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708B1 - 래칫식 텐셔너 - Google Patents

래칫식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708B1
KR101585708B1 KR1020120059221A KR20120059221A KR101585708B1 KR 101585708 B1 KR101585708 B1 KR 101585708B1 KR 1020120059221 A KR1020120059221 A KR 1020120059221A KR 20120059221 A KR20120059221 A KR 20120059221A KR 101585708 B1 KR101585708 B1 KR 10158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plunger
teeth
spring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552A (ko
Inventor
오사무 요시다
유지 구레마쓰
무네히로 마에다
아키라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to KR102012005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7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해결과제] 보수 메인터넌스시에 플런저와 래칫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의 치합을 간편하게 해제하여, 엔진 가동시에 래칫 기구의 오동작시킴 없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작동시켜 플래핑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플런저의 눌어붙음을 방지하는 래칫식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에 대한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의 치합을 공구핀(T)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가, 래칫(150)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공구핀(T)의 핀 선단부(T1)를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 (154)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설치되어 공구핀(T)을 공구핀 결합부(154)를 향해서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114)으로 구성되는 래칫식 텐셔너(100).

Description

래칫식 텐셔너{RATCHET-TYPE TENSIONER}
본 발명은, 엔진의 캠축 등을 구동하는 타이밍 체인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래칫식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의 캠축 등을 구동하는 타이밍 체인에 이용하여,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어 하우징과의 사이에 유실(油室)을 형성하는 플런저에 스프링과 외부 유압에 의한 돌출력을 작용시켜 타이밍 체인에 긴장력을 부여하도록 한 텐셔너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텐셔너로서,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512)에 플런저(514)의 슬라이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어 하우징(512)과의 사이에 부유실(副油室, 520)을 형성하는 피스톤(526)과, 부유실(520)에 외부 유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유로(油路, 544)와, 피스톤(526)을, 부유실(520)을 향하여 부세(付勢)하는 제2 스프링(534)을 내장하고 부유실(520)의 반대측에서 하우징(512)과 피스톤(526)에 의해 구획 형성된 대기실(大氣室, 528)과, 대기실(528)에 끼워 맞춰진 캡(530)을 갖고, 이 대기실(528)에 대기와 연이어 통하여 부유실(520)에 외부 유압이 작용하여 피스톤(526)이 제2 스프링(534)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이동했을 때에 피스톤(526)에 의해 폐색(閉塞)되는 대기 연통구멍(532)을 형성하며, 플런저(514)의 하우징(512)에 위요(圍繞)되는 부분에 랙(538)을 새겨 설치하고, 피스톤(526)에 고정된 로드(524)의 선단에 랙(538)에 치합 가능한 복수의 치합 톱니(536)를 설치하여, 치합 톱니(536)와 랙(538)의 플런저 후퇴 저지 톱니면을 플런저(514)의 진퇴 방향에 직각인 톱니면에 형성한 텐셔너(500)가 채용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2559664호 공보(일본 등록실용신안 청구범위, 도 1).
상술한 종래의 텐셔너(500)에는, 복수의 치합 톱니(536)를 설치한 로드(524)가 대기실(528)의 내부에 수용되고 캡(530)에 의해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밍 체인을 이완시켜 래칫식 텐셔너, 타이밍 체인의 위치 결정 작업, 부품 교환 작업 등의 보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래칫식 텐셔너의 플런저(514)를 임의로 밀어 되돌려서 후퇴시키려고 해도 로드(524)의 치합 톱니(536)와 플런저(514)의 랙(538)과의 치합을 해제할 수 없다고 하는 보수 메인터넌스 작업상의 번거러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텐셔너(500)에서는, 플런저(514)와 피스톤(526)이 원기둥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구동시에 있어서의 플런저(514)의 진동에 대해서 플런저(514)의 랙(538)과 피스톤(526)의 치합 톱니(536)와의 사이의 치합으로 과도한 회전 멈춤 상태가 표출되어 피스톤(526)의 치합 톱니(536)의 이빠짐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결국은,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비틀림이 생겨 치합 불량으로 되어 치합 톱니(536)와 랙(538)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의 오동작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텐셔너 제조시나 보수 메인터넌스시에 플런저(514)와 피스톤(526)이 각각의 축심 둘레로 회동(回動)하여 상호간의 조립 오류을 일으킨다고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텐셔너(500)에서는, 치합 톱니(536)와 랙 (538)의 플런저 후퇴 저지 톱니면을 플런저(514)의 진퇴 방향에 직각인 톱니면에 형성하기 때문에, 엔진의 온도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해 발생하는 플런저(514)의 후퇴방향의 움직임도 규제되어 버려, 플런저(514)가 눌어붙거나, 체인에 과대한 장력이 걸린 채로 주행하여 체인에 부담이나 소음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해 발생하는 플런저(514)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이 상정(想定)되는 최대치에 맞춰, 치합 톱니(536)와 랙(538)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에 소정의 백래시(backlash)량을 설정함이 행하여지지만, 이러한 백래시량이 클수록, 엔진 시동시의 플래핑음이라 칭하는 타음(打音)을 저감 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엔진 시동시에 으레 생기는 타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리피스 기구나 오일 리저브 기구를 부가하거나,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518)을 고하중에 대응하는 스프링으로 변경하는 등의 대책은 가능하지만, 그것을 위한 부품 개수나 제조비용이 증대할 뿐만이 아니라 텐셔너 자체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 메인터넌스시에 플런저와 래칫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의 치합을 간편하게 해제하고, 또한, 엔진 가동시에 래칫 기구을 오동작시킴 없이 확실하면서 안정되게 작동시켜 장기 방치 후의 엔진 시동시에 타이밍 체인으로부터 받는 플런저의 반력(反力)에 대한 백래시를 억제하여 플래핑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해 생기는 플런저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플런저의 눌어붙음을 방지하는 래칫식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외부 압유의 오일 공급로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으로부터 주행 체인을 향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하는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과 플런저의 중공부(中空部)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압유실에 수납되어 플런저의 돌출 방향으로 부세하는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래칫 수용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플런저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원기둥 형상의 래칫과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한 래칫 톱니를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를 향해서 부세하는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상기 래칫 수용구멍의 후단 근방에 끼워 넣어져 래칫 부세용 스프링을 착좌(着座)시키는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를 구비한 래칫식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分力)보다 크게 설정되는 동시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플런저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을 공구핀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가,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공구핀의 핀 선단부를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공구핀을 공구핀 결합부를 향해서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으로 구성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래칫의 공구핀 결합부가,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서 래칫 톱니와 래칫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 형상 맞댐면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이, 상기 공구핀으로 래칫의 단차 형상 맞댐면을 들어올려(prying)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형성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래칫의 공구핀 결합부가,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을 후단 영역측을 향하여 일부 절취된 테이퍼 형상 맞댐면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이, 상기 공구핀으로 래칫의 테이퍼 형상 맞댐면을 압압하여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형성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삭제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플런저의 랙 톱니가,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면과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면에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래칫의 래칫 톱니가,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 대향면과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 대향면으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톱면의 경사각이, 상기 슬라이딩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에 대해서 래칫의 래칫 톱니를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비틀리지 않고 맞물리게 하는 치합 정합 기구가, 상기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구성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치합 정합 기구가, 상기 래칫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래칫측 볼록조(convex strip)와 상기 래칫측 볼록조와 요철 결합된 상태로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우징측 오목홈으로 구성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래칫이, 래칫 외경 치수보다 큰 래칫 전장 치수를 구비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9 및 10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래칫 부세용 스프링이, 상기 래칫의 스프링 수용구멍내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삽입 부착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는, 외부 압유의 오일 공급로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으로부터 주행 체인을 향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하는 플런저와,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과 플런저의 중공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압유실에 수납되어 플런저의 돌출 방향으로 부세하는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과, 하우징 본체의 래칫 수용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플런저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원기둥 형상의 래칫과, 이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한 래칫 톱니를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를 향해서 부세하는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래칫 수용구멍의 후단 근방에 끼워 넣어져 래칫 부세용 스프링을 착좌시키는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를 구비함에 의해, 엔진내의 타이밍 체인에 래칫식 텐셔너의 플런저로부터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크게 설정됨에 의해, 엔진 시동시에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이 발생하면,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래칫의 래칫 톱니에 작용하여 플런저의 랙 톱니와 맞물리기 때문에, 백래시가 발생한 플런저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후퇴 변위를 저지하여, 타이밍 체인의 플래핑음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단순히 플런저를 돌출 부세시키는 부세력만으로 충족되기 때문에, 특수한 고하중 대응의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이나 오리피스 기구나 오일 리저브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 개수나 제조비용을 저감하여 텐셔너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작게 설정됨에 의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이 발생하면,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래칫의 래칫 톱니에 작용하여 래칫의 래칫 톱니와 플런저의 랙 톱니가 치합해제되어,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까지 플런저를 후퇴시키기 때문에, 엔진의 온도 변화 등으로 플런저가 과잉되게 전진하여 백 스톱에 의한 과하중이 발생해도 플런저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고 후퇴 변위를 허용하여 플런저의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을 조정함에 의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치합해제의 타이밍이 조정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플런저의 눌어붙음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본 발명에 특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 의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의하면, 플런저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을 공구핀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가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공구핀의 핀 선단부를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공구핀을 공구핀 결합부를 향해서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으로 구성됨에 의해, 공구핀의 핀 선단부를 핀 삽입구멍으로부터 래칫의 공구핀 결합부에 맞댐 결합시켜 플런저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을 용이하게 해제함에 의해 래칫식 텐셔너의 플런저를 밀어 되돌려 후퇴시킴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타이밍 체인을 이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래칫식 텐셔너, 타이밍 체인의 위치 결정, 부품 교환 등의 보수 메인터넌스의 작업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래칫의 공구핀 결합부가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서 래칫 톱니와 래칫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 형상 맞댐면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이 공구핀으로 래칫의 단차 형상 맞댐면을 들어올려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형성됨에 의해,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에 삽입 통과된 공구핀의 들어올리는 힘이 단차 형상 맞댐면에 작용하여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플런저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래칫의 공구핀 결합부가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을 후단 영역측을 향하여 일부 절취된 테이퍼 형상 맞댐면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이 공구핀으로 래칫의 테이퍼 형상 맞댐면을 압압하여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형성됨에 의해,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에 삽입 통과된 공구핀의 압압력이 테이퍼 형상 맞댐면에 의해서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작용하는 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플런저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플런저의 랙 톱니가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면과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면에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래칫의 래칫 톱니가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 대향면과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 대향면으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됨에 의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이 발생하면, 이 반력이 플런저측의 스톱면을 통해 래칫의 스톱 대향면에 분력으로서 작용하여, 이 래칫의 스톱 대향면에 작용한 분력이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더 작은 분력으로서 래칫의 래칫 톱니를 플런저의 랙 톱니와 치합해제하도록 작용하여, 플런저의 랙 톱니가 래칫의 스톱 대향면을 거쳐 슬라이딩 대향면을 슬라이딩하여 1톱니분 되돌리기 때문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래칫의 래칫 톱니와 플런저의 랙 톱니에 생기기 쉬운 이빠짐 등의 마손(摩損)을 방지하면서 플런저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고 후퇴 변위를 원활하게 허용할 수 있는 동시에 래칫 부세용 스프링에 대한 과도한 충격도 회피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스톱면의 경사각이 슬라이딩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됨에 의해, 엔진 시동시에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이 발생해도 플런저의 랙 톱니와 래칫의 래칫 톱니와의 치합해제을 저지하기 때문에, 엔진 시동시에 백래시가 발생한 플런저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후퇴 변위를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에 대해서 래칫의 래칫 톱니를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비틀리지 않고 맞물리게 하는 치합 정합 기구가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구성됨에 의해, 엔진 구동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진동에 대해서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와 래칫의 래칫 톱니와의 사이의 치합에 관계없이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키기 때문에, 플런저와 래칫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를 확실하고 안정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에 대해서 래칫의 래칫 톱니를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정확하게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와 래칫의 래칫 톱니와의 사이의 조립 오류에 의한 비틀림을 회피하여 래칫 기구의 오동작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의하면,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치합 정합 기구가 래칫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래칫측 볼록조와 이 래칫측 볼록조와 요철 결합된 상태로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우징측 오목홈으로 구성됨에 의해,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의 외주면을 완전히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슬라이딩시킴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플런저와 래칫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측의 래칫 수용구멍에 오목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측의 래칫 수용구멍에 볼록조를 형성한 치합 정합 기구와 비교하면, 치합 정합 기구의 제작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의하면,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래칫이 래칫 외경 치수보다 큰 래칫 전장 치수를 구비함에 의해, 래칫에 과잉 하중이 부하된 경우이어도 래칫 수용구멍내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생기기 쉬운 래칫의 경사를 억제하여 래칫의 편마모를 방지하기 때문에, 플런저와 래칫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를 더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 및 청구항 10에 의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의하면,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이 가져오는 효과에 더하여, 래칫 부세용 스프링이 래칫의 스프링 수용구멍내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삽입 부착됨에 의해, 래칫 부세용 스프링이 래칫의 스프링 수용구멍내에 거의 삽입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래칫 부세용 스프링을 래칫의 외주면에 바깥에서 끼운 경우와 비교하여, 래칫 수용구멍에 대한 래칫의 설치 형태를 간소화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의 사용형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래칫식 텐셔너(100)의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랙 톱니와 래칫 톱니의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래칫과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와의 분해도.
도 6은 엔진 시동시의 플런저 돌출 동작에 동반하는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엔진 시동시의 플런저 후퇴 동작에 동반하는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플런저 후퇴 개시시의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플런저 후퇴 동작중의 치합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플런저 후퇴 종료시의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래칫 해제 동작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의 주요부 확대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4는 래칫과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와의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래칫 해제 동작의 설명도.
도 16은 종래의 래칫식 텐셔너(500)의 단면도.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는, 외부 압유의 오일 공급로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으로부터 주행 체인을 향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하는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과 플런저의 중공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압유실에 수납되어 플런저의 돌출 방향으로 부세하는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래칫 수용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플런저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원기둥 형상의 래칫과 이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한 래칫 톱니를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를 향해서 부세하는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상기 래칫 수용구멍의 후단 근방에 끼워 넣어져 래칫 부세용 스프링을 착좌시키는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를 구비하고, 플런저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을 공구핀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가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공구핀의 핀 선단부를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공구핀을 공구핀 결합부를 향해서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으로 구성되고, 보수 메인터넌스시에 플런저와 래칫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의 치합을 간편하게 해제하여, 엔진 가동시에 래칫 기구의 오동작시킴 없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작동시켜 장기 방치 후의 엔진 시동시에 타이밍 체인으로부터 받는 플런저의 반력에 대한 백래시를 억제하여 플래핑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해 생기는 플런저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플런저의 눌어붙음을 방지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있어서의 하우징 본체의 기본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하우징 본체에 형성한 오일 공급로에 직접적으로 도입하는 것, 혹은,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하우징 본체에 형성한 오일 공급로에 도입하기 전에 하우징 본체의 배면 부분에 일단 저류(貯溜)하는 오일 리저버부를 오목하게 형성한 것의 어느 것이어도 괜찮다.
또한,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의 경우, 고압유실내로부터 오일 공급로로 압유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 유닛이 플런저 수용구멍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 혹은, 체크 밸브 유닛이 플런저 수용구멍의 바닥부에 설치되지 않은 것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더욱이, 상술한 체크 밸브 유닛을 구비한 래칫식 텐셔너의 경우, 그 구체적인 유닛 형태는, 플런저 수용구멍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고압유실내의 압유의 오일 공급로로의 역류를 저지하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것이어도 좋은데, 예를 들면, 오일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여 고압유실측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볼 시트와 이 볼 시트의 밸브 시트에 대향하는 체크 볼과 이 체크 볼을 볼 시트에 압압하여 부세하는 볼 부세용 스프링과 체크 볼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종 형상 리테이너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이용되는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해서는,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동시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면 어떠한 절대치의 부세력이어도 좋고, 플런저의 랙 톱니와 래칫의 래칫 톱니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도 고려한 부세력으로 설정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래칫식 텐셔너에 이용되는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 정합 기구에 대해서는,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구체적인 형태이어도 좋은데,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구비한 래칫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각형(角形) 스플라인, 인볼류트 스플라인 등의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래칫측 볼록조와 이 래칫측 볼록조와 요철 결합된 상태로 래칫과 거의 동일 직경인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홈이 형성된 각형 스플라인 홈, 인볼류트 스플라인홈 등의 스플라인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측 오목홈으로 구성된 것, 원형 단면을 구비한 래칫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각형 스플라인 홈, 인볼류트 스플라인홈 등의 스플라인 홈으로 이루어지는 래칫측 오목 홈과 이 래칫측 오목홈과 요철 결합된 상태로 래칫과 거의 동일 직경인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각형 스플라인, 인볼류트 스플라인 등의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측 볼록조로 구성된 것, 혹은, 타원 단면을 구비한 래칫과 이 래칫과 거의 동형인 타원 단면을 구비한 하우징 본체의 래칫 수용구멍으로 회전 멈춤시킨 것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래칫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플런저 측면에 새겨 설치된 랙 톱니에 대해서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비틀리지 않고 맞물리는 몇 개의 래칫 톱니를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구비하는 동시에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공구핀의 핀 선단부를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를 설치한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래칫 톱니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등피치의 톱니 간격 및 동일한 톱니 길이를 구비한 2개 이상의 래칫 톱니를 구비한 것이면,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를 향해서 균등하게 치합 하중을 분산하여 맞물릴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또한,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하는 공구핀 결합부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보수 메인터넌스시에 플런저와 래칫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의 치합을 간편하게 해제하는 것이면,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서 래칫 톱니와 래칫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 형상 맞댐면, 혹은,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을 후단 영역측을 향하여 일부 절취된 테이퍼 형상 맞댐면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를 도 1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의 사용형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래칫식 텐셔너(100)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랙 톱니와 래칫 톱니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래칫과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와의 분해도이고, 도 6은, 엔진 시동시의 플런저 돌출 동작에 동반하는 랙 톱니와 래칫 톱니와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엔진 시동시의 플런저 후퇴 동작에 동반하는 랙 톱니와 래칫 톱니와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플런저 후퇴 개시시의 랙 톱니와 래칫 톱니와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플런저 후퇴 동작중의 랙 톱니와 래칫 톱니와 치합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플런저 후퇴 종료시의 랙 톱니와 래칫 톱니와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래칫 해제 동작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래칫과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와의 분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래칫 해제 동작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는, 엔진의 크랭크축으로 회전되는 구동측 스프로킷(S1)과 캠축에 고정되어 있는 피구동측 스프로킷(S2)의 사이에 걸어 돌려져 있는 타이밍 체인(C)의 이완측에서 엔진 본체에 부착되어, 그 하우징 본체(11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플런저(120)가 출몰 가능하게 돌출되며, 플런저(120)가 엔진 본체측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가동 레버(L)의 요동단(搖動端) 근방의 배면을 압압함에 의해, 가동 레버(L)를 통해 타이밍 체인(C)의 이완측에 장력을 부여한다.
아울러, 타이밍 체인(C)의 인장측에는 타이밍 체인(C)의 주행을 안내하는 고정 가이드(G)가 엔진 본체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측 스프로킷(S1)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이밍 체인(C)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주행하고, 이어서, 이 타이밍 체인(C)의 주행에 의해서 피구동측 스프로킷(S2)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구동측 스프로킷(S1)의 회동이 피구동측 스프로킷(S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는, 엔진 블록측으로부터 공급된 외부 압유를 도입하는 오일 공급로(111)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110)와, 이 하우징 본체(110)에 형성한 플런저 수용구멍(112)으로부터 주행 체인(도시하지 않음)을 향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하는 원기둥 형상의 플런저(12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플런저 수용구멍(112)과 플런저(120)의 중공부(12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압유실(R)에 수납되어 플런저(120)의 돌출 방향으로 부세하는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130)과, 플런저 수용구멍(112)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고압유실(R)내로부터 오일 공급로(111)로의 압유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 유닛(140)과,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 형성한 원통형상의 래칫 수용구멍(113)에 끼워 삽입되어 플런저(120)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원기둥 형상의 래칫(150)과, 이 래칫(150)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한 래칫 톱니 (151)를 플런저 측면에 새겨 설치한 랙 톱니(122)를 향해서 맞물리도록 부세하는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과, 상기 래칫 수용구멍(113)의 후단 근방에 끼워 넣어져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을 빠짐이 방지되게 해서 착좌시키는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170)를 구비한다.
(체크 밸브 유닛(140)의 구체적인 유닛 구조에 대해)
상술한 체크 밸브 유닛(140)의 구체적인 유닛 구조에 대해서는, 플런저 수용구멍(112)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고압유실(R)내로부터 오일 공급로(111)로의 압유의 역류를 저지하는 것이면, 공지된 어떠한 것도 지장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하우징 본체(110)의 오일 공급로(111)에 연결되는 유로(141a)를 갖는 볼 시트 (141)와, 이 볼 시트(141)의 밸브 시트(141b)에 착좌되는 체크 볼(142)과, 이 체크 볼(142)을 볼 시트(141)에 압압해서 부세하는 볼 부세용 스프링(143)과, 이 볼 부세용 스프링(143)을 지지하고 또한 체크 볼(142)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종 형상 리테이너(144)로 구성된 체크 밸브 유닛(140)이 채용되어 있다.
(치합 정합 기구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본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에는,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122)에 대해서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를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비틀리지 않고 맞물리게 하는 치합 정합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치합 정합 기구는, 플런저 (12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원통형상의 래칫 수용구멍(113)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150)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 구동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20)의 진동에 대해서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사이의 치합에 관계없이 래칫 수용구멍(113)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150)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키는 동시에,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122)에 대해서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를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정확하게 맞물리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치합 정합 기구는, 래칫(15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인볼류트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래칫측 볼록조(152)와 이 래칫측 볼록조(152)와 요철 결합된 상태로 래칫 수용구멍(113)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인볼류트 스플라인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측 오목홈(11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래칫 수용구멍(113)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150)의 외주면을 완전히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슬라이딩시키는 동시에, 치합 정합 기구의 제작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한다.
그리고, 상술한 래칫(15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외경 치수 (D)보다 큰 래칫 전장 치수(W)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래칫(150)에 과잉 하중이 부하된 경우이어도, 래칫 수용구멍(113)내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생기기 쉬운 래칫(150)의 경사를 억제하여 래칫(150)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플런저(120)와 래칫 (150)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를 더 원활하게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래칫(150)은, 플런저 측면에 새겨 설치한 랙 톱니(122)를 향해서 균등하게 치합 하중을 분산하여 맞물리기 때문에,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톱니(122)와 등피치의 톱니 간격 및 동일한 톱니 길이를 구비한 3개의 래칫 톱니(151)가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150)내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동심원 형상으로 삽입 부착되어, 이에 의해,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이 래칫(150)의 스프링 수용구멍(153)내에 거의 삽입된 상태로 되어,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을 래칫(150)의 외주면에 바깥에서 끼운 경우와 비교하여, 래칫 수용구멍(113)에 대한 래칫(150)의 설치 형태가 간소화하면서 소형화된다.
그리고,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에 대해서는,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동시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 시동시에 플런저(120)의 후퇴 변위를 억제하여 타이밍 체인의 플래핑음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해 플런저 (120)의 후퇴 변위를 허용하여 플런저(120)의 눌어붙음을 방지하고, 특수한 고하중 대응의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160)이나 오리피스 기구나 오일 리저브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부품 개수나 제조비용을 저감하여 텐셔너 자체를 소형화한다.
더욱이, 상술한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17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수용구멍(113)의 후단 근방에 끼워넣어 빠짐 방지를 위한 탄력성을 발휘하는 다수의 돌출 설편(171)을 둘레에 설치한, 이른바, 빠짐방지용 와셔로서, 이에 의해,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후단을 착좌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에 있어서의 플런저(120)의 랙 톱니 (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과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시동시 및 엔진 시동 후의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 플런저(120)가 돌출할 때, 항상, f1>Fs로 되고, 플런저(120)는, 래칫(150)을 눌러 되돌리면서 전진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Fs)은, 도 7에서 나타내는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1)으로 발생하는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1)보다 크게 설정되는 동시에, 도 8에서 나타내는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2)으로 발생하는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엔진 시동시의 플런저 돌출 동작중은, 항상, f1>Fs로 되어, 플런저(120)는, 레버(도시하지 않음)에 추종하여 전진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1)이 발생하면, 상술한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1)보다 큰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Fs)이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에 작용하여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와 맞물려, 백래시가 발생한 플런저(120)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후퇴 변위를 저지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2)이 발생하면, 상술한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2)이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Fs)보다 커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가 해제되어,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Fs)이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2)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까지 플런저(120)를 랙 톱니(122)의 1 톱니만큼 혹은 몇 톱니만큼만 후퇴시키기 때문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해 백래시가 발생한 플런저(120)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후퇴 변위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130)의 부세력은,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Fs)보다 크지만, 플런저(120)를 돌출 부세시키는 부세력이면 좋고, 이러한 범위에서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Fs)을 조정함에 의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에 의한 치합해제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가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면(122a)과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면(122b)에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가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 대향면(151a)과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 대향면(151b)에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2)이 발생하면, 이 반력(F2)이 플런저측의 스톱면(122a)을 통해 래칫(150)의 스톱 대향면(151a)에 분력(fh)으로서 작용하고, 이 래칫(150)의 스톱 대향면(151a)에 작용한 분력(fh)이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더 작은 분력(f2)으로서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를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와 치합해제하도록 작용하여,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가 래칫(150)의 스톱 대향면(151a)을 거쳐 슬라이딩 대향면(151b)을 슬라이딩하여 1 톱니만큼 혹은 몇 톱니만큼 되돌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플런저(120)에 형성된 스톱면(122a)의 경사각 θ는, 슬라이딩면(122b)의 경사각 α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1)이 발생해도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치합해제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온도 변화 등으로 플런저(120)가 과잉되게 전진하여 백 스톱에 의한 과하중이 발생해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 (F2)으로 발생하는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2)과 래칫 부세용 스프링 (160)의 부세력(Fs)과 대소 관계는,
f2 = F2×cosθ×sinθ×μ
f2 > Fs
로 된다. 0
아울러, 여기서 말하는 μ란,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이다.
또한, 상술한 엔진 시동시에 백래시가 발생한 플런저(120)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후퇴 변위를 저지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1)으로 발생하는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1)과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의 부세력(Fs)과 대소 관계는,
f1 = F1×cosθ×sinθ×μ
f1 < Fs
로 된다.
아울러, 여기서 말하는 μ란,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가 가장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있어서의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치합해제 동작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아울러, 도 8 내지 도 10의 플런저 선단측에 나타내는 가상선은, 엔진 시동 후에 체인 장력 과다가 발생했을 때,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의 플런저(120)의 선단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의 래칫 근방 측에 나타내는 가상선은, 엔진 시동 후에 체인 장력 과다가 발생했을 때,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의 래칫(150)의 위치를 나타낸다.
우선,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120)를 후퇴시키는 반력(F2)이 발생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반력(F2)이 플런저측의 스톱면(122a)을 통해 래칫(150)의 스톱 대향면(151a)에 분력(fh)으로서 작용하고, 이 래칫(150)의 스톱 대향면(151a)에 작용한 분력(fh)이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더 작은 분력(f2)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상술한 래칫(150)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f2)이 작용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측의 스톱면(122a)이 래칫측의 스톱 대향면(151a)을 슬라이딩하면서 플런저(120)가 후퇴하기 시작하여,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 치합해제되어 간다.
이어서,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 치합해제되는 동시에, 플런저측의 슬라이딩면(122b)이 래칫측의 슬라이딩 대향면(151b)을 슬라이딩하기 시작하면서 플런저(120)가 계속 후퇴해 간다.
또한, 플런저측의 슬라이딩면(122b)이 래칫측의 슬라이딩 대향면(151b)을 슬라이딩하기 시작하면서 플런저(120)가 계속 후퇴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측의 후속하는 새로운 스톱면(122a)이 래칫측의 스톱 대향면(151a)에 맞닿아 후퇴 변위를 허용하여, 플런저(120)가 랙 톱니(122)의 1 톱니만큼 혹은 몇 톱니만큼 되돌림으로써, 엔진의 온도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플런저(120)의 과잉 돌출에 의한 과하중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래칫 해제 기구의 구체적인 설치 형태에 대해)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가 가장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에 대한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치합을 공구핀(T)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의 구체적인 설치 형태를, 도 5 및 도 11에 기초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5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래칫 해제 기구는, 상술한 래칫(150)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공구핀(T)의 핀 선단부(T1)에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154)와 상술한 하우징 본체(110)에 설치하여 공구핀(T)을 공구핀 결합부(154)를 향해서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1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150)의 공구핀 결합부(154)는, 래칫 (150)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서 래칫 톱니(151)와 래칫 외주면의 일부인 래칫측 볼록조(152)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 형상 맞댐면(154a)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 하우징 본체(110)의 핀 삽입구멍(114)은, 공구핀(T)으로 래칫(150)의 단차 형상 맞댐면(154a)을 들어올려 래칫(150)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150)을 밀어 되돌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 본체(110)의 핀 삽입구멍(114)에 삽입 통과된 공구핀(T)의 들어올리는 힘이 래칫(150)의 단차 형상 맞댐면(154a)에 작용하여 래칫(150)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150)을 밀어 되돌리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는,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에 대한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의 치합을 공구핀(T)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가, 래칫(150)에 형성된 단차 형상 맞댐면(154a)으로 이루어지는 공구핀 결합부(154)와 공구핀(T)으로 래칫(150)의 단차 형상 맞댐면 (154a)을 들어올려기 위해서 설치한 핀 삽입구멍(114)으로 구성됨에 의해, 하우징 본체(110)의 핀 삽입구멍(114)에 삽입 통과된 공구핀(T)의 들어올리는 힘이 단차 형상 맞댐면(154a)에 작용하여 래칫(150)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150)을 밀어 되돌리도록 작용하여,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에 대한 래칫(150)의 래칫 톱니 (151)의 치합을 용이하게 해제함에 의해 플런저(120)를 밀어 되돌려 후퇴시킴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타이밍 체인을 이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래칫식 텐셔너, 타이밍 체인의 위치 결정, 부품 교환 등의 보수 메인터넌스의 작업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치합 정합 기구가 래칫(15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래칫측 볼록조(152)와 이 래칫측 볼록조(152)와 요철 결합된 상태로 래칫 수용구멍(113)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우징측 오목홈(113a)으로 구성되어 래칫 수용구멍(113)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150)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됨에 의해, 플런저(120)와 래칫(150)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를 확실하면서 안정되게 작동시켜,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122)와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의 사이의 조립 오류에 의한 비틀림을 회피하여 래칫 기구의 오동작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가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면(122a)과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면(122b)에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가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 대향면(151a)과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 대향면(151b)에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더욱이, 스톱 대향면(151a)의 경사각 θ가 슬라이딩 대향면(151b)의 경사각 α보다 작게 형성됨에 의해,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래칫(150)의 래칫 톱니(151)와 플런저(120)의 랙 톱니(122)에 생기기 쉬운 이빠짐 등의 마손을 방지하면서 플런저(120)의 후퇴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고 후퇴 변위를 원활하게 허용할 수 있는 동시에 래칫 부세용 스프링(160)에 대한 과도한 충격도 회피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와 비교하면, 상술한 치합 정합 기구와 래칫 해제 기구의 구체적인 설치 형태가 다르고, 그 나머지의 장치 구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변함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치합 정합 기구와 래칫 해제 기구의 구체적인 설치 형태만, 도 12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치합 정합 기구와 래칫 해제 기구 이외의 장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인 래칫식 텐셔너(100)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에 부착한 100번대의 부호를 200번대의 부호로 바꿔 읽음으로써,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술한 치합 정합 기구는, 도 13에 도시된 타원 단면을 구비한 래칫 (250)과,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래칫(250)과 거의 동형인 타원 단면을 구비한 하우징 본체(210)의 래칫 수용구멍(213)으로 구성되어, 플런저(22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래칫 수용구멍(213)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250)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엔진 구동시에 있어서의 플런저(220)의 진동에 대해서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222)와 래칫(250)의 래칫 톱니(251)와의 사이의 치합에 관계없이 래칫 수용구멍(213)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250)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키는 동시에,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222)에 대해서 래칫(250)의 래칫 톱니(251)를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정확하게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래칫(250)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 외경 치수 (D)보다 큰 래칫 전장 치수(W)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래칫(250)에 과잉 하중이 부하된 경우이어도, 래칫 수용구멍(213)내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생기기 쉬운 래칫(250)의 경사를 억제하여 래칫(250)의 편마모를 방지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래칫(250)은, 플런저 측면에 새겨 설치한 랙 톱니(222)를 향해서 균등하게 치합 하중을 분산하여 맞물리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톱니(222)와 등피치의 톱니 간격 및 동일한 톱니 길이를 구비한 2개의 래칫 톱니(251)가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래칫 해제 기구의 구체적인 설치 형태에 대해)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200)가 가장 특징으로 하는 플런저 (220)의 랙 톱니(222)에 대한 래칫(250)의 래칫 톱니(251)의 치합을 공구핀(T)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의 구체적인 설치 형태를, 도 14 및 도 15에 기초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래칫 해제 기구는, 상술한 래칫(250)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공구핀(T)의 핀 선단부(T1)에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254)와 상술한 하우징 본체(210)에 설치하고 공구핀 (T)을 공구핀 결합부(254)를 향해서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2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칫(250)의 공구핀 결합부(254)는, 래칫 (250)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을 후단 영역측을 향하여 일부 절취된 테이퍼 형상 맞댐면(254a)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0)의 핀 삽입구멍(214)이 공구핀(T)으로 래칫(250)의 테이퍼 형상 맞댐면 (254a)을 압압하여 래칫(250)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250)을 밀어 되돌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 본체(210)의 핀 삽입구멍(214)에 삽입 통과된 공구핀(T)의 압압력이 테이퍼 형상 맞댐면(254a)에 의해서 래칫(250)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250)을 밀어 되돌리도록 작용하는 분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200)는, 플런저(220)의 랙 톱니(222)에 대한 래칫(250)의 래칫 톱니(251)의 치합을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가, 래칫(250)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을 후단 영역측을 향하여 일부 절취된 테이퍼 형상 맞댐면(254a)으로 이루어지는 공구핀 결합부(254)와 공구핀(T)으로 래칫(250)의 테이퍼 형상 맞댐면(254a)을 압압하기 위해 설치한 하우징 본체 (210)의 핀 삽입구멍(214)으로 구성됨에 의해, 하우징 본체(210)의 핀 삽입구멍 (214)에 삽입 통과된 공구핀(T)의 압압력이 테이퍼 형상 맞댐면(254a)에 의해서 래칫(250)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250)을 밀어 되돌리도록 작용하는 분력을 발생시켜, 플런저(220)의 랙 톱니(222)에 대한 래칫(250)의 래칫 톱니(251)의 치합을 용이하게 해제함에 의해 플런저(220)를 밀어 되돌려 후퇴시킴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타이밍 체인을 이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래칫식 텐셔너, 타이밍 체인의 위치 결정, 부품 교환 등의 보수 메인터넌스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제1 실시예의 래칫식 텐셔너(100)와 마찬가지로, 플런저(220)와 래칫(250)으로 이루어지는 래칫 기구를 확실하면서 안정되게 작동시켜,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222)와 래칫(250)의 래칫 톱니(251)와의 사이의 조립 오류에 의한 비틀림을 회피하여 래칫 기구의 오동작을 해소하는 동시에, 본 제1 실시예와 같은 하우징 본체측의 래칫 수용구멍(113)과 래칫(150)의 외주면과의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요철 걸어맞춤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정밀한 기계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제작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100, 200 : 래칫식 텐셔너
110, 210 : 하우징 본체
111, 211 : 오일 공급로
112, 212 : 플런저 수용구멍
113, 213 : 래칫 수용구멍
113a : 하우징측 오목홈
114, 214 : 핀 삽입구멍
120, 220 : 플런저
121, 221 : 중공부
122, 222 : 랙 톱니
122a : 스톱면
122b : 슬라이딩면
130, 230 :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
140, 240 : 체크 밸브 유닛
141, 241 : 볼 시트
141a, 241a : 유로
141b, 241b : 밸브 시트
142, 242 : 체크 볼
143, 243 : 볼 부세용 스프링
144, 244 : 종 형상 리테이너
150, 250 : 래칫
151, 251 : 래칫 톱니
151a : 스톱 대향면
151b : 슬라이딩 대향면
152 : 래칫측 볼록조
153, 253 : 스프링 수용구멍
154, 254 : 공구핀 결합부
154a : 단차 형상 맞댐면
254a : 테이퍼 형상 맞댐면
160, 260 : 래칫 부세용 스프링
170, 270 :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
171, 271 : 돌출 설편
S1 : 구동측 스프로킷
S2 : 피구동측 스프로킷
C : 타이밍 체인
L : 가동 레버
G : 고정 가이드
P : 피스톤부 고압유실
R : 고압유실
D : 래칫 외경 치수
W : 래칫 전장 치수
Fs :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
F1 : 엔진 시동시에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
F2 :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
f1 : 반력(F1)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
f2 : 반력(F2)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
fh : 반력(F2)으로 플런저의 스톱면에 작용하는 분력
θ : 플런저에 형성된 스톱면의 경사각
α : 플런저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의 경사각
T : 공구핀
T1 : 핀 선단부
500 : 종래의 래칫식 텐셔너
512 : 하우징
514 : 플런저
516 : 유실
518 : 스프링
520 : 부유실
524 : 로드
526 : 피스톤
528 : 대기실
530 : 캡
532 : 대기 연통구멍
534 : 제2 스프링
536 : 치합 톱니
538 : 랙
544 : 유로
548 : 유로
550 : 오일 저장실

Claims (10)

  1. 외부 압유의 오일 공급로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으로부터 주행 체인을 향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하는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플런저 수용구멍과 플런저의 중공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압유실에 수납되어 플런저의 돌출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플런저 부세용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래칫 수용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플런저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원기둥 형상의 래칫과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한 래칫 톱니를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를 향해서 부세하는 래칫 부세용 스프링과 상기 래칫 수용구멍의 후단 근방에 끼워 넣어져 래칫 부세용 스프링을 착좌시키는 스프링 걸림용 플러그를 구비한 래칫식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래칫 부세용 스프링의 부세력이, 엔진 시동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동시에 엔진 시동 후의 체인 장력 과다시에 주행 체인측으로부터 플런저를 후퇴시키는 반력으로 발생하는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의 분력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플런저의 랙 톱니에 대한 래칫의 래칫 톱니의 치합을 공구핀으로 해제하는 래칫 해제 기구가,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 설치되어 공구핀의 핀 선단부를 맞댐 결합시키는 공구핀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공구핀을 공구핀 결합부를 향해서 삽입하는 핀 삽입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공구핀 결합부가,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에서 래칫 톱니와 래칫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 형상 맞댐면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이, 상기 공구핀으로 래칫의 단차 형상 맞댐면을 들어올려어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공구핀 결합부가, 상기 래칫의 플런저측 선단 영역을 후단 영역측을 향하여 일부 절취된 테이퍼 형상 맞댐면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핀 삽입구멍이, 상기 공구핀으로 래칫의 테이퍼 형상 맞댐면을 압압하여 래칫의 부세 반대방향으로 래칫을 밀어 되돌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랙 톱니가,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면과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면에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래칫의 래칫 톱니가,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전진측으로 경사지는 스톱 대향면과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해서 플런저 후퇴측으로 경사지는 슬라이딩 대향면으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면의 경사각이, 상기 슬라이딩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측면의 랙 톱니에 대해서 래칫의 래칫 톱니를 톱니폭 전역에 걸쳐서 비틀리지 않고 맞물리게 하는 치합 정합 기구가, 상기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래칫의 외주면을 회전 멈춤시킨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 정합 기구가, 상기 래칫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래칫측 볼록조(convex strip)와 상기 래칫측 볼록조와 요철 결합된 상태로 래칫 수용구멍의 내주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우징측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이, 래칫 외경 치수보다 큰 래칫 전장 치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부세용 스프링이, 상기 래칫의 스프링 수용구멍내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삽입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부세용 스프링이, 상기 래칫의 스프링 수용구멍내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삽입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식 텐셔너.
KR1020120059221A 2012-06-01 2012-06-01 래칫식 텐셔너 KR10158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21A KR101585708B1 (ko) 2012-06-01 2012-06-01 래칫식 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21A KR101585708B1 (ko) 2012-06-01 2012-06-01 래칫식 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52A KR20130135552A (ko) 2013-12-11
KR101585708B1 true KR101585708B1 (ko) 2016-01-14

Family

ID=4998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221A KR101585708B1 (ko) 2012-06-01 2012-06-01 래칫식 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4768B (zh) * 2022-10-24 2023-09-01 长沙市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设计可调式绘图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747A (ja) * 2002-12-10 2004-07-08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ラック機構のロック・係止解除用治具及びロック・係止解除装置
JP2005510675A (ja) 2001-11-27 2005-04-21 ヨー ヴィンクルホッファー ウント ゼーネ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機械的なロックを備えたチェーン張力装置
US20070243961A1 (en) * 2006-02-03 2007-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tcheting tensioner with override
JP2010270809A (ja) * 2009-05-20 2010-12-02 Tsubakimoto Chain Co ラチェット式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0675A (ja) 2001-11-27 2005-04-21 ヨー ヴィンクルホッファー ウント ゼーネ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機械的なロックを備えたチェーン張力装置
JP2004190747A (ja) * 2002-12-10 2004-07-08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ラック機構のロック・係止解除用治具及びロック・係止解除装置
US20070243961A1 (en) * 2006-02-03 2007-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tcheting tensioner with override
JP2010270809A (ja) * 2009-05-20 2010-12-02 Tsubakimoto Chain Co ラチェット式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52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780B1 (ko) 래칫식 텐셔너
EP2016306B1 (en) Ratcheting tensioner with a sliding and pivoting pawl
KR101420897B1 (ko) 체인 텐셔너
US8734278B2 (en) Rachet-type tensioner
US6878082B2 (en) Hydraulic tensioner with ratchet mechanism
US8926460B2 (en) Ratchet-type tensioner
JP4938102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9980018770A (ko) 무단전동체의 텐셔너
JP2008057725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GB2423564A (en) Ratchet type tensioner having a plunger between the pawl biasing spring and the pawl
US8419575B2 (en) Ball-type tensioner
JP3415614B1 (ja) チェーン張力付与装置
KR101583897B1 (ko) 래칫식 텐셔너
KR101402393B1 (ko) 래칫식 텐셔너
US8821326B2 (en) Ratchet-type tensioner
KR101585708B1 (ko) 래칫식 텐셔너
JP3750813B2 (ja) チェーン張力付与装置
JP3717473B2 (ja) チェーン張力付与装置
KR101566067B1 (ko) 래칫식 텐셔너
JP5812615B2 (ja) ラチェット式テンショナ
GB2501294A (en) A tensioner ratchet seizure release mechanism
JP3750812B2 (ja) チェーン張力付与装置
JP2005114002A (ja) 液圧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