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075B1 -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 Google Patents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075B1
KR101586075B1 KR1020150152960A KR20150152960A KR101586075B1 KR 101586075 B1 KR101586075 B1 KR 101586075B1 KR 1020150152960 A KR1020150152960 A KR 1020150152960A KR 20150152960 A KR20150152960 A KR 20150152960A KR 101586075 B1 KR101586075 B1 KR 10158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lt
clock
frame data
continuou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식
백준현
박성훈
이태종
배병훈
Original Assignee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38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many, e.g. multicasting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데이터 분석과 같은 부하 증가 없이 직접적 신호 처리 만으로 통신 가능한 거리를 크게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를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데이터의 분석 없이 데이터 관리 만으로도 수동형 광네트워크에 광전변환 중계기를 적용할 경우 발생되는 신호 손실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OLT의 상향 신호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상향 버스트 신호를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OLT측에 제공하므로 상하향 연속신호 중계가 가능한 광전변환 중계기를 더 부가하여 전송거리를 대폭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상향 버스트 신호를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OLT에 전송하되, 그 클럭을 하향 신호에 포함된 OLT 클럭을 복원하여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상향 신호에 대한 OLT측 클럭 복원 시간이나 부하가 최소화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Passive optical network relaying system for extending transmission distan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동형 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PON)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 데이터 분석과 같은 부하 증가 없이 직접적 신호 처리 만으로 통신 가능한 거리를 크게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를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동형 광네트워크(PON) 기술은 고속 가입자망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시분할 방식이나 파장 분할 방식을 통해서 복수 가입자의 동시 접속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들 중에서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은 시분할 방식이 주로 사용되는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3av/ah에 따른 EPON(Ethernet PON)이나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G.984/7에 따른 GPON(Gigabit PON)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PON의 구성을 보면, 기본적으로 전화국사에 설치된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와 복수 가입자의 ONT(Optical Network Terminal) 혹은 ONU(Optical Network Unit)가 수동 광분기 장치인 리모트 노드(Remote Node)(광스플리터 이용)를 통해 일대다(Point to Multipoint)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PON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신호와 광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광트랜시버(1a)를 구비한 OLT(1)는 리모트 노드(RN)를 통해서 복수의 가입자 ONT(2)와 연결되는데, 각 ONT(2)에도 각각 광트랜시버(2a)가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PON 구조에서, 전화국사의 OLT와 가입자의 ONT 사이의 전송 거리는 일반적으로 약 20Km 이내로서, 대도시가 아닌 경우 20Km의 전송 거리 한계에 의한 가입자 수의 미달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전화국사를 여러 곳에 설치하거나 분기국사를 설치하여 전송 거리를 연장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도 2는 PON의 전송 거리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분기국사를 이용하는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국사(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거리(20Km) 이내에 분기국사(11)를 구성하고, 해당 분기국사(11)가 새로운 OLT로 동작하여 20Km 이내의 가입자 ONT(2)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할 경우 전송 거리는 2배로 연장되지만 분기국사(11)를 설치하는 비용과 이를 운영하기 위한 비용이 과도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낮다.
즉, 전화국사(10)나 분기국사(11)의 경우 운용자와 대기자가 상주해야 하며 통신 데이터를 복원한 후 이를 다시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설치 비용이 대단히 높고 운용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출력을 증가시키고 수신 감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전송 거리를 연장할 수 있으나 광트랜시버의 출력과 감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통한 전송 거리의 연장도 기대에 미치치 못하며, 각 가입자의 ONT에 구성되는 광트랜시버의 품질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과다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중계기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전송되는 광신호 자체를 증폭하는 광증폭기를 선로 상에 구성하거나 수신되는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광신호로 변환(Optical Electric Optical:O-E-O)하는 방식의 광중계기를 이용하는 방식들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넓은 대역의 광신호가 전달되는 광섬유의 광신호를 전체적으로 증폭하는 광증폭기는 대단히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비용이 과다하며, 광중계기의 경우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나 변환 과정에서의 지연에 의해 전송 패킷이 손상되기 때문에 기가비트급 이상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63034호, "기가 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에서는 광중계기를 이용하면서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해당 신호를 변조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 상향 버스트 신호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제어 정보에 따라 전송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복원 및 변조한 다음 새롭게 재구성하여 연속 신호로 중계하는 것으로 광중계기에서 발생되는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전송되는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프레임 변조와 상향 버스트 신호에 대한 제어 정보 확인을 위해 프레임 전체 신호에 대한 분석 구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복잡한 로직 기능을 제공하는 고성능 FPGA 혹은 전용의 ASIC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연산 부하가 과다해 진다. 따라서, 이렇게 구현할 경우 장치 구성에 높은 비용이 발생하며, 프레임 변조 및 프레임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과도한 연산에 의한 전력 소모가 심하여 운영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구성 비용과 연산 부하가 낮으면서도 전송거리를 2배이상으로 확장해 줄 수 있는 광중계기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3034호 [발명의 명칭: 기가 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지연이나 버스트 신호로부터 클럭을 검출하기 위한 지연이 발생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에 광·전변환(OEO) 광중계기를 적용할 경우 추가적인 광·전변환 및 전·광 변환에 따른 신호 지연 요소가 2배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전변환 광중계기가 ONT로부터 수신한 상향 버스트 프레임을 비동기 FIFO(Asynchronous First In First Out) 버퍼에 저장한 후 하향 신호에 사용된 OLT 클럭에 맞추어 OLT로 출력하되, 출력에 사용되는 OLT 클럭에 따라 버스트 프레임 사이에도 보간 신호를 출력하여 상향 버스트 신호를 OLT 클럭을 이용한 연속 신호로 변환하도록 함으로써, OLT가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과정 생략으로 성능을 높이고 중계에 의한 신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전변환 광중계기가 상향 버스트 신호를 OLT를 위한 상향 연속 신호로 생성하면서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삽입하여 OLT에 전송함으로써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LT측 트랜스미터가 광·전변환 광중계기가 제공하는 상향 연속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연속신호에 포함된 상향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연속 신호에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전변환 광중계기가 하향 신호에 포함된 OLT 클럭에 맞추어 전송한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는 OLT는 해당 상향 연속 신호의 OLT 클럭에 대한 위상 검출 만을 수행하여 클럭을 복원하도록 하고, 한 번 설정한 후 이를 지속 사용하도록 하여 수신되는 상향 신호에 대한 클럭 데이터 복원 부하와 신호 손실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향 버스트 신호를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 광중계기를 통해 중계 거리를 연장하면서도 전송 지연에 의한 프레임 데이터 손상 가능성을 낮추어 추가적인 광중계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송 거리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OLT에 사용되는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의 일부로 구성되는 자동 이득 조절부 동작에 의한 수신감도 하락을 방지하도록 하여 수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은 OONT(Optical Network Terminal)가 제공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복원된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버퍼에 저장하며, 하향 연속 신호에 포함된 OLT(Optical Line Terminal) 클럭을 복원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비동기 버퍼의 프레임 데이터를 OLT에 출력하되, 해당 프레임 데이터 사이 구간에 OLT 클럭에 따른 보간 신호를 포함시켜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수신하여 수신된 상향 신호에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l)를 포함한다.
또한,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는 보간 신호 생성시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OLT는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된 연속 신호를 복원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구분하는 것으로 연속 신호 중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연속 상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클럭을 복원하는 클럭 복원부와, 상기 복원된 클럭을 통해 수신 데이터를 복원하여 저장하는 버퍼부와, 상기 복원된 수신 데이터에서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버퍼부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하는 구분 정보를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의 클럭 복원부는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부나 로컬 OLT 클럭과 위상 차이 만을 검출하는 위상 검출부로서, 클럭이 한 번 복원되면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OLT는 상기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로부터 제공 받은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부와 상기 광트랜시버로부터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구분 정보를 수신하여 복원된 데이터에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선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클럭을 복원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부는 수신 데이터의 클럭을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 방식을 통해 복원하거나 로컬 OLT 클럭과의 위상 차이 만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복원하며, 클럭이 한 번 복원되면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은 ONT로부터 제공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복원된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버퍼에 저장하며, 하향 연속 신호에 포함된 OLT 클럭을 복원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비동기 버퍼의 프레임 데이터를 OLT에 출력하되, 해당 프레임 데이터 사이 구간에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보간 신호를 OLT 클럭에 따라 포함시켜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OLT 사이에 구성되어 연속 상하향 신호를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광중계기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생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광중계기를 거쳐 수신되는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여 로컬 OLT 클럭을 기준으로 상향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향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통해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OL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방법은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ONT로부터 제공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복원된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버퍼에 저장한 후 하향 연속 신호에 포함된 OLT 클럭을 복원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비동기 버퍼의 프레임 데이터를 OLT에 출력하되, 해당 프레임 데이터 사이 구간에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보간 신호를 OLT 클럭에 따라 포함시켜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향 신호 중계 단계와; OLT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전송한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여 로컬 OLT 클럭을 기준으로 상향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향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통해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OLT 수신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상기 OLT 사이에 상향 연속 신호와 하향 연속 신호를 중계하는 광중계기가 하나 이상 구성되어, OLT가 생성하는 하향 연속 신호와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생성하는 상향 연속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OLT 수신 단계는 상기 OLT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전송한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여 로컬 OLT 클럭을 기준으로 위상 검출 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클럭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은 프레임 데이터의 분석 없이 데이터 관리 만으로도 수동형 광네트워크에 광전변환 중계기를 적용할 경우 발생되는 신호 손실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OLT의 상향 신호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은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상향 버스트 신호를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OLT에 전송하되, 그 클럭을 하향 신호에 포함된 OLT 클럭을 복원하여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상향 신호에 대한 OLT측 클럭 복원 시간이나 부하가 최소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은 OLT가 상향 버스트 신호 대신 상향 연속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의 일부로 구성되는 자동 이득 조절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감도 저하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여 수신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은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상향 버스트 신호를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OLT측에 제공하므로 상하향 연속신호 중계가 가능한 광전변환 중계기를 더 부가하여 전송거리를 대폭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 방식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를 광중계기를 이용하여 연장한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하향 신호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상향 신호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기가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 지연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7은 기가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다이어그램.
도 8은 기가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에 광중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전송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의 구성 및 이를 적용한 수동형 광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시스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기존 광중계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지연시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를 포함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연속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 및 상향 연속 신호 수신이 가능한 OLT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연속 신호 수신이 가능한 OLT의 트랜스미터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의 구성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가입자측 광통신 단말을 ONT(Optical Network Terminal)이라 칭하지만 이는 동일한 개념인 ONU(Optical Network Unit)을 포함하는 가입자측 광통신 단말을 대표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ONT는 ONU를 비롯한 다른 종류의 광통신 모뎀이나 광통신 단말장치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PON) 중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기가비트 이상의 고속통신이 가능한 PON의 전송거리 연장에 따라 발생되는 한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를 광중계기를 이용하여 연장한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광중계기(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OLT(Optical Line Terminal)(1)가 광트랜시버(1a)를 통해 ONT(2)로 전송하는 하향 신호를 OLT측과 연결된 광트랜시버를 통해 수신하여 광신호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ONT측과 연결된 광트랜시버를 통해 전기 신호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광중계기(20)를 통해 중계된 하향 신호는 리모트 노트(RN)를 통해 ONT(2)에 구성되는 광트랜시버(2a)에 전달되며, 해당 광트랜시버(2a)는 해당 하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반대로, ONT(2)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광트랜시버(2a)를 통해 광중계기(20)의 ONT측 광트랜시버에 제공하고, 해당 ONT측 광트랜시버는 해당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OLT측 광트랜시버를 통해 광신호로 변환하여 OLT(1)의 광트랜시버(1a)에 전송하며, OLT(1)의 광트랜시버(1a)는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PON을 이용한 통신은 하향 신호의 경우 연속 신호로 제공되지만 상향 신호의 경우 버스트 신호로 제공되는 특성이 있다.
PON의 경우 OLT(1)와 ONT(2) 사이에 전송되는 하향 신호와 상향 신호는 단일 광선로를 이용한 1:N 통신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식의 신호 관리 및 동기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특성에 의해 상향 신호는 N개의 ONT(2) 간 신호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도 4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하향 신호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OLT(1)가 ONT(2)에 전송할 하향 프레임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보내면 복수의 ONT(2_1, 2_2)는 이러한 하향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자신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를 선별하여 수신한다. 따라서, 이러한 하향 신호는 OLT(1)가 자신의 클럭으로 변조한 신호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것 만으로 신호 충돌 없는 연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연속 데이터로 이루어진 하향 신호는 모두 OLT(1)의 클럭을 이용하므로 각 ONT(2)는 이러한 하향 신호에 대한 클럭을 한번 만 복원하여 동기화 하면 된다.
하지만, ONT(2)가 OLT(1)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신호의 경우 복수의 ONT(2_1, 2_2)가 임의로 상향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신호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ONT(2)에 대한 정보(개수, 거리 등)를 알고 있는 OLT(1)가 하향 신호를 통해 개별 ONT(2)에 대한 상향 신호의 전송 시점과 데이터량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달하면 각 ONT(2_1, 2_2)는 해당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크기의 상향 버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충돌 없이 전달하게 된다.
도 5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상향 신호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ONT(2_1, 2_2)는 각각 상이한 시점에 정해진 데이터량의 상향 신호를 생성하여 OLT(1)에 전송하게 되는데, 각 상향 신호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간의 가드 구간(a)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향 신호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가 계속하여 분절되는 버스트 신호이며, 각 신호는 개별 ONT(2_1, 2_2)의 자체 클럭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향 버스트 신호의 클럭들은 상호 혹은 OLT 클럭과 동기화되어 있지 않아 이를 수신하는 OLT(1)의 클럭과는 편차가 존재하게 된다.
즉, 도시된 경우 상향 버스트 신호의 개별 시작 시점인 t1, t2, t3는 OLT(1)의 클럭과 편차가 존재하므로 OLT(1)는 상향 버스트 신호 각각에 대해서 매번 클럭을 복원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를 복원해야만 한다.
결국, OLT(1)는 ONT(2)가 제공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ONT(2) 제어 타이밍에 맞추어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버스트 모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과정을 수행해야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별 과정들은 각각 소정의 처리 지연이 발생하게 되는데, 기가비트 PON의 경우 이러한 처리 지연에 의해 전송할 프레임 데이터의 프리앰블 중 상당 부분이 소실된다.
도 6은 기가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 지연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PON을 이용한 상향 신호 전송과정에서 지연을 발생시키는 개별 ONT(2) 및 OLT(1)의 내부 구성요소를 일부 나타낸 것이다.
ONT(2)는 제어 타이밍에 맞추어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의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광트랜시버(2a)를 구비하며, 이러한 광트랜시버(2a)는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턴온 시간(LD Turn On time)이 필요하다. 즉, 광신호 생성 준비 시간(Optical Tx On Time)에 해당하는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ONT(2)의 광트랜시버(2a)를 통해 변환된 광신호는 광선로를 통해서 OLT(1)의 광트랜시버(1a)에 전달되는데, OLT(1)의 광트랜시버(1a)는 이러한 광신호를 수신한 포토 다이오드가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시간(PD Turn On time)이 필요하다. 즉,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Electric Rx On Time)에 해당하는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지연 변환된 상향 버스트 신호는 OLT(1)가 사용하고 있는 클럭(clk_OLT)(1d)과 다른 임의의 ONT(2)가 사용하는 클럭을 이용한 것이므로 해당 신호에 적용된 임의의 ONT 클럭을 복원하여 수신 프레임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 버스트 모드 클럭 및 데이터 복원(BCDR)부(1b)에 제공되며, 이러한 BCDR부(1b)는 클럭 복원에 소정의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클럭 복원(locking)을 위한 BCDR부(1b)의 동작 이후에야 제어 및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1c), 예컨데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기가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다이어그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ONT가 전송하는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는 프리앰블(1과 0의 반복)과 실제 패킷으로 이루어지는데, 가드 구간(Tb)을 두고 실제 전송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 광트랜시버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턴온 되는 시간, 즉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TTXON)의 지연이 발생되어 실제 광선로에 광신호가 전달되는 타이밍은 기존 신호의 종료 이후 Tc의 시간이 지나야 한다. 실질적으로 광트랜시버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턴 오프되는 시간(TTXOFF) 역시 필요하므로 실제 광선로 상에서 신호가 없는 구간은 Ta에 해당한다.
한편, 이렇게 송신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는 OLT의 광트랜시버에 수신되며 광신호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때 포토 다이오드에서 유효한 전기적인 신호 생성을 위해 필요한 시간, 즉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TRXON)의 지연이 발생되며, 후속적으로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시간(TBCDR)의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OLT에서 실질적으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은 tRS가 된다.
결국, 상향 프레임 데이터 전송시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 및 BCDR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이러한 지연들이 상향 프레임 데이터의 프리앰블 구간 내에서 완료되어야 실질적인 프레임 데이터 패킷을 이상 없이 수신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기가비트 PON 통신에서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 및 BCDR 시간이 모두 12.8ns라고 하면, 총 38.4ns의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리앰블(1과 0의 반복)은 지연이나 손실 등의 네트워크 환경 변화를 감안하여 실제 지연의 2배 정도로 설정되므로 76.8ns의 프리앰블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1.25Gbps 전송 속도의 EPON을 예로 들면 1 비트가 0.8ns가 되므로 프리앰블 구간으로 96bit를 이용할 경우 76.8ns가 되며, 예상되는 필수 지연이 이러한 프리앰블 구간의 절반 수준이라야 안정적 통신이 보장되게 된다.
도 8은 기가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에 광중계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전송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광중계기(20)는 ONT(2)가 전송한 상향 버스트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트랜시버(20a)와, 이러한 광트랜시버(20a)를 통해 수신된 상향 버스트 신호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BCDR부(20b)와, 복원된 데이터를 다시 광신호로 변환하여 OLT(1)에 전송하기 위한 광트랜시버(20c) 및 이러한 광신호 중계 과정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결국, 기존 PON의 전송거리 증가를 위하여 광중계기(20)를 적용할 경우 앞서 살펴본 지연 발생 구성들인 광트랜시버(20a, 20c)들과 BCDR부(20b)가 추가되므로 지연 시간은 2배가 된다.
즉, ONT(2)가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ONT 광트랜시버(2a)를 통해 상향 버스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 해당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한 광중계기(20) 광트랜시버(20a)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 BCDR부(20b)가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BCDR 시간, 복원된 데이터를 OLT(1)에 전송하기 위해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트랜시버(20c)의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 해당 광신호를 수신한 OLT(1) 광트랜시버(1a)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 BCDR부(1b)가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BCDR 시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지연시간이 모두 12.8ns라고 가정하면 광중계기(20)를 적용한 경우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OLT(1)가 수신하기까지 6번의 지연이 발생되므로 76.8ns가 된다.
결국,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PON 통신을 위해 발생 예상 지연의 2배로 설정한 프리앰블 구간을 모두 소진하게 되며, 현실적으로 이러한 경우 정상적인 통신이 어려워진다. 특히, 광중계기(20)를 거리 연장을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역시 발생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발생되는 지연은 76.8ns를 초과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패킷 손상에 의한 재송신이 반복되어 실질적인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광중계기(20)를 일반적인 PON에 구성하여 전송 거리를 연장하고자 할 경우 상향 버스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지연에 의해 전송 프레임 데이터의 패킷이 손상되기 때문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PON의 구성요소를 변경하지 않고 광중계기(20)를 단순히 적용하는 것으로는 전송거리를 연장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기존 PON 통신의 구성요소인 OLT나 ONT를 그대로 사용하고, 상향 프레임 데이터 역시 변경없이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전송거리를 연장할 수 있는 광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광중계를 위해서 하향 프레임 데이터의 제어 정보를 분석하거나 전송 방식을 표준과 다르게 변형하지 않도록 하여 부하 증가를 억제하고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의 구성 및 이를 적용한 수동형 광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시스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트랜시버(2a)를 구비한 ONT(2)와, 광트랜시버(1a)와 BCDR부(1b) 및 로컬 클럭(clk_OLT)(1d)에 의해 동작하는 제어부(1c)를 구비한 OLT(1)는 기존과 동일하다.
이러한 기존의 OLT(1)와 ONT(2) 사이에 구성되어 전송거리를 연장시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100)는 ONT(2) 및 OLT(1)와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광트랜시버(110, 170)와, ONT와 연결된 광트랜시버(110)를 통해 상향 버스트 신호 유무를 검출(Optical Signal Detect)하는 신호 검출부(130)와, 상기 광트랜시버(110)로 수신되어 광·전변환 기능을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상향 버스트 신호(Electrical Burst Signal)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는 BCDR부(120)와, OLT와 연결된 광트랜시버(170)를 통해 수신되어 광·전변환 기능을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하향 연속 신호(Continuous Signal)로부터 OLT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는 CDR부(160)와, BCDR부(120)에서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상향 버스트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CDR부에서 복원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저장된 신호를 출력하는 비동기 버퍼부(150)와, 신호 검출부(130)를 통해 상향 버스트 신호 검출 시 CDR부(160)를 통해 복원된 OLT 클럭에 맞추어 상향 버스트 프레임 프리앰블을 선행적으로 생성하며 비동기 버퍼부(150)에 복원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가 저장되면 선행적으로 생성한 상향 버스트 프레임 프리앰블에 후속되는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버퍼부(150)에서 선택하여 OLT 클럭에 맞추어 OLT와 연결된 광트랜시버에 제공하는 이루어진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부(140)와 CDR부(160) 및 비동기 버퍼부(150)는 ASIC 혹은 FPGA(100a)로 구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신호 검출부(130)는 광트랜시버(110)를 통해 광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최대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전용 장치로서, 광트랜시버(110)의 포토 다이오드에 의한 광전변환 속도, 즉 전기신호 생성 준비시간보다 빠르게 광신호 수신을 검출한다. 예컨데 전기신호 생성 준비시간이 12.8ns라면 신호 검출부(130)는 5ns 이하의 속도로 상향 버스트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속한 상향 버스트 신호의 검출에 따라 제어부(140)는 아직 광트랜시버(110)에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후속되는 BCDR부(120)에서 상향 버스트 신호의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상향 버스트 프레임의 프리앰블(1과0의 반복)을 생성하여 OLT측 광트랜시버(170)로 전달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클럭은 아직 임의의 ONT가 전송한 상향 버스트 신호의 클럭(clk_ONTx)을 알기 이전이기 때문에 하향 프레임 데이터의 클럭 복원을 통해 알고 있는 OLT측 클럭(clk_OLT)을 이용한다.
또한, 일정한 상향 버스트 프레임의 종료점을 예측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의 종료 시점을 ‘0’이나 ‘1’의 연속 여부를 통해 파악하고, 상향 버스트 신호 보호를 위한 표준 가드 구간(Guard Time)을 고려함으로써 후속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의 시작 시점을 예측하여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 프리앰블을 선행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해당 선행적으로 생성되는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 프리앰블은 OLT측 클럭(clk_OLT)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EPON에서 사용하는 8B/1B(1G EPON), 64B/66B(10G EPON)을 디코딩하여 연속적으로 임의의 수준 이상의 “0” 또는 “1” 신호가 검출된 경우, 프레임의 종료 시점을 예측하고 프레임의 종료시점으로부터 일정한 보호 시간 구간(Guard Time)이 지날 경우, 상향 프레임이 시작됨을 예측하여 선행적으로 상향 버스트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선행적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 프리앰블은 신호 검출부(130)의 검출 신호나 이전 상향 버스트 프레임 종료점과 표준 가드 구간을 예측(신호 패턴 예측)하는 것으로 선행 생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판단 기준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이들의 AND 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선행적으로 생성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프리앰블을 OLT클럭을 이용하여 OLT 측에 전송하게 되면 광중계기(100)에 의한 지연을 신호 검출부(130)에 의한 지연과 OLT측 광트랜시버(170)에 의한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 지연 만으로 상향 버스트 신호를 중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지연요소의 지연이 모두 12.8ns이고 신호 검출부(130)의 지연이 5ns라면 광중계기(100)에 의한 지연은 17.8ns가 되므로 기존의 일반적인 광중계기에 의한 지연 38.4ns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프리앰블 기간이 76.8ns라면 ONT와 OLT에서 발생되는 지연 38.4ns와 광중계기(100)에서 발생되는 지연 17.8ns를 더하더라도 56.2ns가 되므로 설정된 프리앰블 기간에서 20.6ns의 여유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선행적으로 상향 버스트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중에 실제 상향 버스트 신호는 ONT측 광트랜시버(110)를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후 BCDR부(130)에서 클럭과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가 복원되며, 복원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는 복원된 클럭(clk_ONTx)을 입력 클럭으로 하는 비동기 버퍼부(도시된 경우는 비동기 FIFO(First IN First OUT))(150)에 저장된다.
제어부(140)는 선행적으로 기 설정된 정도의 프리앰블을 생성한 후 비동기 버퍼부(150)에 저장되는 복원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의 프리앰블과 선행적으로 생성된 프리앰블을 고려하여 전송할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비동기 버퍼부(150)에 복원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OLT측 광트랜시버(160)에 OLT 클럭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으로 OLT(1)에 전송할 상향 버스트 신호를 중계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비동기 버퍼부(150)에 저장되는 복원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에서 일부 프리앰블을 생략(OLT 수신 지연 감소)할 수 있으며, 프리앰블을 전혀 생략하지 않거나 오히려 프리앰블을 더 추가(OLT 수신 안정성 향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NT측 광트랜시버(110)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시간이 12.8ns이고, BCDR부(120)를 통한 클럭 복원 시간이 12.8ns이며, 신호 검출부(130)의 검출 시간이 5ns라면 제어부(140)는 실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하기 20.6ns 전부터 선행적으로 상향 버스트 프레임 프리앰블을 전송하게 되는데, OLT측 광트랜시버(170)의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 동안은 사실상 프리앰블이 광신호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선행적으로 생성되는 프리앰블은 마치 OLT측 광트랜시버(170)를 예열하는 것처럼 사용될 수 있고, 신호 검출부(130)가 신호를 검출하고 BCDR부(120)가 클럭을 복원할 때까지 소실되는 프리앰블을 보충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광중계기(100)에서 상향 버스트 신호를 신호 검출부(130)를 통해서 신호를 검출하는 즉시 선행적으로 상향 버스트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광중계기(100)에서의 지연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프리앰블의 소실에 의한 패킷 손상 가능성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광중계기(100)의 신뢰성 있는 중계를 위해서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새로운 프레임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등의 과도한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제어부(140)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중계기에 비해 비용 상승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경제성 면에서 광증폭기나 분기국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월등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되며,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100)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PON 통신 구성요소들(OLT, ONT)을 아무런 변형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광중계기(100)가 실질적으로 OLT(1)에 전송하는 상향 버스트 신호의 클럭은 OLT의 로컬 클럭(clk_OLT)이므로 OLT(1)의 BCDR(1b)의 클럭 복원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어 OLT(1)에서 발생되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중계기(100)에서 발생되는 지연을 일부 보상해 줄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했던 총 지연 시간은 좀 더 줄어들게 되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기존 광중계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지연시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광중계기를 이용할 경우의 ONT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도 10a)는 적어도 6번의 지연(ONT의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TTXON), 광중계기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TRXON), 광중계기의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시간(TBCDR), 광중계기의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TTXON), OLT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TRXON), OLT의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시간(TBCDR))과 네트워트 환경 변화(각 지연 시간에 더해지는 추가 지연)에 의해 프리앰블 구간보다 더 많은 지연을 발생시켜 패킷의 손상을 유발(OLT의 데이터 복원 시점(tRS1)이 프리앰블 구간을 초과)할 수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를 이용할 경우의 ONT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도 10b)는 실질적으로 PON 통신 구성요소에 의한 3번의 지연(ONT의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TTXON), OLT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TRXON), OLT의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시간(TBCDR)) 외에 한번의 추가 지연(광중계기의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TTXON))과 신호 검출부의 짧은 지연(TSD) 만 추가되므로 실제 OLT의 데이터 복원 시점 tRS2은 안정적으로 프리앰블 구간 이내가 된다. 특히, 광중계기가 OLT에 전송하는 상향 버스트 신호의 클럭은 OLT의 클럭과 동일하므로 OLT의 BCDR부의 클럭 복원을 위한 지연 시간이 줄어들어 도 10b에 따른 OLT의 데이터 복원 시점(tRS2)은 더 이른 시점이 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는 선행적으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의 프리앰블을 생성하며, 이들 중 일부는 광중계기의 양측 광트랜시버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TRXON), 광신호 생성 준비시간(TTXON) 및 광중계기의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시간(TBCDR)에 소실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어 이러한 소실을 대비하여 더 많은 프리앰블을 포함시킬 수도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전달되는 시점은 약간 지연될 수 있지만 광중계기를 추가로 사용함에 따른 프리앰블의 소실을 보상해 줄 수도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OLT측에서 수신하는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광중계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유사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물론 OLT에 실제 전달되는 프리앰블의 잔여 구간이 충분하다면 광중계기에서 생성하는 프리앰블을 줄여 상향 버스트 신호의 OLT 전달 지연을 줄일 수도 있다.
한편, 이렇게 광중계기(100)가 상향 버스트 신호를 검출하거나 예측하여 선행적으로 프리앰블을 생성하면서 상향 버스트 프레임을 OLT 클럭에 맞추어 OLT(1)에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OLT(1)는 버스트 신호로 수신되는 상향 신호에 대해서 매번 버스트 모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과정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수동형 광네트워크 전송 시스템 구성 시 중계를 통해 발생되는 지연에 의한 프리앰블 손실 가능성에 의해 복수의 광중계기(100) 사용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결국, 이러한 광중계기(100)를 이용할 경우 전송거리 연장은 기존 전송거리의 2배 혹은 3배 이하로 한정될 수 있으므로 더 긴 전송거리 연장이 필요할 경우에 대응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러한 전송거리의 추가적인 연장을 위해서 광중계기가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OLT에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경우 상하향 연속신호 중계가 가능한 광중계기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광중계기(100)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검출하거나 예측하는 즉시 선행적인 프리앰블을 OLT 클럭으로 생성하며, 수신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 역시 OLT 클럭으로 OLT에 전송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향 신호들 사이의 비어있는 구간을 OLT 클럭에 따른 보간 신호로 보간하면 연속 신호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를 포함한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광트랜시버(2a)를 구비한 ONT(2)는 기존과 동일하다. 하지만, ONT(2)가 전송한 상향 버스트 신호를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OLT에 제공하는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와,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하는 OLT(300)는 기존과 달리 구성된다.
먼저,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는 ONT(2) 및 OLT(300)와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광트랜시버(210, 270)와, ONT와 연결된 광트랜시버(210)를 통해 상향 버스트 신호 유무를 검출(Optical Signal Detect)하는 신호 검출부(230)와, 상기 광트랜시버(210)로 수신되어 광·전변환 기능을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상향 버스트 신호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는 BCDR부(220)와, OLT(300)와 연결된 광트랜시버(270)를 통해 수신되어 광·전변환 기능을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하향 연속 신호로부터 OLT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는 CDR부(260)와, BCDR부(220)에서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상향 버스트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CDR부에서 복원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저장된 신호를 출력하는 비동기 버퍼부(250)와, OLT 클럭에 맞추어 비동기 버퍼부(250)에 저장되는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OLT와 연결된 광트랜시버(270)에 제공함과 아울러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 사이 구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보간 신호를 생성하여 OLT 클럭에 따라 OLT와 연결된 광트랜시버(270)에 제공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40)와 CDR부(260) 및 비동기 버퍼부(250)는 ASIC 혹은 FPGA(200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제어부(240)는 신호 검출부(230)를 통해서 상향 버스트 신호가 비동기 버퍼(250)에 수신될 것임을 미리 알 수 있어 그에 따라 보간 신호와 실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전환할 준비를 할 수 있으나 해당 구성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설명했던 선행적 프리앰블 생성의 경우 지연에 의해 소실되는 프리앰블을 복원하여 OLT에서 발생되는 지연에 의해 실제 상향 프레임 데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상향 신호가 연속 신호로 전송되게 될 경우 OLT의 트랜시버의 수신 지연이나 버스트 모드 클럭 복원 지연을 무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특정한 패턴의 보간 신호와 실제 상향 프레임 데이터가 연속 신호로서 혼재될 경우 실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보간신호를 생성할 때 실제 상향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에 각각 SoF(Start of Frame) 신호 패턴과 EoF(End of Frame) 신호 패턴을 삽입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해 보면, 도 12b와 같은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무신호 구간에 보간 신호를 삽입할 경우 도 12a와 같은 연속 프레임 데이터가 되지만, 실제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도 12c와 같이 실제 프레임 데이터 앞과 뒤에 SoF와 EoF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즉 신호 패턴을 삽입한 보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SoF 신호 패턴에 후속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삽입하여 하나의 신호만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제어부(240) 구성이 복잡해지고 전체 프레임 데이터의 수신 완료 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지연이 발생하게 되므로, SoF와 EoF 신호를 각각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연속신호 변환을 위해서 프레임 데이터를 복조하여 프레임 구조에 따라 내부 정보를 확인하는 등의 복잡한 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며, 신호 레벨에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연속신호에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어 제어부(240)의 처리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렇게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가 상향 버스트 신호 대신 상향 연속 신호를 OLT에 제공하기 때문에 OLT(300)는 이러한 상향 연속 신호로부터 실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 및 상향 연속 신호 수신이 가능한 OLT(300)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OLT(300)는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310)를 이용하여 상향 연속 광 신호를 연속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클럭 데이터 복원부(320)에 제공하며, 클럭 데이터 복원부(320)는 해당 연속 신호로부터 클럭을 복원한다. 또한,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310)는 수신되는 상향 연속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면서 해당 연속 신호 중에서 프레임 데이터에 해당하는 구간을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330)에 알려주며, 제어부(330)는 해당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클럭 데이터 복원부(320)에서 복원된 클럭에 의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중에서 실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여 처리한다.
이를 위해서,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310)는 내부적으로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부(CDR부)와, 복원된 클럭에 의해 복원되는 연속 데이터 중에서 SoF 신호와 EoF 신호를 검출하여 프레임 데이터 구분 신호를 제어부(330)에 출력하는 검출부와, 복원되는 연속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검출부에서 프레임 데이터 구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지연에 대응하여 복원된 연속 데이터를 출력하는 버퍼부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광트랜시버는 내부적으로 광전변환부와 연속 클럭 데이터 복원부와 간단한 제어부를 가지는 모듈을 이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내부에 구성된 연속 클럭 데이터 복원부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트랜시버 모듈이 이미 구비하고 있는 내부 연속 클럭 데이터 복원부를 이용하여 상향 연속 신호의 클럭을 복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가 제공하는 상향 연속신호는 OLT 클럭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파수의 변동이 없는 상태로 전송 거리에 의한 위상 차이만 발생하므로 CDR 기능이 아닌 단순한 위상 검출(Phase Detect) 구성만으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며, 한 번 클럭을 복원한 이후에는 거리가 달라지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클럭 복원 없이 복원된 클럭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경우 실질적인 클럭 복원 지연은 발생되지 않는다.
검출부의 경우 복원된 클럭에 의해 복원되는 연속 데이터(프레임 데이터, SoF와 EoF 를 포함하는 보간 신호)에서 SoF와 EoF를 검출하는데, EoF는 프레임 데이터 이후에 위치하기 때문에 EoF를 검출하는데 검출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버퍼부를 이용하여 EoF 검출 지연을 감안하여 복원된 연속 데이터를 클럭 데이터 복원부(320)에 제공한다. 한편, 검출부는 버퍼부가 출력하는 연속 데이터 중에서 실제 프레임 데이터가 존재하는 구간을 알 수 있으므로 해당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데, 간단히 한 비트의 유효(Valid)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연속 신호 수신이 가능한 OLT의 트랜스미터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a는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310)에 실제 수신하여 복원한 상향 연속 데이터로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와 SoF와 EoF를 포함하는 보간 신호(데이터)가 연속된다. 이러한 데이터에서 검출부가 SoF와 EoF 신호를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도 14a의 데이터는 도 14b와 같이 버퍼를 통해 다소 지연된 상태로 출력되며, 검출부는 해당 지연 동안 EoF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도 14b의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도 14c와 같은 유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 신호는 예를 들어 1일 때 프레임 데이터이고 0일 때 무효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유효 신호는 일반적인 광트랜시버 모듈의 특정 핀(예컨데 예약(Reserved) 핀)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310)가 상향 신호로서 제공하는 연속 데이터를 수신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부(320)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를 이용하여 클럭을 복원한 후 해당 클럭을 지속적으로 이용해도 되지만, 동일한 OLT 클럭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부나 위상 검출기 등의 낮은 부하를 가지는 복원부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한 번 클럭을 복원한 후 검출된 클럭을 지속적으로 이용한다. 즉, 한 번 클럭을 복원하면 후속적인 클럭 복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클럭 복원을 위한 지연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클럭 복원을 위한 부하나 전력 소비도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클럭 데이터 복원부(320)는 바람직하게,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부나 위상 검출기를 이용한다. 이렇게 기존에 구성된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를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부나 위상 검출기로 대체할 경우 구성 단순화, 복원 지연 감소 및 전력 소모 절감 효과 외에도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에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자동 이득 조절 수단을 이용하지 않게 되는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N 구조의 OLT-ONT 네트워크 구성에서, ONT들의 거리는 다양하며 그에 따라 수신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의 크기 역시 다양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OLT에 구성되는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는 임의의 진폭으로 수신되는 복수 ONT의 상향 버스트 신호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 수신 신호의 진폭을 정량화하는 자동 이득 조절을 선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동 이득 조절에 의해 필연적으로 수신 감도가 저하될 수 밖에 없다. 한편, 중계기를 통해서 상향 버스트 신호를 균일한 진폭으로 재생성하여 전송한다 하더라도 OLT에서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를 그대로 이용하는 한 자동 이득 조절 수단이 동작하게 되며 이 경우 수신감도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향 연속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향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부를 자동 이득 조절 수단이 없는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부나 위상 검출기로 대체할 수 있어 이러한 자동 이득 조절 수단에 의한 수신 감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클럭 데이터 복원부(320)와 제어부는 ASIC이나 FPGA(300a)와 같은 시스템 온 칩(SoC)의 형태로 제공되므로 하드웨어적인 변화 없이 내부 구성을 변경하는 것 만으로 상향 연속신호로부터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신호 손실 없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T(300)는 기존에 사용하던 광트랜스미터 모듈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새로운 광트랜스미터 모듈을 적용하고, 기존에 구성된 SoC(300a)의 내부 구성을 일부 변경하는 것 만으로 과도한 설계 변경이나 구성 변화 없이 구현될 수 있어 비용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버스트 모드 클럭 복원에 의한 오류 발생, 지연, 전력 소비, 수신감도 저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결국,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는 ONT측 트랜시버(210)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시간(TRXON) 및 BCDR부(220)의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시간(TBCDR)의 지연이 발생하지만 연속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OLT측 트랜시버(270)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 시간(TRXON)을 생략할 수 있고, OLT(300)의 경우 역시 연속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광트랜시버(310)의 전기신호 생성 준비시간(TRXON)과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 시간(TBCDR)에 의한 지연을 생략할 수 있어 실질적인 지연은 상쇄될 수 있다. 즉, 중계에 의한 트랜시버의 하드웨어 지연과 클럭복원 지연은 중계가 없는 상황에서 OLT에서 발생하는 지연과 상쇄되므로 중계에 따른 추가적인 신호 손실 지연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 및 상향 연속 신호 수신이 가능한 OLT(300)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의 경우 앞서 도 9를 통해 설명했던 선행적 프리앰블 생성 중계기(10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광전변환 중계기의 경우 하향 연속 신호를 중계하는 기능과 상향 버스트 신호를 중계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향 버스트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향 연속 신호 역시 중계할 수 있으므로 상하향 연속 신호 중계를 위한 용도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하향 연속신호를 중계할 경우 광트랜시버가 항상 동작 상태이고, 클럭 복원 역시 한번 만 하면 되므로 연속신호 중계에 의한 신호 손실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 및 상향 연속 신호 수신이 가능한 OLT(300) 사이에 복수의 상하향 연속신호 중계가 가능한 일반적인 광전변환 중계기들을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의 구성예로서,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 및 상향 연속 신호 수신이 가능한 OLT(300) 사이에 상하향 연속신호 중계가 가능한 광중계기들(20)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ONT(2)가 제공하는 상향 버스트 신호가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200)에 의해 상향 연속 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상향 연속 신호는 신호 손실 없이 광중계기들(20)를 통해 OLT(300)에 전달되며, OLT(300)는 해당 상향 연속 신호에서 실제 상향 버스트 프레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송거리 연장과 중계기 내부 동작에 의한 단순 지연에 대한 고려만 있다면 전송 거리를 대폭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OLT 1a: 광트랜시버
1b: BCDR부 1c: 제어부
1d: OLT 클럭 2: ONT
2a: 광트랜시버 100: 광중계기
110, 170: 광트랜시버 120: BCDR부
130: 신호 검출부 140: 제어부
150: 비동기 버퍼부 160: CDR부
200: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 210, 270: 광트랜시버
220: BCDR부 230: 신호 검출부
240: 제어부 250: 비동기 버퍼부
360: CDR부 300: OLT
310: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 320: 클럭 복원부
330: 제어부 340: OLT 클럭

Claims (11)

  1. ONT(Optical Network Terminal)가 제공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복원된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버퍼에 저장하며, 하향 연속 신호에 포함된 OLT(Optical Line Terminal) 클럭을 복원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비동기 버퍼의 프레임 데이터를 OLT에 출력하되, 해당 프레임 데이터 사이 구간에 OLT 클럭에 따른 보간 신호를 포함시켜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수신하여 수신된 상향 신호에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는 보간 신호 생성시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OLT는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된 연속 신호를 복원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구분하는 것으로 연속 신호 중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OLT는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연속 상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클럭을 복원하는 클럭 복원부와, 상기 복원된 클럭을 통해 수신 데이터를 복원하여 저장하는 버퍼부와, 상기 복원된 수신 데이터에서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프레임 데이터의 버퍼부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하는 구분 정보를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의 클럭 복원부는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부나 로컬 OLT 클럭과 위상 차이 만을 검출하는 위상 검출부로서, 클럭이 한 번 복원되면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OLT는 상기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로부터 제공 받은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과 데이터를 복원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부와 상기 광트랜시버로부터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구분 정보를 수신하여 복원된 데이터에서 상향 프레임 데이터를 선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속신호 수신 광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클럭을 복원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부는 수신 데이터의 클럭을 연속 신호 클럭 데이터 복원 방식을 통해 복원하거나 로컬 OLT 클럭과의 위상 차이 만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복원하며, 클럭이 한 번 복원되면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8. ONT로부터 제공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복원된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버퍼에 저장하며, 하향 연속 신호에 포함된 OLT 클럭을 복원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비동기 버퍼의 프레임 데이터를 OLT에 출력하되, 해당 프레임 데이터 사이 구간에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보간 신호를 OLT 클럭에 따라 포함시켜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OLT 사이에 구성되어 연속 상하향 신호를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광중계기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생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광중계기를 거쳐 수신되는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여 로컬 OLT 클럭을 기준으로 상향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향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통해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OL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9.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ONT로부터 제공되는 상향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복원된 클럭을 입력 클럭으로 하여 복원된 프레임 데이터를 비동기 버퍼에 저장한 후 하향 연속 신호에 포함된 OLT 클럭을 복원한 클럭을 출력 클럭으로 하여 비동기 버퍼의 프레임 데이터를 OLT에 출력하되, 해당 프레임 데이터 사이 구간에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보간 신호를 OLT 클럭에 따라 포함시켜 상향 신호를 연속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향 신호 중계 단계와;
    OLT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전송한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여 로컬 OLT 클럭을 기준으로 상향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향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통해 프레임 데이터를 구분하는 OLT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와 상기 OLT 사이에 상향 연속 신호와 하향 연속 신호를 중계하는 광중계기가 하나 이상 구성되어, OLT가 생성하는 하향 연속 신호와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생성하는 상향 연속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OLT 수신 단계는 상기 OLT가 상기 연속 신호 변환 중계 장치가 전송한 상향 연속 신호를 수신하여 로컬 OLT 클럭을 기준으로 위상 검출 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클럭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방법.
KR1020150152960A 2015-11-02 2015-11-02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KR10158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60A KR101586075B1 (ko) 2015-11-02 2015-11-02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60A KR101586075B1 (ko) 2015-11-02 2015-11-02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075B1 true KR101586075B1 (ko) 2016-01-15

Family

ID=5517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960A KR101586075B1 (ko) 2015-11-02 2015-11-02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301B1 (ko) 2021-12-14 2022-03-17 (주)자람테크놀로지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광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268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 광 통신 망에서의 수신 데이터 복원 장치 및 방법
KR20100061279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스트모드 데이터에 대한 클록 위상 정렬 장치
JP2010534989A (ja) * 2007-08-10 2010-11-11 華為技術有限公司 受動光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データ伝送延長を実現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20110063034A (ko)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가 비트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989A (ja) * 2007-08-10 2010-11-11 華為技術有限公司 受動光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データ伝送延長を実現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20100061268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 광 통신 망에서의 수신 데이터 복원 장치 및 방법
KR20100061279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스트모드 데이터에 대한 클록 위상 정렬 장치
KR20110063034A (ko)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가 비트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301B1 (ko) 2021-12-14 2022-03-17 (주)자람테크놀로지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광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4652B (zh) 用于无源光网络中改进的上游帧同步的方法和设备
US8571058B2 (en) Terminal apparatus,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8965219B2 (en) Repeater, relay method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20120141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Electrical-Optical Reach Extens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1846469B1 (ko) 수동형 광네트워크용 저전력 장비를 위한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 리셋 장치 및 방법
EP2355375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lr-pon
CN102332955B (zh) 一种用于pon的光中继器
US9287981B2 (en) Station-side apparatus and PON system
KR102258094B1 (ko) 다중파장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 광 네트워크 유닛의 활성화
JP4761135B2 (ja) 光信号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KR101578191B1 (ko) 수동형 광네트워크를 위한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KR101586075B1 (ko)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전송거리 연장을 위한 중계시스템 및 중계방법
CN101478701A (zh) 上行数据传输的控制方法及装置
US812632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ignal transmitting method
JP5105138B2 (ja) 光信号中継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4911358B2 (ja) 光バースト信号中継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KR101612909B1 (ko) 선로 장애 복구 기능을 구비한 수동형 광통신망 중계 시스템 및 선로 장애 복구 방법
JP5321312B2 (ja) 光信号の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WO2020050101A1 (ja) 信号処理装置及び光受信器
JP5365887B2 (ja) 光信号中継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5588814B2 (ja) バースト受信機,バースト受信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7179241A1 (ja) 光信号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CN108632682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光线路终端
JP5992799B2 (ja) 微分手段を用いて送信側情報を取得する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Umeda et al. 10G-EPON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epeater Expands Transmission Distance up to 60 k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