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924B1 -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924B1
KR101581924B1 KR1020150097896A KR20150097896A KR101581924B1 KR 101581924 B1 KR101581924 B1 KR 101581924B1 KR 1020150097896 A KR1020150097896 A KR 1020150097896A KR 20150097896 A KR20150097896 A KR 20150097896A KR 101581924 B1 KR101581924 B1 KR 10158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compressor
lukewar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준
Original Assignee
최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준 filed Critical 최승준
Priority to KR102015009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 제빙, 냉장, 냉동, 냉방 등을 위한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의 구성 중 압축기 또는 응축기와 접촉·열교환하여 미가열수가 미온수로 가열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어 온수로 활용되거나 그대로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를 거쳐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한 냉각부; 미가열수 공급부; 및 상기 냉각부의 압축기 또는 응축기, 또는 이들 모두와 미가열수 공급부가 접촉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한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GRE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HOT-WATER SUPPLY PART}
본 발명은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 제빙, 냉장, 냉동, 냉방 등을 위한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의 구성 중 압축기 또는 응축기와 접촉·열교환하여 미가열수가 미온수로 가열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어 온수로 활용되거나 그대로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정수기나 냉온수기 등의 음용수 공급장치에서는 상비 냉온수 생성에 전력소모가 크며, 특히 온수 생성을 위한 히터 가동은 전기요금 상승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어 다양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다양한 에너지 절감형 그린 음용수 공급과 관련된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31384호(등록일자 1998년09월15일) [소형흡수식 냉난방겸용 냉온수기]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냉난방겸용 냉온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에 열전달효율이 우수한 판형의 열교환부품을 설치하여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를 꾀함과 동시에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소형흡수식 냉난방겸용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재생기와, 이 재생기에서 발생된 증기와 액체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이 분리기에서 분리된 증기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생성하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부터 생성된 냉매에 의해 냉기 또는 냉수를 생성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에서 생성된 작동유체를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체에 흡수시켜 재생기로 복귀시키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냉난방겸용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에는 2매의 판에 상호 대응하는 올록볼록한 요철부를 형성하여 단면으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판의 어느 마주보는 양단부에 상호 밀착되는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상호 용접으로 결합한 열교환부품을 다수 매의 쌍으로 상호 밀착시켜 병렬되게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등록고안은 냉온수기 자체의 온수생성 방식과 관련된 에너지 절감 효율 개선과는 무관한 것이다.
또 특허등록 제10-0357463호(등록일자 2002년10월07일) [김치냉장고에 구비된 정수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김치저장 및 식수의 냉각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동일한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는 김치 냉장고와 냉온정수기를 일체화한 김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김치 냉장고의 냉각 시스템은 압축기의 기체 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1 및 제 2모세관을 통과한 냉매가 가스 상태로 변환되는 제 1 및 제 2증발기와, 냉장고 및 정수기의 냉각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증발기에 선택적으로 냉매를 보내는 솔레노이드 밸브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등록특허 역시 정수기 자체의 온수생성 방식과 관련된 에너지 절감 효율 개선과는 무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10-1041608호(등록일자 2011년06월08일) [폐열을 이용한 절전형 음수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물을 가열살균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폐열을 이용한 절전형 음수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와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를 구비하는 음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공급부는 원수가 공급되는 제1공급관과 냉수배출관이 마련된 냉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탱크의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냉수탱크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수탱크를 수용하고 상기 제1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냉수탱크의 물을 냉각시키는 것으로 원수가 공급되는 제2공급관이 마련되고 상기 제2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순환되는 순환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온수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제3공급관과 온수배출관이 마련된 온수탱크와, 상기 제3공급관을 통해 상기 온수탱크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제2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기술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 냉각함으로써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가열된 냉각탱크 내부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제1열교환기 외에도 냉각탱크를 감싸도록 형성된 순환탱크에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대용량의 물을 냉각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정용 또는 사무실용 정수기기 또는 냉온수기에 대한 절전 효율 향상 기술과는 무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특허등록 제10-1325878호(등록일자 2013년10월30일)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소비전력이 작고 자연친화적인 냉매를 사용하는 절전형 정수기 시스템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전면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며, 냉수조를 구비하는 저장조; 자연친화적인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고효율의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조의 외측과 동배관이 접촉되어 상기 냉수조에 저수된 물과 냉매가 간접적으로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냉수조 내에 저수된 물이 냉각되는 냉각 시스템; 및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가 진공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의 단면적이 상기 내벽체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구비된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체의 내부에 구비된 열선에 의해 상기 내벽체 내부에 저수된 물이 가열되는 온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등록특허는 보다 효율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온수 생성 방식의 제시에까지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냉수, 제빙, 냉장, 냉동, 냉방 등을 위한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의 구성 중 압축기 또는 응축기와 접촉·열교환하여 미가열수가 미온수로 가열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어 온수로 활용되거나 그대로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열교환 온수생성부의 열교환부가 압축기의 돔커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1접촉부로 구성된 제1열교환부로 하고, 추가로 응축기와 액화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2접촉부로 구성된 제2열교환부로 구성하여, 열교환 및 가열의 최적화 및 극대화가 가능하도록 한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가열수 공급부를 정수탱크, 냉수탱크, 온수탱크와 별도의 미온수탱크로 구성하고, 제1접촉부를 이 탱크의 리세스보텀으로 구성하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고 정수기 등의 케이스 내 컴팩트한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일 케이스 내에 컴팩트한 구성을 유지하고 기존 정수기나 냉온수기의 배열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미온수탱크를 비롯한 열교환 온수생성부가 압축기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진부를 추가 구성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를 거쳐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한 냉각부;
미가열수 공급부; 및
상기 냉각부의 압축기 또는 응축기, 또는 이들 모두와 미가열수 공급부가 접촉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한 열교환 온수생성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상기 열교환 온수생성부의 열교환부는 압축기의 돔커버 및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1접촉부로 구성된 제1열교환부를 갖고,
상기 열교환 온수생성부의 열교환부는 응축기의 액화관 및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2접촉부로 구성된 제2열교환부를 가지며,
상기 미가열수 공급부는 미온수탱크를 포함하고, 제1접촉부는 미온수탱크의 리세스보텀이고,
미온수탱크의 미가열수 인입관 또는 배출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진동흡수관을 포함하는 방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수, 제빙, 냉장, 냉동, 냉방 등을 위한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의 구성 중 압축기 또는 응축기와 접촉·열교환하여 미가열수가 미온수로 가열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어 온수로 활용되거나 그대로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또 열교환 온수생성부의 열교환부가 압축기의 돔커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1접촉부로 구성된 제1열교환부로 하고, 추가로 응축기와 액화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2접촉부로 구성된 제2열교환부로 구성하여, 열교환 및 가열의 최적화 및 극대화가 가능하며, 나아가 미가열수 공급부를 정수탱크, 냉수탱크, 온수탱크와 별도의 미온수탱크로 구성하고, 제1접촉부를 이 탱크의 리세스보텀으로 구성하여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고 정수기 등의 케이스 내 컴팩트한 배치가 가능하고, 아울러 방진부의 추가 구성을 통하여 단일 케이스 내에 컴팩트한 구성을 유지하고 기존 정수기나 냉온수기의 배열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미온수탱크를 비롯한 열교환 온수생성부가 압축기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에 대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A)는 냉각싸이클을 이루는 냉각부(10), 미가열수 공급부(w), 열교환 온수생성부(20)로 구성되며, 기본적으로 필터(F)를 구비한 정수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냉각부(10)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11), 응축기(13), 모세관(15), 증발기(17)가 연결 구성된다.
냉각부(10)는 구체적으로 통상의 압축식 냉동장치의 구성을 따르며, 액체 냉매가 증발할 때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팽창된 가스를 압축하여 압력과 온도를 높이고 그 열을 다시 제거하여 가스를 다시 액화시키는 행정을 반복한다.
압축행정을 위한 압축기(11)는 상온에서 액화하기 쉬운 고온·고압의 냉매로 만드는 것으로(예: 상온(30 ℃)·저압기체(0 kg/㎠) ⇒ 고온(80~120 ℃)·고압 기체화(8~12kg/㎠)),
활발한 냉매의 증발을 위하여 저압의 냉매를 압축기에 흡입 후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에 의해 압축하여 쉽게 액화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이어서 응축행정을 위한 응축기(13)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체로 만들며(예: 고온(80~120℃)·고압 기체(8~12kg/㎠) ⇒ 상온(40~60℃)v고압 액체화(8~12kg/㎠)),
압축가스를 냉각하여 응축·액화시키는 열교환기이다.
팽창행정을 위한 모세관(15)은 냉매를 증발하기 쉽도록 저압으로 만들며(예: 상온(40~60℃)·고압 액체(8~12kg/㎠) ⇒ 저온(-30℃)·저압 액체화(0kg/㎠)),
액화된 고압의 냉매를 증발기에 보내기 전에, 증발하기 쉬운 상태까지 압력을 낮추어 주는 감압 작용을 함과 동시에 냉매액의 유량을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증발행정을 위한 증발기(17)는 냉매가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면서 열을 빼앗는데(예: 저온(-30℃)·저압 액체(0kg/㎠) ⇒ 저온(-30℃)·저압 기체화(0kg/㎠)),
증발기(냉각기)내부의 저압의 냉매가 기화하는 동안 냉매의 증발 잠열에 의하여 냉각기 주위에 있는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다.
이러한 증발기는 정수기나 냉온수기에서 냉수탱크(T1)의 외부를 감싸는 코일형 튜브(17)나 냉수탱크에 내장된 튜브일 수 있고, 냉장고나 냉동고에서는 저장 공간을 감싸는 지그재그형 냉매 유통 튜브일 수 있다.
또 증발기는 실내 공기의 냉방을 위한 에어컨디셔너의 실내기이거나, 특허등록 제10-0729962호(등록일자 2007년06월13일)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 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에 제시된, 얼음정수기를 위한 복수의 제빙돌기를 갖는 제빙수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냉수, 제빙, 냉장, 냉동, 냉방 등을 위한 통상의 냉각사이클을 이루는 냉각부(10)를 이용한 열교환 온수생성부(20)는
정수기에서 수도시설 등의 원수공급부(W) 및 필터(F)를 거쳐 정수탱크(T0)에 저장된 물을 공급관을 이용하여 공급받거나(미가열수 공급부(w)), 냉온수기의 물통에서 생수를 공급받거나, 기타 다양한 미가열수 공급부(w)를 갖는다.
이러한 열교환 온수생성부의 열교환부에 배열되는 미가열수 공급부는 단순한 관로이거나 별도의 탱크, 즉 미온수탱크(T3)일 수 있다.
또 열교환 온수생성부(20)를 이루는 열교환부는 냉각부(10)의 압축기(11) 또는 응축기(13), 또는 이들 모두와 미가열수 공급부가 '접촉'하는 위치에 배열되는바, 여기서 '접촉'은
압축기(11)의 하우징이나 응축기(13)의 액화관(13a)과 미가열수 공급부의 관로 또는 미온수탱크(T3)가 직접 접촉하거나(제1접촉형태),
별도로 개재된 열전도체를 매개로 하여 접촉하거나(제2접촉형태),
미가열수 공급부의 관로 또는 미온수탱크(T3) 내에 압축기 또는 응축기가 연결된 냉매관이 관통 배열되는 형태로 접촉(제3접촉형태)하여
냉매의 열에 의하여 미가열수가 열교환하면서 가열되어 미온수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서 열교환 온수생성부(20)의 열교환부는 압축기(11)의 돔커버(11A) 및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1접촉부(20a)로 구성된 제1열교환부(20A), 특히 미가열수 공급부를 구성하는 미온수탱크(T3)의 리세스보텀(21A)으로 제1접촉부(20a)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열교환부(20A)의 제1접촉부(20a)는 압축기(11)의 금속소재 돔(dome)커버(11A)와 금속소재 미온수탱크(T3)의 리세스(recess)보텀(bottom)(21A)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상시 접촉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까지 소정 정도 흡수할 수 있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밀착패드(21C)일 수 있고,
이 밀착패드는 상기 제2접촉형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밀착패드는 도전성 분말을 함유하거나 열전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미온수탱크와 압축기의 조립·접촉상태 유지를 위하여 일면 또는 양면이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 온수생성부(20)의 열교환부는 응축기(13)의 액화관(13a) 및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w)의 제2접촉부로 구성된 제2열교환부, 특히 미온수탱크(T3)의 측벽부(21B)로 제2열교환부(20B)의 제2접촉부(20b)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미온수탱크(T3)의 측벽부(21B)인 제2열교환부(20B)의 제2접촉부(20b)는 상기 제1접촉형태에 해당한다.
한편, 제3접촉형태는 예를 들어 온수탱크(T2)에 내장된 히터(H)와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 내지 제1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미온수탱크(T3)의 리세스보텀(21A)과 압축기(11)의 돔커버(11A)는 정수기나 냉온수기 등의 일반적인 냉각부(10)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케이스 내 컴팩트한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통상의 정수기와 같이 정수탱크(T0)에는 넘침방지 밸브(V)(예: 플로트(float)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등)가 구비되며, 냉수탱크(T1)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코크(C1)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고,
온수탱크(T2)는 히터, 특히 내장 히터(H)를 통하여 73~90℃로 가열된 온수를 제공하며 온수코크(C2)를 통하여 온수 배출이 이루어진다.
또 냉각부(10)의 응축기(13)는 미온수탱크(T3)의 측벽(21B)을 감싸는 부응축부(13B)만으로 구성되거나,
응축 효율성, 즉 냉매의 액화 효율성을 위하여 기존 정수기 등의 구성과 같이 케이스 외부 후면에 설치되는 주응축부(13A)를 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A)는 열교환 온수생성부(20)가 압축기(11)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진부(23)를 추가 구성하였다.
이 방진부(23)는 먼저 미온수탱크(T3)의 미가열수 인입관(21a) 또는 미온수 배출관(21b),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진동흡수관(23F,23f)으로 구성된다.
또 도 2의 하부 좌측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부(23)는 냉각부(10) 압축기(11)의 돔커버(11A) 상부에 위치한 미온수탱크(T3)의 지지를 위한 다리, 특히 방진다리(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진다리(23A)는 2~5개일 수 있고, 압축기(11)의 고정 다리(방지다리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같은 수의 다리일 수 있다) 하단의 방진패드(11B)와 중첩된 방진발(23b)이 단부마다 구비되어 있고,
방진패드(11B)와 방진발(23b)(이 둘은 고무, 실리콘, 기타 쿠션 재질로 구성됨)은 앵커볼트(23c)를 이용하여 정수기 등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방진다리(23A)는 각각 중간에 방진스프링(23a)을 구비하고 있어, 방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의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A)는 정수탱크(T0)가 생략되어 있고, 원수공급부(W) 및 필터(F)를 거쳐 직접 미가열수 공급부(w)를 구성하는 배관이 미온수탱크(T3)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가압펌프 없이도 온수 또는 미온수 코크(C2,C3)의 수압이 향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미온수탱크(T3)의 넘침방지를 위하여 미온수 인입관(21a)에는 별도의 밸브(V)가 구비되어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미온수탱크(T3)의 미온수(35~65℃)가 직접 배출할 수 있도록 미온수코크(C3)가 구비되며,
미온수탱크의 미온수는 조절밸브(21v)(삼방밸브나 기타 솔레노이드밸브, 정수기 등의 전면 노출 조절 버튼에 의하여 조작 가능)의 방향전환에 따라 미온수코크(C3) 또는 온수탱크(T2)로 공급된다.
미온수 배출관(21b)은 조절밸브(21v)를 거쳐 온수탱크(T2) 저면의 커브형 유입노즐(Tn)로 이어져 있다.
한편, 상기 미온수탱크(T3)의 리세스보텀(21A)과 압축기(11)의 돔커버(11A)는 접촉면적 확대와 결합상태의 안정성 보장을 위하여 도 2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개략도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형성된 요(凹)부(21c) 및 철(凸)부(11c)를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요철 위치, 형상,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형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정수기, 냉온수기, 냉각부 및 이의 냉각사이클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성을 갖는 냉각부, 열교환 온수생성부, 그리고 정수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음용수 공급장치 T0: 정수탱크
T1: 냉수탱크 T2: 온수탱크
T3: 미온수탱크 C1,C2,C3: 코크
10: 냉각부 11: 압축기
13: 응축기 15: 모세관
17: 증발기
20: 열교환 온수생성부 20A,20B: 열교환부
20a,20b; 접촉부 21A: 리세스보텀
21B; 측벽부 23: 방진부

Claims (4)

  1.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를 거쳐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한 냉각부;
    미가열수 공급부; 및
    상기 냉각부의 압축기 또는 응축기, 또는 이들 모두와 미가열수 공급부가 접촉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한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원수공급부(W) 및 필터(F)를 거쳐 직접 미가열수 공급부(w)를 구성하는 배관이 미온수 인입관(21a)을 거쳐 미온수탱크(T3)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미온수탱크의 미온수는 조절밸브(21v)의 방향전환에 따라 미온수코크(C3) 또는 온수탱크(T2)로 공급되며,
    미온수 배출관(21b)은 조절밸브(21v)를 거쳐 온수탱크(T2) 저면의 커브형 유입노즐(Tn)로 이어져 있고,
    미온수탱크(T3) 및 온수탱크(T2)는 각각 미온수코크(C3) 및 온수코크(C2) 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 온수생성부(20)의 열교환부는 압축기(11)의 돔커버(11A) 및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의 제1접촉부(20a)로 구성된 제1열교환부(20A)를 구비하고, 이 제1접촉부는 미가열수 공급부를 구성하는 미온수탱크(T3)의 리세스보텀(21A)이며,
    미온수탱크(T3)의 리세스보텀(21A)과 압축기(11)의 돔커버(11A)는 접촉면적 확대와 결합상태의 안정성 보장을 위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형성된 요(凹)부(21c) 및 철(凸)부(11c)를 이루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미온수탱크의 미가열수 인입관 또는 배출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진동흡수관을 포함하는 방진부를 더 포함하며, 이 방진부는
    제1열교환부(20A)의 제1접촉부(20a)는 압축기(11)의 금속소재 돔(dome)커버(11A)와 금속소재 미온수탱크(T3)의 리세스(recess)보텀(bottom)(21A)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상시 접촉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까지 소정 정도 흡수할 수 있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밀착패드(21C)를 포함하고,
    냉각부(10) 압축기(11)의 돔커버(11A) 상부에 위치한 미온수탱크(T3)의 지지를 위한 방진다리(23A)를 더 포함하며,
    이 방진다리(23A)는 압축기(11)의 고정 다리 하단의 방진패드(11B)와 중첩된 방진발(23b)이 단부마다 구비되어 있고,
    방진패드(11B)와 방진발(23b)은 앵커볼트(23c)를 포함하며,
    또 방진다리(23A)는 중간에 방진스프링(23a)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온수생성부(20)의 열교환부는 응축기(13)의 액화관(13a) 및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미가열수 공급부(w)의 제2접촉부로 구성된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고,
    제2열교환부(20B)의 제2접촉부(20b)는 미온수탱크(T3)의 측벽부(2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50097896A 2015-07-09 2015-07-09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KR10158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96A KR101581924B1 (ko) 2015-07-09 2015-07-09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96A KR101581924B1 (ko) 2015-07-09 2015-07-09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924B1 true KR101581924B1 (ko) 2015-12-31

Family

ID=5512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896A KR101581924B1 (ko) 2015-07-09 2015-07-09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9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300A (ko) * 2001-12-14 2003-06-25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에너지 절약형 온수발생장치
KR20100085259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
KR101041608B1 (ko) * 2011-03-09 2011-06-15 김덕선 폐열을 이용한 절전형 음수기
KR101336388B1 (ko) * 2011-08-29 2013-12-04 대성히트펌프 주식회사 공기열 히트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300A (ko) * 2001-12-14 2003-06-25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에너지 절약형 온수발생장치
KR20100085259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
KR101041608B1 (ko) * 2011-03-09 2011-06-15 김덕선 폐열을 이용한 절전형 음수기
KR101336388B1 (ko) * 2011-08-29 2013-12-04 대성히트펌프 주식회사 공기열 히트펌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3540A (zh) 一种热泵式制热、制冰方法和装置
CN102213504A (zh) 一种lng用于空调的系统
JP2014062701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CN101487639A (zh) 一种空冷双蒸发器热泵机组
CN201429259Y (zh) 带热回收的蒸发冷水机组
CN101482321A (zh) 超低温热泵热水器
CN201463387U (zh) 一种双循环工业冷水机组
CN201945082U (zh) 一体式工业冷水机组
KR20080093279A (ko) 연속 제상이 가능한 냉,난방 히트펌프장치
CN105371516B (zh) 二氧化碳双级冷热联供系统
CN109282397B (zh) 基于空气压缩制冷循环的新型蓄能空调装置和方法
KR101581924B1 (ko) 열교환 온수생성부를 구비한 그린 음용수 공급장치
KR100677934B1 (ko) 수축열 히트 펌프의 고온수 생산 장치
CN102434992A (zh) 一种牛奶冷却一体机组
CN201897345U (zh) 船用空调用三联型冷凝装置
CN201706769U (zh) 一种汽化热完全回收式溴化锂中央空调
CN102219270A (zh) 多功能蒸馏水机
CN207556013U (zh) 引入分离型热管以实现制冷、供暖和制备生活热水于一体的跨临界co2热泵系统
CN105865075A (zh) 一种低温热水大温差型溴化锂吸收式制冷机组
CN202511521U (zh) 一种制冷装置
CN201844566U (zh) 太阳能热泵热水器
CN201764745U (zh) 一种制冰机
CN201177406Y (zh) 一体式冰场专用冷水机组
KR20090125312A (ko) 냉난방 냉온수 시스템
CN205843119U (zh) 一种高效低温热水大温差型溴化锂吸收式制冷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