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312B1 -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 - Google Patents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312B1
KR101583312B1 KR1020150101261A KR20150101261A KR101583312B1 KR 101583312 B1 KR101583312 B1 KR 101583312B1 KR 1020150101261 A KR1020150101261 A KR 1020150101261A KR 20150101261 A KR20150101261 A KR 20150101261A KR 101583312 B1 KR101583312 B1 KR 10158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ipe
roll
rolls
bend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주)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 filed Critical (주)금강
Priority to KR102015010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8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8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 B29C53/083Bending or folding of tubes or other profiled members bending longitudinally, i.e. modifying the curvature of the tub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는 금속 수지 복합관 등을 1차로 벤딩한 후 2차로 추가 벤딩하기 때문에 관(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큰 곡률로 벤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Apparatus and methods for bending pipe with big curvature by successive bending, and stainless steel-polyethylene composite roll pipe wound in ring shape by the methods}
본 발명은 벤딩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 수지 복합관 등을 1차로 벤딩한 후 2차로 순차 벤딩하기 때문에 관(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큰 곡률로 벤딩할 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벤딩장치를 이용한 벤딩방법과 복합롤관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관과 같은 고내식성 금속관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가(高價)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벤딩 등의 성형에 한계가 있어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많고 직관으로만 제작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직관으로 제조된 금속관은 원형으로 권취될 수가 없기 때문에 공사 현장으로의 운반 등을 위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다. 따라서, 현장 시공시 금속관을 서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연결 작업에 많은 부품과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관은 지반에 매설된 경우에 토양에 의한 부식, 전기적 부식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수지관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다. 그리고, 소구경 수지관은 원형으로 권취될 수 있기 때문에 긴 길이로 제조된 후 원형으로 권취되어 공사 현장으로 운반된다. 따라서, 공사현장에서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수지관은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기도 하고 압력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금속관과 수지관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금속 수지 복합관을 개발하였는데, 상기 금속수지 복합관은 대한민국 특허 제10-1166886호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금속 수지 복합관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관(1)의 외부면에 수지층(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관이다.
금속관(1)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박판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식성이 우수하다. 수지층(2)은 금속관(1)의 두께 보다 훨씬 두꺼운 두께로 금속관(1)을 감싸는데,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금속 수지 복합관(5)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토양에 대한 내부식성도 우수하며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 수지 복합관(5)은 환형으로 권취될 수 있기 때문에 긴 길이로 제조된 후 환형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운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사 현장에서 관 연결 작업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미설명 참조부호 9는 금속수지 복합관(5) 다발을 묶는 끈을 나타낸다.
그런데,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복합관(5)의 권취 반경(u)을 되도록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복합관(5)을 큰 곡률로 벤딩시켜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장치로는 큰 곡률로 벤딩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도 3은 벤딩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 권취기를 보여주는데, 귄취기(10)는 관(11)을 공급하는 공급롤(12)과, 공급롤(12)의 후방에서 관(11)을 벤딩시키는 벤딩 롤(14)(15)(16)과, 벤딩된 관(11)을 권취하는 권취드럼(17)을 구비한다.
공급롤(12)은 구동모터(13)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관(11)을 이동시키고, 관(11)은 세 개의 벤딩 롤(14)(15)(16)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곡률로 벤딩된다.
그러나, 벤딩 롤(14)(15)(16)에서는 큰 곡률로 벤딩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도한 벤딩 과정에서 관(11)이 손상되기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관(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큰 곡률로 벤딩할 수는 벤딩 장치와 벤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벤딩 장치와 벤딩 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복합 롤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장치(100)는 1차 벤딩과 2차 벤딩을 순차적으로 함으로써 파이프(P)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가이드롤(121)(122)과 벤딩 지지롤(123)(124)을 통과한 파이프(P)가 제1 벤딩롤(140)(150)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이 제1 방향(+y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하게 되어 1차 벤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파이프(P)의 선단이 제2 벤딩롤(160)에 도달하면, 제2 벤딩롤(160)이 제2 방향(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x축에서 +y축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2차 벤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 벤딩롤(160)에 의해 파이프(P)가 2차 벤딩되는 동안에 제1 벤딩롤(150)이 원호 형상의 가이드 공(1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벤딩 방법은, (a) 구동 가이드롤(121)(122)과 벤딩 지지롤(123)(124)을 통과한 파이프(P)가 제1 벤딩롤(140)(150)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벤딩롤(140)(150)이 이동하여 1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파이프(P)가 제2 벤딩롤(160)에 도달하면, 제2 벤딩롤(160)이 제2 방향(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x축에서 +y축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2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은 상기 벤딩장치 및/또는 벤딩방법에 의해서 권취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복합 롤관은 다른 벤딩 장치 또는 다른 벤딩 방법에 의해서 권취된 것보다 파이프 손상이 작고 곡률반경이 작다.
본 발명은 관(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큰 곡률로 벤딩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을 제공한다.
도 1은 금속수지 복합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금속수지 복합관이 환형으로 권취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권취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딩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벤딩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제2차 롤 뭉치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과 도 8은 각각 제1 벤딩롤(140)(150)의 단면도.
도 9는 도 5의 A-A'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벤딩장치에 의해서 파이프가 벤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금속수지 복합관의 벤딩을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금속수지 복합관 뿐만 아니라 금속관 등의 벤딩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파이프의 종류를 특정하지 아니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종류의 파이프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딩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벤딩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벤딩장치(100)는 작업대(110)와, 작업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 가이드 롤(121)(122)과, 구동 가이드 롤(121)(122)의 후방에 설치된 벤딩 지지롤(123)(124)과, 작업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벤딩롤 고정판(130)과,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을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도면에 미도시)과, 제1 벤딩롤 고정판(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벤딩롤(140)(150)과, 제1 벤딩롤(140)(150)의 후방에 설치된 제2 벤딩롤(160) 및, 제2 벤딩롤(160)을 이동시키는 제2 이동수단(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한다.
작업대(110)는 평평한 윗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윗면으로 파이프(복합관 등)가 공급된다.
작업대(110)에는 관통부(112)가 형성되는데, 관통부(112)는 작업대(110)의 윗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제1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관통부(112)에는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작업대(110)에는 구동 가이드 롤(121)(122)과 벤딩 지지롤(123)(124)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동 가이드 롤(121)(122)과 벤딩 지지롤(123)(124)은 각각 한 쌍의 롤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구동 가이드 롤(121)(122)과 벤딩 지지롤(123)(124)은 하나의 모터(도면에 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서로 연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구동 가이드 롤(121)(122)은 파이프(P)를 +x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파이프(P)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벤딩 지지롤(123)(124)은 벤딩시 파이프(P)를 지지하는 역할(즉, 파이프 벤딩시 지지점 역할)과, 파이프(P)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은 관통부(1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벤딩롤 고정판(130)에는 제1 벤딩롤(150)의 회전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공(134)과, 가이드 공(134)의 둘레에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슬라이드 홈(135)과, 제1 벤딩롤(140)의 회전축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132) 및, 체결공(132) 둘레의 고정홈(131)이 형성된다.
도 7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벤딩롤(150)은 회전축(152)과, 회전축(152)에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153)과, 회전축(152)과 함께 회전되는 롤 몸체(155)를 구비한다.
베어링 하우징(153)은 베어링(153a)과, 베어링(153a)의 상단에 형성된 안정부(153b)를 구비한다.
회전축(152)의 하부와 베어링(153a)은 가이드 공(134)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안정부(153b)는 슬라이드 홈(135)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벤딩롤(150)은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파이프(P)가 벤딩됨에 따라 가이드 공(134)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회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벤딩롤(150)은 제1 벤딩롤(140)과의 사이에 파이프(P)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파이프(P) 벤딩이 이루어질 때 제1 벤딩롤(150)이 가이드 공(134)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벤딩롤(150)(140) 사이에 파이프(P)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되도록 적정 각도를 유지한다.
도 8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벤딩롤(140)은 회전축(142)과, 회전축(142)에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143)과, 회전축(142)과 함께 회전되는 롤 몸체(145)를 구비한다.
베어링 하우징(143)은 베어링(143a)과, 베어링(143a)의 상단에 형성된 안정부(143b)를 구비한다. 안정부(143b)는 고정 홈(131)과 형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회전축(142)의 하부와 베어링(143a)은 체결공(132)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안정부(143b)는 고정 홈(131)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벤딩롤(140)은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 공(134)은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슬라이드 홈(135)은 제1 벤딩롤 고정판(130) 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가이드 공(134)의 외곽에서 상기 원호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벤딩롤(150)이 가이드 공(134)과 슬라이드 홈(135)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회동)할 수 있게 된다.
체결공(132)은 회전축(142)의 하부와 베어링(143a)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고정 홈(131)은 체결공(132)의 외곽에서 제1 벤딩롤 고정판(130) 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고, 그 형상은 안정부(143b)와 형합된다.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의 양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136)이 형성된다. 돌출턱(136)은 작업대(110)의 윗면과 아랫면에 접촉되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이 관통부(112)에서 슬라이딩될 때 안정적 이동을 보장한다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은 제1 이동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의해서 ㅁy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제1 이동수단은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 등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그 구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선단이 제1 벤딩롤(140)(150)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벤딩롤 고정판(130)에 설치된 제1 센서(도면에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전송하며, 중앙처리장치는 이에 대응하여 제1 이동수단을 구동하여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을 제1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파이프(P)가 제1 벤딩롤(140)(150) 사이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아니하면 제1 센서는 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고, 중앙처리장치는 작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이동수단을 구동함으로써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을 원위치시킬 수 있다.
제2 벤딩롤(160)은 가이드 공(11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공(114)은 제2 방향(-x축과 +y축 사이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구멍으로서, 제2 벤딩롤(16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2 벤딩롤(160)의 이동은 제2 이동수단(도면에 미도시),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 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선단이 제1 벤딩롤(140)(150)을 통과하여 +x 방향으로 이동하면 작업대(110)에 설치된 제2 센서(도면에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며, 중앙처리장치는 제2 이동수단을 구동하여 제2 벤딩롤(160)을 이동시킴으로써 파이프(P)를 2차 벤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벤딩롤(160)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도 있지만 제1 방향(+y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동일한 곡률로 벤딩하는 경우에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보다 그 이동거리가 길어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선단이 구동 가이드 롤(121)(122)과 벤딩 지지롤(123)(124)을 통과하여 제1 벤딩롤(140)(150) 사이에 삽입되면 제1 센서(도면에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1 이동수단이 구동되어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을 +y 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이프(P)를 1차로 벤딩시킨다.
이어서, 도 11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선단이 제2 벤딩롤(160)에 도달하면 제2 센서(도면에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2 이동수단이 구동하여 제2 벤딩롤(160)을 제2 방향(-x축과 +축 사이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이프(P)를 2차로 벤딩시킨다.
이와 같이 파이프(P)가 1차 및 2차 벤딩되는 동안에 제1 벤딩롤(150)은 가이드 공(134)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벤딩롤(140)(150)은 2차 벤딩의 지지점이 되는데, 제1 벤딩롤(150)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2차 벤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제1 벤딩롤(150)이 이동하는 동안에도 제1 벤딩롤(140)과 제1 벤딩롤(15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벤딩시 파이프(P)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100)는 파이프(P)를 순차적으로 벤딩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벤딩장치 보다 더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벤딩시 파이프(P)의 손상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벤딩장치 또는 벤딩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롤관,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관 등은 기존의 벤딩장치 또는 기존의 벤딩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롤관 보다 그 곡률반경(u)이 더 작고, 이에 따라 운반성이 더 우수하다.
한편, 위와 같이 벤딩된 파이프(P)는 환형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공사 현장 등으로 운반될 수 있고, 공사 현장에서는 필요한 길이만큼 파이프(P)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 금속관 2 : 수지층
5 : 금속 수지 복합관 9 : 끈
u : 권취 직경 10 : 권취기
P, 11 : 파이프 12 : 공급 롤
13 : 구동 모터 14, 15, 16 : 벤딩롤
17 : 권취드럼 100 : 벤딩장치
110 : 작업대 112 : 관통부
114, 134 : 가이드 공 121, 122 : 구동 가이드 롤
123, 124 : 벤딩 지지롤 130 : 제1 벤딩롤 고정판
131 : 고정 홈 132 : 체결공
135 : 슬라이드 홈 136 : 돌출턱
140, 150 : 제1 벤딩롤 142, 152 : 회전축
143, 153 : 베어링 하우징 143a, 153a : 베어링
143b, 153b : 안정부 145, 155 : 롤 몸체
160 : 제2 벤딩롤

Claims (7)

  1. 평평한 윗면을 가지는 작업대(110);
    작업대(110)의 윗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롤(121)(122)(123)(124);
    작업대(110)의 윗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벤딩롤(140)(150); 및,
    작업대(110)의 윗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벤딩롤(160);을 포함하고,
    파이프(P)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롤(121)(122)(123)(124)을 통과한 후 제1 벤딩롤(140)(150) 사이에 삽입되며,
    제1 벤딩롤(140)(150) 사이로 파이프(P)가 삽입된 이후, 제1 벤딩롤(140)(15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1차 벤딩이 이루어지고, 제1 벤딩롤(140)(150)을 통과한 파이프(P)는 제2 벤딩롤(160)이 제2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에 의해 2차 벤딩되며,
    1,2차 벤딩은 파이프(P)가 계속 이동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파이프(P)는 전체 구간에 걸쳐서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되되, 1차 벤딩 후에 2차 벤딩되는 것에 의해 파이프의 곡률 반경이 더욱 작아지며,
    제1 벤딩롤(140)은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의 체결공(1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벤딩롤(150)은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의 가이드 공(134)에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은 제1 이동수단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2차 벤딩은 제1 벤딩롤(140)(150)을 지지점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1,2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제1 벤딩롤(150)이 원호 형상의 가이드 공(134)을 따라 이동하고 제1 벤딩롤(150)과 제1 벤딩롤(14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P)는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관으로서, 상기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관은 상기 1,2차 벤딩에 의해서 롤관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벤딩롤(150)은,
    회전축(152);
    회전축(152)에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153); 및
    회전축(152)과 함께 회전되는 롤 몸체(155);를 포함하고,
    베어링 하우징(153)의 상단에 구비된 안정부(153b)가 가이드 공(134)의 둘레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35)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작업대(110)에는 제2 벤딩롤(16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공(114)이 형성되고, 가이드 공(114)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장치.
  5. (a) 롤(121)(122)(123)(124)을 통과한 파이프(P)가 제1 벤딩롤(140)(150)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벤딩롤(140)(15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1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파이프(P)가 제1 벤딩롤(140)(150) 후방의 제2 벤딩롤(160)에 도달하면 제2 벤딩롤(160)이 제2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2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고,
    1,2차 벤딩은 파이프(P)가 계속 이동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파이프(P)는 전체 구간에 걸쳐서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되되, 1차 벤딩 후에 2차 벤딩되는 것에 의해 파이프의 곡률 반경이 더욱 작아지며,
    상기 2차 벤딩은 제1 벤딩롤(140)(150)을 지지점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1,2차 벤딩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제1 벤딩롤(150)이 원호 형상의 가이드 공(134)을 따라 이동하며, 제1 벤딩롤(150)과 제1 벤딩롤(14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P)는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관으로서, 상기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관은 상기 1,2차 벤딩에 의해서 롤관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제1 벤딩롤(150)은 제1 벤딩롤 고정판(130)의 가이드 공(134)에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 벤딩롤(150)은,
    회전축(152);
    회전축(152)에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153); 및
    회전축(152)과 함께 회전되는 롤 몸체(155);를 포함하고,
    베어링 하우징(153)의 상단에 구비된 안정부(153b)가 가이드 공(134)의 둘레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35)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방법.
KR1020150101261A 2015-07-16 2015-07-16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 KR10158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261A KR101583312B1 (ko) 2015-07-16 2015-07-16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261A KR101583312B1 (ko) 2015-07-16 2015-07-16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312B1 true KR101583312B1 (ko) 2016-01-07

Family

ID=5516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261A KR101583312B1 (ko) 2015-07-16 2015-07-16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991B1 (ko) * 2020-03-16 2021-02-03 주식회사 거성산기 스폴파이프용 와인딩장치
CN112355098A (zh) * 2020-11-17 2021-02-12 浙江圣雪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化环形管弯管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886B1 (ko) * 2012-04-23 2012-07-18 (주)금강 환형으로 권취가 용이한 금속 수지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413193B1 (ko) * 2012-05-16 2014-06-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라운드 벤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886B1 (ko) * 2012-04-23 2012-07-18 (주)금강 환형으로 권취가 용이한 금속 수지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413193B1 (ko) * 2012-05-16 2014-06-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라운드 벤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991B1 (ko) * 2020-03-16 2021-02-03 주식회사 거성산기 스폴파이프용 와인딩장치
CN112355098A (zh) * 2020-11-17 2021-02-12 浙江圣雪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化环形管弯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694B2 (en) Bending apparatus and bending machine
KR101583312B1 (ko) 순차적인 벤딩에 의해 파이프를 큰 곡률로 벤딩시킬 수 있는 벤딩 장치와 벤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권취된 스테인리스 폴리에틸렌 복합 롤관
JP2013000794A (ja) パイプベンダ、ベンディングパイプの製造方法及びパイプ継手
US20170355075A1 (en) Marking Template for Marking Pipe, Tubing and Bars Prior to Bending
KR20170056317A (ko) 관 내부의 도막측정장치
JP2013010109A (ja) 金属管の曲げ加工装置
CN106001218B (zh) 一种弯管机及弯管方法
CN114084723A (zh) 一种环保型缠绕膜的复卷工艺
US20140305178A1 (en) Device for undulating a pipe
US98426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and winding conductors to make superconductive coils
CN203853714U (zh) 管道焊接组件
CN208103613U (zh) 一种管道铠装层缠绕设备
RU26672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ердечника борта
KR101410952B1 (ko) 클램프 가이드를 갖는 파이프 정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파이프 정렬방법
JP2009195960A (ja) 整列曲げ成形方法、及び整列曲げ成形装置
KR101366681B1 (ko) 금속수지 복합관의 와인딩 및 직관화 방법, 이를 위해 사용되는 와인더, 및 직관기
CN202208568U (zh) 一种铜管复绕机的导向装置
KR20140014933A (ko) 지그 장치
JP2011110569A (ja) コイル状線材の矯正装置及び矯正方法
US6701762B2 (en) Canasta for forming tubes of different diameters
Beck et al. Waveguide for circular electric mode transmission
CN106001219B (zh) 一种弯管机及弯管方法
JP2018130891A (ja) 管路更生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10966510U (zh) 一种煨管工装
CN216543539U (zh) 一种能适应多尺寸聚乙烯管道的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