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133B1 - 통신창을 갖는 발열체 - Google Patents

통신창을 갖는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133B1
KR101581133B1 KR1020140139032A KR20140139032A KR101581133B1 KR 101581133 B1 KR101581133 B1 KR 101581133B1 KR 1020140139032 A KR1020140139032 A KR 1020140139032A KR 20140139032 A KR20140139032 A KR 20140139032A KR 101581133 B1 KR101581133 B1 KR 10158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us bar
heating
reg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006A (ko
Inventor
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4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5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isolat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8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with layout including a portion free of resistive material, e.g. communication wind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제1 버스바,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 발열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턴은 제1 버스바에 접하여 구비된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각각 접하여 구비된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발열체가 기재된다.

Description

통신창을 갖는 발열체{HEATING ELEMENT HAVING COMMUNICATION WINDOW}
본 출원은 2013년 10월 15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3-0122782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는 발열체가 기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창을 갖는 발열체가 기재된다.
겨울철이나 비 오는 날에는 자동차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자동차 유리에 성에가 발생한다. 또한, 실내 스키장의 경우 슬로프가 있는 내부와 슬로프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열 유리가 개발되었다. 발열 유리는 유리 표면에 열선 시트를 부착하거나 유리 표면에 직접 열선을 형성한 후 열선의 양 단자에 전기를 인가하여 열선으로부터 열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하여 유리 표면의 온도를 올리는 개념을 이용한다.
발열 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투명 도전막이 필요하다. 투명 도전막의 종류로는 인듐 틴 옥사이드(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막, 또는 불투명 도전성 재료인 Ag와 같은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금속 박막을 얇게 형성하고, 금속 박막 주변에 투명 절연 재료를 형성한 막이 있다. 또한, 불투명 소재인 금속 재료를 패터닝을 통하여 개구율을 높임으로써 투과도를 높이고 금속 패턴의 선폭을 3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패턴의 인지를 제한하여 투명 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방법들로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이용하는 경우, 발열체로서의 기능도 하게 되지만, 높은 전도도로 인하여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도 있다. 현재 자동차 앞 유리를 통하여 전자기파를 이용한 여러 가지 전자 장비들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통행료 자동 계산을 위한 단말기, 내비게이션 이용을 위한 GPS 등이 전자기파를 이용한 통신을 이용한다. 또한 모바일 전화 사용을 위한 전자기파 통신이 자동차 유리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전술한 투명 도전막은 상기와 같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통신에서 통신 수신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자동차 유리의 일부분, 특히 백미러가 부착된 부위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 부위를 제거하여 통신창으로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자동차 앞유리에 발열 성능을 부여하는 경우, 발열체를 전원 공급부와 연결해 주는 버스바는 주로 자동차 유리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 이때, 통신창 부위에 투명 도전막이 제거되는 경우, 통신창이 있는 영역의 상하단에 설치된 버스바 사이의 거리는 다른 부위의 버스바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발열체에서 흐르는 전류가 집중하게 되어 불균일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문제 개선을 위하여 투명 발열체의 전도도를 부위별로 다르게 형성시키는 방법 또는 버스바를 2개 이상 사용하는 방법(미국 등록 특허 제6,734,396호)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들은 제조 단가 상승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채택이 쉽지 않다.
본 명세서에는 발열체에 외부와의 통신창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버스바 사이의 거리 편차에 따른 불균일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발열체가 기재된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상태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제1 버스바,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 발열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턴은 제1 버스바에 접하여 구비된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각각 접하여 구비된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는 1 이상인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선들은 상기 개구 영역을 구획하는 발열선 이외의 부분에서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 영역을 구획하는 발열선이란, 개구 영역의 가장자리부분에 배치된 발열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1 버스바의 면저항의 비는 0.1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상기 제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 저항의 편차는 10%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2 패턴 영역 내에서의 1 cm x 1 cm 면적에서의 면저항 편차는 10% 이하인 것인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상태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제1 버스바,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 발열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턴은 제1 버스바에 접하여 구비된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각각 접하여 구비된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을 포함하고, 제1 버스바와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제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 저항의 편차는 10% 이하인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는 1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1 버스바의 면저항의 비는 0.1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2 패턴 영역 내에서의 1 cm x 1 cm 면적에서의 면저항 편차는 10% 이하인 것인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자동차 앞유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자동차 앞유리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운전자 시야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운전자 시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있어서, 발열체에 내외부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창을 가지면서도, 버스바 간의 거리 편차에 따른 불균일 또는 국부 발열이 제어될 수 있는 발열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에서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제1 패턴 영역, 제2 패턴 영역 및 개구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에서 제1 패턴 영역에서의 발열 패턴의 일부분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라 설계한 제1 버스바 및 제1 패턴 영역의 발열 패턴을 설계 수치들을 표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패턴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제1 버스바,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 발열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턴은 제1 버스바에 접하여 구비된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각각 접하여 구비된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는 1 이상이다.
도 1에 상기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구성을 예시하였다. 도 1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태의 기재 상에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가 구비되고, 제1 버스바에 접하도록 구비된 제1 패턴 영역(B), 제1 패턴 영역 내에 통신창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 개구 영역(A), 및 제2 버스바 및 제1 패턴 영역에 접하도록 구비된 제2 패턴 영역(C)이 도시되어 있다. 기재의 형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앞유리에 적용할 것을 가정하여 사다리꼴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태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가 1 미만인 경우,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패턴 영역에서 제2 패턴 영역 보다 발열이 강하게 일어나게 된다.
추가로, 상기 제1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는 발열체에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패턴들 각각의 저항을 균일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개구 영역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불균일 또는 국부 발열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상기 제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 저항의 편차는 10%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는 각각 전원 연결부를 한 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연결부는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발열선들의 선폭이나 선의 길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1 버스바와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제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 저항의 편차 10% 이하, 5% 이하, 2% 이하까지도 달성할 수 있다.
자동차 앞유리에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을 형성할 때는 운전자의 시야 영역과 무관한 영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2 패턴 영역이 운전자 시야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패턴 영역에서의 발열이 제1 패턴 영역에서의 발열과 동등한 정도 또는 더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가 1 미만인 경우, 운전자의 시야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패턴 영역보다 제1 패턴 영역에서 발열이 강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발열로 인하여 발열체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면저항은 발열패턴의 선폭, 선의 길이, 선간 간격, 선고, 재료 등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발열패턴의 선폭과 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제조 및 수치 설계에 용이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이란, 상기 개구 영역이 없는 부분에서 상기 발열선의 양단 간 저항을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 사이의 거리로 나누고, 상기 발열선들간 간격의 평균 거리를 곱한 값으로 정의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을 구성하는 발열선들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금속 직선 패턴으로 디자인된 경우, 면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식 1]
R=Rs x L/s = 비저항 x (L/(w x t))
[식 2]
Rs = 비저항 x (s/(w x t))
식 1 및 식 2에 있어서,
R은 금속 직선 패턴의 양단 사이의 저항,
L은 금속 직선 패턴의 길이,
s는 금속 직선 패턴들 간의 간격,
비저항은 금속 직선 패턴의 비저항,
t는 금속 직선 패턴의 높이,
w는 금속 직선 패턴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에서의 면저항이란, 상기 제2 패턴 영역이 상기 제2 버스바와 접하는 계면으로부터 상기 제2 패턴 영역이 상기 제1 패턴 영역과 접하는 계면까지 연장되는 패턴 선의 양단부에 걸리는 저항을 양단부 사이의 거리로 나누고, 저항을 측정한 패턴의 폭을 곱한 값을 의미한다.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은 1 cm x 1 cm 이상의 임의의 영역에서 측정할 수도 있으나 저항을 측정하는 부위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와 평행한 영역을 가지고 상단과 하단 사이에 걸리는 저항값을 측정하여 얻을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와 평행한 선으로 절단하고, 그와 직각이 되는 선으로 절단하여 정사각형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와 평행한 방향으로 전극을 형성한 후 저항을 측정하면, 패턴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와 전극의 폭이 같아지므로, 측정되는 저항이 면저항이 된다.
[식 3]
R= Rs x L/W
식 3에 있어서,
R은 버스바와 평행한 변을 갖는 임의의 정사각형 양단에 형성된 전극 사이에 걸리는 저항,
L은 상기 전극 사이의 거리,
W는 상기 전극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은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cm인 샘플에 가로 방향에 버스바를 대고 저항을 측정했을 때의 저항값으로 측정하거나, 상기와 같은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발열패턴이 도 2와 같은 형태로 설계되는 경우, 패턴선의 선고가 t, 선폭이 w, 제1 버스바로부터 제2 패턴 영역까지 연장된 길이가 L이라고 할 때, 각 패턴 선의 양단에 걸리는 저항 R은 [비저항 x L/(w x t)]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는 50 이하이다.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이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 보다 50 배를 초과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제1 패턴 영역에서의 패턴의 폭 또는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패턴의 폭을 너무 두껍게 하는 경우 시인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패턴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하는 것은 공정상 어려움이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다. 자동차 앞유리의 경우 발열패턴을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운전자의 시야 영역에 배치하고, 제1 패턴 영역을 운전자의 시야 영역과 무관한 영역, 예컨대 자동차 앞유리의 상단부에 배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패턴 영역 내의 개구 영역이나 상기 제1 패턴 영역 내의 발열패턴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를 자동차 앞유리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제1 패턴 영역이 전술한 면저항 조건만 만족하는 한, 제1 패턴 영역 내의 발열패턴이나 개구 영역을 설계하는데 제한사항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자동차 앞유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자동차 앞유리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의 면저항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길이 또는 면저항이 동일한 경우, 제1 및 제2 패턴 영역 내의 면저항 편차가 적도록 제어하는데 유리하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운전자 시야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개구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제2 패턴 영역이 운전자 시야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데 유리하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자동차 안전 기준에 관한 규칙 109조에 따른 "가"와 "나" 이외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운전자 시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대응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따른 발열체가 자동차 앞유리에 적용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의 중심부 보다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주행시 운전자는 정면을 바라보게 되므로, 상부쪽에 위치하는 제1 패턴 영역의 발열패턴 또는 개구 영역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내에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은 발열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서, 통신창의 역할을 할 수만 있다면 그 형태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내에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은 제1 버스바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패턴 영역에서 개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발열패턴이 균일한 면저항을 갖도록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한 예로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내에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은 제1 버스바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심부분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발열 패턴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접하는 임의의 점으로부터 상기 제2 패턴 영역과 접하는 임의의 점까지 연장되는 발열선들을 포함하는 패턴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선들은 상기 개구 영역을 구획하는 발열선 이외의 부분에서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한다.
상기 발열선들은 직선, 곡선, 지그재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패턴 영역 내의 각 발열 패턴 선들은 제1 버스바와 접하는 점으로부터 제2 패턴 영역에 접하는 점까지의 각각의 발열선들의 저항 편차가 10%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발열 패턴은 규칙 패턴 또는 불규칙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발열 패턴은 다각형 형태 또는 다각형의 선의 굴곡도가 변형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의 굴곡도가 변형되었다는 것은 지그재그 또는 곡선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다각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한다. 불규칙 패턴은 패턴을 구성하는 폐쇄도형의 형태, 크기, 선간격, 선폭, 선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외 요인에서 규칙성을 갖지 않도록 형성된 패턴을 의미한다. 예컨대, 불규칙 패턴은 보로노이 패턴 또는 델로니 패턴으로서 규칙성이 없는 패턴을 포함한다. 도 4에 제2 패턴 영역과 제1 패턴 영역의 계면을 예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1 버스바의 면저항의 비는 0.1 이하이다. 이 경우, 제1 버스바의 길이 방향으로의 저항 변화가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이 계면에 걸리는 저항 변화보다 작기 때문에, 제1 및 제2 패턴 영역, 특히 제2 패턴 영역에서 효율적으로 발열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2 패턴 영역 내에서의 1 cm x 1 cm 면적에서의 면저항 편차는 10% 이하인 것인 발열체를 제공한다.
상기 발열패턴의 전체 개구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 내에서의 개구율 편차는 각각 2%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상태에의 발열체에 포함되는 발열패턴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열패턴은 금속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패턴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패턴 재료의 비저항 값은 1 마이크로오옴 센티미터 이상 200 마이크로오옴 센티미터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발열 패턴 재료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열전도성 재료는 입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발열패턴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 구리, 은(silver), 탄소나노튜브(CNT), 은으로 코팅된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 패턴은 첫째 상기 기재 상에 직접 인쇄한 후 건조 또는 소성을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둘째 금속 박막을 상기 기재에 라미네이션한 후 상기 금속 박막을 패터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셋째 은염이 코팅된 기재 위에 포토그래프 방식을 이용하여 은 패턴을 형성한 후, 도금을 통하여 원하는 면저항을 얻을 때까지 선의 두께를 높이는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식 중 첫 번째 방법인 인쇄법을 이용하는 경우, 기재 상에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하여 인쇄할 수 있다. 인쇄법을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비교적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도 간단하고, 선폭이 얇으며 정밀한 패턴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의 인쇄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오프셋 인쇄는 패턴이 새겨진 요판에 페이스트를 채운 후 블랑킷(blanket)이라고 부르는 실리콘 고무로 1차 전사를 시킨 후, 블랑킷과 유리를 밀착시켜 2차 전사를 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랑킷이 갖는 이형 특성으로 인하여 페이스트가 유리에 거의 대부분 전사되기 때문에 별도의 블랑킷 세정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요판은 목적하는 패턴선이 새겨진 소다라임 유리를 정밀 에칭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위하여 유리 표면에 금속 또는 다이아몬드형 탄소(DLC: Diamond-like Carbon) 코팅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요판은 금속판을 에칭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정밀한 패턴선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프셋 인쇄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페이스트는 전술한 열전도성 재료 이외에 인쇄 공정이 용이하도록 유기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소성 공정에서 휘발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로는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우즈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계 수지 및 변성 에폭시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와 같은 기재에 대한 페이스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페이스트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프릿은 시판품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나, 납성분이 없는 친환경적인 글래스 프릿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사용하는 글래스 프릿의 크기는 평균 구경이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이고 최대 구경이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페이스트에는 용매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카르비톨 아세테이트(Carbitol acetate), 시클로 헥사논(Cyclohexanon), 셀로솔브 아세테이트(Cellosolve Acetate) 및 테르피놀(Terpineol) 등이 있으나, 이들 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도성 재료, 유기 바인더, 글래스 프릿 및 용매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의 중량비는 전도성 재료 50 ~ 90 중량%, 유기 바인더 1 ~ 20 중량%, 글래스 프릿 0.1 ~ 10 중량% 및 용매 1 ~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방식 중 두번째 방식인 금속 박막을 기재에 라미네이션한 후 상기 금속 박막을 패터닝하는 방법에서, 금속 박막을 라미네이션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박막을 기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으며, 기재 상에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여 금속 박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 박막이 라미네이션된 기재 상에 금속선을 패터닝하는 방식으로는 식각 보호층을 패턴한 후에 보호층 이외에 부분을 식각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식각 보호층은 포토리소그라피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오프셋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턴의 선폭이 30 마이크로미터 이하, 구체적으로 0.1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상기 발열패턴의 선간 간격은 50 마이크로미터 내지 30 밀리미터, 선고(선의 높이)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20 마이크로미터 내에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제1 패턴 영역의 발열 패턴의 선폭은 제2 패턴 영역의 선폭에 제1 패턴 영역의 선간 간격/제2 패턴 영역의 선간 간격을 곱한 값의 0.5 내지 10배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다. 0.5배 이상인 경우 제1 패턴 영역에 걸리는 저항 증가가 커져서 제2 패턴 영역의 효율적인 발열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10배 이하인 경우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 사이의 국부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기재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로는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열 패턴을 형성한 후,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기재의 발열패턴이 형성된 면에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합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 또는 필름으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butyral),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스터설폰(PES: polyethersulfon),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아세틸 셀룰로이드와 같은 가시광 투과율 80 % 이상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12.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25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는 용도에 따라 곡면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상기 제1 또는 제2 버스바를 은폐하기 위하여 블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랙 패턴은 코발트 산화물을 함유한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프린트할 수 있다. 이때 프린팅 방식은 스크린 프린팅이 적당하며, 두께는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패턴선과 버스바는 각기 블랙 패턴 형성 전이거나 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발열체는 상기 기재의 발열패턴이 구비된 면에 구비된 추가의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재는 전술한 기재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기재의 합착시 발열패턴과 추가의 기재 사이에 접합 필름을 끼워넣을 수 있다. 접합하는 과정에서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상태에 있어서, 발열패턴이 구비된 기재와 추가의 기재 사이에 접착필름을 삽입하고, 이를 진공백에 넣어 감압하며 온도를 올리거나, 핫롤을 이용하여 온도를 올려,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1차 접합을 하게 된다. 이때 압력, 온도 및 시간은 접착필름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300~700 토르의 압력으로, 상온에서 100 ℃까지 온도를 점진적으로 올릴 수 있다. 이때 시간은 보통 1 시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접합을 마친 예비 접합된 적층체는 오토클레이브에서 압력을 가하며 온도를 올리는 오토클레이빙 과정에 의하여 2차 접합 과정을 거치게 된다. 2차 접합은 접착필름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40 바 이상의 압력과 130~150 ℃ 정도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3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 시간 수행한 후 서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상태에서는 전술한 2단계의 접합 과정과는 달리 진공라미네이터 장비를 이용하여 1 단계로 접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80~150 ℃까지 단계적으로 온도를 올리고 서냉하면서, 100 ℃까지는 감압(~5 밀리바)하고, 그 이후에는 가압(~1000 밀리바)을 하여 접합을 할 수 있다.
상기 접합 필름의 재료로는 접착력이 있고 접합 후 투명하게 되는 어떤 물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비닐부티랄(PVB: polyvinylbutyral)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 필름, 폴리우레탄(PU: Ployurethane)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합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그 두께가 100 마이크로미터 내지 8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따른 발열체는 발열을 위하여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발열량은 m2 당 100 내지 1000 W,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W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따른 발열체는 저전압, 예컨대 30 V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V 이하에서도 발열성능이 우수하므로, 자동차 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에서의 저항은 2 오옴/스퀘어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오옴/스퀘어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오옴/스퀘어 이하이다. 이때 얻은 저항값은 면저항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제1 버스바,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 발열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턴은 제1 버스바에 접하여 구비된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각각 접하여 구비된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을 포함하고, 제1 버스바와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제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 저항의 편차는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패턴 영역 상의 제1 버스바와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의 양단간 저항 편차를 10% 이하가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에서의 불균일 발열을 제어하기에 유리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는 1 이상인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1 버스바의 면저항의 비는 0.1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상태의 발열체에서 상기 제2 패턴 영역 내에서의 1 cm X 1 cm 면적에서의 면저항 편차는 10% 이하인 것인 발열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실시상태에 있어서, 그외 발열체의 구체적인 설명은 제1 실시상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라 도 3와 같은 형태와 하기 표 1의 치수로 제1 버스바와 제1 패턴 영역을 형성하였다. 제1 버스바는 5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구리를 사용하였으며, 면저항은 4 x 10-4 오옴/스퀘어이다. 제1 패턴 영역은 기재 위에 두께 2 마이크로미터의 구리 박막을 형성한 후, 에칭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한 패턴에서, 구리의 비저항이 1.78 x 10-8 오옴.m이므로, 제1 패턴 영역의 Line 1 내지 Line 21의 면저항은 하기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Rs = (1.78 x 10-8 x 20 x 10-3) / (4 x 10-3 x 2 x 10-6) = 0.04 오옴/스퀘어
Line 1 내지 21 Line 22 Line 23 Line 24 Line 25 Line 26 Line 27 Line 28
wn(mm) 4 3.8 3.4 2.6 2.9 3.1 3.9 5.2
Ln(mm) 168 134 96 56 51 44 44 44
wa(mm) 6 6 6 6 6 6 6
La(mm) 40 82 122 122 122 122 122
wb(mm) 6 6 6 6
Lb(mm) 22 44 44 44
wc(mm) 7 7
Lc(mm) 20 40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 양단에 걸리는 저항 R(오옴) 0.374 0.373 0.373 0.373 0.370 0.373 0.372 0.37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의 선폭과 선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Line 1 내지 28의 양단 간에 걸리는 저항치는 0.370~0.374 오옴 사이에서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Line 1 내지 28에서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 양단에 걸리는 저항의 평균치는 0.374오옴이며, 각 발열선에 걸리는 저항과 저항의 평균치 사이의 최대 차이는 0.004오옴이다. 25 mm 폭의 제1 버스바 일단부부터 중심부까지의 거리(570mm)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저항은 최대 0.009 오옴(0.0004 x 570 / 25=0.009 오옴)이므로, 제1 버스바 일단부부터 제2 패턴 영역 사이에 걸리는 발열선 간 저항의 가능한 최대 차이는 0.013 오옴이며, 이 값을 평균치로 나눈 값, 즉 제 1 버스바와 제 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제 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의 저항 편차는 3%이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를 버스바 중앙에 하나만 위치하는 경우에도, 전원부에서 제1 패턴 영역을 거쳐 제2 패턴 영역 상단 영역에 도달하는데 소모되는 저항의 편차값을 10% 이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패턴 영역은 2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구리 위에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하여 에칭 레지스트 물질을 패턴닝한 후, 에칭(Etching) 공정을 통하여 선폭 5 내지 8 마이크로미터, 선고 2 마이크로미터의 금속 패턴을 가진 전도성 발열패턴 영역을 형성하였다. 이 때 형성된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은 0.50 오옴/스퀘어였다.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 비는 12.5(0.5/0.04=12.5)였다. 상기 패턴을 이용하여 버스바 양단 간의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을 실시한 결과 제2 패턴 영역에서 균일한 발열을 얻었으며, 제1 패턴 영역에서 발열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 선폭을 4 마이크로미터로 고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Line 1 내지 21 Line 22 Line 23 Line 24 Line 25 Line 26 Line 27 Line 28
wn(mm) 4 4 4 4 4 4 4 4
Ln(mm) 168 134 96 56 51 44 44 44
wa(mm) 4 4 4 4 4 4 4
La(mm) 40 82 122 122 122 122 122
wb(mm) 4 4 4 4
Lb(mm) 22 44 44 44
wc(mm) 4 4
Lc(mm) 20 40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 양단에 걸리는 저항 R(오옴) 0.374 0.387 0.396 0.396 0.434 0.467 0.512 0.556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과는 달리 Line 1 내지 28의 양단 간에 걸리는 저항치는 0.374~0.556 오옴 사이의 값을 가진다. 이 때 Line 1 내지 28에서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 양단에 걸리는 저항의 평균치는 0.393 오옴이며 각 발열선에 걸리는 저항과 저항 평균치 사이의 최대 차이는 0.163 오옴이다. 25 mm 폭의 제1 버스바 일단부부터 중심부까지의 거리(570mm)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저항은 최대 0.009 오옴(0.0004 x 570 / 25=0.009 오옴)이므로, 제1 버스바 일단부부터 제2 패턴 영역 사이에 걸리는 발열선간 저항의 최대 가능 차이는 0.172 오옴이며 이 값을 평균치로 나눈 값, 즉 제 1 버스바와 제 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제 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의 저항 편차는 43.8%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를 버스바 중앙에 하나만 위치하는 경우에, 전원부에서 제1 패턴 영역을 거쳐 제2 패턴 영역 상단 영역에 도달하는데 소모되는 저항의 편차값을 10% 이내에서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에서 Line 1 내지 21의 형성방법이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은 0.04 오옴/스퀘어를 가진다.
상기의 패턴을 이용하여 버스바 양단 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을 실시한 결과 제2 패턴 영역에서 국부 발열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 선폭을 실시예 1 보다 12.5배 축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예를 들어 Line 1의 wn 값을 4mm에서 0.32mm로 축소하였다.
Line 1 내지 28에서 제1 패턴 영역의 발열선 양단에 걸리는 저항의 평균치는 4.670 오옴이며 각 발열선에 걸리는 저항과 저항 평균치 사이의 최대 차이는 0.050 오옴이다. 25 mm 폭의 제1 버스바 일단부부터 중심부까지의 거리(570mm)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저항은 최대 0.009 오옴(0.0004 x 570 / 25=0.009 오옴)이므로, 제1 버스바 일단부부터 제2 패턴 영역 사이에 걸리는 발열선간 저항의 최대 가능 차이는 0.059 오옴이며 이 값을 평균치로 나눈 값, 즉 제 1 버스바와 제 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제 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의 저항 편차는 1.3%이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를 버스바 중앙에 하나만 위치하는 경우에도, 전원부에서 제1 패턴 영역을 거쳐 제2 패턴 영역 상단 영역에 도달하는데 소모되는 저항의 편차값을 10% 이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패턴 이용 시,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은 0.5 오옴/스퀘어를 가지게 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 비는 1이었다.
상기의 패턴을 이용하여 버스바 양단 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을 실시한 결과 제2 패턴 영역에서 균일한 발열을 얻었으며 외부 통신창을 제외하고, 제1 패턴 영역에서 제2 패턴 영역과 동일한 발열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Claims (17)

  1. 기재,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제1 버스바,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버스바에 대향하여 구비된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 발열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턴은 제1 버스바에 접하여 구비된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버스바 및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각각 접하여 구비된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 및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발열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선들은 상기 개구 영역을 구획하는 발열선 이외의 부분에서는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발열 패턴은 다각형 형태 또는 다각형의 선의 굴곡도가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면저항의 비는 1 이상이고, 상기 제1 버스바와 제2 패턴 영역을 연결하는 상기 제1 패턴 영역 상의 발열선들의 양단간 저항의 편차는 10% 이하인 발열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면저항에 대한 상기 제1 버스바의 면저항의 비는 0.1 이하인 것인 발열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 내에서의 1 cm X 1 cm 면적에서의 면저항 편차는 10% 이하인 것인 발열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 5 및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내에 통신창 역할을 하는 개구 영역은 제1 버스바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심부분에 접하도록 형성된 것인 발열체.
  13. 청구항 1, 5 및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는 각각 전원 연결부를 한 개 포함하는 것인 발열체.
  14. 청구항 1, 5 및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발열 패턴의 발열선의 선폭은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선폭에 제1 패턴 영역의 선간 간격/제2 패턴 영역의 선간 간격을 곱한 값의 0.5 내지 10배의 값을 갖는 것인 발열체.
  15. 청구항 1, 5 및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인 것인 발열체.
  16. 청구항 1, 5 및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자동차 앞유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자동차 앞유리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인 발열체.
  17. 청구항 1, 5 및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자동차 앞유리용이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운전자 시야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운전자 시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대응하는 것인 발열체.
KR1020140139032A 2013-10-15 2014-10-15 통신창을 갖는 발열체 KR101581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782 2013-10-15
KR20130122782 2013-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006A KR20150044006A (ko) 2015-04-23
KR101581133B1 true KR101581133B1 (ko) 2015-12-30

Family

ID=5282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032A KR101581133B1 (ko) 2013-10-15 2014-10-15 통신창을 갖는 발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65627B2 (ko)
EP (1) EP2996439B1 (ko)
KR (1) KR101581133B1 (ko)
CN (1) CN105379413B (ko)
WO (1) WO2015056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1439B1 (en) * 2014-04-28 2021-05-12 AGC Inc. Plate for electro-thermal window
CN105338671A (zh) * 2015-09-17 2016-02-17 福建省万达汽车玻璃工业有限公司 带有通讯窗加热组件设有导电端子的电加热汽车玻璃
JP6589897B2 (ja) * 2017-01-25 2019-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カメラ用フロントガラス加熱装置
CN108162728B (zh) * 2018-01-11 2019-10-18 福建省万达汽车玻璃工业有限公司 一种带有通讯窗口的镀膜玻璃
JP7192862B2 (ja) * 2018-05-30 2022-12-20 Agc株式会社 ガラス
KR102662502B1 (ko) * 2021-06-24 2024-05-08 (주)아이테드 발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 모빌리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9419B1 (en) * 2001-08-03 2003-05-06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Multi-zone arrangement for heatable vehicle window
US6734396B2 (en) 2001-09-07 2004-05-11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Heatable vehicle window with different voltages in different heatable zones
US7132625B2 (en) * 2002-10-03 2006-11-07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article having a configured heating member
DE10333618B3 (de) 2003-07-24 2005-03-24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Substrat mit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Beschichtung und einem Kommunikationsfenster
DE102004050158B3 (de) * 2004-10-15 2006-04-06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DE102006002636B4 (de) * 2006-01-19 2009-10-2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ansparente Scheibe mit einem beheizbaren Schichtsystem
EP1908584A1 (en) * 2006-10-02 2008-04-09 Scheuten S.à.r.l. Laminated glazing
DE102008018147A1 (de) * 2008-04-10 2009-10-15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trukturen
US20110215078A1 (en) * 2010-03-05 2011-09-08 Paridon Williams Windshield heater
JP5905467B2 (ja) * 2010-09-09 2016-04-2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加熱可能な被覆を有する透明ペイン
KR101273147B1 (ko) 2010-09-14 2013-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2830390B1 (en) * 2012-03-21 2024-05-01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82406A1 (en) 2015-12-31
CN105379413A (zh) 2016-03-02
CN105379413B (zh) 2018-06-01
US10165627B2 (en) 2018-12-25
EP2996439A1 (en) 2016-03-16
EP2996439A4 (en) 2017-01-11
EP2996439B1 (en) 2021-01-06
KR20150044006A (ko) 2015-04-23
WO2015056971A1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133B1 (ko) 통신창을 갖는 발열체
KR101004171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4912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6133437B2 (ja) 電気加熱層を備えているガラス板
EP3076751B1 (en)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A2894012C (en)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KR101443509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2618632B1 (en)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46359B2 (ja) 加熱可能な合わせサイドガラス
EP2844031A1 (en)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381739B1 (en) Heating ele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90791A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38550B2 (en) Pane with an electrical heating region
KR20150036256A (ko) 전기 접촉 수단을 갖는 복합 판유리
CN109792803B (zh) 布有金属线的层压窗
US20170238373A1 (en)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90129927A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6351826B2 (ja) 電気加熱層を備えた透明窓板、透明窓板の製造方法及び透明窓板の使用
EP2063685A1 (en) Plastic glazing
KR20170037254A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2257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9504A (ko) 안테나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