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106B1 -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 Google Patents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106B1
KR101581106B1 KR1020140010639A KR20140010639A KR101581106B1 KR 101581106 B1 KR101581106 B1 KR 101581106B1 KR 1020140010639 A KR1020140010639 A KR 1020140010639A KR 20140010639 A KR20140010639 A KR 20140010639A KR 101581106 B1 KR101581106 B1 KR 101581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eg
screw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713A (ko
Inventor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몸살림운동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몸살림운동본부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몸살림운동본부
Priority to KR102014001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1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1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manually actuated locking mean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판형의 탁자부와, 상기 탁자부에 결합되며 네 모퉁이에 하향 돌출된 브라켓과 가로방향 일측으로 브라켓 사이에 기구 브라켓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멈춤나사로 고정되는 다리와, 상기 기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기구로 이루어지며; 네 모퉁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구비되며, 브라켓홀이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다리에는 다리나사홀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리는 브라켓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나사홀과 브라켓홀로 다리나사가 체결되어 다리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가로 방향 외측벽에 가로 방향으로 지지부가 관통형성되고 다리에는 가로 방향 외측에 가로 방향으로 멈춤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멈춤나사홀에 멈춤나사가 체결되어 다리가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Description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Folding table combined with stretc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레칭용 지지기구가 결합되며 다리와 지지기구가 접이식으로 보관이 용이한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을 위하여 가정에 구비되는 기구들은 앉아서 스트레칭을 하는 좌식기구나 누워서 스트레칭을 하는 배드형태의 기구가 주로 사용된다. 이런 스트레칭용 기구들은 운동에 특화되어 있으나 기구의 부피로 인한 주거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시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선 출원된 종래 기술에서는 스트레칭용 기구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레칭요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있어서, 중간부에 플레이트(13)가 결합된 베이스프레임(1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의 중간부에 직립하는 수직프레임(16)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의 위에 곡선으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눕게되어 몸을 지지하는 제1베드(20) 및 제2베드(21)와; 상기 제1, 제2베드(20,21)의 저면 외측에 부착된 제1, 제2롤러(26,26')와; 상기 베드(20,21)를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3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과 제1, 제2베드(20,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제2받침대(41,41')에 의해 연결부(22)를 기준으로 제1, 제2베드(20,21)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제2경사도조절수단(40,40')과; 상기 승강수단(30) 및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8)로 구성된다.
상기의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용법은 사용자가 헤드레스트(25)에 머리를 위치시키고 베드(20,21) 위에 누운 상태에서 발을 발걸이(23)에 건 뒤 허리를 편다. 이어 상기 컨트롤러(38)를 조작하여 리프트(31)에 의해 제1, 제2베드(20,21)가 상승하면서 허리를 위로 들어올려 척추 및 근육을 늘리듯이 이완시키게 되며, 이후 상기 리프트가 하강 복귀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스트레칭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드(20,21)를 제1, 제2경사도조절수단(40,40')에 의해 경사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제1베드(20) 및 제2베드(21)가 하부의 제1, 제2받침대(41,41')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히 세워지고, 상기 제1, 제2받침 받침대(41,41')는 착탈구(46)가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스트레칭 전용으로써 기능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며 그밖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고 큰 부피로 인하여 기구설치 시 넓은 실내공간을 차지 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칭에 관련된 기능외에 보관을 위한 접이식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넓은 보관장소가 요구되어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3-008559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일상에서 사용되는 탁자에 스트레칭용 지지기구를 결합함로써 스트레칭을 위하여 주거공간을 차지하는 별도의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음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탁자를 사용하지 않을 시 다리와 지지기구가 접히도록 하고 멈춤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관이 용이한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트레칭기구 겸용 탁자는 판형의 탁자부와, 상기 탁자부에 결합되며 네 모퉁이에 하향 돌출된 브라켓과 가로방향 일측으로 브라켓 사이에 기구 브라켓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멈춤나사로 고정되는 다리와, 상기 기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기구로 이루어지며; 네 모퉁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구비되며, 브라켓홀이 세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다리에는 다리나사홀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리는 브라켓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나사홀과 브라켓홀로 다리나사가 체결되어 다리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가로 방향 외측벽에 가로 방향으로 지지부가 관통형성되고 다리에는 가로 방향 외측에 가로 방향으로 멈춤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멈춤나사홀에 멈춤나사가 체결되어 다리가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부는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으로서 브라켓의 하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하향 개구된 형태이며, 지지부의 세로 방향 폭은 상기 멈춤나사의 나사부의 직경보다 넓고 나사헤드 직경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멈춤나사의 나사부 길이는 다리가 펴있을 시 브라켓의 가로 방향 외측으로부터 다리의 가로 방향 외측까지의 거리보다 길며, 다리가 접혀있을 시 나사부의 길이는 다리의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나사지지부의 높이 방향 하단부 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나사지지홀의 높이 방향 상단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짧으며; 상기 다리가 펴져 있을 시 다리 상부의 가로방향 내측은 가로 방향으로 내향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기구 브라켓은 가로 방향으로 내향 개구되고 하향 개구되며, 세로 방향으로 기구 브라켓홀(123a)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구은 관 형태의 기구프레임과, 발걸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구프레임의 일단에서 발걸이부가 세로 방향 양측으로 연장 구비되어 “T”자를 형성하고 상기 기구프레임의 타단에는 기구나사홀이 세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기구 브라켓홀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구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기구 나사홀과 기구 브라켓홀로 기구나사가 체결되어 기구 브라켓에 가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기구가 펴져 있을 시 상기 기구나사홀의 중심에서 높이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선과 기구프레임이 이루는 각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기구 브라켓의 가로 방향 외측벽의 하단에는 원호형태의 기구홈이 높이 방향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기구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기구프레임의 직경보다 세로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기구홈이 기구프레임의 외경면과 접촉되어 기구프레임을 세로 방향으로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다리의 세로 방향으로 양측에 다리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리 나사홀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다리의 회전반경 가장자리까지의 최장거리는 다리 나사홀의 중심에서 길이 방향 외측 브라켓벽의 내측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다리가 접혔을 시 멈춤나사의 나사부가 접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에 나사지지부가 높이 방향 하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기구프레임의 세로 방향으로 양측에 기구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구나사홀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기구프레임의 회전반경 가장자리까지의 최장거리는 기구나사홀의 중심에서 길이 방향 외측 기구 브라켓벽의 내측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상에서 사용되는 탁자에 스트레칭용 지지기구를 결합함로써 스트레칭을 위하여 주거공간을 차지하는 별도의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음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탁자를 사용하지 않을 시 다리와 지지기구가 접히도록 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관이 용이한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리가 펴졌을 시 브라켓과 다리를 정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리가 접혔을 시 브라켓과 다리를 정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지지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지지기구의 움직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구브라켓의 기구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리가 펴졌을 시 브라켓과 다리를 정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리가 접혔을 시 브라켓과 다리를 정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지지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지지기구의 움직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구 브라켓의 기구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세로를“세로방향”으로 하고, 가로를“가로방향”으로 하며,“세로방향”과“가로방향”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외측” 중심부로 가까워지는 방향을“내측”이라 하고, 도 4의 세로방향을“높이방향”으로 하며 다리에서 탁자부의 방향을“상향”탁자부에서 다리로의 방향을“하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는 판형의 탁자부(110)와, 상기 탁자부(110)에 결합되는 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에 네 모퉁이에 결합되는 브라켓(121)과, 상기 브라켓(121)에 결합되는 다리(130)와, 상기 브라켓(121)의 세로 방향 사이에 구비되는 기구브라켓(123)과, 상기 기구브라켓(123)에 결합되는 지지기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탁자부(11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탁자부(110)에는 프레임(120)이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관체로써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20)은 탁자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네 모퉁이에는 브라켓(121)이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20)의 가로방향 일측에는 기구브라켓(123)이 브라켓(121)의 세로 방향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21)은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121)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한다. 브라켓(121)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구비된다. 브라켓(121)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벽 사이에 다리(130)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다리(130)는 다리나사(1211)에 의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브라켓(121)과 결합된다.
상기 다리(130)는 관체로 이루어진다. 접혀진 다리(130)의 가로 방향 외측에는 멈춤나사(131)가 구비된다.
상기 기구브라켓(123)은 브라켓(121)의 세로 방향 사이에 구비된다. 기구브라켓(123)은 프레임(120)의 가로 방향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구브라켓(123)은 상기 프레임(120)의 가로 방향 길이와 다리(130)의 길이에 따라 세로 방향 양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기구브라켓(123)은 가로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구비된다. 기구브라켓(123)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벽 사이에 지지기구(140)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지지기구(140)는 기구나사(1231)에 의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기구브라켓(123)과 결합된다.
상기 지지기구(140)은 기구프레임(141)과 상기 기구프레임(141)의 일단에서 세로 방향 양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발걸이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걸이부(143)의 세로 방향 양단에 발걸이보호대(143a)가 세로 방향 내측으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기구나사(1231)는 기구브라켓(123)의 세로 방향 일측 벽의 기구 브라켓홀(123b)로 삽입되어 상기 기구프레임(141)을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고 타측 벽의 기구 브라켓홀(123b)을 통하여 돌출되며 돌출된 나사부는 너트로 체결 된다. 상기 기구나사(1231)는 일체가 아닌 2개의 독립된 기구나사(1231)가 세로 방향 양측의 기구 브라켓홀(123b)로 삽입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에는 브라켓(121)과, 나사지지부(122)가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121)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벽에는 브라켓홀(121b)이 세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브라켓(121)의 가로 방향 외측벽에는 멈춤나사(131)가 삽입되도록 지지부(121a)가 하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1a)의 세로 방향 폭은 상기 멈춤나사(131)의 나사부(1313) 직경보다 넓고 나사헤드(1311)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다리(130)의 세로 방향 양측 상부에는 다리나사홀(130b)이 세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다리(130)의 가로 방향 외측의 상단에는 멈춤나사홀(130a)이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다리(130)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는 나사지지부(122)가 삽입 가능하도록 가로방향 내향하여 개구된 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나사홀(130b)은 브라켓홀(121b)과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한다. 다리나사홀(130b)과 브라켓홀(121b)은 다리나사(1211)와 체결 됨으로써 다리(130)와 브라켓(121)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다리나사(1211)는 브라켓(121)의 세로 방향 일측 벽의 브라켓홀(121b)로 삽입되어 상기 다리(130)를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고 타측 벽의 브라켓홀(121b)을 통하여 돌출되며 돌출된 나사부는 너트로 체결 된다. 상기 다리나사(1211)는 일체가 아닌 2개의 독립된 다리나사(1211)가 세로 방향 양측의 브라켓홀(121b)로 삽입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다리나사홀(130b)의 중심(C)에서 반경 방향으로 다리(130)의 가장자리까지의 최장거리(ℓ2)는 다리나사홀(130b)의 중심(C)에서 길이 방향 외측 브라켓(121)벽의 내측까지의 거리(ℓ3)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탁자를 사용할 시 상기 다리(130)는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향으로 펴지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후에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다리(130)가 펴져있을 시 멈춤나사홀(130a)에 체결된 멈춤나사(131)의 나사부(1313)가 상기 지지부(121a)에 삽입된 후 멈춤나사(131)를 조임으로써 나사헤드(1311)가 브라켓(121)의 가로 방향 외측 벽에 접촉되어 다리(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멈춤나사(131)의 나사부(1313) 길이는 다리(130)가 펴져있을 시 브라켓(121)의 가로 방향 외측으로부터 다리(130)의 가로 방향 외측까지의 거리(ℓ1)보다 길다.
상기 나사지지부(122)는 브라켓(121)으로부터 가로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나사지지부(122)는 높이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나사지지부(122)의 높이 방향 하단면에는 멈춤나사가 삽입 가능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상향하여 오목하게 나사지지홀(1221)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지지홀(1221)의 내부에는 나사산(1313)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130)가 접혀졌을 시 다리(130)의 높이방향 상면이 프레임(120)의 하면을 향한다. 이때, 나사지지부(122)는 다리(130)의 개구부(133)를 통하여 삽입되며 멈춤나사(131)의 나사부(1313)는 나사지지홀(1221)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다리(13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며 고정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에는 기구브라켓(123)이 결합된다. 기구브라켓(123)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벽 사이에 지지기구(140)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상기 기구브라켓(123)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된 벽에는 기구 브라켓홀(123a)이 세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지지기구(140)는 기구프레임(141)과 상기 기구프레임(141)의 일단에서 세로 방향 양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발걸이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프레임(141)과 발걸이부(143)는 대략“T”자를 형성한다.
상기 기구프레임(141)의 타단에는 기구나사홀(141a)이 세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기구나사홀(141a)은 기구 브라켓홀(123a)과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한다. 상기 기구나사홀(141a)의 중심(C1)에서 반경 방향으로 기구프레임(141)의 가장자리까지의 최장거리(ℓ4)는 기구나사홀(141a)의 중심(C1)에서 길이 방향 외측 기구브라켓(123)벽의 내측까지의 거리(ℓ5)보다 짧은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구나사홀(141a)과 기구 브라켓홀(123a)로 기구나사(1231)가 체결됨으로써 기구 브라켓(123)에 지지기구(140)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기구(140)가 펴져있을 시 기구나사홀(141a)의 중심(C1)에서 높이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선과 기구프레임(141)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다.
상기 기구브라켓(123)의 가로 방향 외측벽에는 지지기구(140)가 고정되도록 기구홈(123b)이 하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기구홈(123b)은 단면이 둥근 원호형 또는 사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홈(123b)이 기구프레임(141)의 외경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지지기구(140)를 세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어 사용자가 스트레칭시 지지기구(140)가 세로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사용자의 발을 지지 가능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트레칭 겸용 접이식 탁자
110 : 탁자부 120 : 프레임
121 : 브라켓 121a : 지지부
121b : 브라켓홀 1211 : 다리나사
122 : 나사지지부 1221 : 나사지지홀
123 : 기구브라켓 123a : 기구 브라켓홀
123b : 기구홈 1231 : 기구나사
130 : 다리 130a : 멈춤나사홀
130b : 다리나사홀 131 : 멈춤나사
1311 : 나사헤드 1313 : 나사부
133 : 개구부 140 : 지지기구
141 : 기구프레임 141a : 기구나사홀
143 : 발걸이부 143a : 발걸이보호대

Claims (8)

  1. 판형의 탁자부(110)와, 상기 탁자부(110)에 결합되며 네 모퉁이에 하향 돌출된 브라켓(121)과 가로방향 일측으로 브라켓(121) 사이에 기구 브라켓(123)을 구비하는 프레임(120)과, 상기 브라켓(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멈춤나사(131)로 고정되는 다리(130)와, 상기 기구브라켓(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기구(140)로 이루어지며; 네 모퉁이에 결합되는 브라켓(121)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구비되며, 브라켓홀(121b)이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다리(130)에는 다리나사홀(130b)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리(130)는 브라켓홀(121b)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121)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나사홀(130b)과 브라켓홀(121b)로 다리나사(1211)가 체결되어 다리(130)가 브라켓(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121)에는 가로 방향 외측벽에 가로 방향으로 지지부(121a)가 관통형성되고 다리(130)에는 가로 방향 외측에 가로 방향으로 멈춤나사홀(130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1a)와 멈춤나사홀(130a)에 멈춤나사(131)가 체결되어 다리(130)가 브라켓(1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1a)는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으로서 브라켓(121)의 하단에서 높이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하향 개구된 형태이며, 지지부(121a)의 세로 방향 폭은 상기 멈춤나사(131)의 나사부(1313)의 직경보다 넓고 나사헤드(1311) 직경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나사(131)의 나사부(1313) 길이는 다리(130)가 펴있을 시 브라켓(121)의 가로 방향 외측으로부터 다리(130)의 가로 방향 외측까지의 거리(ℓ1)보다 길며, 다리(130)가 접혀있을 시 나사부(1313)의 길이는 다리(130)의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나사지지부(122)의 높이 방향 하단부 까지의 거리(ℓ6)보다 길고 나사지지홀(1221)의 높이 방향 상단까지의 길이(ℓ7)와 같거나 짧으며; 상기 다리(130)가 펴져 있을 시 다리(130) 상부의 가로방향 내측은 가로 방향으로 내향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브라켓(123)은 가로 방향으로 내향 개구되고 하향 개구되며, 세로 방향으로 기구 브라켓홀(123a)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구(140)은 관 형태의 기구프레임(141)과, 발걸이부(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구프레임(141)의 일단에서 발걸이부(143)가 세로 방향 양측으로 연장 구비되어 “T”자를 형성하고 상기 기구프레임(141)의 일단에 기구나사홀(141a)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기구 브라켓홀(123a)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구 브라켓(123)에 삽입되어 상기 기구나사홀(141a)과 기구 브라켓홀(123a)로 기구나사(1231)가 체결되어 기구 브라켓(123)에 가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기구(140)가 펴져 있을 시 상기 기구나사홀(141a)의 중심(C1)에서 높이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선과 기구프레임(141)이 이루는 각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브라켓(123)의 가로 방향 외측벽의 하단에는 원호형태의 기구홈(123b)이 높이 방향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기구프레임(141)이 삽입 가능하도록 기구프레임(141)의 직경보다 세로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기구홈(123b)이 기구프레임(141)의 외경면과 접촉되어 기구프레임(141)을 세로 방향으로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30)의 세로 방향으로 양측에 다리나사홀(130b)이 형성되며, 상기 다리나사홀(130b)의 중심(C)에서 반경 방향으로 다리(130)의 회전반경 가장자리까지의 최장거리(ℓ2)는 다리나사홀(130b)의 중심(C)에서 길이 방향 외측 브라켓(121)벽의 내측까지의 거리(ℓ3)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7. 제1 항에 있어서, 다리(130)가 접혔을 시 멈춤나사(131)의 나사부(1313)가 접하는 상기 프레임(120)의 일부분에 나사지지부(122)가 높이 방향 하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프레임(141)의 세로 방향 양측에 기구나사홀(141a)이 형성되며, 상기 기구나사홀(141a)의 중심(C1)에서 반경 방향으로 기구프레임(141)의 회전반경 가장자리까지의 최장거리(ℓ4)는 기구나사홀(141a)의 중심(C1)에서 길이 방향 외측 기구 브라켓(123)벽의 내측까지의 거리(ℓ5)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100).
KR1020140010639A 2014-01-28 2014-01-28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KR10158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39A KR101581106B1 (ko) 2014-01-28 2014-01-28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39A KR101581106B1 (ko) 2014-01-28 2014-01-28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13A KR20150089713A (ko) 2015-08-05
KR101581106B1 true KR101581106B1 (ko) 2015-12-29

Family

ID=5388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639A KR101581106B1 (ko) 2014-01-28 2014-01-28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015B2 (ja) 1992-09-30 2001-04-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建設残土の有効利用方法
KR100884928B1 (ko) 2008-05-16 2009-02-20 이만선 헬스 겸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6015A (ja) * 1990-10-20 1991-07-04 Mizota Kogyo Kk 防潮堰
KR101329233B1 (ko) 2012-01-20 2013-11-15 박진묵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015B2 (ja) 1992-09-30 2001-04-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建設残土の有効利用方法
KR100884928B1 (ko) 2008-05-16 2009-02-20 이만선 헬스 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13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US20110136635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person's back and head area
CN107693263A (zh) 一种护理床用腿部支撑架
US6443879B1 (en) Healthy machine enabling a human body to hang upside down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100738392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JP2011161208A (ja) 手すり付き踏み台昇降健康器具
KR101581106B1 (ko) 스트레칭기구 겸용 접이식 탁자
US9936812B2 (en) Leg support assembly
KR200454839Y1 (ko) 각도 조절 가능한 싯업 운동기구
KR101399642B1 (ko) 높이 조절형 책상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CN209018189U (zh) 多功能学生公寓床
CN2829722Y (zh) 按摩泡脚机
KR200449737Y1 (ko) 헬스의자
KR20080000998U (ko) 실내용 평행봉 운동기구
KR20060128424A (ko) 높이조절 고정장치
CN205457388U (zh) 可调节高度的椅子
KR101138178B1 (ko) 다리베개
KR200417196Y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213130552U (zh) 一种骨科手术用的固定装置
CN206817100U (zh) 一种可升降电视支架
KR20050105151A (ko) 다기능 침대
CN209018193U (zh) 易安装式公寓床型材结构
JP2008079705A (ja) 頚椎及び脊椎の伸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