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633B1 - 배수용 집수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용 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633B1
KR101584633B1 KR1020150066117A KR20150066117A KR101584633B1 KR 101584633 B1 KR101584633 B1 KR 101584633B1 KR 1020150066117 A KR1020150066117 A KR 1020150066117A KR 20150066117 A KR20150066117 A KR 20150066117A KR 101584633 B1 KR101584633 B1 KR 10158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ter collecting
grating
rim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윤영민
정건혁
Original Assignee
알루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루텍 (주) filed Critical 알루텍 (주)
Priority to KR102015006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에 의한 우수나 노면의 청소를 비롯하여 교량 또는 노면에 발생되는 우수 및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용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각종 이물질을 쉽게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집수부재(110)와; 상기 집수부재(1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레이팅부재(120)와;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단부에 개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여과부재(130)와; 상기 여과부재(130)가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록킹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수단(150)은,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에 장공 구조의 형성된 관통공(133a)을 통과하여 그레이팅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공(122)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22a)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이구(151)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구(15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공(122)을 관통하는 걸림부(151a)와, 이 걸림부(151a)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통부(151b)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151a)의 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151c)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151b)의 하부에는 링형의 고리부(151d)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51b)의 소정위치에는 스냅링(152)이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 상면에 위치하도록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용 집수장치{Water Collecting Apparatus for Drain}
본 발명은 강우에 의한 우수나 노면의 청소를 비롯하여 교량 또는 노면에 발생되는 우수 및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용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각종 이물질을 쉽게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용 집수장치는 도로나 교량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도로나 교량의 노면을 흐르는 물은 물론 아스팔트층으로 스며든 물을 배수시켜주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종래 교량 등에 많이 설치되는 배수용 집수장치를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10)와, 상기 집수부(10)의 상단부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레이팅부(20)가 마련된다.
하지만, 종래의 배수용 집수장치에 있어서, 그레이팅부(20)를 통하여 들어온 나무칩, 쓰레기, 흙, 모래 등의 각종 이물질이 집수부(10) 내에 쌓이게 되고 이렇게 쌓인 이물질에 의해 집수되는 물의 소통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그레이팅부(20)가 집수부(10) 상에 일체 형성되는 경우에는 쌓인 이물질을 청소 및 제거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부(20)가 집수부(10) 상에 안착되도록 분리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레이팅부(20)의 하부에 필터역할을 하는 메쉬망이 갖추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메쉬망은 그레이팅부(20)와 별도로 마련되어 집수부(10)의 내부에 안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고, 그에 따라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그레이팅부(20)를 집수부(10)로부터 분리하고, 그 아래에 비치된 메쉬망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메쉬망 위에 쌓인 각종 이물질이 흘러내려는 경우도 발생하여 효과적으로 수거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면이나 교량의 배수로에 설치되므로, 통행하는 많은 차량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영향으로 집수부(10)안에 비치된 메쉬망의 설치위치가 달라져서 그레이팅부(20)를 통과하는 각종 이물질이 그대로 메쉬망을 통과하여 배수관안으로 투입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446850호(공고일 : 2009.12.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각종 이물질을 쉽게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진동에 의해 배치상태가 흐트려져서 각종 이물질이 배수관안으로 직접 투입되지 않도록 한 배수용 집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집수부재와; 상기 집수부재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레이팅부재와; 상기 그레이팅부재의 하단부에 개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부재가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은, 여과부재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그레이팅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이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구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공을 관통하는 걸림부와, 이 걸림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는 링형의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소정위치에는 둘레면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에 스냅링이 여과부재의 테두리부 상면에 위치하도록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리부와 스냅링 위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여과부재의 테두리부 하부에 탄지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집수부재의 내부에는 여과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보강대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대의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고리부와 여과부재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연결되어 걸이구가 여과부재의 테두리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집수부재안에 그레이팅부재와 여과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각종 이물질이 제거시 그레이팅부재만을 집수부재안으로부터 들어올리면 여과부재도 동시에 들어올려지고, 록킹수단을 해제하여 간단히 여과부재를 개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되어 이물질 제거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부재의 하부에 보강대를 마련하여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그레이팅부재의 중량 및 강수량이 많은 경우, 유속이 빠름에 따라 여과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아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집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수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록킹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수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수장치의 종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수장치를 들어올려서 걸림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수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도 2a에 도시된 록킹수단의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수장치(100)는, 집수부재(110)와, 상기 집수부재(1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레이팅부재(120)와,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개방가능하게 구비되는 여과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부재(110)는, 그 내부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삽입공(111)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공(111)은 하부로 갈 수록 곡선형으로 경사진 곡선 경사면(111a)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형이 아닌 평면형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집수부재(110)의 하부에는 연결관(112)이 형성되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또는 우수)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200)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13)로 연결,고정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재(110)의 삽입공(111)안에는 보강대(140)가 안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부재(120)는,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보다 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배수공(121)이 복수,형성되고,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개방가능하게 구비되는 여과부재(130)는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경첩(131)을 통해 개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여과부재(130)와의 사이 내부에는 각종 이물질이 쌓일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130)는, 그레이팅부재(120)의 배수공(121)을 통과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여과공(132)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33)의 일측에는 록킹수단(150)이 갖추어진다.
상기 록킹수단(150)은 도 2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에 형성된 관통공(133a)을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공(122)에 끼워져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이구(151)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구(15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151a)와, 이 걸림부(151a)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통부(151b)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133a)은 장공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걸이구(151)의 걸림부(151a)가 용이하게 관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151a)의 단부(자유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151c)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122)의 일측에는 걸림턱(122a)이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편(151c)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151b)의 하부에는 링형의 고리부(151d)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151b)의 소정위치에는 둘레면을 따라 끼움홈(151e)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151e)에 스냅링(152)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고리부(151d)와 스냅링(152) 위치 사이에는 탄성부재(153)가 삽입되어 탄지된다.
상기 탄성부재(153)는 코일 스프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걸이구(151)의 걸림부(151a)를 통해 삽입하여 몸통부(151b)에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 소정위치에는 고정공(133b)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간격을 두고 2개의 고정공(133b)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공(134)에는 와이어(154)의 한쪽 단부를 묶어서 연결하고, 다른쪽 단부는 걸이구(151)의 고리부(151d)에 묶어서 연결하여 걸이구(151)가 항상 여과부재(130)에 와이어(154)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하여 분실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스냅링(152)이 결합되어 걸이구(151)의 조립이 완료되면, 걸이구(151)는 여과부재(130)의 관통공(133a)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분실될 염려가 거의 없지만, 와이어(154)를 연결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분실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걸이구(151)는 탄성부재(153)가 몸통부(15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에 형성된 관통공(133a)을 관통하여 탄성부재(153)가 관통공(133a)을 통과하지 않고, 테두리부(133)의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탄지되도록 한 다음, 테두리부(133)의 상부에 노출된 몸통부(151b)의 끼움홈(151e)에 스냅링(152)을 끼워서 조립하고, 그에 따라 스냅링(152)에 의해 관통공(133a)에 걸림이 이루어져서 걸이구(151)의 조립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또한, 걸이구(151)는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에 형성된 관통공(133a)에 삽입되어서 탄성부재(153)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있으면서, 축방향 회전(수직하게 배치된 몸통부(151b)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강대(14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삽입공(111)의 형태에 맞도록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면서 통과공(141)이 형성되는데, 일부 구간에는 절개부(142)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130)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진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부재(120)와 여과부재(130)를 집수부재(110)의 삽입공(111)안에 삽입하면, 집수부재(110)의 삽입공(111)은 안으로 들어갈 수록 개구면적이 좁아지도록 곡선 경사면(111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삽입공(111)의 하부 수직면으로부터 곡선 경사면(111a)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삽입공(111)의 폭이 변화되므로, 이 부분에 여과부재(130)가 안치되고, 여과부재(130)의 상부에 그레이팅부재(120)가 안치되면, 여과부재(130)의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그레이팅부재(120)의 중량 또는 많은 비에 의한 빠른 유속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여과부재(130)보다 상대적으로 좀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대(140)를 집수부재(110)의 삽입공(111)의 하단에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여과부재(1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서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 또는 교량의 배수로에 집수부재(110)의 삽입공(111)안에 보강대(150)를 안치하고, 그레이팅부재(120)를 삽입한 집수장치(100)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비가 오면 그레이팅부재(120)의 배수공(121)을 통해 우수가 배수되어서 여과부재(130)를 통과하여 연결관(112)을 지나서 배수관(200)을 통해 배수된다.
또한, 그레이팅부재(120)의 배수공(121)보다 큰 이물질은 그레이팅부재(12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고, 배수공(121)보다 작은 이물질은 배수공(121)을 통과하지만,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구비된 여과부재(130)에 의해 걸러진다.
이렇게 그레이팅부재(120)의 배수공(121)을 통과한 각종 이물질은 여과부재(130)의 상부 공간에 쌓이게 되고, 제거할 수준이 되면, 그레이팅부재(120)를 집수부재(110)로부터 들어올리면, 여과부재(130)도 동시에 들어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그레이팅부재(120)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형성된 록킹수단(150)인 걸이구(151)를 해체시켜서 여과부재(130)를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서 개방되도록 하여 그 안에 있는 각종 이물질을 쏟아내어 제거한다.
다시 말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151)를 상부방향(그레이팅부재(120)의 상부방향)으로 약간 밀어올리면, 탄성부재(153)가 압축되면서 걸이구(151)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걸림공(122)안에서 걸려있던 걸이구(151)의 걸림부(151a) 단부의 걸림편(151c)은 상승하여 걸림공(122) 및 걸림턱(122a)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축방향 회전(제자리 회전)시켜서 걸림편(151c)이 걸림공(12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한 다음, 상승시켰던 걸이구(151)를 놓으면, 압축된 탄성부재(513)의 반발력에 의해 걸이구(151)는 제자리 위치로 복귀하고, 그러면, 여과부재(130)는 경첩(131)을 통해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첩(1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이 이루어진다.
여과부재(130)의 안쪽에 쌓아져 있던 각종 이물질을 모두 제거한 다음, 다시 집수부재(110)안에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방한 여과부재(130)를 상기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단부에 밀착되게 한 다음, 걸이구(151)를 약간 상승시킨 다음 다시 그레이팅부재(120)의 걸림공(122) 위치로 제자리 회전시키면, 걸림부(151a)의 걸림편(151c)이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걸림공(122)에 위치하면서 진입되고, 이때 상승하였던 걸이구(151)를 놓으면 탄성부재(153)의 반발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면서 걸림편(151c)이 걸림공(122)에 걸려서 록킹이 이루어지고, 그러면 여과부재(130)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그레이팅부재(120)를 다시 집수부재(110)의 삽입공(111)안에 삽입하면 된다.
또한, 상기 보강대(140)는 여과부재(130)의 하부에 비치되어서 지지하고 있는데, 보강대(140)의 일측에는 절개부(142)가 형성되어 있어, 여과부재(130)의 일측에 돌출된 걸이구(151)의 하부가 간섭되지 않고 위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걸이구(151)의 하부 즉, 탄성부재(153)가 삽입,탄지된 몸통부(151b)의 일부와 링형 고리부(151d)는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부재(130)가 보강대(140)의 상면에 안치되면, 걸이구(151)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제대로 안치될 수 없지만, 상기 보강대(140)의 절개부(142)로 인해 걸이구(151)의 돌출된 부분이 절개부(142)를 통과하여 그 하부의 공간에 배치되어서 여과부재(130)가 수평상태로 보강대(140)에 안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장마철에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다량의 우수가 배수되기 때문에, 여과부재(130)를 통과하여 배수관(200)으로 배수되는 우수의 유속이 상당히 빨라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여과부재(130)의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쉽게 변형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보강대(140)가 여과부재(130)의 하부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우수의 유속이 빠르더라도 여과부재(130)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배수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종 이물질을 걸르는 여과부재(130)가 그레이팅부재(1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이물질 제거작업시 그레이팅부재(120)만으로 들어올려서 소정 장소로 이동하여 록킹수단(150)을 간단히 해체하여 여과부재(130)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물질 제거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레이팅부재(120)와 연결된 여과부재(130)의 하부에는 보강대(140)가 마련되어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어, 그레이팅부재(120)의 중량에 의한 여과부재(1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차량 통행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여과부재(130)의 정렬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집수부재(110)의 삽입공(111) 내부에서 확실하게 비치되어서 여과부재(130)의 위치 변경에 따라 각종 이물질이 배수관(200)으로 직접 통과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 집수장치
110 : 집수부재
111 : 삽입공
111a : 곡선 경사면
112 : 연결관
120 : 그레이팅부재
121 : 배수공
122 : 걸림공
122a : 걸림턱
130 : 여과부재
131 : 경첩
132 : 여과공
133 : 테두리부
133a : 관통공
133b : 고정공
140 : 보강대
141 : 통과공
142 : 절개부
150 : 록킹수단
151 : 걸이구
151a : 걸림부
151b : 몸통부
151c : 걸림편
151d : 고리부
151e : 끼움홈
152 : 스냅링
153 : 탄성부재
154 : 와이어
200 : 배수관

Claims (9)

  1.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집수부재(110)와;
    상기 집수부재(1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그레이팅부재(120)와;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단부에 개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여과부재(130)와;
    상기 여과부재(130)가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록킹수단(150);
    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수단(150)은,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에 장공 구조의 형성된 관통공(133a)을 통과하여 그레이팅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공(122)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22a)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이구(151)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구(15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공(122)을 관통하는 걸림부(151a)와, 이 걸림부(151a)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통부(151b)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151a)의 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151c)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151b)의 하부에는 링형의 고리부(151d)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51b)의 소정위치에는 스냅링(152)이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 상면에 위치하도록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집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51d)와 스냅링(152) 위치 사이에는 탄성부재(153)가 삽입되어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 하부에 탄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집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재(110)의 내부에는 여과부재(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보강대(1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집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140)의 일측에는 절개부(1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집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51d)와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에 형성된 고정공(133b)에 연결되어 걸이구(151)가 여과부재(130)의 테두리부(13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15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집수장치.
KR1020150066117A 2015-05-12 2015-05-12 배수용 집수장치 KR10158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117A KR101584633B1 (ko) 2015-05-12 2015-05-12 배수용 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117A KR101584633B1 (ko) 2015-05-12 2015-05-12 배수용 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633B1 true KR101584633B1 (ko) 2016-01-12

Family

ID=5517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117A KR101584633B1 (ko) 2015-05-12 2015-05-12 배수용 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6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2448A (zh) * 2016-11-08 2017-04-05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园林杂物清除装置
KR101944980B1 (ko) * 2018-05-10 2019-02-01 다산기업 주식회사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1335158A (zh) * 2020-03-26 2020-06-26 华中科技大学 一种浮式桥面径流收集装置
KR102220283B1 (ko) * 2020-07-31 2021-02-26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그레이팅 자력식 잠금 기능을 갖는 집수구
CN113481845A (zh) * 2021-08-18 2021-10-08 李万华 一种高速公路桥梁排水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50Y1 (ko) * 2009-03-12 2009-12-04 이태희 배수용 집수구
KR101458360B1 (ko) * 2014-04-30 2014-11-05 주안글라스화이바 주식회사 작동 불능시 간편 해제 가능한 맨홀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50Y1 (ko) * 2009-03-12 2009-12-04 이태희 배수용 집수구
KR101458360B1 (ko) * 2014-04-30 2014-11-05 주안글라스화이바 주식회사 작동 불능시 간편 해제 가능한 맨홀용 잠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2448A (zh) * 2016-11-08 2017-04-05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园林杂物清除装置
KR101944980B1 (ko) * 2018-05-10 2019-02-01 다산기업 주식회사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1335158A (zh) * 2020-03-26 2020-06-26 华中科技大学 一种浮式桥面径流收集装置
CN111335158B (zh) * 2020-03-26 2021-05-18 华中科技大学 一种浮式桥面径流收集装置
KR102220283B1 (ko) * 2020-07-31 2021-02-26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그레이팅 자력식 잠금 기능을 갖는 집수구
CN113481845A (zh) * 2021-08-18 2021-10-08 李万华 一种高速公路桥梁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633B1 (ko) 배수용 집수장치
US7132045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5849198A (en) Grate suspended storm drain filter with oil absorbing media
US6368499B1 (en) Storm drain assembly with disposable filter cartridge
US5958226A (en) Storm drain filter with removable debris tray
US7156987B1 (en) Storm drain filter device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20130049310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US6083402A (en) Stormwater drain filter
CN107922215A (zh) 包括入口和至少两个出口的过滤装置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US20170247873A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use with drainage structure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US20040094461A1 (en) Storm drain filter assembly
US7005061B1 (en) Drain filter device
US8388835B2 (en) Removably engageable storm drain inlet screen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20180003206A (ko) 그레이팅용 거름망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160093976A (ko)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200249085Y1 (ko) 도로의 배수용 집수정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414156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망체
DE102018104535A1 (de) Filter
KR20140104673A (ko)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