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938B1 -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938B1
KR101585938B1 KR1020130085475A KR20130085475A KR101585938B1 KR 101585938 B1 KR101585938 B1 KR 101585938B1 KR 1020130085475 A KR1020130085475 A KR 1020130085475A KR 20130085475 A KR20130085475 A KR 20130085475A KR 101585938 B1 KR101585938 B1 KR 10158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call
network
communication
smartphon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440A (ko
Inventor
오성훈
Original Assignee
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훈 filed Critical 오성훈
Priority to KR102013008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9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이 무선랜 네트워크가 설치된 장소에서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착신콜)을 무선랜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비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인터넷 TV, 인터폰 등을 이용하여 응답하므로 통신 호출에 신속 정확하게 응답하고 사용상 편리하며 무선랜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무선랜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 스마트폰과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통신하는 무선랜 네트워크; 및 무선랜 네트워크에 유선 접속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며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로 음성급 신호를 송수신하고 할당된 고유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을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컴퓨터, TV, 인터폰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며 편리하게 응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System of communication in wireless-LAN network with pick-up for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착신콜, receiving call)을 무선랜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등의 장치로 응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이 무선랜 네트워크가 설치된 장소에서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착신콜)을 무선랜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비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인터넷 TV, 인터폰 등을 이용하여 응답하므로 통신 호출에 신속 정확하게 응답하고 사용상 편리하며 무선랜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phone)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되고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음성통신, 데이터통신, 이메일과 문자메시지 등의 통신을 하는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이다.
스마트폰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의 기본 기능에 부가하여 컴퓨터, 와이파이에 의한 무선랜, 지그비, NFC, 블루투스 통신 등의 최첨단 하드웨어에 의한 부가기능을 더 추가 구비하며 이러한 부가기능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스마트폰의 최첨단 하드웨어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개발되어 유무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은 앱(APP), 어플(APPL) 등으로 불리고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한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인 통신(communication)은 중요하거나 긴급한 내용을 선택된 상대방에게 신속하며 정확하게 직접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러한 통신요청에 의한 피호출 또는 착신콜을 스마트폰으로 수신한 경우 응답에 의하여 상대방과 통신경로가 연결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에서 업무수행 또는 기타 필요한 가사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 피호출에 의한 스마트폰의 착신벨 소리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또는 스마트폰과 멀리 떨어져 있어 피호출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통신을 할 수 없게 되고 긴급한 소식을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을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인터넷 티비(internet-TV) 등으로 콜 픽업(call pickup)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유선전화로 착신된 호출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픽업하는 종래기술로 특허 공개 제10-2007-0039642호(2007.04.13.)에 의한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착신 정보 수신부(1), 접속 정보 수신부(2), 근거리 접속 통신 모듈(3), 착신 단말기 검색 정보 송수신부(4),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5),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6) 및 제어부(7)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 단말기는 유선전화망을 통하여 착신된 호출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경유하여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픽업하고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스마트폰 단말기로 착신된 호출을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 등의 장비로 픽업하여 통신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스마트폰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새롭게 구성하여야 하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스마트폰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스마트폰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스마트폰 단말기에 착신된 호출을 무선랜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등으로 픽업하여 통신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7-0039642호(2007.04.13.)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사무실 또는 가정 등에서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마이크와 스피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인터넷 TV, 인터폰 등을 통하여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을 픽업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무선랜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과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여 무선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통신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사설망; 및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고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고 할당된 고유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네트워크 단말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2 주파수로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과 수신하는 양방향 무선통신부;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부와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통신신호의 양방향 전송을 위한 경로 설정을 제어하며 감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하고 운용하는 착신콜앱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송신과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통신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랜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정보와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콜 정보를 수신하면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다수로 이루어지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인터넷-TV, 인터폰이 포함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비되며 문자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키패드와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에 할당된 무선 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이 수신되면 확인된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2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 접속된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는 제 13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는지 또는 상기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 또는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경로를 점유하도록 설정시켜 통신신호를 양방향 전송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1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호출에 응답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통신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경로를 할당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전송한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31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장애상태를 표시하며 수신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지정된 응답키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 구동시켜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을 진행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사무실, 가정 등에서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컴퓨터, internet-TV, 인터폰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착신된 호출신호를 픽업하므로 호출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다른 일을 하면서도 착신 호출을 놓치지 않고 응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상세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신호흐름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기술 분야에서 특정 단말기를 호출하는 착신콜을 다른 단말기에서 이어받아 대신 응답하는 기능을 픽업(pick-up) 또는 착신전환이라고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랜 네트워크와 무선랜은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통신신호는 음성급 신호와 문자 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는 것이며 설명과 이해의 편리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10), 액세스 포인트(120), 근거리사설망(130), 네트워크 단말기(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스마트폰(1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구성이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고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설치 운용하고 액세스 포인트(120)와 근거리사설망(130)가 포함된 무선랜에 접속하여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기(140)와 통신한다.
스마트폰(110)은 앱 프로그램을 설치 및 운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이동통신 교환기는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정보를 피호출자에게 착신콜(착신링 신호)과 함께 전달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을 착신콜 정보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110)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 될 수도 있으며, 피호출되는 경우의 착신콜 정보를 자체적으로 출력하면서 설치되어 운용되는 착신콜 앱에 의하여 제 2 주파수로 착신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120)에 전달한다.
스마트폰(110)은 착신콜 앱의 운용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과 액세스 포인트(120)에 채널 할당을 동시에 요청 및 점유하고 동시에 각각과 통신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10)은 착신콜 앱의 운용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채널을 점유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120)와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채널을 점유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급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120)에 전달(전송)하거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 또는 음성급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달(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120)는 IEEE 802.11 규정에 의한 와이파이(Wi-Fi) 무선 기술로 동작하며 무선 공유기로 많이 알려져 있고 착신콜 앱을 설치 및 운용할 수 있다.
착신콜 앱은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이며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120)는 와이파이(Wi-Fi) 기술 이외에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방식의 무선통신 기술과 같이 알려진 무선통신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랜은 액세스 포인트와 근거리사설망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례로, 지그비(ZigBee)는 IEEE-SA 802.15 규격에 의한 것으로 868 MHz, 902-928 MHz, 2.4 GHz 대역의 무선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무선랜을 구성할 수 있다.
지그비(ZigBee)를 사용하는 무선랜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50m 이내의 거리에 설치된 네트워크 단말기(140)와 최고 250 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전력소모가 적고 최대 255 개의 네트워크 단말기(140)를 구분할 수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IEEE 802 규격에 의한 것으로 48 비트 주소를 가지고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점대점 또는 멀티포인트 접속이 가능하고 통신 범위는 최대 10m 이며, 데이터는 1 ~ 2 Mbps의 속도로 전송하고, 주파수 홉 방식에 의하여 전자기 장애가 심한 지역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엔에프시(NFC: Near Field Communication)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태그(RFID)로 알려져 있으며 13.56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고 424 Kbit로 통신하며 교통카드, 은행카드 등에 많이 사용되고 통달거리는 수동형과 능동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액세스 포인트(120)는 스마트폰(110)과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고, 제 2 주파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방식에서 각각 사용하는 주파수이며 각 방식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액세스 포인트(120)는 양방향 무선통신부(121),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122), 착신콜 앱부(123), 통신신호 처리부(124), 네트워크 접속부(12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양방향 무선통신부(121)는 제 2 주파수로 스마트폰(110)과 무선접속하여 양방향 통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한다.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122)는 액세스 포인트(12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와 접속하고 감시하며 제어하는 것으로, 양방향 무선통신부(121)를 통하여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근거리사설망(130)에 접속된 네트워크 단말기(14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네트워크 단말기(140)로부터 스마트폰(110)과 통신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마트폰(110)에 전달하는 동시에 양방향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채널 할당)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착신콜앱부(123)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착신콜 앱 의 응용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자동 설치하여 운용한다.
통신신호 처리부(124)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송신과 수신되는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 레벨로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네트워크 접속부(125)는 근거리사설망(130)에 접속하고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122)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착신콜 정보와 통신신호를 정합(matching) 상태로 입력하고 매칭 상태로 출력하므로 전송(전달)하거나 또는 송신과 수신한다.
근거리사설망(13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역망(LAN : Local Area Network)이며, 액세스 포인트(120)와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140)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네트워크 단말기(140)는 근거리사설망(130)과 유선으로 접속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며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로 음성급 신호를 송수신하고 문자 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는 터치식 입력장치 또는 별도의 키보드 장치로 입력하며 수신된 문자메시지 등의 데이터 신호는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네트워크 단말기(140)는 할당된 고유번호에 의하여 각각이 구분되는 것으로 다수로 이루어지며 노트북,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가 포함된 컴퓨터(142), 인터넷 TV(144), 인터넷에 연결된 인터폰(146)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140)는 액세스 포인트(120)에서 고유번호를 할당하여 구분되며, 구분하는 방식은 액세스 포인트(120)에 적용되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방식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기술은 알려져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신호흐름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무선랜 네트워크,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스마트폰에 의한 운용방법은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1100).
착신콜 앱이 운용되는 스마트폰은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1200), 착신콜이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착신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므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S1300). 착신콜 신호에 발신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스마트폰은 확인된 발신자 정보를 소리, 빛, 문자, 이미지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하고(S1400),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근거리사설망에 접속하고 착신콜 정보를 전송한다(S1500).
여기서 근거리사설망은 데이터를 단순히 전송하는 수동장치(passive apparatus)이며, 데이터를 분석하고 필요한 제어와 감시하는 능동장치(active apparatus)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전송(전달)한다.
스마트폰에 의하여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적으로 발생되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S1600), 자체 응답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1700).
무선랜 또는 무선랜 네트워크는 액티브 포인트와 근거리사설망이 포함된 구성이다.
스마트폰은 착신콜에 대한 응답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지 않고 무선랜 네트워크로부터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종료로 진행하고, 착신콜에 대한 응답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거나 또는 무선랜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경우 호출한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하도록 해당 통신 경로(채널)를 점유하도록 설정한다. 스마트폰은 점유된 채널을 통하여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통신신호를 양방향 전송(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800).
여기서 스마트폰은 자체 응답신호가 입력된 경우 음성급 신호는 자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시켜 송수신하고 문자 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는 자체 구비된 소프트 또는 하드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 송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신호는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표시한다.
한편, 스마트폰은 무선랜을 경유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자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 및 키패드와 표시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무선랜으로부터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입력된 통신신호를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접속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상대방에게 송신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상대방으로부터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된 통신신호는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접속된 무선랜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즉, 스마트폰이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접속하여 통신채널을 점유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와는 제 2 주파수로 접속하여 통신채널을 각각 점유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호출자와 네트워크 단말기의 응답자 사이에 통신경로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운용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2100).
착신콜 앱이 운용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이 피호출된 착신콜이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로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2200), 착신콜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근거리사설망에 접속된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중에서 동작 중인 네트워크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네트워크 단말기에 수신된 착신콜 정보를 전송(전달) 한다(S2300).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동작중인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착신콜에 응답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2400).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를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전달(전송)한다(S2500).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스마트폰에 전달한 후 스마트폰과의 사이에 음성급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하는 양방향 통신 경로(채널)를 할당하며(S2600) 할당된 통신경로는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시킨다(S2700).
또 한편,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근거리사설망,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한 운용방법은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착신콜 앱을 설치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한다(S3100).
네트워크 단말기는 근거리사설망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TV(인터넷 텔레비전), 인터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근거리사설망에 접속된 네트워크 단말기는 하나 이상 다수일 수 있으며 동일하게 적용 및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네트워크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호출한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3200),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기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확인한다(S3300).
네트워크 단말기에 의하여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장애 상태 메시지를 표시하고(S3400), 착신콜 정보를 소리, 빛, 기호, 이미지 등으로 출력한다(S3500).
네트워크 단말기는 착신콜 앱의 설치 및 운용에 의하여 지정된 응답 키(버튼)로부터 응답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S3600), 응답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면서 스마트폰 호출자와 양방향 통신을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진행한다(S3700, S3800).
여기서 응답 키(버튼)은 하드키 또는 소프트 키 일 수 있다.
그리고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 전체의 신호 흐름은 스마트폰,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 단말기에서 각각 착신콜 앱을 설치 및 운용한다(ST41).
착신콜 앱은 응용 프로그램이며 하나의 착신콜 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단말기를 각각 제어하고 감시하는 기능이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착신콜 앱이 운용중인 스마트폰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T42), 착신콜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고(ST43), 확인된 발신자 정보를 자체적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전달)한다(ST44).
스마트폰은 착신콜 정보를 자체적으로 출력한 후에 스마트폰 자체의 응답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T52)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채널을 점유하고 자체적으로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통신을 진행한다(ST53).
한편, 액세스 포인트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착신콜 정보를 수신하고 근거리사설망에 접속된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를 검색하여 동작중인 네트워크 단말기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ST45), 동작 중인 네트워크 단말기에 착신콜 정보를 전송(전달)한다(ST46).
착신콜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 단말기는 착신콜 정보를 분석하여 소리, 문자, 빛, 이미지 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이 피호출된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T47).
이때, 네트워크 단말기는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확인한 후 장애가 있으면 해당 장애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네트워크 단말기는 착신콜 앱에 의하여 지정된 응답 키(버튼)이 선택된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응답신호를 액세스 포인트에 출력하고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전달(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폰은 착신콜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응답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채널을 점유하는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에 양방향 통신채널의 점유를 요청한다(ST48).
액세스 포인트는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하여 스마트폰과 응답신호를 출력한 네트워크 단말기 사이에 양방향 통신채널을 할당한다(ST49).
네트워크 단말기는 제 2 주파수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스마트폰이 연결되고 제 1 주파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된 상태로 호출자와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게 된다(ST51).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110 : 스마트폰 120 : 액세스 포인트
121 : 양방향 무선통신부 122 :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
123 : 착신콜 앱부 124 : 통신신호 처리부
125 : 네트워크 접속부 130 : 근거리사설망
140 : 네트워크 단말기 141 : 컴퓨터
144 : 인터넷 TV 146 : 인터폰

Claims (7)

  1. 삭제
  2.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제 1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무선랜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과 제 2 주파수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며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여 무선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통신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사설망; 및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고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고 할당된 고유번호에 의하여 구분되는 네트워크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2 주파수로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과 수신하는 양방향 무선통신부;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부와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통신신호의 양방향 전송을 위한 경로 설정을 제어하며 감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앱을 설치하고 운용하는 착신콜앱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송신과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통신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선랜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착신콜 정보와 통신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콜 정보를 수신하면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하며,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다수로 이루어지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인터넷-TV, 인터폰이 포함되고 음성급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구비되며 문자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는 키패드와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와이파이(Wi-Fi), 엔에프시(NFC),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에 할당된 무선 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피호출에 의한 착신콜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콜이 수신되면 확인된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2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 접속된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는 제 13 단계;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적으로 입력되는지 또는 상기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착신콜에 응답하는 신호가 자체 또는 근거리사설망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경로를 점유하도록 설정시켜 통신신호를 양방향 전송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여 운용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1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에 상기 착신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호출에 응답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통신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경로를 할당하는 제 23 단계; 를 포함하여 운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의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착신콜 앱을 설치 운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근거리사설망에 의하여 전달 전송한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31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상기 착신콜 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가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장애상태를 표시하며 수신된 착신콜 정보를 출력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지정된 응답키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 구동시켜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양방향 통신을 진행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 착신전환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30085475A 2013-07-19 2013-07-19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85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75A KR101585938B1 (ko) 2013-07-19 2013-07-19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475A KR101585938B1 (ko) 2013-07-19 2013-07-19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440A KR20150010440A (ko) 2015-01-28
KR101585938B1 true KR101585938B1 (ko) 2016-01-22

Family

ID=5248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475A KR101585938B1 (ko) 2013-07-19 2013-07-19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05B1 (ko) * 2019-07-22 2019-09-0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인터폰을 이용한 외부 통화연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033B2 (en) * 2001-05-07 2006-05-02 Ixi Mobile (Israel) Lt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managed wireless network using short-range radio signals
KR20070039642A (ko) 2005-10-10 2007-04-13 주식회사 팬택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20050245A (ko) * 2010-11-10 2012-05-18 하나 마이크론(주) 컴퓨터 기반 이동통신 단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440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4303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终端
EP3028403B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30008647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parent communication device, parent-child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190658B1 (ko)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고객서비스 시스템
JP5656925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20130120213A (ko)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KR101585938B1 (ko) 무선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폰 착신콜의 착신전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9438727B2 (en) System and method to track and lo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ll status when the device is not in possession
CN111557102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17098633A1 (ja) 電化機器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電化機器通信連携方法
KR101874087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통화 기능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2013239907A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101410359B1 (ko) Wi-Fi를 이용한 근거리 mVoIP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901717B1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987073A (zh) 基于无线协议扩展的控制方法
JP6340327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632627B1 (ko)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CN103517217A (zh) 一种对集群终端进行业务控制的方法及相应终端
KR101580553B1 (ko) 이동식 제어단말기 만을 구비한 인터폰 기기
KR102019305B1 (ko) 인터폰을 이용한 외부 통화연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KR20110077320A (ko) Ip―pbx 통신 시스템
KR20110033630A (ko)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33688B1 (ko) 컨버전스 홈 서비스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컨버전스 홈 서비스 방법
KR101576580B1 (ko) 통화 중 문자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 장치
KR20020093363A (ko) 무선 랜 카드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