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986B1 -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 Google Patents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986B1
KR101580986B1 KR1020150052096A KR20150052096A KR101580986B1 KR 101580986 B1 KR101580986 B1 KR 101580986B1 KR 1020150052096 A KR1020150052096 A KR 1020150052096A KR 20150052096 A KR20150052096 A KR 20150052096A KR 101580986 B1 KR101580986 B1 KR 10158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acket
mounting member
string
racqu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이재완
이희정
이지수
이윤서
Original Assignee
이재욱
이재완
이희정
이지수
이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욱, 이재완, 이희정, 이지수, 이윤서 filed Critical 이재욱
Priority to KR102015005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1Pre-woven string-sets ready for insertion into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22String guides on frames, e.g. gromm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10Reinforcements for stri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관통구 쌍을 포함하고, 관통구 쌍은 관통구 및 이에 대응되는 대응 관통구로 이루어지고, 관통구 쌍은 각각 별개의 라켓 줄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라켓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상된 라켓 줄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라켓 줄 전체를 교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라켓 줄 교체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a racket where a damaged string can be replaced}
본 발명은 손상된 줄만 교체할 수 있는 라켓에 관한 것이다. 특히 라켓 줄이 끊어진 경우에 줄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끊어진 줄만 교체할 수 있는 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가활동과 건강증진을 위해 근래에는 생활체육의 한 종목으로 배드민턴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배드민턴을 즐기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라켓 줄이 매여진 라켓과 셔틀콕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라켓은 셔틀콕을 치기 위한 수단으로 배드민턴을 치다 보면 보통 성인남자의 경우 한 달에 한번 정도, 또는 그 이상(물론 배드민턴을 치는 횟수와 사용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음) 라켓 줄이 끊어진다.
라켓 줄이 끊어지게 되면 통상은 전문점에 가서 교체를 하게 되는데 현재 수입에만 의존하는 라켓 줄을 교체하게 되면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라켓 줄의 인장력을 유지하면서 묶어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며, 또 한 그에 적합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스스로 교체할 수 없어 거의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전문점에 가서 고비용을 지불하면서 교체를 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배드민턴을 즐기기 위해서는 일반인들은 고비용의 부담을 늘 가져야 하며 라켓 줄의 낭비를 막을 수 없어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라켓 줄의 일부만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라켓 줄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상 부담이 따른다.
또한 특히 하나의 라켓만을 가지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라켓 줄이 끊어지게 되면 그 순간부터 배드민턴을 더 이상 진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3664호(2006.12.1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4793호(2013.02.12)
본 발명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손상되거나 끊어진 라켓 줄만을 교체할 수 있는 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 개의 관통구 쌍을 포함하고, 관통구 쌍은 관통구 및 이에 대응되는 대응 관통구로 이루어지고, 관통구 쌍은 각각 별개의 라켓 줄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일 수 있다.
복수의 관통구에는 제1 장착부재가 결합되고, 대응 관통구에는 제2 장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장착부재는, 일단은 관통구보다 직경이 커서 관통부를 통과할 수 없는 쉐드형 지지부를 가지고, 타단은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장착부재는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관통홀의 일단에는 라켓 줄의 매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관통홀의 타단에는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으나 라켓 줄의 매듭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장착부재는, 일단은 관통구보다 직경이 커서 관통부를 통과할 수 없는 쉐드형 지지부를 가지고, 타단은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갭을 가질 수 있다.
제2 장착부재는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관통홀의 일단에는 라켓 줄의 매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관통홀의 타단에는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으나 라켓 줄의 매듭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갭을 가질 수 있다.
라켓 줄의 일단 및 타단은 매듭지어져 제1 장착부재의 수용부 및 제2 장착부재의 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켓의 줄이 각각 독립적으로 라켓 프레임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줄이 손상되거나 끊어진 경우 손상되거나 끊어진 줄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라켓 줄의 일부만 손상되더라도 라켓 줄 전체를 교체해야 했던 기존과 비교하여, 라켓 줄 교체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에 대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라켓 줄의 매듭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종래 라켓 줄의 연결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손상된 줄만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에 대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라켓 줄의 매듭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착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종래 라켓 줄의 연결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 개의 관통구 쌍을 포함하고, 관통구 쌍은 관통구 및 이에 대응되는 대응 관통구로 이루어지고, 관통구 쌍은 각각 별개의 라켓 줄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일 수 있다.
배드민턴 라켓은 원형과 유사한 형태의 라켓 프레임(10), 라켓 프레임 안쪽에 라켓 줄(20)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그물망, 손잡이부(40)와 라켓 프레임(10)을 연결하는 샤프트(30)와 손잡이부(40)로 이루어져 있다. 라켓 프레임(10)에는 라켓 줄(20)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구는 상하 좌우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이로써 줄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그물망을 형성한다.
도 6에는 종래 배드민턴 라켓에서 라켓 줄을 연결하는 일례를 나타내었는데, 긴 줄 하나로 가로 대칭의 관통구를 모두 연결하고, 또 다른 긴 줄 하나로 세로 대칭의 관통구를 모두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 때문에 라켓 줄의 일부가 끊어지거나 손상되더라도 해당 라켓 줄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은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구만 하나의 라켓 줄로 연결될 뿐, 그 이외의 관통구 쌍은 별도 하나의 라켓 줄로 연결되는 구조이다(도 1의 “A” 참조). 즉 관통구 한 쌍마다 각각 독립적인 구조이다. 관통구 쌍의 개수만큼의 라켓 줄을 사용하여 그물망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라켓 줄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더라도 해당 라켓 줄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라켓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구에는 라켓 줄을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재를 끼워 조립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부재를 제1 장착부재라 하고,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부재를 제2 장착부재라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관통구에는 제1 장착부재와 제2 장착부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제1 장착부재는 쉐드형 지지부(56), 몸통부(57), 삽입부(5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쉐드형 지지부(56)의 외부 직경은 라켓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구의 직경보다 커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제1 장착부재는 라켓 프레임의 관통구를 통과할 수 없고 라켓 줄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라켓 줄을 지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몸통부(57)는 라켓 프레임의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압입에 의하여 삽입할 수 있을 정도면 된다. 몸통부의 직경은 라켓 프레임의 관통구의 직경과 별 차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입에 의하여 결합하는 경우 관통구와의 유격이 없이 꽉 끼어 더 이상의 움직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58)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라켓 프레임의 관통구에 삽입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장착부재로는 탄성과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라켓 줄의 인장력을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장착부재(50)에는 그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쉐드형 지지부 쪽과 삽입부 쪽 단부에 상부 개구(51) 및 하부 개구(55)가 형성된다.
쉐드형 지지부 쪽 관통홀의 상부 개구(51)의 직경은 라켓 줄의 매듭(21)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면 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라켓 줄의 매듭은 8자형 매듭일 수 있다(도 3 참조).
쉐드형 지지부 쪽으로부터 삽입부로 갈수록 관통홀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관통홀 직경은 테이퍼처럼 서서히 감소할 수도 있다. 또는 직경이 일정 지점까지는 동일하다가 그 일정 지점을 지나면서부터 깔때기 모양(도 4 참조)처럼 직선적으로 감소할 수도 있다. 또는 깔때기 모양처럼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라운드 형상으로 감소할 수도 있다. 라켓 줄의 매듭 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는 라운드 형상으로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대기 모양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감소하는 공간은 매듭을 수용하는 수용부(53)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삽입부 측 관통홀의 하부 개구(54)의 직경은 라켓 줄(20)은 통과할 수 있으나 그 매듭(21)은 통과할 수 없는 정도의 크기이어야 한다.
삽입부 측 관통홀 모서리(55)는 라운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 모서리가 직각인 경우에는 모서리에 의하여 반복적인 스트레스가 라켓 줄에 가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라켓 줄의 열화가 가속되어 라켓 줄이 쉽게 끊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장착부재(60)는 제1 장착부재(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단지 차이점은 측면에 절개 갭(61)를 가진다는 점이다. 즉, 제2 장착부재(60)도 쉐드형 지지부, 몸통부,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으나 그 매듭은 통과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장착부재가 가지는 특징은 절개 갭(61)을 가진다는 점이다. 제2 장착부재에 절개 갭이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설명한다.
제2 장착부재에 절개 갭(61)이 없는 경우에는, 제1 장착부재로부터 나온 라켓 줄을, 라켓 프레임의 대응 관통구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제2 장착부재의 삽입부 관통홀에 넣은 후 쉐드형 지지부의 개구로 빼내고, 또 다시 이를 잡아 당겨 늘인 후에 매듭을 지어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라켓 줄이 지나치게 늘어나게 되어 라켓 줄이 끊어지거나 영구변형이 발생하여 탄성 또는 인장력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 장착부재의 측면에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는 절개 갭(61)을 형성한 것이다. 즉, 제1 장착부재로부터 나온 라켓 줄을 원하는 길이에 맞추어 먼저 매듭을 짓는다. 제2 장착부재에 삽입하기 전에 먼저 라켓 줄을 매듭지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매듭지어진 라켓 줄을 라켓 프레임의 대응 관통구를 통과시킨 후 펜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살짝 늘인 상태에서 제2 장착부재의 절개 갭(61)을 통과하도록 하여 라켓 줄의 측면에서 제2 장착부재를 끼우고, 라켓 줄을 늘이기 위하여 가한 힘을 제거하면 라켓 줄이 줄어들면서 제2 장착부재가 프레임의 대응 관통구에 삽입되어 조립 결합된다.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면에 절개 갭(61)이 있는 제2 장착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라켓 줄을 늘이는 정도가 작아 힘도 적게 들고 라켓 줄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조립 공정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라켓 줄의 제1 매듭 및 제2 매듭은 각각 제1 장착부재의 수용부(53) 및 제2 장착부재의 수용부(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켓 구조는 배드민턴 라켓에는 물론이고 기타 테니스 라켓, 스쿼시 라켓 등 모든 라켓에 적용이 가능하며, 손상된 줄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끊어지거나 손상된 라켓 줄만을 교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라켓 프레임으로부터 손상되거나 끊어진 라켓 줄과 제1 및 제2 장착부재 등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라켓 줄이 제거된 관통구에 새로운 제1 장착부재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라켓 줄의 일단에 매듭을 형성한 후, 라켓 줄의 타단을 제1 장착부재의 상부 개구(51)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1 장착부재의 하부 개구(55)로부터 나온 라켓 줄의 타단에 매듭을 짓는다. 제2 장착부재에 결합될 매듭을 미리 형성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매듭을 짓는 위치는 라켓 줄의 탄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라켓 줄의 일단에 형성된 매듭으로부터 타단에 형성된 매듭까지의 거리에 따라 라켓 줄의 탄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매듭의 위치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거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육안으로도 쉽게 분별할 수 표식을 라켓 줄에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듭이 형성된 라켓 줄의 타단을 라켓 프레임의 대응 관통구를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라켓 줄을 펜치 등의 도구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가하여 라켓 줄을 잡아 늘인다.
다음으로, 라켓 줄을 늘인 상태에서, 절개 갭(61)을 통하여 제2 장착부재를 라켓 줄에 끼움으로써 제2 장착부재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잡아 늘인 라켓 줄에 가한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늘어난 라켓 줄이 줄어들면서 라켓 프레임 대응 관통구에 제2 장착부재가 조립 결합된다.
기존에는 배드민턴 라켓의 줄이 끊어지면 줄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장치가 요구되고, 라겟 줄 교체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교체 비용 또한 높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펜치 등의 도구만 사용하여도 쉽게 손상된 줄만을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라켓 프레임 20: 라켓 줄
21, 22: 제1 및 제2 매듭 30: 샤프트
40: 손잡이부 50: 제1 장착부재
51: 관통홀의 상부 개구 52: 관통홀
53: 수용부 54: 제1 관통홀
55: 관통홀의 하부 개구 56: 쉐드형 지지부
57: 몸체 58: 삽입부
60: 제2 장착부재 61: 절개 갭

Claims (9)

  1. 라켓에 있어서,
    상기 라켓은 관통구 및 이에 대응되는 대응 관통구로 이루어지는 관통구 쌍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라켓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 쌍은 각각 별개의 라켓 줄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통구에는 제1 장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대응 관통구에는 제2 장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장착부재는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에는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타단에는 상기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는, 일단은 상기 관통구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관통구를 통과할 수 없는 쉐드형 지지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는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에는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타단에는 상기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부재는, 일단은 상기 대응 관통구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대응 관통부를 통과할 수 없는 쉐드형 지지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대응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갭을 가지는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켓 줄의 일단 및 타단은 매듭지어져 제1 장착부재의 수용부 및 제2 장착부재의 수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8. 라켓에 있어서,
    상기 라켓은 관통구 및 이에 대응되는 대응 관통구로 이루어지는 관통구 쌍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라켓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 쌍은 각각 별개의 라켓 줄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통구에는 제1 장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대응 관통구에는 제2 장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장착부재는, 일단은 상기 관통구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관통구를 통과할 수 없는 쉐드형 지지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장착부재는,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에는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타단에는 상기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장착부재는, 일단은 상기 대응 관통구보다 직경이 커서 상기 대응 관통부를 통과할 수 없는 쉐드형 지지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대응 관통구를 통과할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갭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부재는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에는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타단에는 상기 라켓 줄은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라켓 줄의 매듭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9. 제1항에 따른 라켓에 있어서 라켓 줄을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라켓 프레임으로부터 손상되거나 끊어진 라켓 줄과 제1 및 제2 장착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라켓 줄이 제거된 관통구에 새로운 제1 장착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라켓 줄의 일단에 매듭을 형성한 후, 상기 라켓 줄의 타단을 상기 제1 장착부재의 상부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착부재의 하부 개구로부터 나온 상기 라켓 줄의 타단에 매듭을 짓는 단계;
    상기 매듭이 형성된 라켓 줄의 타단을 상기 라켓 프레임의 대응 관통구를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라켓 줄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라켓 줄을 늘이는 단계;
    상기 라켓 줄을 늘인 상태에서, 절개 갭을 통하여 제2 장착부재를 상기 라켓 줄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2 장착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잡아 늘인 라켓 줄에 가한 힘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라켓 줄의 교체 방법.
KR1020150052096A 2015-04-13 2015-04-13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KR10158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96A KR101580986B1 (ko) 2015-04-13 2015-04-13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96A KR101580986B1 (ko) 2015-04-13 2015-04-13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86B1 true KR101580986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096A KR101580986B1 (ko) 2015-04-13 2015-04-13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9181A (zh) * 2019-11-14 2020-01-03 杭州富阳三江文体用品有限公司 一种球拍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649A (en) * 1980-03-07 1982-06-08 Amf Incorporated Racket string clamp
US20010041632A1 (en) * 1997-06-25 2001-11-15 Bertolotti Fabio Paolo Interlocking string network for sports rackets
KR200433664Y1 (ko) 2006-09-29 2006-12-13 이주희 극세사 타올이 달린 미용시술용 자석접착 이중보자기
US20090165243A1 (en) * 2008-01-02 2009-07-02 Kamran Yazdi Grommet tie off (gto)
KR20130014793A (ko) 2011-08-01 2013-02-12 임성현 부분 교체가 가능한 배드민턴 라켓줄 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649A (en) * 1980-03-07 1982-06-08 Amf Incorporated Racket string clamp
US20010041632A1 (en) * 1997-06-25 2001-11-15 Bertolotti Fabio Paolo Interlocking string network for sports rackets
US6506134B2 (en) * 1997-06-25 2003-01-14 Fabio Paolo Bertolotti Interlocking string network for sports rackets
KR200433664Y1 (ko) 2006-09-29 2006-12-13 이주희 극세사 타올이 달린 미용시술용 자석접착 이중보자기
US20090165243A1 (en) * 2008-01-02 2009-07-02 Kamran Yazdi Grommet tie off (gto)
KR20130014793A (ko) 2011-08-01 2013-02-12 임성현 부분 교체가 가능한 배드민턴 라켓줄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9181A (zh) * 2019-11-14 2020-01-03 杭州富阳三江文体用品有限公司 一种球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883B2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7628743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1708796A (en) Apparatus for use in the practice of ball games
KR102189431B1 (ko) 홀컵 내에 설치된 골프공 배출기
CN102728038A (zh) 具有带的高尔夫球杆头护套及制造高尔夫球杆头护套的方法
US1470878A (en) Tennis racket
KR101580986B1 (ko) 손상된 줄만 교체 가능한 라켓
KR930019239A (ko) 구기용 라켓 및 줄부 또는 그 줄
US2080642A (en) Rubber strung racket
US2121289A (en) Balance adjustment for tennis rackets
KR20130014793A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배드민턴 라켓줄 고정구
KR20160088182A (ko) 셔틀콕을 뽑을 수 있는 배드민턴네트
US20130274038A1 (en) Stringing device for sports racket
KR101609704B1 (ko) 골프연습장치
US9216313B1 (en) Elastic cord for a pull exerciser
US20030211908A1 (en) Racket
CN204767232U (zh) 训练用网球和网球训练器
CN204543460U (zh) 一种足球训练装置
US20110009217A1 (en) String aligner
KR20160105592A (ko) 티 트레이너
CN210495112U (zh) 一种羽毛球拍
KR20190000946U (ko) 개인 연습용 공 틀
TW201350172A (zh) 球拍
CN212700437U (zh) 一种无压式带绳训练网球
CN206198530U (zh) 跳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