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661B1 -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661B1
KR101581661B1 KR1020140128624A KR20140128624A KR101581661B1 KR 101581661 B1 KR101581661 B1 KR 101581661B1 KR 1020140128624 A KR1020140128624 A KR 1020140128624A KR 20140128624 A KR20140128624 A KR 20140128624A KR 101581661 B1 KR101581661 B1 KR 101581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pair
contact member
groove
m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영일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일엠(주) filed Critical 영일엠(주)
Priority to KR102014012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6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접촉부재의 탈착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편심부에 접촉부재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 그냥 삽입만 하면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이 간편한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은,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이 구비된 고정부,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된 편심부 및 상기 편심부에 결합되어 마사지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편심부와 접촉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부; 상기 편심부와 접촉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 및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STRUCTURE FOR ATTACHABLE AND REMOVABLE TO CONTACT ELEMENT WITH DRIVING APPARATUS FOR MASSAGING DEVICE}
본 발명은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접촉부재의 탈착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편심부에 접촉부재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 그냥 삽입만 하면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이 간편한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사지기는 사용자의 마사지 부위에 물리적인 진동 내지 떨림을 인가하여 해당 부위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근육을 이완시킴으로써 건강 증진 및 물리 치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마사지기에는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물리적인 진동으로 변환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마사지기용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중되게 고정설치되는 편심체, 및 편심체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마사지 부위에 전달하는 전달부로 구성된다.
즉,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체가 편심 회전 운동을 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을 전달부를 통해 마사지 부위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사지기용 구동장치로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0668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마사지기용 구동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마사지기용 구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고정몸체(20), 중심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과 어긋나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편심부시(30), 상기 편심부시(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된 상태로 중심이 이동되면서 요동하고, 마사지 부위에 해당 요동을 전달하는 편심몸체(40) 및 일단부에 편심추(51)가 구비되며, 상기 편심몸체(40)의 편심 방향과 반대 방향에 상기 편심추(51)가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균형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편심부시(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몸체(40)의 중심이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운동을 하면서 요동하며, 상기 편심몸체(40)는 체결부(43)에 체결되는 별도의 접촉부재(미도시)를 통해 해당 요동을 마사지 부위에 전달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사지기용 구동장치는, 상기 체결부(43)가 너트홈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재에 볼트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른 형태의 돌기가 구비된 접촉부재로 마사지를 하기 위해서는 이미 체결되어 있는 접촉부재를 분리한 후 다른 형태의 돌기가 구비된 접촉부재를 체결하여야 하는데, 접촉부재의 탈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43)에 접촉부재가 견고하게 체결된 경우에 노약자나 여성이 접촉부재를 분리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66893호(등록일자 2011년09월16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접촉부재의 탈착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편심부에 접촉부재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 그냥 삽입만 하면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이 간편한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은,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이 구비된 고정부,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된 편심부 및 상기 편심부에 결합되어 마사지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편심부와 접촉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부; 상기 편심부와 접촉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 및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는 외주면에 원주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기부가 안내 삽입되어 내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원통형 격벽이 동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외측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기능하고,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서 배출되도록 기능하는 작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재는 원판형 베이스, 상기 원판형 베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외주면에 원주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형 베이스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편심부는 제1편심브라켓 및 제2편심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홈부는 상기 돌기부가 안내 삽입되어 내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원통형 격벽이 동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측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편심브라켓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편심브라켓은 상기 외측격벽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편심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2편심브라켓 상에 장착되며,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기능하고,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서 배출되도록 기능하는 작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수단은, 한 쌍의 작동편과 한 쌍의 가압편이 서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작동편과 가압편이 부채꼴형의 탄성 연결편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이 중심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한 쌍의 작동편이 중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편에 대한 가압 해제 시 상기 한 쌍의 작동편이 원래위치로 탄성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작동편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에는 장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방홀에는 상기 제2편심브라켓에 고정된 선형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편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의 선형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편심브라켓에 장착되는 상기 가압편의 장착면에는 선형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형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상기 제2편심브라켓의 대응면에는 선형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연결편은, 상기 가압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 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 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볼록한 제2만곡부, 상기 제2만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 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제3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만곡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만곡부와 상기 제3만곡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측에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작동편의 대응부분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접촉부재의 탈착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편심부에 접촉부재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 그냥 삽입만 하면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사지기용 구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의 접촉장치를 제외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의 접촉장치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용 구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 편심부(200) 및 접촉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00)와 편심부(200)의 연결 부분은 고무 재질의 탄성부재(400)에 의해 보호되도록 감싸진다.
먼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0), 헤드(120), 헤드캡(130), 회전축(140), 밸런스 디스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110)은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마사지기용 구동장치를 손으로 파지하고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홀(110h)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헤드(12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120)는 상기 핸들(11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핸들(110)과 나사결합을 위하여 상기 헤드(120)의 일측에는 볼트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부(121)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40)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120h)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120)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축(140)을 회전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한 쌍의 베어링(BR1)이 결합되는 부싱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부싱부(123)에 결합된 베어링(BR1)을 통해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헤드캡(130)은 상기 헤드(12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핸들(110)과 상기 헤드(12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핸들(110)을 관통하도록 내장된 플렉서블 와이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40)은 한 쌍의 베어링(BR1)을 통해 헤드(120)의 관통홀(120h) 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0)의 중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일면에는 평평한 평탄면(141)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140)의 단면 형상이 이렇게 구비되는 것은 상기 밸런스 디스크(150)와 상기 회전축(140)이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동축상에서 회전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축(140)의 일단은 상기 헤드(120)의 관통홀(120h)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전술된 플렉서블 와이어와 연결된다. 상기 헤드(120)의 관통홀(120h)에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BR1)은 스냅링(SR1)에 의해 관통홀(120h)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디스크(150)는 상기 편심부(200)가 상기 회전축(14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회전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부분으로서, 일측에 홈부(213)(151)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13)(151)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140)의 단부와 축결합되는 캠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캠부(153)는 상기 회전축(140)에 대해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캠부(153)가 편심된 측의 반대측에 대응하는 홈부(213)(151)의 내벽에는 회전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덧살부(1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밸런스 디스크(150)에 형성된 캠부(153)는 상기 회전축(140)에 대해 편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편심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편심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에 구비된 회전축(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상기 회전축(14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심브라켓(210), 제2편심브라켓(220), 록킹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편심브라켓(210)은 상기 밸런스 디스크(150)에 형성된 캠부(15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캠부(153)에 동축상으로 조립되는 베어링(BR2)을 통해 상기 제1편심브라켓(210)이 상기 밸런스 디스크(150)와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편심브라켓(210)의 일측에는 상기 베어링(BR2)의 외측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싱(2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촉부재(300)와 결합되기 위한 홈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은 상기 제1편심브라켓(2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예를 들어, 복수의 볼트를 통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의 일측면에는 록킹수단(230)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재(3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부(200)에 결합되어 마사지 부위에 접촉되는 부재로서, 원판형 베이스(310), 상기 원판형 베이스(3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 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판형 베이스(310)의 타측면에는 돌기부(33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돌기부(330), 홈부(213) 및 록킹수단(230)의 결합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330)와 상기 홈부(213)는 상기 편심부(200)와 접촉부재(300)를 상호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돌기부(330)는 상기 편심부(200)와 접촉부재(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홈부(213)는 상기 편심부(200)와 접촉부재(30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수단(230)은 상기 돌기부(330)가 상기 홈부(213)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330)는 상기 접촉부재(300)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213)는 상기 편심부(200)의 제1편심브라켓(210)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돌기부(330)와 홈부(213)의 위치를 서로 반대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편심브라켓(210)에 구비된 홈부(213)는, 상기 돌기부(330)가 안내 삽입되어 내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원통형 격벽이 동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측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213h)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은 상기 외측격벽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편심브라켓(210)에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수단(230)은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 상에 장착되며, 상기 관통구(213h)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부(330)의 원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330)가 상기 홈부(213)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기능하고, 상기 돌기부(330)의 원주홈에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330)가 상기 홈부(213)에서 배출되도록 기능하는 작동편(2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수단(230)은, 한 쌍의 작동편(231)과 한 쌍의 가압편(233)이 서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작동편(231)과 가압편(233)이 부채꼴형의 탄성 연결편(235)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압편(233)이 중심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한 쌍의 작동편(231)이 중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편(233)에 대한 가압 해제 시 상기 한 쌍의 작동편(231)이 원래 위치로 탄성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작동편(231)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233)에는 장방홀(S)이 형성되며, 상기 장방홀(S)에는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에 고정된 볼트 등의 선형가이드부재(L)가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편(231)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233)의 선형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에 장착되는 상기 가압편(233)의 장착면에는 선형가이드홈(233h)이 형성되고, 상기 선형가이드홈(233h)에 대응하는 상기 제2편심브라켓(220)의 대응면에는 선형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편(233)의 선형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연결편(235)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편(233)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231) 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제1만곡부(235a), 상기 제1만곡부(235a)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231) 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볼록한 제2만곡부(235b), 상기 제2만곡부(235b)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231) 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제3만곡부(23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만곡부(235a)의 단면적은 상기 제2만곡부(235b)와 상기 제3만곡부(235c)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만곡부(235b)와 상기 제3만곡부(235c)의 변형이 쉽게 유발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330)가 삽입되는 측에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작동편(231)의 대응부분에는 경사부(231a)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돌기부(330)의 삽입시 상기 한 쌍의 작동편(231)이 밀려나면서 상기 돌기부(330)가 상기 홈부(213)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부(330)는 상기 홈부(213)에 삽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돌기부(330), 홈부(213) 및 록킹수단(230)의 구성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300)의 돌기부(330)를 상기 제1편심브라켓(210)에 구비된 홈부(213)에 삽입하여 끼워넣음에 따라 상기 작동편(231)이 자연적으로 밀려난 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편(231)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돌기부(330)의 원주홈에 끼워져 체결이 된다.
한편, 상기 돌기부(330)가 상기 홈부(213)에 체결이 된 상태,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편(231)이 중심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가압편(233)을 중심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작동편(231)이 중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작동편(231)이 상기 원주홈에서 배출된 상태가 되어 상기 접촉부재(300)가 분리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고정부 110:핸들
120:헤드 130:헤드캡
140:회전축 150:밸런스 디스크
200:편심부 210:제1편심브라켓
213:홈부 220:제2편심브라켓
230:록킹수단 300:접촉부재
310:원판형 베이스 320:마사지 돌기
330:돌기부

Claims (10)

  1.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이 구비된 고정부,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된 편심부 및 상기 편심부에 결합되어 마사지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편심부와 접촉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부;
    상기 편심부와 접촉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 및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한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재는 원판형 베이스, 상기 원판형 베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외주면에 원주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형 베이스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편심부는 제1편심브라켓 및 제2편심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홈부는 상기 돌기부가 안내 삽입되어 내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원통형 격벽이 동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외측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편심브라켓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편심브라켓은 상기 외측격벽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편심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2편심브라켓 상에 장착되며,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기능하고,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서 배출되도록 기능하는 작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외주면에 원주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돌기부가 안내 삽입되어 내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원통형 격벽이 동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외측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기능하고, 상기 돌기부의 원주홈에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서 배출되도록 기능하는 작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한 쌍의 작동편과 한 쌍의 가압편이 서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작동편과 가압편이 부채꼴형의 탄성 연결편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이 중심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한 쌍의 작동편이 중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편에 대한 가압 해제 시 상기 한 쌍의 작동편이 원래위치로 탄성복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편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에는 장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방홀에는 상기 제2편심브라켓에 고정된 선형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편과 상기 한 쌍의 가압편의 선형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심브라켓에 장착되는 상기 가압편의 장착면에는 선형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형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상기 제2편심브라켓의 대응면에는 선형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편은,
    상기 가압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 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 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볼록한 제2만곡부, 상기 제2만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편 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제3만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만곡부와 상기 제3만곡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측에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작동편의 대응부분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KR1020140128624A 2014-09-25 2014-09-25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KR10158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24A KR101581661B1 (ko) 2014-09-25 2014-09-25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24A KR101581661B1 (ko) 2014-09-25 2014-09-25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661B1 true KR101581661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624A KR101581661B1 (ko) 2014-09-25 2014-09-25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41B1 (ko) * 2019-08-27 2020-05-14 박건우 탈착 가능 진동 모듈 및 이를 위한 안마기
KR20210103721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파인셈 근육의 피로회복을 도모하는 근육타격장치
KR20230080181A (ko) * 2021-11-29 2023-06-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료 장비의 모듈 탈착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013A (ja) * 1992-05-25 1994-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式マッサージ機
KR101066893B1 (ko) 2009-10-27 2011-09-27 영일엠(주) 마사지기용 구동장치
KR20140004704U (ko) * 2013-02-07 2014-08-18 동-헐 우 마사지용 고무반 어셈블리 위치 결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013A (ja) * 1992-05-25 1994-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式マッサージ機
KR101066893B1 (ko) 2009-10-27 2011-09-27 영일엠(주) 마사지기용 구동장치
KR20140004704U (ko) * 2013-02-07 2014-08-18 동-헐 우 마사지용 고무반 어셈블리 위치 결정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41B1 (ko) * 2019-08-27 2020-05-14 박건우 탈착 가능 진동 모듈 및 이를 위한 안마기
WO2021040301A1 (ko) * 2019-08-27 2021-03-04 박건우 탈착 가능 진동 모듈 및 이를 위한 안마기
KR20210103721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파인셈 근육의 피로회복을 도모하는 근육타격장치
KR102380436B1 (ko) * 2020-02-14 2022-03-30 주식회사 파인셈 근육의 피로회복을 도모하는 근육타격장치
KR20230080181A (ko) * 2021-11-29 2023-06-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료 장비의 모듈 탈착 구조
KR102635808B1 (ko) * 2021-11-29 2024-02-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료 장비의 모듈 탈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0140U (ja) マッサージ用ゴム盤アセンブリ位置決め構造
EP2695593B1 (en) Brush head component connection system
KR101581661B1 (ko) 마사지기용 구동장치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착탈을 위한 구조물
JP2014520647A (ja) 皮膚トリートメント装置
WO2015020357A1 (ko) 오토 클렌징 장치
EP1652493A1 (en) Vibrating holder for receiving conventional toothbrushes
CN110538063B (zh) 往复式肌肉放松设备
US5656018A (en) Handy vibrating massager
KR200474190Y1 (ko) 치아 세척 기구 전동장치
JP4986090B1 (ja) フレキシブルマッサージ機
KR101089276B1 (ko) 핸드피스
CN217409254U (zh) 颈部按摩仪
JP5461537B2 (ja) 駆動可能なマッサージ部材を持つ脱毛器
US20070284211A1 (en) Electric Hub Having Clutch Means
KR101066893B1 (ko) 마사지기용 구동장치
JP2565883Y2 (ja) 電動歯ブラシ
KR200274272Y1 (ko) 진동판 및 고정밴드를 갖는 전동식 안마기
CN201171782Y (zh) 气血循环振动按摩机
KR20180115066A (ko) 핸디형 안마장치
KR20160002678U (ko) 전동 미용기구
CN217391113U (zh) 按摩机芯及颈部按摩仪
CN220142128U (zh) 一种足浴盆的按摩盘
CN115297816A (zh) 按摩装置
CN216985653U (zh) 应用于筋膜枪的连接模块以及筋膜枪
CN219557994U (zh) 足部按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