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측정하는 전력 인자 모니터링부;
    상기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상기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적응적(Adaptive)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 및
    상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인터/인트라 셀 간섭(Intra/Inter Cell Interference)을 줄여서 셀 내 전력을 세이브되도록 하며,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부는,
    소프트 핸드오버를 하드 핸드오버로 변경하거나 소프트 핸드오버의 파라미터 중 TTT(Time To Trigger) 파라미터의 값을 짧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TTT 파라미터는,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으로 특정 신호 품질을 만족하는 경우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인자 설정부는,
    상기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코드 자원 및 상기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상기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상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인자 설정부는,
    상기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상기 코드 자원 및 상기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할당한 이후에, 상기 셀 자원에 대한 전력 인자 값을 체크하며, 상기 체크된 전력 인자 값이 기 설정된 쓰레쉬홀드 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변경전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은,
    HSPA(High Speed Packet Access)에 대한 자원 및 HSPA+에 대한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장치.
  7. 셀 자원의 측정 인자 값 중 하나인 전력 인자 값에 쓰레쉬홀드(Threshold) 값을 설정하는 전력 인자 설정 단계;
    이종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각기 다른 단말기가 하나의 셀 내에 공존하는 네트워크에서 셀 내의 전력 인자 값을 측정하는 전력 인자 모니터링 단계;
    상기 측정된 전력 인자 값이 상기 설정된 전력 인자 값 이하인 경우,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데이터 호에 대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 단계; 및
    변경된 핸드오버 파라미터로 인해 인터/인트라 셀 간섭을 줄여서 셀 내 전력을 세이브되도록 하며, 세이브되는 코드 자원 및 전력 자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속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에 추가 할당하는 자원 할당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파라미터 변경 단계는,
    소프트 핸드오버가 하드 핸드오버로 변경하거나 소프트 핸드오버의 파라미터 중 TTT(Time To Trigger)의 값을 짧게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
KR1020090057864A 2009-06-26 2009-06-26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KR101587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864A KR101587032B1 (ko) 2009-06-26 2009-06-26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864A KR101587032B1 (ko) 2009-06-26 2009-06-26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97A KR20110000397A (ko) 2011-01-03
KR101587032B1 true KR101587032B1 (ko) 2016-01-21

Family

ID=4360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864A KR101587032B1 (ko) 2009-06-26 2009-06-26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280B1 (ko) 2014-01-24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파라미터 설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1717A (ja) * 1999-04-06 2002-12-0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複数の無線通信環境において無線通信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90023448A1 (en) * 2007-02-21 2009-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hando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1717A (ja) * 1999-04-06 2002-12-0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複数の無線通信環境において無線通信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90023448A1 (en) * 2007-02-21 2009-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97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6063B1 (en) Apparatus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EP2777346B1 (en)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in flexible bandwidth systems
KR10149379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유닛 및 스케줄링 방법
US8369883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techniqu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the same
US904969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857092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ctivity detection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8965292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EP2549821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iggering resource configuration
US20090181673A1 (en)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a radio link characteristic
JP4699888B2 (ja) 呼受付制御装置、呼受付制御方法
US88614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EP2926495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nabling high user bitrates in mixed-traffic scenarios
CN111786764B (zh) 主载波选择方法、系统、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674523B2 (en) Centralized scheduling in a data communication
CN105794281B (zh) 用于确定下行链路共享信道的下行链路传输功率的网络节点和方法
KR101587032B1 (ko) 핸드오버 파라미터 제어 방법과 장치
CN101651848A (zh) DTX-DRX信息信元、DTX-DRX timing信息信元、DTX和DRX处理方法
EP2637437B1 (en) Methods for improve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measurements
US20150087295A1 (en) Serving cell and neighbor cell path loss relative level reporting
CN101547030A (zh) 码分多址接入通信系统动态调整目标误帧率的系统及方法
US8817654B2 (en) Radio controller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10100662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