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902B1 -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902B1
KR101580902B1 KR1020150046870A KR20150046870A KR101580902B1 KR 101580902 B1 KR101580902 B1 KR 101580902B1 KR 1020150046870 A KR1020150046870 A KR 1020150046870A KR 20150046870 A KR20150046870 A KR 20150046870A KR 101580902 B1 KR101580902 B1 KR 10158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waste water
rota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영
박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스엔
Priority to KR102015004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rotary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지의 용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수지가 저장되는 공간부의 주위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부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공간부에 위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의 외주면을 따라 공간부로 투입된 폐수지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시계방향이나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정회전 스크류, 상기 제1정회전 스크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제1정회전 스크류와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로 투입된 폐수지의 이동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제1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역회전 스크류, 상기 공간부로 투입된 폐수지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제1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돌기부로 구성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축에 형성된 제1정회전 스크류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정회전 스크류, 상기 제1역회전 스크류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역회전 스크류, 상기 제1돌기부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돌기부로 구성된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한 쌍의 회전축에 모두 정회전 스크류 및 역회전 스크류, 돌기부를 형성하여, 케이스로 투입되는 폐수지를 원활하게 이동시킴은 물론, 역회전 스크류를 통해 폐수지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잔존하는 시간을 늘려 폐수지가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돌기부를 통해 폐수지가 효율적으로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수지의 용융시스템{Meltting system of spent resin}
본 발명은 폐수지의 용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회전 스크류 및 역회전 스크류가 형성된 회전축 2개를 한 쌍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배열하여, 용융장치로 투입된 폐수지를 정회전 스크류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폐수지가 역회전 스크류가 위치된 지점에 다다르게 되면 폐수지의 이동속도를 늦춰 용융장치에 투입된 폐수지의 잔존시간을 늘려 폐수지의 용융효율을 높이며, 상기 회전축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부에 의해 폐수지가 효율적으로 교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수지의 용융성을 높일 수 있는 폐수지의 용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폐수지의 용융시스템는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46817호와 같이 하나의 회전관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정향향으로 회전되는 스크류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관의 중간부분과 타측 임의의 지점에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역스크류를 형성하여, 중간 부분에 위치된 역스크류에 의해서는 폐수지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타측 끝부분에 위치된 역스크류에 의해서는 폐수지가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관에 직경이 점점 다른 스크류를 형성하게 될 경우, 회전관에 직경이 다른 스크류를 형성하기 위한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파손된 어느 하나만의 스크류를 유지보수하기 어려웠으며, 회전관에 역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용융장치로 투입된 폐수지의 잔존시간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이물질제거 및 폐수지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폐수지의 잔존시간이 늘어나지 않게 되어 용융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하나의 회전관으로만 폐수지를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폐수지의 분쇄성, 이동성 및 용융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폐수지의 용융시스템는 폐수지가 저장되는 공간부의 주위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부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공간부에 위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의 외주면을 따라 공간부로 투입된 폐수지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시계방향이나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정회전 스크류, 상기 제1정회전 스크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제1정회전 스크류와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로 투입된 폐수지의 이동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제1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역회전 스크류, 상기 공간부로 투입된 폐수지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제1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돌기부로 구성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축에 형성된 제1정회전 스크류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정회전 스크류, 상기 제1역회전 스크류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역회전 스크류, 상기 제1돌기부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돌기부로 구성된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져,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한 쌍의 회전축에 모두 정회전 스크류 및 역회전 스크류, 돌기부를 형성하여, 케이스로 투입되는 폐수지를 원활하게 이동시킴은 물론, 역회전 스크류를 통해 폐수지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잔존하는 시간을 늘려 폐수지가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돌기부를 통해 폐수지가 효율적으로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축을 한 쌍으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스로 투입된 폐수지의 이동성, 용융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2회전축에 형성된 제1, 2역회전 스크류가 케이스로 공급된 폐수지의 이동방향을 바꾸는 것이 아닌 케이스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도록 폐수지의 이동을 지연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폐수지를 용융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절삭장치를 통해 케이스에서 용융된 폐수지가 원활하게 일정간격마다 잘리면서 배출되어 용융된 폐수지에 의해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예방함은 물론, 폐수지가 원활하게 다음 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 2돌기부를 통해 폐수지를 원활하게 교반하여 다량의 폐수지로 열이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율이 우수해져 폐수지의 용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한 쌍의 회전축에 모두 정회전 스크류 및 역회전 스크류, 돌기부를 형성하여, 케이스로 투입되는 폐수지를 원활하게 이동시킴은 물론, 역회전 스크류를 통해 폐수지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잔존하는 시간을 늘려 폐수지가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돌기부를 통해 폐수지가 효율적으로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축을 한 쌍으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스로 투입된 폐수지의 이동성, 용융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2회전축에 형성된 제1, 2역회전 스크류가 케이스로 공급된 폐수지의 이동방향을 바꾸는 것이 아닌 케이스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도록 폐수지의 이동을 지연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폐수지를 용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절삭장치를 통해 케이스에서 용융된 폐수지가 원활하게 일정간격마다 잘리면서 배출되어 용융된 폐수지에 의해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예방함은 물론, 폐수지가 원활하게 다음 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 2돌기부를 통해 폐수지를 원활하게 교반하여 다량의 폐수지로 열이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율이 우수해져 폐수지의 용융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폐수지의 용융시스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와 3은 본 발명인 폐수지의 용융시스템에 형성된 절삭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대체사진.
도 4는 본 발명인 폐수지의 용융시스템의 제1회전축, 제2회전축을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폐수지의 용융시스템(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제1회전축(20), 제2회전축(3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케이스(10)는 내측으로는 폐수지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1)의 주위로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에 열을 제공할 수 있는 열공급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는 모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열공급부(12)는 현재 일반적으로 불꽃을 이용한 열원이나 열매체를 이용한 열원이나 전기를 이용한 열원 등을 이용해 공간부(11)로 열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열매체 또는 전기 등을 이용하여 열원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열공급부(12)는 케이스(10)의 공간부(11)로 투입된 페수지에 열을 가하여 폐수지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3)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것들 중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는 공간부(11)로 폐수지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도면에 미도시)와 공간부(11)로 투입되어 용융된 폐수지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열공급부(12), 구동부(13) 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원 등이 제공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1)의 주위로 형성된 열공급부(12)에서 발생된 열이 공간부(11)의 외측으로 발산되지 않고 공간부(11)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열공급부(12)의 주변으로 단열부재(14)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14)는 현재 일반적으로 보온효과 등을 위해 사용되는 어떠한 재질이나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배출구로 용융된 폐수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삭할 수 있도록 절삭장치(15)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의 외부 일측으로 배출구와 인접한 지점에 배출구로 배출되는 폐수지를 자를 수 있는 절삭부(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삭부(15a)의 일측으로 연결되면서 절삭부(15a)를 왕복운동 시킬 수 있는 연결부(15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15b)로 모터와 같이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구동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구동부(15c)가 작동하여 회전력을 연결부(15b)로 제공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15b)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절삭부(15a)를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절삭부(15a)가 배출구에서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면서 배출구로 배출되는 폐수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삭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5b) 및 절삭부(15a)는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 중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부(15a), 연결부(15b), 보조구동부(15c)는 핀과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 등을 통해 연결되면서 모터의 동력을 직선운동이나 회전운동 등과 같이 다양한 운동형태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케이스(10)는 바닥에 직접 설치되거나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레임(도면에 미도시) 등에 설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회전축(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에 위치되면서 케이스(10)의 외부에 형성된 구동부(13)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축(21)의 외주면을 따라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를 일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시계방향이나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형상의 제1정회전 스크류(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축(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제1정회전 스크류(22)에 이격되면서 제1정회전 스크류(22)의 일측이나 또는 양측으로 제1정회전 스크류(2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형상으로 제1역회전 스크류(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1정회전 스크류(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1역회전 스크류(2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정회전 스크류(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1역회전 스크류(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제1역회전 스크류(23)는 폐수지가 케이스(10)로 투입되는 투입구의 방향에만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폐수지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방향에만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위치된 두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역회전 스크류(23)가 제1정회전 스크류(22)의 양측과 케이스(10)의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지점에 위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제1축(21)에 형성된 제1정회전 스크류(22)와 제1역회전 스크류(23)의 사이로 제1축(21)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제1돌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축(21)이 회전하게 되면 제1축(21)에 형성된 제1정회전 스크류(22)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면서 케이스(10)의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가 제1정회전 스크류(22)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 폐수지가 제1역회전 스크류(23)에 다다르게 되면 폐수지가 더이상 전진하지 않고 역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공간부(11)에서 머물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공간부(11)에 투입된 폐수지가 제1회전축(20)에 형성된 제1돌기부(24)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제1돌기부(24)에 부딪치게 되면서 폐수지가 골고루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회전축(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0)과 맞물려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1회전축(20)과 같이 제2축(31)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2정회전 스크류(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정회전 스크류(32)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제2정회전 스크류(3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역회전 스크류(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20)에 형성된 제1돌기부(24)와 같이 제1정회전 스크류(32) 또는 제2역회전 스크류(33)의 사이로 제2축(31)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제2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축(31)에 제2정회전 스크류(32) 및 제2역회전 스크류(33), 제2돌기부(34)는 제1회전축(20)에 형성된 제1정회전 스크류(22) 및 제1역회전 스크류(23), 제1돌기부(24)와 동일한 형상 및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회전축(20)과 제2회전축(30)이 서로 맞물려 케이스(10)에 형성된 구동부(13)에 의해 회전하면서 케이스(10)의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를 제1, 2정회전 스크류(22, 32)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를 통해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를 전진시키지 않고 역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도록 하여 공간부(11)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머물도록 하고, 열공급부(12)를 통해 폐수지를 용융시키면서 제1, 2돌기부(24, 24)에 의해 교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제1, 2회전축(20, 30)에 의해 이동되면서 열공급부(12)에 의해 폐수지가 용융될 때, 상기 폐수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용융될 수 있도록 제1, 2회전축(20, 30)에 형성된 제1축(21)과 제2축(32)의 내측으로 열공급부(12)와 같이 불꽃을 통해 열기를 제공하거나 전기 또는 열매체를 통해 열기를 제공할 수 있는 제1히터(21a) 및 제2히터(31a)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제1, 2히터(21a, 31a)도 열공급부(12)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축(21)과 제2축(32)은 내측으로 제1, 2히터(21a, 31a)가 위치되면서 제1, 2축(21, 31)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돌기부(24, 34)를 통해 폐수지가 원활하게 교반되면서 열공급부(12) 및 제1, 2히터(21a, 31a)에서 발생되는 열을 다량의 폐수지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열전도율을 제공할 수 있돌고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2회전축(20, 30)에 형성된 제1, 2축(21, 31)의 크기, 길이나 제1, 2정회전 스크류(22, 32),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 및 제1, 2돌기부(24, 34)의 배열간격이나 설치되는 위치, 크기, 길이 등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투입구로 사용자가 용융시키고자 하는 폐수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투입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열공급부(12)를 작동시키면서 구동부(13)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13)에 의해 제1회전축(20)과 제2회전축(30)이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케이스(10)의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제1회전축(20)과 제2회전축(30)에 형성된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폐수지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에 의해 폐수지가 전진 이동하지 않고 역방향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지속적으로 투입구에서 공간부(11)로 투입되는 폐수지에 의해 서서히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공간부(11)에 투입된 폐수지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열공급부(12)와 제1, 2회전축(20, 30)에 형성된 제1, 2히터(21a, 31a)에 의해 서서히 용융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는 제1, 2역회전 스크류(22, 33)의 작용에 의해 공간부(11) 내에서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면서 열공급부(12)와 제1, 2히터(21a, 31a)에 의해 오랫동안 열원을 전달받게 되어 용융효율성이 더 좋아지게 되면서 배출구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에는 단열부재(14)가 형성되어 있어, 열공급부(12), 제1, 2히터(21a, 31a)에서 발산되는 열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발산되는 열을 최소화시키게 되면서 폐수지의 용융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의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가 용융되면서 제1, 2정회전 스크류(22, 32)에 의해 제1, 2돌기부(24, 34)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어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돌기부(24, 34)는 이동된 폐수지를 교반하면서 폐수지 전체에 고르게 열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용융효율이 좋아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용융되어 이동되는 폐수지가 배출구의 방향에 위치된 제1, 2역회전 스크류(22, 33)에 의해 전진하지 않고 역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다시 한번 공간부(11)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되어 용융효율이 더욱 좋아지게 되고, 지속적으로 투입구를 통해 공간부(11)로 투입되는 폐수지의 압력에 의해 배출구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회전축(20, 30)에 형성된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에 의해 케이스(10)의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가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어, 폐수지가 전진하지 않고 역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면서 공간부(11)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면서 용융이 이루어지다가 투입구로 투입되는 폐수지의 압력에 의해 배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케이스(10)의 공간부(11)로 폐수지가 투입되면서 용유되어 케이스(10)에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배출관에 밀착된 절삭장치(15)가 작동하게 되면서 열에 의해 용융된 폐수지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절삭장치(15)에 형성된 보조구동부(15c)가 작동하게 되면서 상기 보조구동부(15c)에 연결된 연결부(15b)가 그 형상에 따라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연결부(15b)에 연결된 절삭부(15a)도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수행하게 되면서 배출구로 배출되는 용융된 폐수지를 일정한 길이나 크기대로 자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5b)가 절삭부(15a)를 작동시킬 때, 상기 절삭부(15a)를 회전운동시킬 수도 있지만, 배출구로 배출되는 폐수지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삭부(15a)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상기 절삭장치(15)가 배출구로 떡가래와 같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폐수지를 상기 절삭부(15a)가 연결부(15b) 및 보조구동부(15c)를 통해 지속적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함과 동시에 밀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수지를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폐수지에 열을 가하게 되면 폐수지의 조직이 녹게 되면서 뭉쳐져 케이스(10)의 배출구에서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눌러 붙게 될 수 있는데, 상기 절삭장치(15)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용융된 폐수지가 잘게 절삭되면서 케이스(10)의 외부로 밀려나게 되어, 용융된 폐수지에 의한 배출구의 막힘현상을 예방하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수지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다양한 목적으로 재사용할 수 잇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장치(15)의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면서 제작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가 케이스(10)에 형성된 투입구 및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에 모두 형성되어 있을 경우, 폐수지의 이동속도를 늦추면서 용융시간을 늘리고, 폐수지가 배출되는 시간도 지연시켜 폐수지의 용융시간을 늘림으로써, 폐수지의 용융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상기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를 제1, 2축(21, 31)의 중간부분에도 형성하여 폐수지의 이동속도를 지연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 2축(21, 31)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된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에 의해 케이스(10)로 투입된 폐수지가 상기 제1, 2역회전 스크류(23, 33)가 위치된 지점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도록 하여, 폐수지의 이동속도를 늦추어 폐수지의 용융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케이스
11 : 공간부 12 : 열공급부
13 : 구동부 14 : 단열부재
20 : 제1회전축
21 : 제1축 22 : 제1정회전 스크류
23 : 제1역회전 스크류
24 : 제1돌기부
30 : 제2회전축
31 : 제2축 32 : 제2정회전 스크류
33 : 제2역회전 스크류
34 : 제2돌기부
50 :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Claims (5)

  1. 폐수지가 저장되는 공간부(11)의 주위로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부(12)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와, 외부 일측으로 폐수지를 원활하게 절삭하면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폐수지를 일정간격으로 자르는 절삭부(15a), 상기 절삭부(15a)에 연결되어 절삭부(15a)를 왕복운동시키는 연결부(15b), 상기 연결부(15b)에 연결되어 연결부(15b)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5c)로 이루어진 절삭장치(15)가 구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공간부(11)에 위치되어 구동부(13)에 의해 회전되는 제1축(21), 상기 제1축(21)의 외주면을 따라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시계방향이나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정회전 스크류(22), 상기 제1정회전 스크류(22)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제1정회전 스크류(22)와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의 이동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제1축(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역회전 스크류(23), 상기 공간부(11)로 투입된 폐수지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제1축(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돌기부(24)로 구성된 제1회전축(20);
    상기 제1회전축(20)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2축(31), 상기 제2축(31)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축(21)에 형성된 제1정회전 스크류(22)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정회전 스크류(32), 상기 제1역회전 스크류(23)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역회전 스크류(33), 상기 제1돌기부(24)에 대칭된 형상으로 제2축(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돌기부(34)로 구성된 제2회전축(30);이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열공급부(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부재(14)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장치(15)에 형성된 연결부(15b)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절삭부(15a)가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회전축(20), 30)에 형성된 제1, 2축(21, 31)의 내부에 각각 제1, 2히터(21a, 31a)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KR1020150046870A 2015-04-02 2015-04-02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KR10158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70A KR101580902B1 (ko) 2015-04-02 2015-04-02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70A KR101580902B1 (ko) 2015-04-02 2015-04-02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02B1 true KR101580902B1 (ko) 2015-12-31

Family

ID=5512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870A KR101580902B1 (ko) 2015-04-02 2015-04-02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21B1 (ko) * 2016-08-08 2018-05-15 주식회사엔코텍이엔씨 폐수지의 처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002U (ko) * 1997-02-13 1998-10-26 안영남 폐합성수지 용융 재생장치
JPH11348038A (ja) * 1998-06-04 1999-12-21 Ube Ind Ltd 廃プラスチックの減容成形用の切断装置
JP2001087744A (ja) * 1999-09-21 2001-04-03 Toshiba Mach Co Ltd 廃棄物処理装置
KR200295722Y1 (ko) * 2002-08-29 2002-11-18 이정무 폐비닐 용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002U (ko) * 1997-02-13 1998-10-26 안영남 폐합성수지 용융 재생장치
JPH11348038A (ja) * 1998-06-04 1999-12-21 Ube Ind Ltd 廃プラスチックの減容成形用の切断装置
JP2001087744A (ja) * 1999-09-21 2001-04-03 Toshiba Mach Co Ltd 廃棄物処理装置
KR200295722Y1 (ko) * 2002-08-29 2002-11-18 이정무 폐비닐 용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21B1 (ko) * 2016-08-08 2018-05-15 주식회사엔코텍이엔씨 폐수지의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30139B (zh) 一种大型橡胶生产造粒机
CN105542830A (zh) 双螺旋连续裂解炉
KR101580902B1 (ko) 폐수지의 용융시스템
CN103341974A (zh) 一种3d打印喷头
CN209320267U (zh) 一种微型单螺杆挤出机
JP2009113360A (ja) 射出成型機用プランジャ式射出シリンダ
WO2016159820A1 (ru)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ли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готовки формовочной смеси (варианты)
CN210705440U (zh) 一种高效填充的塑料搅拌机
KR101477951B1 (ko) 3차원 프린터의 노즐 속에 잔존하는 필라멘트 자동배출 장치
KR101228036B1 (ko) 폐비닐을 이용한 재생연료 제조장치
KR20200120406A (ko) 복층 구조 수지재생 압출용융장치
KR100866308B1 (ko) 폐필름 재생기
CN220301075U (zh) 一种浸胶纸制造用投料装置
KR100542614B1 (ko) 압출 장치
KR200295722Y1 (ko) 폐비닐 용융장치
CN213321595U (zh) 一种防堵塞的洁厕块加工用造粒装置
CN215233782U (zh) 一种高纯石英砂生产用水碎装置
CN109016220B (zh) 一种废旧橡胶轮胎的回收处理方法
JP2010280128A (ja) 混練装置および成形機
CN111623608A (zh) 一种建筑材料用循环烘干装置
JP2010188576A (ja) 混練装置
CN213260276U (zh) 一种基于聚合物粘结砂浆的搅拌装置
KR200391596Y1 (ko) 스티로폼 감용기
CN103445679A (zh) 节能豆浆机
CN210679238U (zh) 一种生产挤塑板用热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