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345B1 - 교대부양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교대부양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345B1
KR101582345B1 KR1020130147947A KR20130147947A KR101582345B1 KR 101582345 B1 KR101582345 B1 KR 101582345B1 KR 1020130147947 A KR1020130147947 A KR 1020130147947A KR 20130147947 A KR20130147947 A KR 20130147947A KR 101582345 B1 KR101582345 B1 KR 10158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outlet
rotation
branch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859A (ko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Priority to KR102013014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3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교대부양 밸브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교대부양 밸브장치는: 에어공급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럭 및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해 에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복수구획되는 매트리스를 교대부양시키는 작동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대부양 밸브장치{AIR FLOATING VALVE DEVICE}
본 발명은 교대부양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매트리스를 교대부양 시킬 수 있는 교대부양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마비환자 등 자력 거동이 불가능한 중환자는 하루의 대부분을 누워서 지내거나 또는 휠체어에 앉아 보내며, 간병인의 도움으로 생활하고 있다.
그런데, 장시간 누워있거나 앉아있다보면, 등이나 엉덩이 부위 등 바닥과 닿는 부분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작용되어 모세혈관의 폐색상태가 지속됨으로써 피부조직에 피가 통하지 않게 되어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
욕창의 형성에는 병변 부위에 작용하는 응력과 이러한 응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영향을 미치는데, 초기엔 피부표피에 손상은 없으나 변색되며, 진행될수록 피부표피조직에 상처가 생기기 시작해 하부조직인 진피가 손상될 수도 있고, 심한 경우 피하지방층이나 심지어는 근육과 골조직까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환자에게 큰 고통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일단 욕창이 발생한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 특성상 회복속도가 더디며 신체치유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의 경우 회복속도가 더욱 더디게 되어 일단 발병하게 되면 회복이 어렵고 상처가 악화되기 쉬워 치료에 드는 경제적 손실은 물론 환자의 사망까지 야기할 수 있어 사회적 손실이 매우 크다.
이러한 욕창을 방지하고자, 최근에는 욕창 방지 용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대표적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환자의 신체를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방석이나 매트리스 및 공기패드가 복수구획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인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공기패드가 교대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교대 부양기능으로 인체 피부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접촉압력을 감소시켜 장기간 한 지점의 조직에 과다한 접촉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작된 교대부양식 매트리스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54597호(등록일:2004.06.16)에는 "교대부양 일자형 튜브 매트리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구조로 복수구획된 매트리스를 교대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대부양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리스의 교대부양시 복수로 구획된 각 셀이 2대1 교대부양이 가능하여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교대부양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는: 에어공급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럭 및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복수구획되는 매트리스를 교대부양시키는 작동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회전블럭은 밀착부재에 의해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유로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회전블럭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구의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기유로와, 상기 분기유로와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상기 매트리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입출구 및 상기 회전블럭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출구와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상기 매트리스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구는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구비되며, 상호 12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유로는 상기 주입구와 대응되는 연통구와, 상기 연통구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입출구 중 어느 하나에 일치되는 단분기유로 및 상기 입출구 중 다른 입출구에 일치되는 장분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분기유로와 동일 반경에 위치되며, 상기 단분기유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양 밸브장치.
본 발명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는 단일구조로 이루어지며, 회전블럭이 회전되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복수구획된 매트리스를 교대로 팽창과 수축시킬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매트리스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입출구가 120°간격으로 배치되고,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해 분기유로와 배출구가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교대부양시 복수로 구획된 각 셀이 2대1 교대부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작동유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개략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작동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작동유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개략도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의 작동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100)는 베이스부(110), 회전블럭(120) 및 작동유로(150)를 포함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100)는 복수개의 셀(25)로 이루어지는 매트리스(20)에 에어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공급하여 교대부양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며, 전장부(미도시)내에 구비되며, 전장부의 외측에는 기기 조작을 위한 조작부재가 설치되며, 별도의 모니터 부재도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에어공급부(10)와 연결된다. 베이스부(110)는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면에는 전장부에 고정되도록 고정브라켓(112)이 형성된다.
회전블럭(120)은 베이스부(110)에 구비되어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부(130)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회전블럭(120)을 회전시킨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를 중심으로 베이스부(110)의 일면에는 구동부(130)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회전블럭(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부(130)의 회전축(132)은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회전블럭(120)에 고정된다. 구동부(130)의 회전축(132)은 베이스부(110)와 회전블럭(120)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회전블럭(120)의 상부로 노출된 회전축(132)의 단부에는 고정핀(135)이 고정되어 회전블럭(120)이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때 회전블럭(120)의 상면에는 고정핀(135)이 안착되는 안착홈(122)이 형성되어 회전블럭(120)과 회전축(132)은 견고히 고정되고, 정확한 회전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0)와 회전블럭(120)은 밀착부재(14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다. 밀착부재(14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구동부(130)의 회전축(132)에 회전블럭(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부(130)와 베이스부(110) 사이에는 밀착부재(140)가 구비되어 밀착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부(110)가 회전블럭(120)에 가압되면서 베이스부(110)와 회전블럭(120)의 내부가 밀폐된다.
베이스부(110)와 회전블럭(120)에는 작동유로(150)가 구비되어 에어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매트리스(20)에 분배하여 공급한다.
작동유로(150)는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의해 에어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복수구획되는 매트리스(20)를 교대부양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10)에 형성되어 에어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151)와, 회전블럭(120)에 구비되어 주입구(151)의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기유로(152)와,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따라 분기유로(152)와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매트리스(20)에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입출구(156) 및 회전블럭(120)에 구비되어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따라 입출구(156)와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매트리스(20)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57)를 포함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로(150)는 베이스부(110)와 회전블럭(120)의 마주하는 면에 함몰 형성되어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따라 에어공급부(10)에서 전달되는 공기를 입출구(156)를 통해 주입할 수도 있고,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때, 베이스의 입출구(156)는 베이스부(110)의 둘레면으로 연장되며, 별도의 배관에 의해 매트리스(20)의 각 셀(25)과 연결된다(도 5참조).
주입구(151)는 베이스부(110)의 중앙부에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입출구(156)는 베이스부(110)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구비되며 상호 120°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베이스부(110)에는 3개의 입출구(156)가 구비된다.
그리고, 분기유로(152)는 주입구(151)와 대응되는 연통구(153)와, 연통구(153)에 연장 형성되며, 입출구(156) 중 어느 하나에 일치되는 단분기유로(155) 및 입출구(156) 중 다른 입출구(156)에 일치되는 장분기유로(154)를 포함한다. 장분기유로(154)는 입출구(156)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단분기유로(155)와 장분기유로(154)는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의해 입출구(156)와 순차적으로 일치된다.
또한, 배출구(157)는 분기유로(152)와 동일 반경에 위치되며, 단분기유로(15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배출구(157) 또한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의해 입출구(156)와 순차적으로 일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의해 입출구(156)와 분기유로(152)가 일치되면 주입구(151)의 공기가 입출구(156)를 통해 주입되어 매트리스(20)의 셀(25)로 공급되고, 배출구(157)가 입출구(156)와 일치되면 배출구(157)를 통해 매트리스(20) 셀(25)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교대부양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어느 하나의 입출구(156)가 배출구(157)와 일치된 상태에서 다른 입출구(156)는 분기유로(152)와 일치되므로 2대1 교대부양이 가능하다.
이때, 배출구(157)는 단분기유로(15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출구(157)가 입출구(156)와 분기유로(152)보다 짧은 시간을 일치되므로 배출 배기량을 늘릴 수 있는 구성이다. 배출구(157)는 배출 배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복수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장부의 전원이 인가되고, 조작부재에 의해 작동시키면, 에어공급부(10)로부터 공기가 베이스부(110)에 공급된다. 그리고, 구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블럭(120)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베이스부(110)에 공급된 공기는 베이스부(110) 내부의 주입구(151)로 공급되고, 주입구(151)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블럭(120)의 분기유로(152)로 공급된다.
분기유로(152)는 주입구(151)와 대응되는 연통구(153)와 연통구(153)와 연결되어 연통구(153)의 둘레에 형성되는 하나의 단분기유로(155)와 두개의 장분기유로(154)로 이루어져 연통구(153)에서 전달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이러한 단분기유로(155)와 장분기유로(154)는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부(110)에 구비되는 입출구(156)에 일치되어 매트리스(20)의 각 셀(25)에 공기를 주입한다. 또한, 단분기유로(155)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배출구(157)도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의해 입출구(156)와 일치되어 매트리스(20) 셀(25)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켜 매트리스(20)의 교대부양이 가능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입구(15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블럭(120)의 연통구(153)로 전달되고, 연통구(153)와 연결된 각각의 분기유로(152)로 전달된다. 이때, 장분기유로(154)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로 이루어져 입출구(156)에 공기를 길게 주입하고, 단분기유로(155)는 입출구(156)에 공기를 짧게 주입한다. 그리고, 단분기유로(15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배출구(157)는 입출구(156)와 일치시 내부 압력에 의해 셀(25)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즉, 입출구(156)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120°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2개의 입출구(156)를 통해 에어공급부(10)의 공기를 주입하고, 1개의 입출구(156)는 배출구(157)를 통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이러한 공기 주입과 배출은 회전블럭(120)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매트리스(20)의 각 셀(25)은 상호 2 대 1 교대부양을 하게 된다.
배출구(157)는 단분기유로(155)의 양측에 한쌍으로 이루어지므로 배기량을 증대할 수 있어 주입량에 대응할 수 있으며, 2 대 1 교대부양이 가능하므로 1 대 1 교대부양에 비해 매트리스(20)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므로써, 안락한 사용이 가능하다.
베이스부(110)와 회전블럭(120)은 밀착부재(140)에 의해 긴밀히 밀착될 수 있어 작동유로(150)를 제외한 다른 부위의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핀(135)의 제거로 베이스부(110)와 회전블럭(120)을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부양 밸브장치에 의하면, 단일구조로 이루어지며, 회전블럭이 회전되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복수구획된 매트리스를 교대로 팽창과 수축시킬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복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매트리스에 공기가 주입, 배출되는 입출구가 120°간격으로 배치되고,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해 분기유로와 배출구가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교대부양시 복수로 구획된 각 셀이 2대1 교대부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교대부양 밸브장치 110 : 베이스부
112 : 고정브라켓 120 : 회전블럭
122 : 안착홈 130 : 구동부
132 : 회전축 135 : 고정핀
140 : 밀착부재 150 : 작동유로
151 : 주입구 152 : 분기유로
153 : 연통구 154 : 장분기유로
155 : 단분기유로 156 : 입출구
157 : 배출구

Claims (6)

  1. 에어공급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럭 및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복수구획되는 매트리스를 교대부양시키는 작동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로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회전블럭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구의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기유로;
    상기 분기유로와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상기 매트리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입출구; 및
    상기 회전블럭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출구와 선택적으로 일치되어 상기 매트리스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구는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구비되며, 상호 120°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기유로는 상기 주입구와 대응되는 연통구;
    상기 연통구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입출구 중 어느 하나에 일치되는 단분기유로; 및
    상기 입출구 중 다른 입출구에 일치되는 장분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분기유로와 동일 반경에 위치되며, 상기 단분기유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단분기유로, 상기 배출구와 연이어 일치되어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입출구 중 다른 입출구는 상기 장분기유로와 일치되어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매트리스의 복수로 구획된 각 셀은 2 대 1 교대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양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회전블럭은 상기 베이스부를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블럭으로 밀착하는 밀착부재에 의해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부양 밸브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147947A 2013-11-29 2013-11-29 교대부양 밸브장치 KR10158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47A KR101582345B1 (ko) 2013-11-29 2013-11-29 교대부양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47A KR101582345B1 (ko) 2013-11-29 2013-11-29 교대부양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59A KR20150062859A (ko) 2015-06-08
KR101582345B1 true KR101582345B1 (ko) 2016-01-04

Family

ID=5350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947A KR101582345B1 (ko) 2013-11-29 2013-11-29 교대부양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3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926B2 (ja) * 1993-04-13 1998-02-18 株式会社テクノ高槻 ロータリー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29U (ja) * 1984-06-23 1986-01-22 木村寝台工業株式会社 褥瘡予防用空気マツトの切換送排気機構
JPH0388067U (ko) * 1989-12-27 1991-09-09
JPH102435A (ja) * 1996-06-18 1998-01-06 Yunibaasu:Kk エアーマット用のロータリー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926B2 (ja) * 1993-04-13 1998-02-18 株式会社テクノ高槻 ロータリー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59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844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cubitus ulcers for a patient due to interface of the patient with an air-powered low interface pressure overlay
US11058603B2 (en) Mattress system
CA2618630C (en) Therapeutic mattress
US8231561B2 (en) Under cast air sleeve
US2010019812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ubitus ulcer prevention and treatment
US20140007353A1 (en) Patient turner
CA2884189A1 (en) Self-powered microclimate controlled mattress
US9907719B2 (en) Air fluidized mattress
CN103340724A (zh) 一种医用充气床垫
KR101582345B1 (ko) 교대부양 밸브장치
AU2011240657B2 (en) Therapeutic mattress system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KR101174025B1 (ko) 욕창예방용 교대부양 메트리스의 공기압 공급장치
CN203852517U (zh) 预防保健褥疮床垫
KR100904625B1 (ko)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의 건조장치
CN209713464U (zh) 一种临床护理气垫
US20210259899A1 (en) Mattress system
CN216496211U (zh) 一种调压式防褥疮气垫
CN219700367U (zh) 一种护理垫结构
KR200168377Y1 (ko) 욕창방지용 유체매트리스
CN219289986U (zh) 一种左右波动控制型气垫床
CN213723087U (zh) 一种防压疮水气垫
TWI622369B (zh) 氣墊床系統
CN216676210U (zh) 一种俯卧位通气垫
CN210812077U (zh) 可翻身的气垫床
JP2014223264A (ja) エアセル本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ア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