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377B1 -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377B1
KR101581377B1 KR1020150059768A KR20150059768A KR101581377B1 KR 101581377 B1 KR101581377 B1 KR 101581377B1 KR 1020150059768 A KR1020150059768 A KR 1020150059768A KR 20150059768 A KR20150059768 A KR 20150059768A KR 101581377 B1 KR101581377 B1 KR 10158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paint
road
equipment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승환
이준호
Original Assignee
권승환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환, 이준호 filed Critical 권승환
Priority to KR102015005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3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which can shorten work time and thus can expect cost benefit due to a decrease in labor costs by performing a painting work for a painting scheduled part of two traffic lanes with a single movement and spraying and can reduce inconvenience to citizens, caused by the closure of a road due to the painting work. The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ation unit having a loading part; a paint supply unit which is mounted in the loading part, and comprises a first supply hole and a second supply hole supplying a paint; a press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praying pressure by being installed in the loading part; a first painting equipment which includes a first spraying nozzl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hole and is arranged adjacently to the painting scheduled part of the road and sprays the paint to the painting scheduled part, and is arranged at one side of the loading part; and a second painting equipment which includes a second spraying nozzle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hole and is arranged adjacently to the other painting scheduled part of the road and sprays the paint to the other painting scheduled part, and is arranged at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part.

Description

차선 도색장치{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을 도색하는 차석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ntwork apparatus for painting a lane of a road,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이동과 분사를 통해 두 차선의 도색예정부에 대한 도색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이로 인한 공임 감소 등에 의한 비용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도색 작업에 따른 도로 폐쇄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경감할 수 있는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painting operation on the two-lane painted door through a single movement and injection, thereby achieving a cost-effective gain 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thereby reducing the labor cost.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marking apparatus capable of alleviating the inconvenience of citizens due to road closure.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주행간격, 도로정보, 주행 법규 관련 정보 등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차선 및 기타 사인들이 페인팅 되어 있다. 특히 차선은 차량 간의 주행간격을 제공하여 타 차량과의 층돌 사고 없이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is painted with lanes and other signs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traveling direction, running distance, road information, and driving regul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articularly, the lanes provide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s so that the vehicle can run without colliding with other vehicles.

이러한 차선을 도색하는 방법 중에는 페인트를 도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도색 방법의 일반적인 형태로는 차선 도색에 필요한 장비들을 이동수단(차량)에 장착하여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하는 동안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방식이 채택된다.Among the methods of painting such lanes are methods of using paint as a paint. Typical examples of such a painting method include mounting equipment necessary for lane painting on a moving means (vehicle) and moving the moving means through a spray nozzle A method of spraying is adopted.

이러한 이동수단 및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도료(페인트)를 차선 도색예정부에 분사하는 형태의 도색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relating to a paint apparatus having such a moving means and a spray nozzle and spraying a paint (paint) to a lane-painting preliminary part is as follows.

먼저 등록특허 제10-0895652호 (2009년04월23일)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종래기술1)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도료공급부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공급부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 도로상에 도료를 도포하여 라인을 형성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도포유니트와, 상기 도포유니트에 설치되어 라인에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형성부와, 요철이 형성된 라인에 가열된 돌출비드를 도포하는 비드도포부와, 차량의 진행방향 상에서 상기 도포유니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요철형성부는 차량의 진행방향 상에서 상기 노즐의 후방에 설치되어 라인의 연장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로에 도포된 도료에 일정 간격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 도색장치가 제시되어 있다.(Prior art 1) discloses a paint supply unit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paint supply unit installed in a vehicle to supply paint from the paint supply unit. An unevenness form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ating unit to form irregulariti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ead shroud for applying a heated bead to the line and a foreign material removing mean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n the road surface provided in front of the coating uni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 air gun for spraying ai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paint applied on the road so as to form irregulariti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in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nozzle A vehicle lane marking device for a vehicle,

상기 종래기술1은 도색이 이루어지는 노면상의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차선의 도색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차량이 한 번 이동할 때 한 차선의 도색만이 가능하여 도색작업에 많은 기간이 소요된다는 아쉬움이 있다. 특히 장기간의 도색작업은 도로의 폐쇄기간을 늘리기 때문에 일반 운전자들의 도로 이용에 있어 불편을 야기하고, 나아가 기간 소요에 따른 공임 증가로 인해 도색작업 비용 증대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The prior art 1 aims at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a road surface on which painting is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ane of paint. When the vehicle moves once, only one lane can be painted, It is regrettable that it takes time. In particular, since the long-term painting operation increases the period of closing the road, it causes inconvenience in the road use of the general driver, and further increases the cost of the painting operation due to increase in the labor required for the period.

또 다른 종래기술들로, 등록특허 10-1482224 (2015년01월07일)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차선 도색 공법](종래기술2)은 보수 및 신설 차선 도색 시 비전장치를 통해 차선 도색 작업의 작업성 개선 및 작업자의 도모하면서, 가차선 형성을 통한 신설 차선 도색의 용이성과 수분 필터를 적용한 에어공급수단을 통한 비드의 분사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a lane painting apparatus and a new and repair lane painting method using the same (prior art 2) are applied to a vehicle through a vision apparatus The improvement of the workability of the lane painting work and the improvement of the workability of the bead by the air supply means using the water filter and the ease of the new lane painting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gauge line are suggested.

또한 등록특허 10-0918453 (2009년09월15일) [속경성 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종래기술3)은 속경성의 특성을 가진 저점도의 반응성 MMA수지와 저점도의 반응성 아크릴수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혼합되며, 유리전이온도에 맞춰 사용되는 주제에 경화제, 경화촉진제, 안료를 적정비로 배합하여 자동 분사장치를 통해 도로에 분사함으로서 시공 시간을 줄이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rior art 3)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low-viscosity reactive MMA resin having a low viscosity and a low viscosity reactive acrylic resin A resin is mixed with at least one resin, and the resin is blended with a hardener, a curing accelerator, and a pigment in an appropriate ratio to a subject used in accordance wit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prayed on the road through an automatic spraying device.

또한 등록특허 10-1383163 (2014년04월02일)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 도색공법](종래기술4)은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the lane marking apparatus and lane marking method of the paint vehicle having the spray structure that makes the road marking clearly appear in the lane marking technique (Prior Art 4) a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0-1383163 (April 4, 2014) And the like.

비록 종래기술3에서는 도료(페인트)의 경화속도를 늘려, 도료가 도로의 도색예정부에 착색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도색작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도료의 경화 시간 자체가 도색 작업 총소요시간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소는 아닌 점을 감안할 때, 보다 근본적으로 도색작업 장비의 개선을 요하는 바이다.Although the conventional technique 3 increases the curing speed of the paint (paint), the time required for the paint to be painted on the road is greatly reduced and the paintworking time is shortened. In general, however, Considering that this is not the main factor affecting the total turnaround tim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ainting equipment more fundamentally.

상기 종래기술2 및 4에 제시된 기술들 역시 종래기술1과 더불어 한 번에 하나의 차선에 대한 도색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2 and 4 also have the same problem in that the pain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one lane at a time together with the conventional art 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이동수단의 양 측부에 구비된 제1도색장비 및 제2도색장비를 통해 한 번의 이동과 분사를 통해 두 차선의 도색예정부에 대한 도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carry out a painting operation for the two-lane painted portion through a single movement and injection through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and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means.

또한 분배부를 구비하여 한 번에 두 가지 색깔의 도료를 활용하여 도색 될 색이 다른 차선에 대한 도색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ensing unit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painting operations on lanes having different colors to be painted using two colors of paint at a time.

아울러 분사되는 도료가 도색예정부를 이탈하지 않게 하여 정확한 위치에 착색되도록 하여 도색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the paint to be sprayed is prevented from leaving the painting preparation portion and colored at an accurate position,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the paint color quality.

나아가 완충장비를 구비하여 도로의 비 평탄성에 대해 장비의 내구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it is aimed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equipment against the unevenness of the road by providing the cushioning equip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탑재부를 갖는 이동수단과, 상기 탑재부에 장착되고, 도료를 공급하는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를 구비한 도료공급기와, 상기 탑재부에 장착되어 분사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와, 상기 제1공급구와 연결되고 도로의 일 도색예정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일 도색예정부에 도료를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1도색장비 및, 상기 제2공급구와 연결되고 도로의 타 도색예정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타 도색예정부에 도료를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의 타 측면에 배치되는 제2도색장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first supply port and a second supply port for supplying paint, a pressure regulator mounted on the discharge port and adapted to regulate an ejection pressure, A first painting equipment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ne coloring preliminary part of the road for spraying the paint to the one preliminary painting part,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arrang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And a second painting equipment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paint application unit on the road so as to spray the paint onto the other paint application unit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unt unit.

또한 상기 탑재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료공급기의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와 연결되는 유입구 및 상기 제1도색장비의 제1분사노즐 및 제2도색장비의 제2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유출구를 각각 갖는 제1탱크 및 제2탱크로 이루어진 분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inlet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second supply port of the paint supply unit,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of the first paint color equipment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of the second paint color equipment, And a distributor having a first tank and a second tank.

아울러 상기 제1도색장비는 도로의 일 도색예정부 좌우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좌우 수직벽체, 상기 좌우벽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벽체, 상기 수평벽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사노즐이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색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ainting equipment includes left and right vertical wall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left and right ends of the painting unit of the road, a horizontal wall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wall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irst spray nozzle passes, And a coloring guide including a coloring guide.

나아가 상기 도색가이드 하부에는 완충장비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장비는 상기 도색가이드 하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 배열되어 도로의 노면에 접하는 바닥프레임,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열되어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진수단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과압축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비되어 연동 승하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체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승강체와 상기 고정체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스토핑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핑볼트에 결합되는 스토핑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ushioning equipment may be provided under the painting guide, and the cushioning equipment may include a supporting fram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inting guide, a bottom frame arranged below the supporting frame and contacting a road surface of the road, And stopp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proof means including a coil spring for buffering vibrations and a stopper for restricting a rise height of the bottom frame and preventing an overpressure axis of the coil spring, Wherein the stopper is disposed between the elevating body and the fixing body, and the stopp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elevating body and the elevating body, And a stopping bolt coupled to the body through the fixing body, And a stopping nut coupled to the nu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한 번의 이동과 분사를 통해 두 차선의 도색예정부에 대한 도색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도색작업에 소용되는 시간을 감축하여,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이로 인한 공임 감소 등에 의한 비용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도색 작업에 따른 도로 폐쇄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경감할 수 있고,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painting operation for the painting example of the two lanes through one movement and the inj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a cost advantage 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the labor due to this, Further, the inconvenience of the citizens due to road closure due to the painting operation can be alleviated,

또한 한 번에 도색 될 색이 다른 차선에 대한 도색작업도 동시에 수행하여 작업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고,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painting operation for the different lanes to be painted at a time,

아울러 분사되는 도료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착색되도록 하여 도색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In addition, the sprayed paint can be colored at an accurate position without being detached,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paint quality,

나아가 도로의 비 평탄성에 대해 강한 내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a strong durability against non-flatness of the road.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도색작업의 실시 예.
도 3은 분배부에 관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색가이드에 관한 제1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수단에 관한 제2실시 예.
1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a painting opera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tribution sec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irst embodiment of a painting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buff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L)을 도색하는 차석 도색장치(A)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이동과 분사를 통해 두 차선(L)의 도색예정부(P1)에 대한 도색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이로 인한 공임 감소 등에 의한 비용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도색 작업에 따른 도로 폐쇄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경감할 수 있는 차선(L) 도색장치(A)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nt painting apparatus A for coloring a lane L of a ro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int painting apparatus A for painting a lane L of a road, (L) paint device (A) which can expect a cost benefit 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the reduction of the labor due to this, and further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citizens due to the road closing due to the painting operation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선(L) 도색장치(A)(이하 본 도색장치(A))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ane marking apparatu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도색장치(A)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rough configuration of the painting apparatus 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통해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본 도색장치(A)는 이동수단(100),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공급기(200), 분사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00), 일 측에 구비된 제1도색장비(400) 및 타 측에 구비된 제2도색장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he painting apparatus A includes a moving means 100, a painting material supplier 200 for supplying paint, a pressure regulator 300 for controlling the spray pressure, a first And includes a painting equipment 400 and a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provided on the other side.

이하 필요에 따라 다른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각 구성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as necessar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00)은 일반적으로 차량으로 선택될 수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현재 선택된 이동수다니 차량인 만큼 본 발명의 이동수단(100) 역시 차량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실시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차량으로의 한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한정일 뿐인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moving means 100 can be generally selected as a vehicle. The moving mean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limited to the vehicle as it is the currently most currently selected mobile number, but this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hoice of the practitioner, It is only for convenience.

또한 이동수단(100)은 탑재부(11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차량의 구성을 고려할 때, 운전석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lso, the moving means 100 includes the mounting portion 110, which is preferably provided behind the driver's seat when considering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vehicle.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공급기(200)는 이동수단(100)의 탑재부(11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도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painting material supplier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moving means 100, and may be variously provid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material.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현재 차선(L) 도색작업에 활용되고 있는 도료는 융착식 도료와 상온식 도료가 사용되고 있다. 융착식 도료가 사용되는 경우 제1도색장비(400) 및 제2도색장비(500)에는 융착을 위한 융착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온식 도료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융착기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Briefly, in general, lacquer paint and room temperature paint are used for the paint currently used in the lane (L). When a fusion type paint is used, a fusion machine for fusion bonding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painting equipment 400 and 500, and if a room temperature painting is used, the construction of such fusion machine may be omitted have.

또한 융착식 도료와 상온식 도료의 중간 형태인 가열식 도료 역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열식 도료의 경우에는 융착기를 추가로 구비하지는 않아도 되지만, 도료공급기(200)에 가열수단 추가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융착식 도료 및 상온식 도료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가열하는 온도의 차이가 있을 뿐, 마찬가지로 도료공급기(200)에 가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heating type paint,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provide a fusing device, but a heating means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aint supply device 200. In the case of selecting a fusion type paint and a room temperature type paint, there is a difference in heating temperature, and similarly,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heating means in the paint supply device 200 as well.

특히 도 1에서는 융착식, 상온식, 가열식 도료를 위한 가열수단에 열원 또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열원공급수단(250)이 탑재부(110)에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원공급수단(250)은 가열수단의 종류에 따라 가스, 발전기, 전원공급기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1, it can be seen that a heat source supplying means 250 for supplying a heat source or a fuel to a heating means for fusion type, room temperature type, and heating type paint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 In this heat source supplying means 250, A generator, a power supply,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heating means.

또한 도료공급기(200)는 교반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교반수단은 도료에 다양한 첨가물을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nting material supplier 200 is equipped with stirring means, which is used for stirring various additives in the painting material.

대표적으로 첨가물을 사용하는 도료로는 이액형 도료가 있는데, 이액형 도료의 경우 경화제의 첨가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교반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ypically, there is a two-component type coating material which uses an additive. In the case of the two-part type coating material, the addition of a curing agent is used as a basis.

이러한 다양한 도료의 선택에 따라 도료공급기(200)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으나, 구체적인 도료공급기(200)와 관련한 공지된 기술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paint supply apparatus 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various paints. However, the known art relating to the concrete paint supply apparatus 200 will be omit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도 1에서는 도료공급기(200)가 제1공급기(200A) 및 제2공급기(200B)로 나누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차선(L) 도색을 위한 색은 기본적으로 백색(일반 차선(L)), 황색(중앙선), 파란색(버스 전용차선(L)) 등이 있고, 이러한 다양한 색깔의 중 필요로 하는 수에 맞춰서 제3공급기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백색과 황색이 주를 이루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두개의 공급기(200A)(200B)가 구비된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paint supply device 200 is divided into a first supply device 200A and a second supply device 200B. The color for coloring the lane L is basically white (normal lane L) ), Yellow (center line), and blue (bus lane L), and a third feeder or mor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quired number of these various colors. In general, white and yellow are the main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 feeders 200A and 200B are provided.

아울러 도 1에서는 도료공급기(200)에 구비된 제1공급구(210) 및 제2공급구(220)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제1도색장비(400) 및 제2도색장비(500) 두개로 구성한 것과 더불어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이하 도색장비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1 shows a first supply port 210 and a second supply port 220 provided in the paint supply device 200. The first supply port 210 and the second supply port 220 are formed by two first paint equipment 400 and two second paint equipment 500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음으로 압력조절기(300)는 제1분사노즐(410) 및 제2분사노즐(510)의 분사 압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공압식, 유압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는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압력조절기(30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 역시,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Next, the pressure regulator 3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neumatic type and a hydraulic type in order to adjust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 410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510, which is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300 will also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understood and reaso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제1도색장비(400) 및 제2도색장비(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and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which are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색장비(400)는 탑재부(110)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제2도색장비(500)는 탑재부(110)의 타 측면에 배치되는데, 도 1을 기준으로 일 측면은 이동수단(100)의 좌측으로, 또한 타 측면은 이동수단(100)의 우측으로 설정하기로 한다.1,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10 and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unit 110, One side is set to the left side of the moving means 100 and the other side is set to the right side of the moving means 100. [

또한 제1도색장비(400)는 제1분사노즐(410)을 구비하고 있는데, 제1분사노즐(410)은 도료공급기(200)의 제1공급구(210)와 연결되고 도로의 일 도색예정부(P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일 도색예정부(P1)에 도료를 분사하는 구성이다.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includes a first spray nozzle 410. The first spray nozzle 41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ort 210 of the paint supply unit 200 and is used as a paint painting example And is arranged adjacent to the first portion P1 to spray the paint to the first paint color preform P1.

아울러 제2도색장비(500)의 제2분사노즐(510)은 도료공급기(200)의 제2공급구(220)와 연결되고 도로의 타 도색예정부(P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 도색예정부(P2)에 도료를 분사하는 구성인데, 도 1을 기준으로 일 도색예정부(P1)는 이동수단(100)의 좌측, 타 도색예정부(P2)는 이동수단(100)의 우측으로 설정하기로 한다.The second injection nozzle 510 of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port 220 of the paint supply unit 20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paint preparation unit P2 of the road, 1, on the basis of FIG. 1, the preliminary painting preliminary portion P1 is set to the left side of the moving means 100 and the other preliminary painting portion P2 is set to the right side of the moving means 100 .

이러한 분사노즐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도색장치에 구비되는 기본적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such an injection nozzle can be seen in FIG. 4 and FIG. 5, and a basic configuration provided in a general paint coloring apparatus will not b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도색장치(A)는 차선(L) 도색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여주는데, 종래의 도색장치들은 이동수단(100)을 통해 한 번의 이동 시 하나의 도색예정부(P1)만을 도색하는 반면, 본 도색장치(A)는 한 번의 이동 시 두 도색예정부(P1)(P2)를 동시에 도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전체 도색작업 소요 시간을 줄여주어, 도색작업의 소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공임 감소에 따른 비용적 이득을 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색 작업에 따른 도로 폐쇄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경감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painting apparatus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the lane L painting operation. In the conventional painting apparatuses, when one moving through the moving means 100, , Whereas the present color changing apparatus A has an advantage that the two color preparing units P1 and P2 can be paint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This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painting operation, thereby achieving a cost benefit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 in labor required for the time required for the painting operation, as well as allevi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citizens due to road closure due to the painting operation.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제1도색장비(400) 및 제2도색장비(500)를 위한 구성으로, 또 다른 핵심 특징을 이루는 분배부(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stribution unit 600, which constitutes another essential fe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lor equipment 400 and 5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도 2 [A]) 및 본 도색장치(A)를 활용하는 도색작업의 실시를 도시한 실시 예(도 2 [B])다.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을 이루는 분배부(600)에 대해 설명하면,Fig. 2 is a block diagram (Fig. 2 [A])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Fig. 2 [B]) showing the execution of a painting operation utilizing the present coloring device A; Referring to FIG. 2, the distribution unit 600, which is another essenti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600)는 도료공급기(200), 압력조절기(300), 제1도색장비(400) 및 제2도색장비(500)와 연결된 중심 구성이다.2 (A), the distributor 600 is a centr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painting material supplier 200, the pressure regulator 300,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and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이러한 분배부(600)의 도입을 통해, 도료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제1도색장비(400)와 제2도색장비(500)에 적절하게 분배하여 도색 작업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distribution unit 600, the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supply unit 200 can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to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and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to perform the painting operation.

도 2 [B]를 참고하여 본 도색장치(A)를 활용한 도색작업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2 [B]에 도시된 실시는 좌측의 일 도색예정부(P1)와 우측의 타 도색예정부(P2)에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제1도색장비(400)는 일 도색예정부(P1)를 도색하고, 제2도색장비(500)는 타 도색예정부(P2)를 도색하여 이동수단(100)이 한 번 이동하는 동안 일 도색예정부(P1) 및 타 도색예정부(P2)를 동시에 도색하여 두개의 차선(L)을 완성한다.2 (B),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B).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B)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paints the precoating portion P1 and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paints the other painting preliminary portion P2 so that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P2 can be painted, The two colors of the lane L are completed by simultaneously painting the one coloring preliminary part P1 and the other coloring part P2 while the first color conversion part 100 moves once.

그러나 예를 들면 좌측 일 도색예정부(P1)는 중앙선이 그려지고, 우측 타 도색예정부(P2)는 일반차선(L)이 그려져야 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두 차선(L)을 그릴 수 없어, 종래의 도색장치와 다를 바가 없는데, 본 도색장치(A)의 분배부(6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However,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enter line is drawn in the left one-color-painting example part P1 and the normal lane L is drawn in the right-side coloring example part P2, two lanes L can not be drawn at once ,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painting apparatus, and the distributor 600 of the present painting apparatus A is provided to solve such a problem.

도 3을 통해 이하 분배부(600)의 특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features of the distribution unit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도색장치(A)의 도료공급기(200), 분배부(600), 제1도색장비(400), 제2도색장비(500)만을 도시한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showing only the painting material supplier 200, the distribution unit 600,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and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of the painting equipment A in FIG.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분배부(6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분배부(600)는 탑재부(110)에 장착되는 구성이고, 특히 각 구성과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탑재부(11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distribution unit 600, which is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distribution unit 60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mount unit 110. In particular, 110).

또한 분배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600)는 제1탱크(610)와 제2탱크(6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distributor 600 includes a first tank 610 and a second tank 620. The first tank 610 and the second tank 6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아울러 제1탱크(610)와 제2탱크(620)는 각각 도료공급기(200)의 제1공급구(210) 및 제2공급구(220)와 연결되는 유입구(611)(621)를 갖고, 아울러 제1도색장비(400)의 제1분사노즐(410) 및 제2도색장비(500)의 제2분사노즐(510)과 연결되는 유출구(613)(623)를 갖는다.The first tank 610 and the second tank 620 have inlet ports 611 and 621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ort 210 and the second supply port 220 of the paint supply apparatus 200, And has outlets 613 and 623 connected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410 of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510 of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탱크(610)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제1유입구(611)와 제1유출구(613)로, 제2탱크(620)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제2유입구(621)와 제2유출구(623)로 명명하기로 한다.)(For ease of explanatio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irst tank 6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611 and the first outlet 613,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econd tank 62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621, The second outlet 623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outlet 623).

먼저 도 3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색의 도료를 공급하기 위해 도료공급기(200)가 제1공급기(200A) 및 제2공급기(200B)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aint supply device 200 is provided with the first supply device 200A and the second supply device 200B in order to supply two colors of paint.

도 3 [A]와 같은 상황을 가정하면, 제1공급기(200A)에는 백색 도료가 구비되어 있고, 제1공급기(200A)의 제1공급구(210A)는 호스(h)를 통해 제1탱크(610)의 제1유입구(61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공급구(220A)는 호스(h)를 통해 제2탱크(620)의 제2유입구(621)에 연결되어 있다.Assuming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3 [A], the first supply device 200A is provided with a white paint, and the first supply port 210A of the first supply device 200A is connected to the first tank 200A through the hose h,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611) of the second housing (610). The second supply port 220A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621 of the second tank 620 through the hose h.

이 상황에서 제1유입구(611)를 통해 제1탱크(610)로 유입된 백색 도료는 제1유출구(613)를 통해 제1도색장비(400)의 제1분사노즐(410)로 이동하고 제1분사노즐(410)에 의해 좌측 일 도색예정부(P1)에 분사된다.The white paint which has flowed into the first tank 610 through the first inlet 611 is moved to the first spray nozzle 410 of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through the first outlet 613, Is sprayed to the left paint priming part (P1) by the single injection nozzle (410).

또한 제2유입구(621)를 통해 제2탱크(620)로 유입된 백색 도료는 제2유출구(623)를 통해 제2도색장비(500)의 제2분사노즐(510)로 이동하고 제2분사노즐(510)에 의해 우측 타 도색예정부(P2)에 분사된다. The white paint which has flowed into the second tank 620 through the second inlet 621 is moved to the second spraying nozzle 510 of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through the second outlet 623, And is jetted to the right-hand other-color-preparing unit P2 by the nozzle 510. [

이러한 실시는 동시에 두 일반차선(L)을 백색으로 도색할 수 있다.This implementation can simultaneously paint two regular lanes L in white.

또는 도 3 [B]와 같은 상황을 가정하면, 제1공급기(200A)에는 황색 도료가 구비되어 있고, 제2공급기(200B)에는 백색 도료가 구비되어 있다.3B], the first feeder 200A is provided with a yellow paint, and the second feeder 200B is provided with a white paint.

또한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색 도료가 구비된 제1공급기(200A)의 제2공급구(220A)는 호스(h)를 통해 제1탱크(610)의 제1유입구(611)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공급구(210A)와 제1유입구(611) 간의 연결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제1공급기(200A)의 어느 공급구(210A)(220A)에 연결하여도 무방하다.3B, the second supply port 220A of the first supply device 200A provided with the yellow paint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611 of the first tank 610 via the hose h ). 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pply port 210A and the first inlet port 611 performs the same function, it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upply ports 210A and 220A of the first supply port 200A.

또한 백색 도료가 구비된 제2공급기(200B)의 제1공급구(210B)는 호스(h)를 통해 제2탱크(620)의 제2유입구(621)에 연결되어 있다. 역시 마찬가지로 제2탱크(620)의 제2유입구(621)는 제2공급기(200B)의 제1공급구(210B) 또는 제2공급구(220B) 중 어떤 것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supply port 210B of the second supply device 200B having the white paint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port 621 of the second tank 620 through the hose h. Likewise, the second inlet 621 of the second tank 62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supply port 210B and the second supply port 220B of the second feeder 200B.

이 상황에서 제1유입구(611)를 통해 제1탱크(610)로 유입된 황색 도료는 제1유출구(613)를 통해 제1도색장비(400)의 제1분사노즐(410)로 이동하고 제1분사노즐(410)에 의해 좌측 일 도색예정부(P1)에 분사된다.The yellow paint that has flowed into the first tank 610 through the first inlet 611 is moved to the first spray nozzle 410 of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through the first outlet 613, Is sprayed to the left paint priming part (P1) by the single injection nozzle (410).

또한 제2유입구(621)를 통해 제2탱크(620)로 유입된 백색 도료는 제2유출구(623)를 통해 제2도색장비(500)의 제2분사노즐(510)로 이동하고 제2분사노즐(510)에 의해 우측 타 도색예정부(P2)에 분사된다. The white paint which has flowed into the second tank 620 through the second inlet 621 is moved to the second spraying nozzle 510 of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through the second outlet 623, And is jetted to the right-hand other-color-preparing unit P2 by the nozzle 510. [

이러한 실시는 좌측으로는 중앙선, 우측으로는 일반차선(L)을 동시에 도색할 수 있고, 특히 도 3 [B]에서 가정한 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도색 작업 소요 시간 절감' 면에서 보다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line can be painted on the left side and the general lane (L) can be painted on the right side. Particularly, the embodiment assumed in Fig. 3 [B] It has excellent effect.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앞서 언급한 이동수단(100), 도료공급기(200), 분배부(600), 제1도색장비(400), 열원공급수단(250) 및 압력조절기(30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means 100, the paint supply device 200, the distributor 600,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the heat source supply means 250 and the pressure regulator 300 can be confirmed in FIG. 4 .

또한 도 4에서는 제1도색장비(400)의 각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제1도색장비(400)는 제1분사노즐(41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FIG. 4,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has a first spraying nozzle 410.

한편, 도료를 적당한 압력을 통해 분사하는 형태의 도색은 그 압력의 정밀한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색예정부(P1)(P2)를 벗어나도록 도색이 될 우려가 있다. 이에 압력조절기(300)는 도료가 분사되는 압력, 즉 세기를 조절하지만, 미세하게 도색예정부(P1)(P2)에서 어긋난 차선(L)은 교통안전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essure is not precisely adjusted, the paint color in which the paint is sprayed through a suitable pressure may be colored so as to deviate from the paint color P1 (P2). The pressure regulator 300 regulates the pressure, i.e., the intensity, at which the paint is sprayed, but the lane L, which is slightly deviated from the colors P1 and P2,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raffic safet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색되는 차선(L)이 도색예정부(P1)(P2)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색가이드(450)를 구비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nting guide 450 is provided to prevent the lane L to be painted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painting preparation parts P1 and P2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도색가이드(4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재(457)를 통해 이동수단(100)의 측부에 고정되고, 제1도색장비(4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일 도색예정부(P1), 즉 도로면에 접촉하게 구비되어 있다.4, the coloring guide 450 is fixed to the side of the moving means 100 through a fixing member 457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아울러 제2도색장비(500) 역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질 수 있기에 제1도색장비(400)에 대해서만 언급하므로, 제2도색장비(500)의 구성은 제1도색장비(400)의 구성을 통해 유추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도색장비에 대해서만 언급하기 때문에, 이하의 도색예정부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일 도색예정부(P1)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한다.Since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can b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only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is referred to.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 In addition, since only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is referred to, the following painting preparation unit is defined to mean the first painting unit P1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5는 이러한 도색가이드(450)에 관한 제1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Fig. 5 shows a first embodiment of such a painting guide 450. Fig.

제1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1도색장비(400)는 도로의 일 도색예정부(P1) 좌우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좌우 수직벽체(451), 이 좌우 수직벽체(451)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벽체(453), 이 수평벽체(453)에 구비되어 제1분사노즐(410)이 통과하는 개구부(4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painting equipmen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eft and right vertical walls 451 vertically arranged at right and left ends of the one-color paint preparation part P1 of the road, And includes an opening 455 provided in the horizontal wall 453 and through which the first injection nozzle 410 passes.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을 설명하면, 먼저 한 쌍의 수직벽체(451)는 분사되는 도료가 도색예정부(P1)를 벗어나 도색되지 않도록 도색예정부(P1)를 벗어나게 분사되는 도료를 막아준다.More specifically, each pair of vertical walls 451 blocks the paint sprayed out of the paint preparation part P1 so that the paint to be sprayed does not come out of the paint preparation part P1 but is not painted.

또한 수평벽체(453)는 수직벽체(451)의 상부에 구비되어 두 수직벽체(451)가 차선(L)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The horizontal wall body 45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body 451 to support the two vertical wall bodies 451 so as to form an interval equal to the width of the lane L.

아울러 개구부(455)는 제1분사노즐(410)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데,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제1분사노즐(410)이 도색가이드(450) 내에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개구부(455)는 이러한 요소를 반영한 것일 뿐, 제1분사노즐(410)의 직경에 상응하는 구멍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455 allows the first injection nozzle 410 to be insert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he first injection nozzle 410 provides a space capable of moving sufficiently in the painting guide 450 .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pening 455 shown in FIG. 5 reflects such an element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 410.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색가이드(450)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사되는 도료가 도색예정부(P1)를 벗어나지 않고 정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차선(L)의 도색 품질을 향상시킨다.As shown in FIG. 5, the painting guide 4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mproves the quality of painting of the lane L by allowing the spraying paint to be accurately spray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ainting preparation part P1.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2실시 예는 도색가이드(450)의 하부에 완충장비(C)를 구비한 것으로, 도로 노면의 비 평탄성 때문에 발생하는 진동, 충격, 외력 등에 의해 도색가이드(450)가 흔들리거나 도색예정부(P1)에서 이탈하여 도색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ushioning device 45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nting guide 450, and the vibration and shock generated due to the non- , The painting guide 450 is shaken due to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or detached from the painting preparation part P1 to prevent the paint quality from deteriorat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색가이드(450)의 수직벽체(451) 하부에는 완충장비(C)가 구비되고,As shown in FIG. 6, a cushioning device C is provided under the vertical wall body 451 of the painting guide 450,

완충장비(C)는 도색가이드(450) 하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20), 이 지지프레임(20) 하부에 배열되어 도로의 노면에 접하는 바닥프레임(10), 프레임들(10)(20) 사이에 배열되어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코일스프링(31)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진 수단(30) 및 바닥프레임(1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여 코일스프링(31)의 과압축을 방지하는 스토퍼(41)를 포함하는 스토핑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ushioning device C includes a support frame 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inting guide 450, a floor frame 10 arranged under the support frame 20 and contacting the road surface of the road, frames 10 and 20, A plurality of vibration preventing means 30 including a coil spring 31 for buffering vibrations transmitted and arranged between the stopper 41 and the stopper 41 for restricting the rising height of the bottom frame 10 and preventing the overpressure shaft of the coil spring 31 (40).

완충장비(C)는 도색가이드(450)가 도로 노면의 비 평탄성에 의해 받는 충격 등에 의해 도색가이드(450)가 도색예정부(P1)에서 이탈하거나 도색가이드(450)가 기울어져 도색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 사이에 배열되는 코일스프링(31)의 일부가 과압축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The cushioning device 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int guide 450 is detached from the paint preparation part P1 due to an impact received by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of the paint guide 450 or the paint guide 450 is tilted, A part of the coil spring 31 arranged between the bottom frame 10 and the support frame 20 is prevented from being overcompressed.

또한 스토핑수단(40)은 바닥프레임(10)에 구비되어 연동 승하강하는 승강체(45)와,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고정되는 고정체(47)를 포함한다.The stopping means 40 is provided on the bottom frame 10 and includes an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5 and a fixing member 47 fixed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20.

승강체(45)와 고정체(47)는 유사'ㄱ'형 브래킷 부재로써, 바닥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의 측면에 접하면서 연결되는 연결부(45A)(47A)와, 연결부(45A)(47A)의 상, 하 끝단에서 일 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호 대칭되는 접촉부(45B)(47B)로 구성되고, 스토퍼(41)가 승강체(45)의 접촉부(45B) 상면 또는 고정체(47)의 접촉부(47B) 하면에 구비됨에 따라 바닥프레임(10)이 상승하게 되면 스토퍼(41)와, 접촉부들(45B)(47B) 중 하나가 접촉하면서 바닥프레임(1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45 and the fixing member 47 are similar to each other and have a connecting portion 45A and a connecting portion 45A which ar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2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frame 10, 45B and 47B that are symmetrically formed by bend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tact members 45A and 45A The stopper 41 and one of the contact portions 45B and 47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ottom frame 10 is lifted due to being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47B of the bottom frame 10, can do.

한편 도로 노면의 비 평탄성에 의해 받는 충격으로 인해 승강체(45)가 상승하는 높이가 변위되는데, 스토퍼(41)가 바닥프레임(10)의 상면 또는 지지프레임(2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될 경우 상승 제한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장비(C) 제작 시 도색가이드(450)에 가해질 외력을 감안하여 스토퍼(41)를 개별 제작하는 것은 도색가이드(450)에 가해질 외력을 감안하여 제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닐, 제작 용이성 관점에서도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pper 4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1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0, the height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5 is displaced due to the impact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The stopper 41 is separately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external force to be applied to the painting guide 450 when the cushioning device C is manufactured because the elevation limit height is always kept constant, In view of the external force to be applied to the optical disc 1, it is not practically possible to manufacture it.

이에 스토핑수단(40)은 바닥프레임(10)에 구비되어 연동 승하강하는 승강체(45)와,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는 고정체(47)를 포함하고, 스토퍼(41)는 승강체(45)와 고정체(47)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The stopping means 40 includes a lifting body 45 provided in the floor frame 10 and an interlocking ascending and descending descent and a fixing body 47 provided on the supporting frame 20, (45) and the fixing member (47).

또한 본 완충장비(C)의 스토핑수단(40)은 승강체(45)와 고정체(47)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스토핑볼트(42)를 포함하고, 스토퍼(41)는 스토핑볼트(42)에 결합되는 스토핑너트(43)로 구성된다.The stopping means 40 of the cushioning device C includes a stopping bolt 42 which is coupled to the elevating body 45 through the fixing body 47 and the stopper 41 is a stopping bolt And a stopping nut 43 which is coupled to the stopper nut 42.

스토핑볼트(42)를 축으로 바닥프레임(10)의 승하강을 위하여 승강체(45) 및 고정체(47)의 각 접촉부에는 스토핑볼트(42)의 나사부(42b)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관통공(115a)이 동일선 상에 천공되어 있다.The contact portions of the elevating member 45 and the fixing member 47 ar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2b which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42b of the stopping bolt 42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loor frame 10 about the stopping bolt 42, Holes 115a are perforated on the same line.

그리고 스토핑볼트(42)의 나사부(42b) 끝단에는 고정너트(44)가 체결됨으로써, 승강체(45) 또는 고정체(47)에 스토핑볼트(42)가 결합된다.The fixing nut 44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threaded portion 42b of the stopping bolt 42 so that the stopping bolt 42 is engaged with the elevating body 45 or the fixing body 47.

아울러 스토핑볼트(42)는 승강체(45) 하측에서 진입하여 상측으로 고정체(47)에 관통하거나, 고정체(47) 상측에서 진입하여 하측으로 승강체(45)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The stopping bolt 42 may enter from the lower sid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5 and penetrate the fixing member 47 upward or may pas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member 47 and penetrate to the lowering member 45 through the lowering member 45 .

또 스토핑볼트(42)는 헤드부(42a)와 고정너트(44)를 통해 승강체(45)와 고정체(47)를 소정 높이로 구속하면서 결합되고, 바닥프레임의 상승 시 스토핑볼트(42)의 나사부(42b)가 안내부재로 기능하여 바닥프레임(10)이 틀어지면서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topping bolt 42 is engaged while restraining the elevating body 45 and the fixing body 47 at a predetermined height via the head portion 42a and the fixing nut 44. When the stopping bolt 42 42 can function as a guide member so that the bottom frame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aised by being twisted.

나아가 도색가이드(4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일 측으로 쏠릴 경우 쏠리는 반대 방향의 스토핑볼트(42)의 헤드부(42a)에 동일 방향에 구비된 승강체(45)가 하강하면서 접촉되고, 스토핑볼트(42)는 고정 너트(44)에 의하여 고정체(47)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결국 바닥프레임(10)의 상승되는 쪽은 지지프레임(20)에 의하여 하강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되는 방향의 바닥프레임(10)이 과하강되어 도로 노면에 긁히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코일스프링(31)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외력 쏠림 현상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Furthermor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aint guide 450 is directed to one side,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5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d portion 42a of the stopping bolt 42 in the opposite direction, Since the bolt 42 is constrained to the fixing member 47 by the fixing nut 44 so that the rising side of the bottom frame 10 is not lowered by the support frame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tom frame 10 from being overdrawn in the upward direction and being scratched or damaged on the road surface. This is to prevent the external force leaning phenomenon from being increas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31).

이때 승강체(45)와 고정체(47) 사이에서 스토핑볼트(42)의 나사부(42b)에 체결된 스토퍼(41)는 스토핑볼트(42)의 헤드부(42a) 또는 나사부(42b)의 끝단부 방향으로 편중되도록 결합된다.The stopper 41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42b of the stopping bolt 42 between the vertically movable body 45 and the fixed body 47 is engaged with the head portion 42a or the threaded portion 42b of the stopping bolt 42, As shown in Fig.

따라서 스토핑너트(43)와 승강체(45) 또는 고정체(47) 사이의 이격 거리는 바닥프레임(10)의 상승 한계 거리가 되고, 스토핑너트(43)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거나, 높이가 상이한 스토핑너트(43)를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스토핑볼트(42)에 결합되는 스토핑너트(43)의 수를 달리함으로써, 바닥프레임(10)의 상승 한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stopping nut 43 and the elevating body 45 or the fixing body 47 becomes a rising limit distance of the bottom frame 10 and the adjusting position of the stopping nut 43 is adjusted, The upper limit of the height of the bottom frame 10 can be set to various values by using different stopping nuts 43 or by changing the number of the stopping nuts 43 coupled to the stopping bolts 42 .

도 6 [A]는 스토핑너트(43)가 스토핑볼트(42)의 나사부(42b) 끝단 방향으로 편중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6 [B]는 스토핑너트(43)가 스토핑볼트(42)의 헤드부(42a) 방향으로 편중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6A shows that the stopping nut 43 is biased toward the end of the threaded portion 42b of the stopping bolt 42 and FIG. And is biased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42a of the stopping bolt 42. As shown in Fig.

도 6 [A]의 경우 바닥프레임(10)이 상승하게 되면, 스토핑너트(43)와 고정너트(44)로 인하여 스토핑볼트(42)가 고정체(4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승강체(45)만이 상승하면서 접촉부(45B)의 관통공(115a)이 스토핑볼트(42)를 따라 상승됨에 따라, 승강체(45)의 접촉부(45B)와 스토핑너트(43)의 하면이 접촉되면서 코일스프링(31)의 과수축이 방지된다.6A, the stopping bolt 42 is fixed to the fixing body 47 due to the stopping nut 43 and the fixing nut 44. Therefore, when the bottom frame 10 is raised, The through hole 115a of the contact portion 45B is lifted along the stopping bolt 42 so that the contact portion 45B of the lift member 4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ing nut 4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il spring 31 is prevented from over-contracting.

또 도 6 [B]의 경우 바닥프레임(10)이 상승하게 되면, 헤드부(42a)와 스토핑너트(43)로 인하여 승강체(4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승강체(45)와 함께 스토핑볼트(42)가 고정체(47)의 접촉부(47B)에 구비된 관통공(115a)을 통과하면서 상승함에 따라, 고정너트(44) 역시 동반 상승하고, 스토핑너트(43)의 상면과 고정체(47)의 접촉부(47B)가 접촉되면서 코일스프링(31)의 과수축이 방지된다.In the case of Fig. 6 [B], when the bottom frame 10 is raised, the head part 42a and the stopping nut 43 are fixed to the elevating body 45, As the topping bolt 42 ascends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5a provided in the contact portion 47B of the fixing member 47, the fixing nut 44 is also elevated together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ing nut 43 Contraction of the coil spring 31 is prevented while the contact portion 47B of the fixture 47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47B.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1도색장비(400) 및 제2도색장비(500)의 두 차선(L)의 폭을 위해 두 장비 간의 배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 제1도색장비(400) 및 제2도색장비(50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이는 당업자(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ength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arrangement width between the two apparatuses for the widths of the two lanes L of the first and second painting apparatuses 400 and 500,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500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and infer any number of persons skilled in the art It is.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 도색장치 L: 차선
P1: 일 도색예정부 P2: 타 도색예정부
100: 이동수단 200: 도료공급기
300: 압력조절기 400: 제1도색장비
500: 제2도색장비 600: 분배부
610: 제1탱크 620: 제2탱크
C: 완충장비
A; Paint device L: Lane
P1: Exposure color Example P2: Other colors Yes
100: moving means 200: paint supply unit
300: Pressure regulator 400: 1st painting equipment
500: second painting equipment 600: dispensing part
610: first tank 620: second tank
C: Cushioning equipment

Claims (4)

탑재부를 갖는 이동수단;
상기 탑재부에 장착되고, 도료를 공급하는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를 구비한 도료공급기;
상기 탑재부에 장착되어 분사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
상기 제1공급구와 연결되고 도로의 일 도색예정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일 도색예정부에 도료를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1도색장비; 및
상기 제2공급구와 연결되고 도로의 타 도색예정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타 도색예정부에 도료를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의 타 측면에 배치되는 제2도색장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재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료공급기의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와 연결되는 유입구 및 상기 제1도색장비의 제1분사노즐 및 제2도색장비의 제2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유출구를 각각 갖는 제1탱크 및 제2탱크로 이루어진 분배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선 도색장치.
A moving means having a mounting portion;
A paint supply unit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 first supply port and a second supply port for supplying the paint;
A pressure regulator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to regulate an injection pressure;
A first painting equipment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ort and disposed adjacent to a paint color preliminary part of the road, and having a first spray nozzle for spraying paint onto the paint color preliminary part, the first paint equipment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unt part; And
A second painting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por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paint color preliminary part of the road so as to spray paint onto the other paint color preliminary part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unt part;
, ≪ / RTI >
An inlet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ort and the second supply port of the paint supply unit and hav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of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of the second painting equipment, A distributor comprising a first tank and a second tank;
The lane mar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색장비는
도로의 일 도색예정부 좌우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좌우 수직벽체, 상기 수직벽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벽체, 상기 수평벽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사노즐이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색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inting equipment
There is provided a painting guide comprising a left and right vertical wall disposed vertically on left and right ends of a painting coloring example of a road, a horizontal wall 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irst spray nozzle passes, Wherein the lane marking unit includ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색가이드 하부에는 완충장비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장비는 상기 도색가이드 하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 배열되어 도로의 노면에 접하는 바닥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및 바닥프레임 사이에 배열되어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진수단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과압축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비되어 연동 승하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승강체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승강체와 상기 고정체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스토핑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핑볼트에 결합되는 스토핑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cushioning device is provided under the painting guide,
The cushioning device may include a support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inting guide,
A bottom frame arranged below the support frame and contacting the road surface of the road,
A plurality of dustproof means including a coil spring for buffering vibration transmitt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bottom frame,
And a stopper for restricting an elevation height of the bottom frame to prevent an overpressure axis of the coil spring,
Wherein the stopping means includes an ascending / descending body provided on the floor frame and descending in an upright position, and a fixed body provided and fixed to the supporting frame,
Wherein the stopper is disposed between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fixture,
Wherein the stopping means includes a stopping bolt which is coupled through the lifting body and the fixing body,
Wherein the stopper comprises a stopping nut coupled to the stopping bolt.

KR1020150059768A 2015-04-28 2015-04-28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KR101581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768A KR101581377B1 (en) 2015-04-28 2015-04-28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768A KR101581377B1 (en) 2015-04-28 2015-04-28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377B1 true KR101581377B1 (en) 2015-12-30

Family

ID=5508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768A KR101581377B1 (en) 2015-04-28 2015-04-28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3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8164A (en) * 2021-01-11 2021-06-01 高艳娜 Road and bridge marking machine and u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892Y1 (en) * 1996-05-06 1999-02-18 장철수 Road surface marking device
KR101383163B1 (en) * 2013-07-23 2014-04-15 (주)선화건설 Device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lane paint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892Y1 (en) * 1996-05-06 1999-02-18 장철수 Road surface marking device
KR101383163B1 (en) * 2013-07-23 2014-04-15 (주)선화건설 Device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lane paint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8164A (en) * 2021-01-11 2021-06-01 高艳娜 Road and bridge marking machine and us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307B1 (en) Device for painting lane of the road
KR101565002B1 (en) Complex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CN101104163B (en) Container outside paint spraying system
KR101025279B1 (en) Apparatus for Lane Painting
KR101581377B1 (en)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KR101036179B1 (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projection type of traffic lane painting
US8801131B2 (en) Printing device
KR20090132192A (en) External ostensible coating compound automatic application system of railway car
HRP20141089T1 (en) Station for a funicular assembly
KR101493912B1 (en) Line painting apparatus using the spray
KR101150715B1 (en)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vihicle two liquid type paint
KR101662463B1 (en) Painted method with a multi-lane construction
CN206926838U (en) A kind of movable up-down plane nose repairing dock
DE3834674A1 (en) Spray diffuser for colouring agents with different pigments
CN103121511A (en) Traction passenger elevator car
KR101557044B1 (en) apparatus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KR101245763B1 (en) Painting apparatus
CN210439209U (en) Automatic keep away barrier water spray frame and high-pressure sewer flushing vehicle
CN214419126U (en) Gypsum board levels device
CN206562280U (en) The post lifting machine of buffer-type four
CN207682972U (en) Plastic cement plate surface gluing device
KR101280329B1 (en) Carriage for painting longi
KR101591778B1 (en) Apparatus for marking lanes
KR101660213B1 (en) Traffic lane Apparatus
CN209566008U (en) Guiding mechanism and the sand blasting system for apply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