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905B1 - Scrap disposal device - Google Patents

Scrap dispos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905B1
KR101586905B1 KR1020140051276A KR20140051276A KR101586905B1 KR 101586905 B1 KR101586905 B1 KR 101586905B1 KR 1020140051276 A KR1020140051276 A KR 1020140051276A KR 20140051276 A KR20140051276 A KR 20140051276A KR 101586905 B1 KR101586905 B1 KR 10158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pedestal
moving
guide rai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5041A (en
Inventor
이병구
최선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905B1/en
Publication of KR2015012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0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스크랩 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크랩 처리장치는: 스크랩을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이송테이블과, 롤러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테이블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동됨에 따라 스크랩을 이송테이블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수대와, 회수대에서 낙하된 스크랩이 담기는 저장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is disclosed.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fer tabl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for transferring scraps; a transfer table provided between the roller member and moving the scrap outwardly of the transfer table as it is slop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And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scrap dropped on the recovery table.

Description

스크랩 처리장치{SCRAP DISPOSAL DEVICE}[0001] SCRAP DISPOSAL DEVICE [0002]

본 발명은 스크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테이블상의 스크랩을 저장박스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for moving scrap on a transfer table to a storage box side.

일반적으로 후판 공장에서 생산된 강판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발생되는 불규칙한 부분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있으며, 절단기에서 절단된 스크랩은 스크랩 회수장치를 통해 목적지로 이송된다.Generally, the irregular portions generat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teel sheet produced by the heavy plate mill are cut using a cutter, and the scrap cut at the cutter is transported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scrap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20393호(2004.03.09 공개, 발명의 명칭 : 전단기의 전단스크랩 이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20393 (published on Mar. 03, 2004, entitled Shear Scrap Moving Device of Shearing Machine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테이블상의 스크랩을 이송테이블의 외측으로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moving scrap on a transfer table to the outside of a transfer table.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는: 스크랩을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이송테이블; 상기 롤러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테이블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동됨에 따라 상기 스크랩을 상기 이송테이블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수대; 및 상기 회수대에서 낙하된 상기 스크랩이 담기는 저장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table having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for transferring scraps; A recovery table installed between the roller members and moving the scrap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as it is slop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And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scrap dropped from the collection table.

또한, 상기 회수대는, 상기 롤러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크랩받침부; 상기 스크랩받침부의 일측부를 지지하고, 길이가 신축되며 상기 스크랩받침부를 타측으로 기울이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스크랩받침부의 타측부를 지지하고, 길이가 신축되며 상기 스크랩받침부를 일측으로 기울이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overy unit may include a scrap receiving uni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ller member; A first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scrap receiving part and having a length expanded and til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crap receiving part;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crap receiving part and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scrap receiving part and tilting the scrap receiving part to one side.

또한, 상기 스크랩받침부는, 상기 스크랩을 받치는 골조를 이루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상기 스크랩을 밀어내는 이동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rap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pedestal that forms a frame for supporting the scrap; A rai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And a moving part which is moved along the rail and pushes out the scrap supported by the pedestal.

또한, 상기 이동구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상기 스크랩과 접하는 스크랩가압부; 및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unit may include: a moving unit movably installed along the rail; And a scrap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pedestal and contacting the scrap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a roll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moving along the pedestal or the rail.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부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름부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ail includes a first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ing part; A second guide rail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guide rail and guiding the rolling section; And a stopp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guide rail or the second guide rail to restrain movement of the moving part.

또한, 상기 이동구는, 상기 구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roll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상기 스크랩을 감지하여 상기 전동부를 구동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scrap supported on the pedestal and driving the roll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에 의하면, 이송테이블의 롤러부재와 교대로 설치되는 회수대를 경사지게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송테이블의 외측에 위치되는 저장박스측으로 스크랩을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crap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ap can be stably moved to the side of the storage box located outside the transfer table by slantingly moving the transfer table alternately provided with the roller member of the transfer table.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를 기울인 상태에서 이동구를 이동시키면서 받침대에 받쳐진 스크랩을 더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외력을 추가로 가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테이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the movable sphere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is tilt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scrap supported on the cradle furthe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for striking or striking, and more stably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로 받침대에 받쳐진 스크랩을 감지하여 이동구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스크랩에 가하는 하향력을 조정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wnward force applied to the scrap can be adjusted while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tool by detecting scrap supported on the pedestal by the sensor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크랩받침부를 일측으로 기울인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스크랩받침부를 타측으로 기울인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crap-receiving unit is inclined to one side to explain an operation state.
FIG.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scrap receiving unit is inclined to the other sid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300)는 이송테이블(310), 회수대(330), 저장박스(350)를 포함한다.1 to 3, a scrap proces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table 310, a collection table 330, and a storage box 350.

이송테이블(310)은 복수개의 롤러부재(311)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이송테이블(310)의 일측에 진입된 스크랩(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부재(311)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가 되며, 롤러부재(311)의 회전에 의해 이송테이블(310)의 타측으로 이동된다.The transfer table 310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311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crap 10 entering one 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ller members 311 as shown in FIG. 1, and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 member 311, (310).

회수대(330)는 롤러부재(311)의 사이에 교대로 설치되며, 경사지게 가동됨에 따라 스크랩(10)을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도 6, 도 7 참조) 회수대(330)의 경사면을 타고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으로 낙하된 스크랩(10)은 이송테이블(310)의 양측에 마련된 저장박스(350)에 저장, 적재된다.The recovery table 330 is alternately installed between the roller members 311 and moves obliquely to move the scrap 10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See FIGS. 6 and 7) The scrap 10 dropped onto the outer 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310 is stored and loaded in the storage box 3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table 3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수대(330)는 스크랩받침부(331), 제1지지부(339a), 제2지지부(339b)를 포함한다.The recovering table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ap receiving part 331, a first supporting part 339a,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339b.

스크랩받침부(331)는 롤러부재(3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롤러부재(311)들의 사이에 교대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받침부(331)는 받침대(332), 레일(333), 이동구(334)를 포함한다.The scrap receiving portion 331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ller member 311 and is disposed alternately between the roller members 311. [ The scrap receiver 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332, a rail 333, and a moving port 334. [

받침대(332)는 스크랩(10)을 받치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부가 개방된 ㄷ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롤러부재(311)와 나란하게 연장된다.The pedestal 332 is a framing part for supporting the scrap 10, and has a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with an open upper part,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roller member 311.

받침대(332)는 제1지지부(339a), 제2지지부(339b)에 의해 하단 지지된 상태로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받침대(332)의 상면부는 롤러부재(311)의 상면부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셋팅된다.The pedestal 332 is installed so as to be horizontal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339a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9b.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pedestal 332 is set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member 311.

레일(333)은 이동구(33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받침대(332)상에 받침대(3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The rail 333 is a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tool 334 and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332 on the pedestal 332.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333)은 제1가이드레일(333a), 제2가이드레일(333b), 스토퍼(333c)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ail 3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rail 333a, a second guide rail 333b, and a stopper 333c.

제1가이드레일(333a)은 이동구(334)에 구비되는 이동부(335)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받침대(332)의 중간부상에 받침대(3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1가이드레일(333a)은 상부가 하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단면 형상에 의해 이동구(334)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형성한다.The first guide rail 333a is a part for guiding the moving part 335 provided in the moving tool 334 and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332 on the middle part of the pedestal 332. [ The first guide rail 333a has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n upper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portion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preven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movement port 334.

제2가이드레일(333b)은 이동구(334)에 구비되는 구름부(338)를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제1가이드레일(333a)의 양측에 제1가이드레일(333a)과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second guide rail 333b is a portion for guiding the rolling portion 338 provided in the moving tool 334 and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rail 333a in parallel with the first guide rail 333a.

제2가이드레일(333b)의 상면부에는 구름부(338)의 외주부에 형성된 요철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름부(338)의 외주부를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2가이드레일(333b)을 이에 대응되는 랙기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ail 333b is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corresponding to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rolling portion 338. For exampl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lling portion 338 may be formed in a gear tooth shape, and the second guide rail 333b may be formed in a rack gear shape corresponding thereto.

상기와 같이 제2가이드레일(333b)과 구름부(338)간의 접촉부에 기어치를 형성하면, 구름부(338)는 제2가이드레일(333b)과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회전변위에 대응되는 직선 변위만큼 제2가이드레일(333b)을 따라 안정되게 가이드될 수 있다.When the gear teeth are form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econd guide rail 333b and the rolling portion 338 as described above, the rolling portion 338 is kept engaged with the second guide rail 333b, And can be stably guid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333b by a linear displacement.

스토퍼(333c)는 이동부(335)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1가이드레일(333a)과 제2가이드레일(333b)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받침대(332)상에 설치된다.The stopper 333c is installed on the pedestal 33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first guide rail 333a and the second guide rail 333b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35. [

이동부(335)가 제1가이드레일(333a)과 제2가이드레일(333b)을 따라 받침대(332)의 단부까지 이동되면, 스토퍼(333c)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되면서 받침대(332) 및 제1가이드레일(333a), 제2가이드레일(333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When the moving part 335 is moved to the end of the pedestal 332 along the first guide rail 333a and the second guide rail 333b,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35 is stopped by the stopper 333c, 1 guide rail 333a and the second guide rail 333b.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토퍼(333c)는 육면체 블럭 형상을 가지나, 이동부(335)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stopper 333c has a hexahedral block sha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333c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and shape as long as it can prevent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335. [

이동구(334)는 레일(333)을 따라 이동되면서, 받침대(332)에 받쳐진 스크랩(10)을 받침대(332)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 밀어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구(334)는 이동부(335), 스크랩가압부(336), 구름부(338)를 포함한다.The moving port 334 is moved along the rail 333 and pushes the scrap 10 supported by the pedestal 332 toward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pedestal 332. The moving tool 3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ortion 335, a scrap pressing portion 336, and a rolling portion 338.

이동부(335)는 제1가이드레일(333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부(335)에는 제1가이드레일(333a)의 종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부가 형성되어, 제1가이드레일(333a)에 끼워져 조립된다.The moving part 335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333a. The moving part 335 is formed with a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hape of the first guide rail 333a and is fitted and fitted to the first guide rail 333a.

상기와 같이 제1가이드레일(333a)이 상부가 하부보다 확장된 종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이동부(335)는 제1가이드레일(333a)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부를 구비하여 제1가이드레일(333a)에 조립된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guide rail 333a has a vertical sectional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portion 335 has a hol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uide rail 333a, And assembled to the guide rail 333a.

상기와 같은 조립 구조에 의하면, 이동부(335)는 제1가이드레일(333a)이 형성하는 걸림턱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되게 제1가이드레일(333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sembling structure, the moving part 335 can be stably mov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333a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 335 is prevented from being upwardly separated by the engaging jaw formed by the first guide rail 333a .

스크랩가압부(336)는 이동부(335)와 동일 변위로 이동되도록 이동부(335)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받침대(332)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스크랩가압부(336)는 그 상부가 받침대(332)의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이동부(335)의 이동 시 함께 이동되면서 받침대(332)에 받쳐진 스크랩(10)과 접하여 받침대(332)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 밀어내게 된다.The scrap pressing portion 336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335 so as to be moved at the same displacement as the moving portion 33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crap pressing portion 336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332. The scrap pressing portion 336 is moved together with the scrap pressing portion 336 when the moving portion 335 moves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crap pressing portion 336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332 to be in contact with the scrap 10 supported on the pedestal 332, And is pushed toward the side or the other end.

구름부(338)는 바퀴 형상을 가지고 이동부(33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가이드레일(333b)과 구름접촉된다.The rolling portion 338 has a wheel shap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335 and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rail 333b.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동구(334)는, 받침대(332)가 기울어지면 중력에 의해 제1가이드레일(333a)과 제2가이드레일(333b)을 타고 자연히 하향 이동되면서 이동부(335), 스크랩가압부(336), 구름부(338)가 이루는 중량에 대응되는 세기로 스크랩(10)을 밀어내거나 타격하게 된다.When the pedestal 332 is tilted, the moving member 334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naturally moved downward along the first guide rail 333a and the second guide rail 333b by gravity, The scrap 10 is pushed or hit with a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pressing portion 336 and the rolling portion 338.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구(334)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구(334)와 비교해, 구름부(338)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부(337)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moving tool 33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different from the moving tool 33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And a driving unit 337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전동부(337)는 모터 등과 같이 회전 동력을 기계적으로 생성하는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전동부(337)의 회전축을 구름부(338)와 연결하면, 전동부(337)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구름부(338)의 회전 방향이나 속도를 조정하면서 이동부(335) 및 스크랩가입부(336)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electromotive unit 337 may be a device such as a motor for mechanically generating a rotational power. Whe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portion 337 is connected to the rolling portion 338,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ortion 337 is controlled to adjust the rotating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rolling portion 338, The portion 336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받침대(332)에 받쳐진 스크랩(10)을 감지하는 센서부(340)를 구비하면, 센서부(340)를 이용해 전동부(337)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The sensing unit 340 that senses the scrap 10 supported by the pedestal 332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riving unit 337 using the sensor unit 340. See FIGS. )

센서부(340)로는 로드셀과 같은 하중 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받침대(332)의 하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스크랩(10)이 받침대(332)의 경사면을 타고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으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 load sensor such as a load cell can be applied to the sensor unit 340. By sensing the load of the pedestal 332, the scrap 10 can be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edestal 332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has been moved.

예를 들어, 받침대(332)가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센서부(340)에 스크랩(10)의 하중이 감지되면, 스크랩(10)이 저장박스(350)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받침대(332)에 걸쳐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전동부(337)를 구동시켜 스크랩(10)을 저장박스(350)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oad of the scrap 10 is sensed in the sensor unit 340 even when the pedestal 332 is inclined, the scrap 10 can not be moved toward the storage box 350, The scrap 10 can be driven to the storage box 350 side by driving the driving unit 337. [

상기와 같이 센서부(340)를 구비하면, 스크랩(10)이 받침대(332)에 걸쳐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동부(337)를 구동시키면서 스크랩가압부(336)로 스크랩(10)을 밀어낼 수 있다.When the scrap 10 is mounted on the pedestal 332 as described above, the scrap 10 is selectively moved to the scrap pressing portion 336 while driving the moving portion 337 selectively You can push it.

도 6은 스크랩받침부를 일측으로 기울인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스크랩받침부를 타측으로 기울인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crap-receiving unit is tilted to one side,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crap-receiving unit is inclined to the other side.

도 2,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제1지지부(339a)는 유압실린더와 같이 길이를 신축 변형가능한 장치로 이루어지며, 받침대(332)의 좌측부를 하단 지지한다.Referring to FIGS. 2, 6, and 7, the first support portion 339a is formed by a device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capable of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length, and supports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pedestal 332 at the lower end.

제2지지부(339b)는 제1지지부(339a)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와 같이 길이를 신축 변형가능한 장치로 이루어지며, 받침대(332)의 우측부를 하단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339b is formed by a device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that can be stretched and deformed in length and supports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pedestal 332 at the lower end like the first support portion 339a.

제1지지부(339a)를 그 길이가 신장되도록 가동시키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32)의 좌측부가 이송테이블(310)의 상측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받침대(332)가 우측으로 기울어진다.6 (a), the left side of the pedestal 332 is moved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table 310, and the pedestal 332 is moved to the right side .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32)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동구(334)는 자중 또는 전동부(337)의 구동에 의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32)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10)을 받침대(332)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6 (a), when the pedestal 332 is tilted to the right, the moving tool 334 is driven by its own weight or the driving portion 337 as shown in FIG. 6 (b)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pedestal 332 and pushes the scrap 10 out of the pedestal 332 as shown in Fig. 6 (c).

제2지지부(339b)를 그 길이가 신장되도록 가동시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32)의 우측부가 이송테이블(310)의 상측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받침대(332)가 좌측으로 기울어진다.The right side of the pedestal 332 is moved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table 310 and the pedestal 332 is moved to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32)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동구(334)는 자중 또는 전동부(337)의 구동에 의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32)의 좌측으로 이동되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10)을 받침대(332)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7A, when the pedestal 332 is tilted to the left, the moving tool 334 is driven by its own weight or by the driving portion 337, as shown in FIG. 7B, Is moved to the left side of the pedestal 332 and pushes the scrap 10 out of the pedestal 332 as shown in Fig. 7 (c).

받침대(332)의 경사면을 타고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으로 낙하된 스크랩(10)은 이송테이블(310)의 양측에 마련된 저장박스(350)에 저장, 적재된다.The scrap 10 dropp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edestal 332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is stored and loaded in a storage box 3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table 310.

저장박스(350)는 복수개의 스크랩(10)을 수용할 수 있다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 등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torage box 350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tructure and shape including a box shape or the like which is open when the plurality of scraps 10 can be accommodat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소재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된 스크랩(10)은 이송테이블(310)로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회수대(330)의 가동에 의해 저장박스(350)측으로 이동, 적재되어 다른 작업장, 설비 등으로 이동, 재활용된다.The scrap 10 generated in the cutting process of the material is moved to the storage box 350 side by the operation of the recovery table 330 in the state of being transferred to the transfer table 310, Moved, and recyc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처리장치(300)에 의하면, 회수대(330)를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저장박스(350)측으로 스크랩(10)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scrap proces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covery table 330 is mov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to move the storage box 310, The scrap 10 can be moved to the side of the scraper 350.

또한, 받침대(332)를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을 향해 기울인 상태에서 이동구(334)를 이동시키면서 받침대(332)에 받쳐진 스크랩(10)을 더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외력을 추가로 가하며 스크립(10)을 이송테이블(3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scraper 10 is further moved by pushing or hitting the scrap 10 supported by the pedestal 332 while moving the moving tool 334 in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332 is til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10)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310).

또한, 센서부(340)를 이용해 받침대(332)에 받쳐진 스크랩(10)을 감지하고 이동구(334)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스크랩(10)에 가하는 이동구(334)의 하향력을 조정할 수 있다.
The downward force of the moving tool 334 applied to the scrap 10 is detected by sensing the scrap 10 supported on the pedestal 332 by using the sensor unit 340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tool 334, Can be adjus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스크랩 300 : 스크랩 처리장치
310 : 이송테이블 311 : 롤러부재
330 : 회수대 331 : 스크랩받침부
332 : 받침대 333 : 레일
333a : 제1가이드레일 333b : 제2가이드레일
333c : 스토퍼 334 : 이동구
335 : 이동부 336 : 스크랩가압부
337 : 전동부 338 : 구름부
339a : 제1지지부 339b : 제2지지부
340 : 센서부 350 : 저장박스
10: scrap 300: scrap processing device
310: transfer table 311: roller member
330: number of revolutions 331: scrap tray
332: pedestal 333: rail
333a: first guide rail 333b: second guide rail
333c: Stopper 334:
335: moving part 336: scrap pressing part
337: Transmission section 338: Cloud section
339a: first support portion 339b: second support portion
340: sensor unit 350: storage box

Claims (7)

스크랩을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이송테이블;
상기 롤러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테이블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동됨에 따라 상기 스크랩을 상기 이송테이블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수대; 및
상기 회수대에서 낙하된 상기 스크랩이 담기는 저장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대는,
상기 롤러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크랩받침부;
상기 스크랩받침부의 일측부를 지지하고, 길이가 신축되며 상기 스크랩받침부를 타측으로 기울이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스크랩받침부의 타측부를 지지하고, 길이가 신축되며 상기 스크랩받침부를 일측으로 기울이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랩받침부는,
상기 스크랩을 받치는 골조를 이루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상기 스크랩을 밀어내는 이동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처리장치.
A transfer table having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for transferring scraps;
A recovery table installed between the roller members and moving the scrap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as it is slop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able; And
And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scrap dropped from the collection table,
The above-
A scrap receiving portion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ller member;
A first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scrap receiving part and having a length expanded and til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crap receiving part; And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crap receiving portion and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scrap receiving portion to one side,
The scrap-
A pedestal forming a framework for supporting the scrap;
A rai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And
And a moving part that moves along the rail and pushes out the scrap supported by the pedest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상기 스크랩과 접하는 스크랩가압부; 및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 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구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oving unit movably installed along the rail; And
A scrap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pedestal and contacting the scrap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And a roll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being moved along the pedestal or the rai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부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름부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ail
A first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ing part;
A second guide rail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guide rail and guiding the rolling section; And
And a stopp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guide rail or the second guide rail to restrain movement of the mov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상기 구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roll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받쳐진 상기 스크랩을 감지하여 상기 전동부를 구동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scrap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driving the rolling unit.
KR1020140051276A 2014-04-29 2014-04-29 Scrap disposal device KR101586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276A KR101586905B1 (en) 2014-04-29 2014-04-29 Scrap dispos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276A KR101586905B1 (en) 2014-04-29 2014-04-29 Scrap dispos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041A KR20150125041A (en) 2015-11-09
KR101586905B1 true KR101586905B1 (en) 2016-01-20

Family

ID=5460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276A KR101586905B1 (en) 2014-04-29 2014-04-29 Scrap dispos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9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22B1 (en) * 2018-12-03 2019-04-22 김태준 bar cut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2212A (en) * 2017-07-11 2017-11-17 郑堂勇 A kind of large-scale conveying device of marine float rubbish
CN108407518B (en) * 2018-05-15 2024-04-16 南通跃通数控设备股份有限公司 Automatic waste discharge engraving machine
CN115520588B (en) * 2022-10-21 2024-02-20 巨石集团有限公司 Cloth roll transfer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286U (en) * 1989-11-22 1991-07-24
KR101399876B1 (en) * 2012-08-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ndering correction of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22B1 (en) * 2018-12-03 2019-04-22 김태준 bar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041A (en)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905B1 (en) Scrap disposal device
JP2014034043A (en) Laser processing machine
CN103101698A (en) Garbage treatment device
EP0807482A1 (en) Combination tool changer and storage device for table-type blanking machine
JP5217601B2 (en) Plate stocker
CN107813596A (en) Be used for continuous lithography apparatus of sheetmetal
CN112454983A (en) High-flatness cigarette case production process
JP6330600B2 (en) Pallet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out stacked pallets
CN211333522U (en) Cutting machine blanking structure
CN211465629U (en) Double-station positioning and conveying device for drilling machine
JP4781936B2 (en) Pallet centrifugal dehydrator
KR101529198B1 (en) Belt conveyor
KR20180032104A (en)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CN209986993U (en) Shearing mechanism for rubber products
KR200469217Y1 (en) Separator for drying marine products automatically
JP2013176801A (en) Discharging device of processed product in working machine
JP2008045848A (en) Centrifugal dewatering apparatus for pallet
CN203211852U (en) Garbage disposal system
CN215625520U (en) Turning device and plate pressing machine
KR101611719B1 (en) Transfer device and Cutter having the same
CN106182125A (en) One cuts fruit robot
KR20120032976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scrap after cutting thick plate
KR101827684B1 (en) A scrap paper auto arrangement of box cutting machine
CN206407212U (en) A kind of paper stack switching mechanism
KR101642189B1 (en) Dispenser of automatic pi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