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609B1 -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609B1
KR101582609B1 KR1020150083179A KR20150083179A KR101582609B1 KR 101582609 B1 KR101582609 B1 KR 101582609B1 KR 1020150083179 A KR1020150083179 A KR 1020150083179A KR 20150083179 A KR20150083179 A KR 20150083179A KR 101582609 B1 KR101582609 B1 KR 101582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ament
printer
discharg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뉴캔
주식회사 디앤티
소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뉴캔, 주식회사 디앤티, 소대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뉴캔
Priority to KR102015008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투입되는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재료 투입부, 재료 투입부의 하부에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재료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이송 스크류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이송 스크류의 일단 측에 형성되며, 이송 스크류로부터 이송된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녹여 일정한 두께의 필라멘트로 배출하는 배출부, 배출부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배출부 내부의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가 녹을 수 있도록 배출부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히터부의 설정된 온도를 제어하거나, 설정된 양의 필라멘트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RECYCLING APPARATUS FOR MATERIALS OF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D 프린터 사용 후 버려지는 재료들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물체에 대한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물건을 그대로 성형할 수 있는 3D 프린터의 사용이 증가 되고 있다.
3D 프린터는 대량생산 이전의 모델링이나 샘플 제작과 일부 산업용에서 시작하여 최근에는 가정용, 교육용 프린터에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3D 사진의 출력이나 실제 촬영한 사진을 피규어로 제작해주는 기술도 출현되고 있다.
이러한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작하면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을 중심으로 양산 가능한 제품의 성형에도 사용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조성되고 있어서 앞으로 3D 프린터 시장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형 3D 프린터의 제품성형 방식은 첨가법, 절삭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첨가법은 대상물체를 2차원의 평면형태로 성형한 것을 3차원으로 적층하면서 용융 부착하여 형성하는 방식이고, 절삭법은 고체재료를 조각하듯이 절삭해서 형태를 만들어가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3D 프린터의 제품 성형 시 프린터 내에는 남은 성형 후 재료가 남을 수 있으며, 제작이 완료되었으나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제품들이 있다.
종래 이러한 남는 재료 또는 폐기되는 제품들은 모두 산업 폐기물로 환경오염원이 되고 있으며, 비용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10-2536647호(3D 프린터 내에서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인쇄 헤드 및 장치 및 방법)는 프린터 내에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10-2536647호는 장치 내부의 분말형태의 재료를 수거하고 재료를 다시 투입시키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폐기되는 제품 또는 재료를 재활용하도록 하는 장치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D 프린터에서 수거되는 재료들을 멜팅하여 필라멘트 형태로 재가공할 수 있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되는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재료 투입부; 상기 재료 투입부의 하부에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재료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 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로부터 이송된 상기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녹여 일정한 두께의 필라멘트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 내부의 상기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의 설정된 온도를 제어하거나, 설정된 양의 필라멘트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상기 구동모터, 히터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되는 발열봉; 및 상기 발열봉을 내재하며, 상기 배출부의 주변을 원통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상기 발열봉 또는 상기 배출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발열봉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필라멘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필라멘트를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필라멘트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상기 히터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재료를 필라멘트 형태로 재가공하여 3D 프린터에서 사용하고 남은 재료들 또는 폐기되는 3D 프린터 성형물들을 재활용 할 수 있다.
또한,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재료 투입시 자동으로 필라멘트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작동이 정지되어 품질이 우수한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의 일측 및 타측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의 상부를 도시한 상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부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의 일측 및 타측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의 상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케이스(200), 구동모터(100), 재료 투입부(120), 이송 스크류(130), 배출부(150), 히터부(160), 단열부재(170), 전원부(30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00)는 6개의 플레이트들(210 내지 260)이 결합되어 주요 구성부들을 내재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200)는 하부 플레이트(210), 상부 플레이트(240), 2개의 측면 플레이트(250, 260), 전면 플레이트(230) 및 후면 플레이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가 투입되도록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2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40)는 장치를 이송하도록 하는 손잡이(207)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40)는 제어부(270)와 각종 스위치들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0)의 장치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205)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0)의 상부면에는 구동모터(100), 재료 투입부(120), 감속기(110) 들이 설치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들(250, 260)은 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230)는 배출부(150)의 일단을 노출시키도록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면 플레이트(230)에 개구된 영역은 배출부(150)의 외경에 상응하는 크기 또는 그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220)는 내측면에 전원부(300) 등이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내측면에 설치된 전원부(300)와 연결되는 외부 전원 연결 단자(315) 및 메인 스위치(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투입부(120)는 3D 프린터로부터 수거된 재료가 투입된다. 이때, 재료 투입부(12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재료가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재료 투입부(120)는 지지 프레임(125)을 통해 하부 플레이트(210)에 고정된다. 재료 투입부(120)는 상부가 상부 플레이트(240)에 형성되는 개구부(245)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 투입시 케이스(200) 내부로 재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재료 투입부(120)의 하부는 재료 이송 스크류(130)가 관통되도록 개방된다. 이에 따라, 재료 투입부(120)에 재료가 공급되면 이송 스크류(130)에 재료가 안착된다.
구동모터(100)는 재료 이송 스크류(1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구동모터(100)는 케이스(200)의 하부 플레이트(210)에 고정된다. 구동모터(100)는 전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축을 회전한다.
이송 스크류(130)는 구동모터(10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송 스크류(130)는 공급된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배출부(150)에 이송한다. 이송 스크류(130)는 봉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홈이 구비되어, 홈에 재료가 안착되면, 이를 이송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 커버(140)는 이송 스크류(130)의 배출부(150)측의 노출된 부분을 막아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가 케이스(20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100)와 이송 스크류(130) 사이에 감속기(110)가 구비되어 이송 스크류(1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감속기(110)는 기어 등이 구비되어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감속기(110)는 하부 플레이트(210) 또는 구동모터(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배출부(150)는 이송 스크류(130)의 끝단과 밀착되어 배치된다. 배출부(150)는 이송 스크류(130)로부터 이송된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녹여 일정한 두께의 필라멘트로 배출한다. 배출부(150)는 중공부(155)가 구비된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50)의 내부 중공부(155)는 필라멘트가 배출되는 측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50)는 필라멘트의 두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중공부(155)에 삽입되는 팁(157)이 구비될 수 있으며, 팁(157)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팁(157)의 직경은 배출되는 필라멘트의 두께를 결정하므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히터부(160)는 배출부(1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배출부(150)를 가열한다. 히터부(160)는 약 40℃ 내지 350℃의 열을 배출부(150)에 제공한다. 히터부(160)는 전원부(30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되는 발열봉(165)과 발열봉(165)을 내재하며, 배출부(15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홀더(162)를 구비할 수 있다.
발열봉(165)은 전원부(300)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된다. 이때, 발열봉(165)은 1개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홀더(162)는 열전도율이 높고, 열변형이 낮은 금속 등의 물질로 형성된다. 이때, 홀더(162)는 내부에 발열봉(165)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홀더(162) 외주면에 온도센서(180)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홀더(162)에 발열봉(165)이 삽입되어 배출부(150)를 가열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열봉(165)이 사용되지 않고, 홀더(162) 내부에 발열선 또는 발열을 위한 다른 열원 등이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히터부(160) 외주면에는 히터부(16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8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180)는 히터부(16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70) 또는 릴레이(350)에 제공할 수 있다. 히터부(160)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히터부(160)의 과열 상태를 제어하거나, 설정온도로 히터부(160)가 가열되도록 하는 온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300)는 구동모터(100), 히터부(160), 제어부(27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300)는 외부 전원 또는 외부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 또는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부(300)는 교류전력이 입력되면 이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구동모터(100), 히터부(160), 제어부(270) 등에 공급하는 인버터가 사용된다.
전원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 연결 단자(315)와 연결된다. 전원부(300)는 외부 전원 연결 단자(315)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구동모터(100), 히터부(160), 제어부(270) 등에 공급한다.
이때, 외부 전원 연결 단자(315)는 메인 스위치(310)에 의해 온/오프 될 수 있다. 외부 전원 연결 단자(315)와 메인 스위치(310)는 후면 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부(160) 외부에 단열부재(17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재(170)는 히터부(160)의 외주면으로 배출되는 열로 인한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히터부(160)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안착되어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재(170)는 약500℃의 열에도 변형 또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 조작버튼 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버튼을 통해 설정된 히터부(160)의 설정온도로 히터부(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온도센서(180)에서 입력되는 히터부(160)의 온도를 통해 히터부(160)의 온도를 설정온도 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온도제어를 하지 않을 경우, 릴레이(350)에서 자동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350)는 온도센서(180)에서 입력되는 온도를 통해 발열봉(165)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릴레이(350)는 발열봉(165)에 공급되는 전력공급 시간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감속기(110)를 통해 이송 스크류(1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시간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라멘트 배출량에 상응하여 필라멘트가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면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필라멘트 배출량을 구동시간, 히터부(160)의 온도 및 이송 스크류(130)의 회전수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10m 길이의 필라멘트를 배출한다고 가정할 때, 히팅부(160)의 기준 온도와 이송 스크류(130)의 기준 회전수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시간을 계산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히팅부(160)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이송 스크류(130)의 회전수가 줄어들면 동작 시간을 더 늘려 동작시키고, 반대일 경우 동작 시간을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필라멘트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라멘트 가이드(320)는 전면 플레이트(230)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배출부(150)에서 배출되는 필라멘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필라멘트 가이드(320)는 배출부(150)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라멘트 가이드(3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삼각형 모양이며, 필라멘트가 유입되는 유입면은 내측으로 굴곡진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 가이드(320)는 배출된 필라멘트가 다른 장치, 예를 들면, 회수기 또는 필라멘트 와인더 등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유입면 끝단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카메라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90)는 배출되는 필라멘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카메라부(190)는 전면 플레이트(230)의 외부에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배출부(150)의 상부에 설치된다. 카메라부(190)는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270)에 제공하거나, 별도의 외부 영상 인식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필라멘트의 두께가 설정된 두께에 비해 크거나 작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필라멘트 두께 오류에 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필라멘트의 표면 상태 등을 판독하여 오류에 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오류 정보는 알람 등을 발생시키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상부 플레이트(240)에 이송 스크류(130)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 스위치들(282, 284)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스위치들(282, 284)은 히터부(160)를 구동하기 위한 보조 스위치(282)와 구동모터(100)를 구동시키는 보조 스위치(284)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스위치(310)가 턴온되어도 상기 보조 스위치들(282, 284)이 턴온되지 않을 경우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가 동작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재료를 필라멘트 형태로 재가공하여 3D 프린터에서 사용하고 남은 재료들 또는 폐기되는 3D 프린터 성형물들을 재활용 할 수 있다.
또한,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는 재료 투입시 자동으로 필라멘트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작동이 정지되어 품질이 우수한 필라멘트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구동모터
110: 감속기
120: 재료 투입부
125: 지지 프레임
130: 이송 스크류
140: 이송 스크류 커버
150: 배출부
155: 중공부
157: 팁
160: 히터부
165: 발열봉
170: 단열부재
180: 온도센서
190: 카메라부
200: 케이스
205: 바퀴
207: 손잡이
210: 하부 플레이트
220: 후면 플레이트
230: 전면 플레이트
240: 상부 플레이트
245: 개구부
250, 260: 측면 플레이트
270: 제어부
282, 284: 보조 스위치
300: 전원부
310: 메인 스위치
315: 외부 전원 연결 단자
320: 필라멘트 가이드
350: 릴레이

Claims (8)

  1. 투입되는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재료 투입부;
    상기 재료 투입부의 하부에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재료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 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로부터 이송된 상기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를 녹여 일정한 두께의 필라멘트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 내부의 상기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를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설정된 온도를 제어하거나, 설정된 양의 필라멘트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이송 스크류의 배출부측 노출된 부분을 막아 상기 3D 프린터 재활용 재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송 스크류 커버;
    상기 재료 투입부, 이송 스크류, 구동모터, 히터부 및 이송 스크류 커버를 내재하며, 상기 구동모터 또는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측면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필라멘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케이스 외부에 상기 배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필라멘트를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필라멘트가 유입되는 유입면이 내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유입면의 끝단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필라멘트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필라멘트의 두께가 설정된 두께에 비해 크거나 작을 경우 상기 필라멘트의 두께 오류를 알리고,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필라멘트 표면 상태를 판독하여 오류 정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히터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되는 발열봉; 및
    상기 발열봉을 내재하며, 상기 배출부의 주변을 원통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봉 또는 상기 배출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발열봉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탈착되어 상기 필라멘트의 두께를 결정하는 팁을 더 포함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의 외부에 형성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KR1020150083179A 2015-06-12 2015-06-12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KR101582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9A KR101582609B1 (ko) 2015-06-12 2015-06-12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9A KR101582609B1 (ko) 2015-06-12 2015-06-12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609B1 true KR101582609B1 (ko) 2016-01-05

Family

ID=5516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79A KR101582609B1 (ko) 2015-06-12 2015-06-12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5947A1 (ko) * 2016-05-12 2017-11-16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조형 용융액을 토출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90095037A (ko) * 2018-02-06 2019-08-14 홍종훈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9083B2 (ja) * 1993-02-09 1999-12-13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押出機の監視方法及び装置
KR101118584B1 (ko) * 2010-02-26 2012-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금형 사출성형기
CN203449610U (zh) * 2013-09-09 2014-02-26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可循环使用打印基材的3d打印机
CN104139472A (zh) * 2014-08-05 2014-11-12 成都思维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的废料回收装置及回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9083B2 (ja) * 1993-02-09 1999-12-13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押出機の監視方法及び装置
KR101118584B1 (ko) * 2010-02-26 2012-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금형 사출성형기
CN203449610U (zh) * 2013-09-09 2014-02-26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可循环使用打印基材的3d打印机
CN104139472A (zh) * 2014-08-05 2014-11-12 成都思维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的废料回收装置及回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5947A1 (ko) * 2016-05-12 2017-11-16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조형 용융액을 토출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90095037A (ko) * 2018-02-06 2019-08-14 홍종훈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KR102042913B1 (ko) * 2018-02-06 2019-11-08 홍종훈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2024B2 (en) Multi-extruder
JP2018528109A (ja) 3d印刷装置
CN106493941B (zh) 一种可快速更换打印喷头的熔融沉积型3d打印机
US9527245B2 (en) Method of 3D printing
US6022207A (en) Rapid prototyping system with filament supply spool monitoring
KR101582609B1 (ko) 3d 프린터 재료 재활용 장치
US20150331412A1 (en) Material processing unit controlled by rotation
CN206367193U (zh) 一种可快速更换打印喷头的熔融沉积型3d打印机
US9878481B2 (en) Extruder for three-dimensional printers
CN104552944A (zh) 一种可实现在线合金化的3d打印配料挤出装置
US106110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 into an object using at least one of an additive and subtractive process, powered by renewable, non-renewable, or internal energy devices, and controlled remotely by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command, and wireless network controllers
KR20180001044U (ko) 휴대용 3차원 드로잉 장치
KR101887928B1 (ko) 3차원 프린터 헤드, 3차원 프린터 및 3차원 프린팅 펜
KR20150126120A (ko) 3 d 프린터용 재료공급장치 및 재료공급방법
KR101719245B1 (ko) 3 d 프린터용 재료공급장치 및 재료공급방법
WO2016030761A2 (en) Method of 3d printing and pen therefor
JP2018051917A (ja) 3dプリンタ
EP3468766A1 (en) Fused deposition modeling filament production apparatus
US20200316858A1 (en) Device for producing skin care pack using hydrog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2138437A (ja) 3dプリンタ
WO2019078870A1 (en) TEMPERATURE MONITOR OF BUILDING CHAMBER
KR101829402B1 (ko) 로터리부를 구비하는 3d 프린터
KR101838098B1 (ko) 고온 가열 디스펜싱 시스템
JP7491171B2 (ja) 三次元造形装置
JP5908384B2 (ja) 射出成形機の管理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