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164B1 -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164B1
KR101583164B1 KR1020140188319A KR20140188319A KR101583164B1 KR 101583164 B1 KR101583164 B1 KR 101583164B1 KR 1020140188319 A KR1020140188319 A KR 1020140188319A KR 20140188319 A KR20140188319 A KR 20140188319A KR 101583164 B1 KR101583164 B1 KR 10158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ressure
high pressure
pressure fluid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항경
Original Assignee
김항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항경 filed Critical 김항경
Priority to KR102014018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컨트롤 밸브의 유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원통상의 다수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벽면과 충돌하지 않고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원통상으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변형 및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의 수명이 가일층 연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의 원통상의 유체 저항 디스크의 적층 설치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압력은 크기가 점차로 변화하는 고압유체 팽창홈을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강하(降下)되면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쳐 유입된 유체가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여 섞이도록 함으로써 운동에너지의 손실을 유발하여 고압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반복하여 발생시켜 고압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치는 고압 유체는 다단의 압력 손실을 일으켜 고압의 유체가 가진 운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고압 컨트롤 밸브의 진동을 억제하고, 소음을 방지하며 감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전소 컨트롤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밸브 몸체(30) 내부에는 표면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다수의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이 분리벽(111)을 개재하여 상호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100)가 다수개 적층 설치토록 되며,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표면에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은 중앙의 피스톤 관통홀(120)을 향하여 순차로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고압유체 팽창홈(110) 전,후측에는 각각 2개의 유체 유입통로(130a)(130a) 및 유체 배출통로(130b)(130b)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원형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전,후단에 밀착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과 상호 연통 연설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a control apparatus for high pressure fluid of powerhous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고압 컨트롤 밸브의 유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원통상의 다수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벽면과 충돌하지 않고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원통상으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변형 및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의 수명이 가일층 연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의 원통상의 유체 저항 디스크의 적층 설치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압력은 크기가 점차로 변화하는 고압유체 팽창홈을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강하(降下)되면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쳐 유입된 유체가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여 섞이도록 함으로써 운동에너지의 손실을 유발하여 고압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반복하여 발생시켜 고압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치는 고압 유체는 다단의 압력 손실을 일으켜 고압의 유체가 가진 운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고압 컨트롤 밸브의 진동을 억제하고, 소음을 방지하며 감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발전소의 고온, 고압 배관과 연결되어, 작동유체의 고압을 강하시키기 위한 고압 제어장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는 밸브 내부에 비틀어진 통로의 형태의 유체 이송관을 복수개 설치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상기 유체 이송관을 따라서 분산되어 이송되며, 이때 상기 유체 이송관의 비틀어진 벽면과 유체가 마찰 및 유동 방향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압력을 급격하게 강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압 제어장치는, 고압의 유체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유체 이송관의 비틀어진 벽면과 순간적으로 부딪혀 소음과 진동은 물론, 부식 및 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한 압력 변화로 인하여 유체 내에 공동이 생기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압 제어장치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등 많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고압 제어장치의 단점을 개선하여, 고압 컨트롤 밸브의 밸브몸체 내부에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표면에 무수한 원형돌기가 형성되면서 상기 원형돌기 사이에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를 다수개 적층 형성하여,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상기 적층 된 디스크의 원형돌기 사이의 유체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체의 압력을 강하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에너지 감소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0413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덮개(20)의 하측에 밸브 몸체(30)가 착설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40)와 연설되는 피스톤(41)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 몸체(30)의 내부에는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표면에 무수한 원형돌기(51)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면서 상기 원형돌기(51) 사이에는 유체통로(52)가 형성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50)를 다수개 적층 설치하여, 유체 유입구(60)의 고온 고압의 유체가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50)를 거쳐 고압이 강하되면서 유체 배출구(70)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전소의 고온, 고압 배관과 연결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10)는, 유체 유입구(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압의 유체가 밸브 몸체(30)의 내부의 유체 저항 디스크(50)에 형성된 무수한 원형돌기(51)와 충돌하면서 압력이 강하되고, 상기 유체저항 디스크(50)의 원형돌기(51)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통로(52)를 따라 유체 배출구(70)를 통해 노즐 현상에 의해 압력이 급격하게 강하되어 배출되며, 이때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피스톤 로드(40)와 연설되는 피스톤(41)이 다수개 적층된 유체 저항 디스크(50)의 상,하로 작동하면서 유체통로(52)를 개방 및 폐쇄하여 고압을 컨트롤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체의 압력을 강하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에너지 감소장치의 경우, 유체 유입구(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다수개 적층 된 유체 저항 디스크(50) 및 그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돌기(51)들과 충돌할 경우,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50)가 유체 유입구의 반대방향으로 밀림 현상이 극심하게 발생하여,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50)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50)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유체 저항 디스크(50)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원형돌기(51)를 진입하면서 두개로 분리하면서 경사진 유체통로(52) 방향에서 합쳐지는 흐름에 의한 압력손실로 운동에너지 값을 떨어뜨리게 되며, 이에 따라 압력 손실이 극심하게 발생 됨은 물론,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가 돌출되는 원형돌기들에 의해 정확한 동심원 상태로 밀착되어 고정시키기 어렵게 되며, 상기에서와 같이 고온 고압의 유체와 충돌 저항에 의해 쉽게 유체 저항 디스크의 좌우 유동 및 이탈되어 유체 저항 디스크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를 통한 고온 고압 유체의 정확한 압력 컨트롤이 어렵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0413호(공개일 : 2008년 01월 2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압 컨트롤 밸브의 유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원통상의 다수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벽면과 충돌하지 않고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원통상으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변형 및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의 수명이 가일층 연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의 원통상의 유체 저항 디스크의 적층 설치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압력은 크기가 점차로 변화하는 고압유체 팽창홈을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강하(降下)되면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쳐 유입된 유체가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여 섞이도록 함으로써 운동에너지의 손실을 유발하여 고압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반복하여 발생시켜 고압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치는 고압 유체는 다단의 압력 손실을 일으켜 고압의 유체가 가진 운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고압 컨트롤 밸브의 진동을 억제하고, 소음을 방지하며 감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전소 컨트롤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밸브 덮개의 하측에 밸브 몸체가 착설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와 연설되는 피스톤이 설치되며,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의 일측 단부에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유체 유입구와 대향하는 반대 측에는 유체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발전소 고압 컨트롤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의 밸브 몸체 내부에는 표면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다수의 좁을 홈을 따라 유로를 형성하며 이 유로에 다단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이 분리벽을 개재하여 상호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가 다수개 적층 설치토록 되며,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의 표면에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은 중앙의 피스톤 관통홀을 향하여 순차로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고압유체 팽창홈 전,후측에는 각각 2개의 유체 유입통로 및 유체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원형 고압유체 팽창홈 전,후단에 밀착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과 상호 연통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컨트롤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본 발명인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에 의하면, 고압 컨트롤밸브의 유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원통상의 다수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벽면과 충돌하지 않고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원통상으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의 변형 및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의 수명이 가일층 연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의 원통상의 유체 저항 디스크의 적층 설치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으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압력은 크기가 점차로 변화하는 고압유체 팽창홈을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강하(降下)되면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쳐 유입된 유체가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여 섞이도록 함으로써 운동에너지의 손실을 유발하여 고압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반복하여 발생시켜 고압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압유체 팽창홈을 단계적으로 거치는 고압 유체는 다단의 압력 손실을 일으켜 고압의 유체가 가진 운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고압 컨트롤 밸브의 진동을 억제하고, 소음을 방지하며 감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압 컨트롤 밸브의 내부 구성를 도시한 정단면 구조도.
도 2는 종래 고압 컨트롤 밸브의 내부에 다수개 적층 설치되어 고압유체의 고압을 강하시키는 유체저항 디스크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밸브 유체 고압 조절장치의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는 유체저항 하우징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개 적층 설치되는 유체저항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체저항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는 유체 팽창홈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는 유체저항 하우징을 통하여 고압 유체의 고압 강하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밸브 유체 고압 조절장치의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는 유체저항 하우징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개 적층 설치되는 유체저항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유체저항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는 유체 팽창홈의 요부 사시도로서, 도 1의 고압 컨트롤 밸브 구성과 연계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밸브 덮개(20)의 하측에 밸브 몸체(30)가 착설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40)와 연설되는 피스톤(41)이 설치되며,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일측 단부에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60) 및 상기 유체 유입구(60)와 대향하는 반대측에는 유체 배출구(70)가 각각 형성토록 된다.
또한,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밸브 몸체(30) 내부에는 표면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다수의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이 분리벽(111)을 개재하여 상호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100)가 다수개 적층 설치토록 된다.
이때,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표면에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은 중앙의 피스톤 관통홀(120)을 향하여 순차로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고압유체 팽창홈(110) 전,후측에는 각각 2개의 유체 유입통로(130a)(130a) 및 유체 배출통로(130b)(130b)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원형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전,후단에 근접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과 연통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덮개(20)의 하측에 밸브 몸체(30)가 착설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10)는, 그 내부에 피스톤 로드(40)와 연설되는 피스톤(41)이 설치되어,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고압을 피스톤(41)을 통하여 조절하면서 상기 유체 유입구(60)와 대향하는 반대측에 형성된 유체 배출구(70)를 통하여 압력이 강하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밸브 몸체(30) 내부에는 밸브 덮개(20)의 하측에 밸브 몸체(30)가 착설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40)와 연설되는 피스톤(41)이 설치되며,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일측 단부에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60) 및 상기 유체 유입구(60)와 대향하는 반대 측에는 유체 배출구(70)가 각각 형성토록 된다.
또한,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밸브 몸체(30) 내부에는 표면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다수의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이 상호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100)가 다수개 적층 설치토록 된다.
이때,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표면에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은 중앙의 피스톤 관통홀(120)을 향하여 점차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고압유체 팽창홈(110) 전,후측에는 각각 2개의 유체 유입통로(130a)(130a) 및 유체 배출통로(130b)(130b)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원형 고압유체 팽창홈(110) 전,후단에 밀착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과 연통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덮개(20)의 하측에 밸브 몸체(30)가 착설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10)는, 그 내부에 피스톤 로드(40)와 연설되는 피스톤(41)이 설치되어,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고압을 피스톤(41)을 통하여 조절하면서 상기 유체 유입구(60)와 대향하는 반대 측에 형성된 유체 배출구(70)를 통하여 압력이 강하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밸브 몸체(30) 내부에는 표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이 분리벽(111)을 개재하여 상호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100)가 다수개 적층되어 상호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토록 됨으로써,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유체 유입구(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원통상의 다수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벽면과 충돌하지 않고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으로 유입되어, 상기 원통상으로 적층되는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변형 및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수명이 가일층 연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밸브 몸체(30) 내부에 다수의 원통상의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적층 설치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표면에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은 중앙의 피스톤 관통홀(120)을 향하여 점차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으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압력은 크기가 점차로 작아지는 고압유체 팽창홈(110)을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강하(降下)되면서 원활하게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각 고압유체 팽창홈(110) 전,후측에는 각각 2개의 유체 유입통로(130a)(130a) 및 유체 배출통로(130b)(130b)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원형 고압유체 팽창홈(110) 전,후단에 밀착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과 연통 연설됨으로써, 상기 2개의 유체 유입통로(130a)(130a)의 좁은 입구로 유입되는 고압의 유체가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에서 팽창과 동시에 충돌하여 서로의 운동에너지를 손실시키게 되며, 상기와 같이 운동에너지가 손실된 고압의 유체는 2개의 유체 배출통로(130b)(130b)를 통해 배출되어 다음의 원형 고압유체 팽창홈(110)으로 이동하고. 이와 같은 고압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반복하여 발생시켜, 고압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 몸체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는 유체저항 하우징을 통하여 고압 유체의 고압 강하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도로서,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유체 유입구(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 압력(P1)이,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표면에 다수개 방사상으로 중앙의 피스톤 관통홀을 향하여 형성되는 1~5번째의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을 순차로 거치면서 고압 유체의 압력(P2)이 순차로 손실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고압 컨트롤 밸브 20...밸브 덮개
30...밸브 몸체 40...피스톤 로드
41...피스톤 60...유체 유입구
70...유체 배출구 100...유체 저항 디스크
110...고압유체 팽창홈 111...분리벽
120...피스톤 관통홀 130a...유체 유입통로
130b...유체 배출통로

Claims (1)

  1. 밸브 덮개(20)의 하측에 밸브 몸체(30)가 착설되는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내부에 피스톤 로드(40)와 연설되는 피스톤(41)이 설치되며,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일측 단부에는 고온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60) 및 상기 유체 유입구(60)와 대향하는 반대 측에는 유체 배출구(7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압 컨트롤 밸브(10)의 밸브 몸체(30) 내부에는 유체 저항 디스크(100)가 다수개 적층 설치토록 되고,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표면에는 다수개 방사상(放射狀)으로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이 형성되어 중앙의 피스톤 관통홀(120)을 향하여 순차로 상기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는 발전소 고압 컨트롤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항 디스크(100)의 표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은, 분리벽(111)을 개재하여 상호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각 고압유체 팽창홈(110) 전,후측에는 각각 2개의 유체 유입통로(130a)(130a) 및 유체 배출통로(130b)(130b)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원형 고압유체 팽창홈(110)의 전,후단에 밀착 형성되는 원형의 고압유체 팽창홈(110)과 상호 연통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컨트롤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KR1020140188319A 2014-12-24 2014-12-24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KR10158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19A KR101583164B1 (ko) 2014-12-24 2014-12-24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319A KR101583164B1 (ko) 2014-12-24 2014-12-24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164B1 true KR101583164B1 (ko) 2016-01-07

Family

ID=5516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319A KR101583164B1 (ko) 2014-12-24 2014-12-24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38B1 (ko) * 2018-05-29 2018-08-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입체 웨이브 플로어용 트림 스택 및 이를 구비한 밸브
KR102139969B1 (ko) * 2019-04-08 2020-07-31 주식회사 프로발 밸브 디스크 트림 장치
KR102633376B1 (ko) * 2023-10-31 2024-02-05 주식회사 비에프에스 고차압 유속제어 이물질 배출형 컨트롤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350A (en) * 1974-03-04 1976-03-02 The Bendix Corporation Quieting means for a fluid flow control device using vortical flow patterns
KR100800413B1 (ko) 2000-03-16 2008-02-01 위어 밸브스 앤드 컨트롤스 유케이 리미티드 유체 에너지 감소 장치
JP2011514483A (ja) * 2008-01-22 2011-05-06 コントロール コンポーネ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直接金属レーザ焼結された流れ制御要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350A (en) * 1974-03-04 1976-03-02 The Bendix Corporation Quieting means for a fluid flow control device using vortical flow patterns
KR100800413B1 (ko) 2000-03-16 2008-02-01 위어 밸브스 앤드 컨트롤스 유케이 리미티드 유체 에너지 감소 장치
JP2011514483A (ja) * 2008-01-22 2011-05-06 コントロール コンポーネ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直接金属レーザ焼結された流れ制御要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38B1 (ko) * 2018-05-29 2018-08-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입체 웨이브 플로어용 트림 스택 및 이를 구비한 밸브
KR102139969B1 (ko) * 2019-04-08 2020-07-31 주식회사 프로발 밸브 디스크 트림 장치
KR102633376B1 (ko) * 2023-10-31 2024-02-05 주식회사 비에프에스 고차압 유속제어 이물질 배출형 컨트롤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2283B2 (ja) 騒音軽減区分と高容積流区分との間に不感帯を有しない弁ケージ
USRE32197E (en) High energy loss fluid control
KR101583164B1 (ko) 발전소 컨트롤 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EP1266166B1 (en) Fluid energy reduction device
US20130153808A1 (en) Anti-cavitation valve seat
US9115824B2 (en) Fluid control valve for high pressure surges
US9605771B2 (en) Flow cage assemblies
US3773085A (en) Noise suppressing throttling valve
JP2011080401A (ja) 遠心圧縮機のスワール生成装置
CA2870564A1 (en) Anti-cavitation device
CN109139929A (zh) 一种刻槽式串联多级减压调节阀
CN110657251A (zh) 一种串联阀芯双密封面多级降压调节阀
KR102139969B1 (ko) 밸브 디스크 트림 장치
KR20160085871A (ko) 제어 밸브용 복수 스테이지 트림
CN111288168A (zh) 一种多级降噪笼式调节阀
CN103185166A (zh) 一种电磁阀及具有该电磁阀的制冷设备
KR101302103B1 (ko) 발전소 고압 컨트롤밸브의 유체 고압 조절장치
CN103292030A (zh) 一种多级降压排污阀
WO2012140407A1 (en) Flow regulating device
KR200469174Y1 (ko) 압력강하 조절용 기구
KR102199188B1 (ko) 감압 컨트롤 밸브 및 방법
KR101805798B1 (ko) 밸브의 유체 속도 및 압력 제어장치
CN205841858U (zh) 一种沉浮式双道单通水阀
JP2016173099A (ja) 圧縮機用の吸気調整弁
KR20200000915U (ko) 사적없는 연속개방유로 다단 유속제어형 컨트롤 밸브의 밸브트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