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33B1 -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33B1
KR101585633B1 KR1020150111214A KR20150111214A KR101585633B1 KR 101585633 B1 KR101585633 B1 KR 101585633B1 KR 1020150111214 A KR1020150111214 A KR 1020150111214A KR 20150111214 A KR20150111214 A KR 20150111214A KR 101585633 B1 KR101585633 B1 KR 10158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nductive layer
conductive
window materia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운
김윤택
정문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1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된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윈도우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높여 윈도우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 by induction heating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window)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에 의한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는 건축물이나 자동차에 설치되거나, 휴대폰, 태블릿PC(tablet personal computer), 스마트워치(smartwatch),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mobile)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평판TV 등과 같은 비모바일(non-mobile)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축물이나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를 들여다 보거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외부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윈도우는 그 설치 대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건축물에 설치되는 윈도우는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자동차의 앞 또는 뒤에 설치되는 윈도우는 전체적으로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최근 휴대폰의 전면에 설치되는 윈도우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휘어진 곡면의 형상을 갖거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굽어진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윈도우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윈도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과 장치를 강구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 소재를 가열하면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윈도우를 제조하거나 소정의 형상을 갖는 윈도우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윈도우 소재를 가열하면서 가압함으로써 윈도우를 제조할 경우에는 윈도우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높임으로써 윈도우의 제조효율을 높일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윈도우 소재를 가열하여 윈도우를 제조함에 있어서 윈도우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높임으로써 윈도우의 제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086267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010504호 공개특허공보
종래에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086267호 등록특허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윈도우글라스 성형장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금형체를 히터가 내장된 예열수단에 의해 예열하고 히터가 내장된 성형수단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금형체에 내장된 소재를 가열하여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윈도우글라스 성형장치에 있어서는, 소재가 히터에 의해 직접 가열되지 않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금형체에 의해 가열되므로,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금형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손실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윈도우글라스의 제조효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종래에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010504호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은 윈도우를 제조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하여금 각각 윈도우의 평탄면을 성형하는 평탄부와 윈도우의 만곡면을 성형하는 만곡부로 이루어진 성형면을 갖게 함으로써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윈도우용 소재를 넣고 가압하여 평탄면과 만곡면을 갖는 윈도우를 제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윈도우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있어서도, 적외선 방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에 의해 성형실 내부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내장된 유리 소재를 성형하게 되므로, 램프 유닛에서 발생한 열이 성형실 내부의 공간과 상하부금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당 부분 손실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윈도우의 제조효율도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윈도우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윈도우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된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가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된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도전층을 성형수단의 윈도우용 소재를 향하는 표면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가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가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윈도우용 소재에 포함된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발생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용이하게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윈도우용 소재에 포함된 도전층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도전층을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도전층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더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가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도전성 성형수단과, 성형수단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할 수 있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코일부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코일부는 유도전류가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성형수단; 성형수단에 포함된 도전층; 및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도전층을 성형수단의 윈도우용 소재를 향하는 표면 쪽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가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성형수단과,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가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은, 도전층이 포함된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성형수단과,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용이하게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의 도전층을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도전층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전류가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윈도우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윈도우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 내지 도 5d는 도 5a의 유도코일부의 배열에 관한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장치의 길이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장치의 가로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장치의 가로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장치의 가로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윈도우 제조장치에 있어서 도전층이 형성된 윈도우용 소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례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례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례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례 1)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방법으로서,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된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성형수단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100)은 먼저, 도 1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10)를 구비한다. 윈도우용 소재는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는 글라스(glas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윈도우용 소재는 글라스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투과성을 갖는 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용 소재는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사전에 예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는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윈도우용 소재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곡면부와 같은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의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할 수 있다. 다만, 윈도우용 소재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윈도우용 소재의 의미는 본 실시례에 관련된 윈도우용 소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 관련된 모든 윈도우용 소재에 적용된다.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것과 별개로 도전성 성형수단을 준비한다. 도전성 성형수단의 준비(S120)는, 도 1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고 난 후에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기 이전에 도전성 성형수단을 준비할 수도 있고, 윈도우용 소재의 준비 및 도전성 성형수단의 준비를 동시에 할 수도 있다.
성형수단은 윈도우용 소재를 윈도우로 성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예컨대, 성형수단은 곡면부와 같은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의 글라스 소재에 대하여 곡면부를 성형하는 몰드(mold)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수단은,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1 및 제2 성형부 각각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몰드, 윈도우용 소재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1 및 제2 성형부 각각의 제2 측면을 성형하는 제2 몰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용 소재는 제1 몰드와 제2 몰드의 사이에 배열된 후에 이를 양자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다만, 성형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용 소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여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성형수단은 도전성을 갖는다. 도전성을 갖기 위해 성형수단은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성형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을 갖는 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성형수단은 도전성 재질과 비도전성 재질이 혼합 또는 합성되어 도전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용 소재가 준비된 후에는 이를 도전성 성형수단 내에 배열한다(S130). 윈도우용 소재를 도전성 성형수단 내에 배열한 후에는 그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전류(induced current)를 발생시킨다(S140).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성형수단을 둘러싸도록 유도코일부를 배열하고 이 유도코일부에 교류전류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유도전류는 와전류(맴돌이전류)일 수 있다.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주울의 법칙(Joule's Law)에 따라 도전성 성형수단에 주울 열(Joule's Heat)이 발생하게 된다(S150). 주울의 법칙에 의하면, 단위시간당 주울 열(H/t)은 도전성 성형수단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세기(I)의 제곱과 도전성 성형수단의 저항(R)에 비례하게 된다. 도전성 성형수단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세기(I)는 유도코일부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도전성 성형수단에 발생하는 주울 열에 의한 온도는 유도코일부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 도전성 성형수단의 저항 등에 따라 변하게 된다.
도전성 성형수단에 주울 열이 발생하게 되면, 도전성 성형수단 내에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S160). 이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성형하는 성형수단에서 발생한 주울 열을 이용하여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성형수단 외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성형수단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열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도전성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성형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성형수단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유도코일부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는 유도코일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유도되는데,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도전성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코일부가 더 근접하도록 배열하거나 더 고밀도로 배열하게 되면, 도전성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상대적으로 집중되도록 유도되어 고전류밀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도전성 성형수단에서 발생된 열로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윈도우를 완성하게 된다(S170).
(실시례 2)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된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200)은,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고(S210) 도전층을 구비한 성형수단을 준비한(S220) 다음, 도전층을 구비한 성형수단 내에 윈도우용 소재를 배열하고(S230),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S240). 이에 의해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이 발생하게 되며(S250), 성형수단의 도전층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면서 가압함으로써(S260), 소정의 형상을 갖는 윈도우를 완성할 수 있다(S270).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200)은, 도전층을 구비한 성형수단을 준비한 다음, 이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전류에 기인해 도전층에 발생한 열로 성형수단 내의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점에서, 실시례 1의 윈도우 제조방법(100)과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밖에 점에서 실시례 1의 윈도우 제조방법(100)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200)은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도전층을 성형수단 내의 특정한 부분에 배열함으로써 그 부분에서 발열효과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전층을 성형수단의 윈도우용 소재를 향하는 표면에 배열함으로써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층이 구비된 성형수단은 다양하게 준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성형수단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층이 구비된 성형수단을 준비할 수 있다. 또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을 성형수단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부착하거나,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로 이루어진 성형수단의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 사이에 도전층을 배열함으로써 도전층이 구비된 성형수단을 준비할 수 있다.
성형수단에 구비된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성형수단의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성형수단의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성형수단의 도전층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유도코일부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는 유도코일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유도되는데,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성형수단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성형수단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코일부가 더 근접하도록 배열하거나 더 고밀도로 배열하게 되면, 성형수단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상대적으로 집중되도록 유도되어 고전류밀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성형수단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례 3)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300)은, 도 3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고(S310) 성형수단을 준비한(S320) 다음, 성형수단 내에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를 배열하고(S330),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S340). 이에 의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이 발생하게 되며(S350),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면서 성형수단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압함으로써(S360), 소정의 형상을 갖는 윈도우를 완성할 수 있다(S370).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300)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한 다음, 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 자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전류에 기인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발생한 열로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점에서, 실시례 1의 윈도우 제조방법(100)과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밖에 점에서 실시례 1의 윈도우 제조방법(100)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300)은 윈도우용 소재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는 다양하게 준비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를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과 같은 광투과성 도전체로 형성하거나, 글라스 재질의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ITO층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할 수 있다.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를 둘러싸도록 배열된 유도코일부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는 유도코일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유도되는데,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코일부가 더 근접하도록 배열하거나 더 고밀도로 배열하게 되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상대적으로 집중되도록 유도되어 고전류밀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례 4)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용 소재에 포함된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에 기인하여 발생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400)은, 도 4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층을 포함한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고(S410) 성형수단을 준비한(S420) 다음, 성형수단 내에 도전층을 포함한 윈도우용 소재를 배열하고(S430),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S440).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이 발생하게 되며(S450),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면서 성형수단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압함으로써(S460), 소정의 형상을 갖는 윈도우를 완성할 수 있다(S470).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400)은, 도전층을 포함한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한 다음, 이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전류에 기인해 도전층에 발생한 열로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점에서, 실시례 1의 윈도우 제조방법(100)과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밖에 점에서 실시례 1의 윈도우 제조방법(100)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방법(400)은 윈도우용 소재에 용이하게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도전층을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에 배열함으로써 도전층을 윈도우용 소재에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층을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배열함으로써 윈도우용 소재에 도전층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전층을 포함하는 윈도우용 소재는 다양하게 준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의 양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층을 포함하는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할 수 있다. 또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을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부착하거나,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로 이루어진 윈도우용 소재의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 사이에 도전층을 배열함으로써 도전층을 포함하는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할 수 있다.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층이나 도전필름은 추후 제거될 수 있다.
윈도우용 소재에 포함된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유도코일부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 유도되는 유도전류는 유도코일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유도되는데,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코일부가 더 근접하도록 배열하거나 더 고밀도로 배열하게 되면,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상대적으로 집중되도록 유도되어 고전류밀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의 특정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례 5)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장치로서,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도전성 성형수단과, 성형수단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500)는 먼저, 도 5a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도전성 성형수단(510)을 구비한다.
윈도우용 소재(550)는 도 6 및 도 7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성형수단(510) 내부에 배열되는 것으로서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550)는 글라스(glas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윈도우용 소재(550)는 글라스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투과성을 갖는 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용 소재(550)는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사전에 예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용 소재(550)는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윈도우용 소재(5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곡면부와 같은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성형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의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할 수 있다. 다만, 윈도우용 소재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윈도우용 소재의 의미는 본 실시례에 관련된 윈도우용 소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 관련된 모든 윈도우용 소재에 적용된다.
성형수단(510)은 윈도우용 소재(550)를 윈도우로 성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예컨대, 성형수단(510)은 곡면부와 같은 성형부를 갖는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의 글라스 소재에 대하여 곡면부를 성형하는 몰드(mold)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형수단(510)은, 윈도우용 소재(550)의 제1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1 및 제2 성형부 각각의 제1 측면을 성형하는 제1 몰드, 윈도우용 소재(550)의 제2 측면을 가압하여 윈도우의 제1 및 제2 성형부 각각의 제2 측면을 성형하는 제2 몰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용 소재(550)는 제1 몰드와 제2 몰드의 사이에 배열된 후에 이를 양자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다만, 성형수단(5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용 소재(550)를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여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성형수단(510)은 도전성을 갖는다. 도전성을 갖기 위해 성형수단(510)은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성형수단(5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을 갖는 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성형수단(510)은 도전성 재질과 비도전성 재질이 혼합 또는 합성되어 도전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500)는 또한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520)를 구비한다.
유도코일부(520)는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유도코일부(520)는 도 6 및 도 7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성 성형수단(510)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복수의 권선(捲線)(winding wir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권선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도체를 절연테이프나 에나멜(enamel)과 같은 절연재로 피복한 것일 수 있다.
권선의 단면은 권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권선은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접촉되지 않도록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권선이 성형수단(5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는 성형수단(510)에 유도되는 전류의 크기와 분포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도전류의 크기와 분포에 맞도록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권선이 성형수단(51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거리는, 성형수단(5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균일하게 이루어지거나, 윈도우용 소재(550)의 성형부위에 대응하는 성형수단(510)의 부분에 국부적으로 집중적인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집중적인 발열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집중적인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부분은 짧게 그렇지 않은 부분은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권선의 수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7과 같이 복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일 수도 있다.
복수의 권선 사이의 간격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권선 사이의 간격은, 성형수단(5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도록 균일하게 이루어지거나, 윈도우용 소재(550)의 성형부위에 대응하는 성형수단(510)의 부분에 국부적으로 집중적인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집중적인 발열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집중적인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부분은 좁게 그렇지 않은 부분은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코일부(520)의 배열에 관한 구조는, 도 5a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도코일부(520)가 성형수단(510)을 둘러싸도록 배열됨으로써, 유도전류가 유도되는 성형수단(510)의 수평방향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유도코일부(520)의 배열 구조는 주로 강자성체인 성형수단(510)에 적합하다. 그러나 유도코일부(520)의 배열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로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b 내지 도 5d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도코일부(520)는 성형수단(510)의 한쪽에, 예컨대,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되거나 또는 성형수단(510)의 양쪽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코일부(520)의 배열 구조는 성형수단(510)의 법선방향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주로 비자성체인 성형수단(510)에 적합하다.
권선의 양 단부(521)(522)는 유도코일부(520)에 교류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에 연결된다. 유도코일부(520)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유도코일부(520)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는, 성형수단(510)에 유도되는 전류의 세기를 크게 하여 그에 따른 발열량을 단시간에 크게 하기 위해 고주파수로 하거나, 성형수단에 유도되는 전류의 세기를 작게 하여 그에 따른 발열량을 작게 하기 위해 저주파수로 할 수 있다.
유도코일부(520)의 외측부에는, 도 5a, 도 6 및 도 7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폐부(540)가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도코일부(520)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경우 발생하는 자기장이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540)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와 같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폐부(540)는, 도 7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도코일부(520)의 외측부를 따라 외측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윈도우 제조장치(600)에서와 같이, 차폐부가 유도코일부(620)의 외측부 중에서 상, 하측부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차폐부(641) 및 제2 차폐부(642), 그리고 외측부 중에서 좌, 우측부에 각각 대응되는 제3 차폐부(643) 및 제4 차폐부(644)로 이루어지고 유도코일부(620)의 외측부 중에서 모서리와 같이 나머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차폐부가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윈도우용 소재(650)를 내부에 배열한 성형수단(610)은 실질적으로 변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차폐부가 부분적으로만 배열될 경우에는 자기장 차폐를 대부분 달성하면서도 차폐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성형수단(610)은 지지부(6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성형수단(510)의 하측부와 이에 대응되는 유도코일부(520) 사이에는, 도 5a, 도 6 및 도 7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성형수단(510)을 지지하면서 유도코일부(520)와 접촉하지 않고 떨어지도록 하는 지지부(53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는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유도코일부(520)에 연결된 전원을 통해 유도코일부(520)에 교류전류가 인가되면, 유도코일부(520)의 교류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변화에 의해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전류가 유도된다. 이 유도전류는 와전류(맴돌이전류)일 수 있다.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주울의 법칙(Joule's Law)에 따라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주울 열(Joule's Heat)이 발생하게 된다(S150). 주울의 법칙에 의하면, 단위시간당 주울 열(H/t)은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세기(I)의 제곱과 도전성 성형수단(510)의 저항(R)에 비례하게 된다.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세기(I)는 유도코일부(520)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발생하는 주울 열에 의한 온도는 유도코일부(520)에 인가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 도전성 성형수단(510)의 저항 등에 따라 변하게 된다.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주울 열이 발생하게 되면, 도전성 성형수단(510) 내에 배열된 윈도우용 소재(550)를 가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550)를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윈도우용 소재(550)를 성형하는 성형수단(510)에서 발생한 주울 열을 이용하여 윈도우용 소재(550)를 가열하게 되므로, 성형수단(510) 외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성형수단(510)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열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윈도우용 소재(550)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도코일부(520)는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도전성 성형수단(510)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550)에 따라 성형수단(510)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550)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유도코일부(520)가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유도코일부(520)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도전성 성형수단(510)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유도코일부가 도전성 성형수단에 유도하는 유도전류는 유도코일부에 근접한 성형수단의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유도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유도코일부는 도전성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윈도우 제조장치(700)는, 윈도우용 소재(750)의 양 단부의 곡면 형태로 성형되는 제1 성형부(751)와 제2 성형부(752)에 각각 대응되는 도전성 성형수단(710)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코일부(720)가 더 고밀도로 배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도코일부(720)는 차폐부(7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용 소재(750)의 제1 성형부(751)와 제2 성형부(752)에 각각 대응되는 도전성 성형수단(710)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상대적으로 집중적으로 유도되어 고전류밀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성형수단(710)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710)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750)의 제1 및 제2 성형부(751)(752)를 각각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코일부가 도전성 성형수단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의 유도전류를 형성하도록 조절하게 되면,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성형수단(710)은 지지부(7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례 6)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성형수단; 성형수단에 포함된 도전층; 및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800)는,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윈도우용 소재(850)가 배열되는 성형수단(810)과, 성형수단(810)에 포함된 도전층(861)(862) 그리고 도전층(861)(86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820)를 구비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800)는, 성형수단(810)에 도전층(861)(862)이 포함되어 있고, 유도코일부(820)에 의해 도전층(861)(86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이 유도전류에 기인해 도전층(861)(862)에 열을 발생시키는 점에서, 실시례 5의 윈도우 제조장치(500)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밖에 점에서 실시례 5의 윈도우 제조장치(500)와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800)는 도전층(861)(86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850)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850)에 대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층은 성형수단에 포함됨으로써 그 부분에서 발열효과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전층(861)(862)은,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성형수단(810)의 윈도우용 소재(850)를 향하는 제1 표면에 배열된 제1 도전층(861)과 윈도우용 소재(850)를 향하는 제1 표면에 대응되는 제2 표면에 배열된 제2 도전층(862)을 구비함으로써 제1 도전층(861)과 제2 도전층(86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850)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850)에 대한 가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층은,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제1 도전층(861)과 제2 도전층(862)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도전층(861)과 제2 도전층(862)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층은 성형수단에 포함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윈도우 제조장치(800)에 있어서, 성형수단(810)의 외측면 또는 윈도우용 소재(850)를 향하는 내측면에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층(861)(862)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을 성형수단(81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부착하거나,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로 이루어진 성형수단(810)의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 사이에 도전층을 배열함으로써 도전층을 성형수단에 포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유도코일부(820)는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850)에 따라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850)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유도코일부(820)가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에 유도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유도코일부(820)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에서에 유도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유도코일부가 성형수단의 도전층에 유도하는 유도전류는 유도코일부에 근접한 성형수단의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유도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유도코일부는 성형수단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윈도우 제조장치(800)는, 윈도우용 소재(850)의 양 단부의 곡면 형태로 성형되는 제1 성형부(851)와 제2 성형부(852)에 각각 대응되는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코일부(820)가 더 고밀도로 배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도코일부(820)는 차폐부(8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용 소재(850)의 제1 성형부(851)와 제2 성형부(852)에 각각 대응되는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유도전류가 상대적으로 집중적으로 유도되어 고전류밀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성형수단(810)의 도전층(861)(862)의 특정한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용 소재(850)의 제1 및 제2 성형부(851)(852)를 각각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코일부가 도성형수단의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의 유도전류를 형성하도록 조절하게 되면,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성형수단(810)은 지지부(8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례 7)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성형수단과,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900)는, 도 11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가 배열되는 성형수단(910)과,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920)를 구비한다. 그밖에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900)는, 도 11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성형수단(910)을 지지하는 지지부(930)와 유도코일부(920)의 외측부를 커버하는 차폐부(9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900)는, 성형수단(910) 내부에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를 배열한 다음, 유도코일부(920)에 의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전류에 기인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 자체에 발생한 열로 윈도우용 소재(950)를 가열하는 점에서, 실시례 5의 윈도우 제조장치(500)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밖에 점에서 실시례 5의 윈도우 제조장치(500)와 유사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900)는 윈도우용 소재(950)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950)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950)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는 도전성을 갖는 윈도우용 소재에 해당하는 한 다양하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과 같은 광투과성 도전물질로 윈도우용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글라스 재질의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ITO층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에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950)에 따라 윈도우용 소재(950)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를 둘러싸도록 배열된 유도코일부(920)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유도전류는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도전류는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 중에서 권선수가 상대적으로 더 고밀도로 배열된 유도코일부(920)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고전류밀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의 양 단부의 곡면 형태로 성형되는 제1 성형부(951)와 제2 성형부(952)에 각각 대응되는 유도코일부(920)의 부분에서 권선수가 상대적으로 더 고밀도로 배열되어 있다. 유도코일부(920)는 차폐부(9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의 양 단부의 곡면 형태로 성형되는 제1 성형부(951)와 제2 성형부(952)에 해당하는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켜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전류가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게 되면,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950)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성형수단(910)은 지지부(9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례 8)
본 실시례는 윈도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전층이 포함된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성형수단과,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는, 도 1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성형수단에 배열되는 윈도우용 소재(1050)에 도전층(1061)(1062)을 포함시키고, 이 도전층(1061)(106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점에서, 실시례 5의 윈도우 제조장치(500)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밖에 점에서 실시례 5의 윈도우 제조장치(500)와 유사하다. 본 실시례의 윈도우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윈도우용 소재(1050)에 도전층(1061)(1062)을 포함하므로 용이하게 도전성 윈도우용 소재(1050)를 형성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윈도우용 소재(1050)의 도전층(1061)(106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1050)를 가열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1050)에 대한 가열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층은 윈도우용 소재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도 1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층은, 윈도우용 소재(1050)의 제1 표면에 배열된 제1 도전층(1061)과, 윈도우용 소재(1050)의 제1 표면에 대응되는 제2 표면에 배열된 제2 도전층(10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전층은, 도 1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제1 도전층(1061)과 제2 도전층(1062)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도전층(1061)과 제2 도전층(1062)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층은 윈도우용 소재에 포함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층은, 윈도우용 소재(1050)의 제1 표면이나 제2 표면에 또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구리와 같은 도전성 코팅층 또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에 따라 윈도우용 소재의 도전층에서 발생하는 열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윈도우용 소재에 대해서도 간편하게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유도전류의 세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윈도우용 소재(1050)의 도전층(1051)(1052)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유도코일부(미도시)에 교류전류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윈도우용 소재(1050)의 도전층(1051)(1052)에 유도되는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유도전류는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도전류는 윈도우용 소재(1050)의 도전층(1051)(1052) 중에서 권선수가 상대적으로 더 고밀도로 배열된 유도코일부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고전류밀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윈도우용 소재(1050)의 양 단부의 곡면 형태로 성형되는 제1 성형부(1051)와 제2 성형부(1052)에 각각 대응되는 유도코일부의 부분에서 권선수가 상대적으로 더 고밀도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윈도우용 소재(1050)의 양 단부의 곡면 형태로 성형되는 제1 성형부(1051)와 제2 성형부(1052)에 해당하는 도전층(1061)(1062)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켜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전류가 도전층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서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도록 하게 되면, 윈도우용 소재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집중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정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 가열에 의해 이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도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례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실시례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윈도우 제조방법
500, 600, 700, 800, 900: 윈도우 제조장치
510, 610, 710, 810, 910: 성형수단
520, 620, 720, 820, 920: 유도코일부
530, 630, 730, 830, 930: 지지부
540, 641~644, 740, 840, 940: 차폐부
550, 650, 750, 850, 950, 1050: 윈도우용 소재
751, 851, 951, 1051: 제1 성형부
752, 852, 952, 1052: 제2 성형부
861, 1061: 제1 도전층
862, 1062: 제2 도전층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윈도우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도전층이 마련된 윈도우용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성형수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성형수단 내에 상기 윈도우용 소재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용 소재의 상기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윈도우용 소재의 상기 도전층에 발생한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용 소재의 가열 및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상기 윈도우용 소재를 가압하여 윈도우를 완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마련된 상기 도전층은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용 소재는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제1 외측부와 상기 제2 외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 발생하는 상기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 발생하는 상기 유도전류는 상기 도전층의 특정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윈도우용 소재를 가열하는 윈도우 제조장치에 있어서,
    도전층이 포함된 윈도우용 소재;
    상기 윈도우용 소재가 배열되는 성형수단; 및
    상기 도전층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유도전류에 기인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도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용 소재의 표면에 마련된 상기 도전층은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용 소재는 제1 외측부와 제2 외측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제1 외측부와 상기 제2 외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 발생하는 상기 유도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 발생하는 상기 유도전류는 상기 도전층의 특정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고전류밀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장치.
KR1020150111214A 2015-08-06 2015-08-06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58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214A KR101585633B1 (ko) 2015-08-06 2015-08-06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214A KR101585633B1 (ko) 2015-08-06 2015-08-06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633B1 true KR101585633B1 (ko) 2016-01-14

Family

ID=5517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214A KR101585633B1 (ko) 2015-08-06 2015-08-06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6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16B1 (ko) * 2017-09-15 2018-09-28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902544B1 (ko) * 2017-06-19 2018-09-28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931533B1 (ko) * 2017-10-27 2018-12-21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971276B1 (ko) * 2018-07-18 2019-04-22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USD980833S1 (en) 2020-11-12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USD981385S1 (en) 2020-11-12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596A (ja) * 2002-12-19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成形装置および誘導加熱成形方法
JP2013086327A (ja) * 2011-10-17 2013-05-13 Honda Motor Co Ltd 成形面加熱装置及び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596A (ja) * 2002-12-19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成形装置および誘導加熱成形方法
JP2013086327A (ja) * 2011-10-17 2013-05-13 Honda Motor Co Ltd 成形面加熱装置及び成形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544B1 (ko) * 2017-06-19 2018-09-28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902416B1 (ko) * 2017-09-15 2018-09-28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931533B1 (ko) * 2017-10-27 2018-12-21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971276B1 (ko) * 2018-07-18 2019-04-22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USD980833S1 (en) 2020-11-12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USD981385S1 (en) 2020-11-12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33B1 (ko) 유도가열에 의한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10029937B2 (en) Printer head for 3D printing
TWI415729B (zh) Mold with the uniform heating and cooling structure
Nian et al. Enhancement of induction heating efficiency on injection mold surface using a novel magnetic shielding method
US20080230957A1 (en) Device for Transforming Materials Using Induction Heating
JP5465296B2 (ja) 加熱装置付き金型
RU201510123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огрева пресс-формы,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US116971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soldering contact elements with induction heat
CN106688308B (zh) 金属带板的感应加热装置
CN106903311A (zh) 一种电磁感应激光选区熔化粉床在线加热系统及方法
CN103997801A (zh) 赋形加热板在航天器天线热真空试验中的应用
JP2011099567A (ja) 赤外線加熱装置、赤外線照射装置、赤外線照射方向調整装置
ATE490672T1 (de) Induktionsheiz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nduktionsheizeinrichtung
CN104028870A (zh) 用于复合介质基板上的天线子的高频感应钎焊方法
TW201304610A (zh) 高週波電磁感應加熱裝置及使用其加熱模具表面的方法
CN106793228A (zh) 一种线圈盘及其制造方法、电磁加热设备
CN105722261A (zh) 一种icp刻蚀器件中的加热组件及加热组件设置方法
CN202587443U (zh) 一种新型电磁加热装置
KR101406547B1 (ko) 용접장치 및 용접전극
Bui et al. Development of barrel heating system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via induction heating
CN202396016U (zh) 高频加热感应器
CN203999735U (zh) 一种温度可控的金属带材感应加热装置
KR20170140497A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금형장치
CN206589269U (zh) 基于有限元整体式热流道精密模具
CN101837495B (zh) 屏蔽罩密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