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231B1 - 고령자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고령자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231B1
KR101584231B1 KR1020140152220A KR20140152220A KR101584231B1 KR 101584231 B1 KR101584231 B1 KR 101584231B1 KR 1020140152220 A KR1020140152220 A KR 1020140152220A KR 20140152220 A KR20140152220 A KR 20140152220A KR 101584231 B1 KR101584231 B1 KR 10158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ock absorbing
handle
impact
absorb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상
정선구
Original Assignee
제이팍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팍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팍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2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자용 지팡이에 대한 발명으로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팁;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충격흡수수단; 및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상단을 따라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고, 하면에 삽입홈이 내입(內入)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단을 커버하는 충격흡수부; 및 상기 충격흡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고령자용 지팡이{Stick for elderly}
본 발명은 충격이 흡수되는 고령자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와 샤프트 사이에 충격흡수수단을 개재한 고령자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지팡이는 흔히 하지의 근력이 약하거나 마비가 있는 경우이거나 또는 관절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 인체의 보행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체중을 분산시킴으로서 하지로 내려가는 체중부하량을 감소시키고, 그 대신 상지로의 체중부하 기능을 추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보행보조기구이다. 즉, 지팡이란 하지의 기능을 상지가 대체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보행보조기구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지팡이로 체중을 지탱하며 걷다 보면, 지팡이가 지면에 부딪치는 순간 충격이 발생하고, 충격은 지팡이를 통해 손에 전달된다. 이는 지팡이로 전달되는 지면반발력이 사용자의 손과 손목, 어깨로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손에 전달된 충격은 손목관절에서 흡수되는데, 장시간 동안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손목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충격이 가해져 문제되어왔다. 특히, 손잡이 부분이 샤프트와 동일한 재질인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지면으로부터 발생한 충격이 완충되지 않고 샤프트를 거쳐 손잡이로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지팡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목과 팔꿈치 등 관절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7839호 (발명의 명칭 : 손잡이 하부에 보조손잡이를 형성한 지팡이, 공개일자 : 2012년 3월 22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지면을 짚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이 손으로 전달되기 이전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이 설치된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이종의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수단을 손잡이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하여 충격을 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자 형상의 충격흡수수단이 지면과 수직 방향의 충격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켜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팁;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충격흡수수단; 및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상단을 따라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고, 하면에 삽입홈이 내입(內入)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단을 커버하는 충격흡수부; 및 상기 충격흡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고령자용 지팡이가 제공된다.
삭제
이 때,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연결부, 충격흡수부 및 지지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손잡이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중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팁은 하면에 벌집형상으로 내입(內入)된 복수의 충격흡수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그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충격흡수부의 하단 표면에는 손가락이 고정되도록 오목한 굴곡을 이루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을 짚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이 손으로 전달되기 이전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이 설치된 지팡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이종의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수단을 손잡이와 샤프트 사이에 개재하여 충격을 다중흡수함으로서 완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자 형상의 충격흡수수단이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켜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용 지팡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령자용 지팡이의 충격흡수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령자용 지팡이의 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자용 지팡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팡이(10)는 샤프트(100),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팁(200),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T자 형상의 충격흡수수단(300) 및 충격흡수수단의 상단을 따라 결합되는 일자(一字) 형상의 손잡이(400)로 이루어진다.
샤프트(100)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면으로 분산하기 위해 체중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직선형의 축이다. 재질은 카본, 알루미늄 또는 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K 카본(3K Carb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100)에는 지팡이(10)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샤프트(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팁(200)은 샤프트(100)에서 전달되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부하가 지면과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일차적으로 흡수한다. 이 때, 팁(200)은 열가소성 고무(TPR; thermoplastic rubber)와 철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팁(200)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충격흡수수단(300)은 지팡이(10)가 지면과 부딪히면서 발생한 충격을 팁(200)에서 일차적으로 완화한 후, 이차적으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T자 형상의 수단으로서, 손잡이(400)와 샤프트(100) 사이에 개재된다. 이 때, 충격흡수수단(300)은 T자 형상으로서, 손잡이(400)와 이종(異種)의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손잡이로 충격이 전달되기 전 충격의 방향을 분산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한다. 상기 충격흡수수단(3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손잡이(400)는 지팡이(10)의 일자(一字)형상의 그립부로서 지팡이(10)의 그립이 용이하도록 충격흡수수단(300)의 상단을 따라 결합된다. 이 때, 손잡이(4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thermoplastic rubber)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또는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상온에서는 탄성을 나타내지만 가열하면 가소성을 발현하는 고무로서, 성형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폴리스티렌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염화비닐계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열가소성 고무는 상온에서의 탄성을 가짐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서 충격을 재차 완화하고, 장기간 실링 특성이 우수하며, 열경화성 고무보다 비중이 낮아 지팡이(10)의 내구성능과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령자용 지팡이의 충격흡수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격흡수수단(300)은, 손잡이(400)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고, 하면에 삽입홈(311)이 내입(內入)형성된 연결부(310); 연결부(310)의 삽입홈(311)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돌기(331)가 형성되고, 연결부(310)의 하단을 커버하는 충격흡수부(330); 및 충격흡수부(3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샤프트(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35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310)는 충격흡수부(330)와 손잡이(400)를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삽입홈(311)이 형성된다. 이 때, 삽입홈(311)은 원형삽입홈(313)과 상기 원형삽입홈(313) 사이를 연결하는 일자삽입홈(315)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격흡수부(330)가 손잡이(4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때, 열가소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손잡이(4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310)의 상단에 이중사출되어 성형됨으로서 연결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400)와 연결부(310)과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지팡이(10)의 내구성이 증가하며, 손잡이(400) 및 충격흡수수단(300)이 다중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충격흡수부(330)의 상단에는 연결부(310)의 삽입홈(311)에 끼움결합되는복수의 삽입돌기(331)가 형성된다. 이 때, 삽입돌기(331)는 원형삽입홈(313)에 고정삽입되는 복수의 원형돌기(333)와 일자삽입홈(315)에 고정삽입되는 복수의 일자돌기(3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돌기(333)와 일자돌기(335)가 각각 원형삽입홈(313)과 일자삽입홈(315)에 견고하게 삽입결합됨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충격흡수부(330)로 충격이 전달되어도 충격흡수부(330)가 손잡이(4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원형삽입홈(313)과 원형돌기(333)는 각각 3개 내지 5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310)의 하단 표면에는 손가락이 고정되도록 오목한 굴곡을 이루는 파지부(33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337)는 사용자의 4개의 손가락이 충격흡수부(330)를 걸어쥠으로서 손잡이(400)에 고정되도록 샤프트(100)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3개의 파지부(337)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3개의 파지부(337)가 형성된 측의 타측에는 1개의 파지부(337)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50)의 상단에는 지팡이(10)의 그립이 용이하도록 샤프트(100)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된 오목부(351)가 형성된다. 지지부(350)의 하측에는 샤프트(100)의 상단과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샤프트(10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도록 지지부(350)와 일정한 단차를 두고 삽입봉(3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봉(353)의 단면적은 샤프트(10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샤프트(100)의 내부로 끼움결합된다.
T자 형상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수단(300)은 지면으로부터 샤프트(100)를 거쳐 전달되는 수직 방향의 충격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함으로서 손잡이(400)로 전달되는 충격의 방향을 분산하여, 사용자의 손목 관절이 받는 일방향의 충격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400)와 이종(異種)의 경도를 가짐으로서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하여 손목관절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령자용 지팡이의 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팁(200)은 하면에 벌집형상으로 내입(內入)되어 형성된 복수의 충격흡수홈(210)을 구비한다. 충격흡수홈(210)의 내입(內入)된 형상은 지면에서 발생한 수직 방향의 충격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함으로서 충격을 완화한다. 충격흡수홈(210)의 개수는 팁(200)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개 내지 20개의 충격흡수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지팡이
100 : 샤프트
200 : 팁
300 : 충격흡수수단
310 : 연결부
311 : 삽입홈
330 : 충격흡수부
331 : 삽입돌기
350 : 지지부
351 : 오목부
400 : 손잡이

Claims (7)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팁;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충격흡수수단; 및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상단을 따라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고, 하면에 삽입홈이 내입(內入)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단을 커버하는 충격흡수부; 및 상기 충격흡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의 연결부, 충격흡수부 및 지지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중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하면에 벌집형상으로 내입(內入)된 복수의 충격흡수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그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하단 표면에는 손가락이 고정되도록 오목한 굴곡을 이루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용 지팡이.
KR1020140152220A 2014-11-04 2014-11-04 고령자용 지팡이 KR10158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20A KR101584231B1 (ko) 2014-11-04 2014-11-04 고령자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20A KR101584231B1 (ko) 2014-11-04 2014-11-04 고령자용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231B1 true KR101584231B1 (ko) 2016-01-12

Family

ID=5517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220A KR101584231B1 (ko) 2014-11-04 2014-11-04 고령자용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561B1 (ko) * 2017-10-19 2019-07-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951A (ja) * 2003-02-26 2004-09-16 Shogo Sakatani 多目的に使用できるステッキ
KR200423933Y1 (ko) 2006-05-30 2006-08-11 유민수 공기 쿠션부를 구비한 목발용 견착부
KR200454246Y1 (ko) 2009-08-25 2011-06-23 전병숙 지팡이 겸용 목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951A (ja) * 2003-02-26 2004-09-16 Shogo Sakatani 多目的に使用できるステッキ
KR200423933Y1 (ko) 2006-05-30 2006-08-11 유민수 공기 쿠션부를 구비한 목발용 견착부
KR200454246Y1 (ko) 2009-08-25 2011-06-23 전병숙 지팡이 겸용 목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561B1 (ko) * 2017-10-19 2019-07-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193B1 (en) Compressible handle
US20060137068A1 (en) Batting pad for protecting a batter's hand
WO2005037162A8 (en) Ergonomic collapsible crutch
US9795268B2 (en) Handle apparatus and cleaning device comprising same
US11701569B2 (en) Batting pad for adjusting location of bat in batter's hand
CN103239842A (zh) 高尔夫推杆握把
US20060094525A1 (en) Air cushion type sleeve of a handle of a golf club
US5713819A (en) Bouncing exerciser with torsion springs
KR101584231B1 (ko) 고령자용 지팡이
US20070101547A1 (en) Tool handle with finger positioning guide
KR200476101Y1 (ko)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WO2014186711A3 (en) Ergonomic handle and structures operable in conjunction therewith
US20060261558A1 (en) Paddle and ball arm exercise apparatus
US7984723B2 (en) Self-standing walking cane
EP3193654B1 (en) Mobility device
US20120079770A1 (en) Pulling knob, pushing knob, and hinged door having the same
US7725956B1 (en) Golf glove with club handle stop
KR200486113Y1 (ko) 공구용 손잡이
KR200451587Y1 (ko) 야구방망이
KR20120125834A (ko) 펜홀더형 탁구라켓
CN210879524U (zh) 一种铁锤手柄护套
CN205884876U (zh) 高度可调的手杖
KR101883854B1 (ko) 등산용 스틱
KR200356738Y1 (ko) 탄성을 갖는 목발
CN207804938U (zh) 一种新型羽毛球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