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835B1 -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 Google Patents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835B1
KR101580835B1 KR1020140086730A KR20140086730A KR101580835B1 KR 101580835 B1 KR101580835 B1 KR 101580835B1 KR 1020140086730 A KR1020140086730 A KR 1020140086730A KR 20140086730 A KR20140086730 A KR 20140086730A KR 101580835 B1 KR101580835 B1 KR 10158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frame
tub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텍
Priority to KR102014008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8Viewing or read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로 영상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얼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위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사용자의 눈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20)를 개방동작 시키거나 폐쇄동작 시켜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영상이 제공되게 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조작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OPEN TYPE HMD APPARATUS FOR SECURITY OF SIGH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로 영상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얼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위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란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말한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HMD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HMD는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 기술, N 스크린 기술 등과 조합 되어 유저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계하여 사용 가능하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를 위한 유저 입력을 수신하거나 해당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동한 작업의 수행도 가능하다.
이러한, HMD는 사용자의 안면에 거치되는 안경테와 같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구비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프레임을 안경처럼 얼굴에 착용하면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디스플레이에서 영상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HMD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위환경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착용한 HMD를 얼굴에서 분리해야하고, 주위환경을 확인한 후에 계속해서 HMD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리했던 HMD를 얼굴에 다시 착용하면서 HMD와 안구와의 거리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특허공보 특2002-0088226호(2002.11.27.)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로 영상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얼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위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사용자의 눈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20)를 개방동작 시키거나 폐쇄동작 시켜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영상이 제공되게 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조작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걸리는 복수의 샤프트부(11)와, 샤프트부(11)들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의 코에 걸리는 코걸이부(12)를 포함하고, 샤프트부(11)는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관(13)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20)는 샤프트부(11)의 돌출관(13)에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양측에 회전축(21)이 돌출되고, 조작부(30)는 프레임(10)의 돌출관(13)을 관통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체결되는 회전체(31)와, 회전체(31)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10)에 가압되는 상태로 고정되어서 디스플레이(20)의 개방된 상태나 폐쇄된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돌출관(13)은 외측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결정홈(14)이 형성되고, 결정부재(32)는 회전체(31)를 관통하여서 설치되고, 일단이 프레임(10)에 근접되는 관체(34)와, 관체(34)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향턱(35)과, 내향턱(35)에 걸려서 관체(34)의 일단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서 돌출관(13)의 결정홈(14)에 고정되는 고정볼(36)과, 고정볼(36)을 탄력지지 하도록 관체(34)에 내장되는 탄성체(37)와, 탄성체(37)를 지지하도록 관체(34)의 타단을 폐쇄하는 마개(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샤프트부(11)는 결정부재(32)가 걸리도록 복수의 스토퍼(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0)은 샤프트부(11)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판(16)이 설치되고, 디스플레이(20)는 상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돌출판(16)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는 회전축(21)이 형성되고, 조작부(30)는 돌출판(16)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돌출판(16)은 하부에 철편(17)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20)는 돌출판(16)의 철편(17)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영구자석(30a)이 회전축(21)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0)의 샤프트부(11)에 구비되어 회전체(31)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20)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로 영상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얼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위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주위환격을 확인하기 위해 얼굴에서 디스플레이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디스플레이를 얼굴에 다시 착용하지 않아도 되고, 디스플레이와 안구와의 거리를 다시 정렬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레임과 디스플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해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작부가 조작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조작부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온/오프스위치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인 모터와 조작스위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9는 도 8의 조작부인 모터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조작부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프레임에서 디스플레이들이 양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는, 프레임(10)과, 디스플레이(20)와, 조작부(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걸리는 복수의 샤프트부(11)와, 샤프트부(11)들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의 코에 걸리는 코걸이부(12)를 포함한다.
샤프트부(11)는 절곡되어서 대략 "U"형태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되고,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관(13)이 형성된다. 즉, 돌출관(13)에는 후술되는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이 관통됨에 따라 디스플레이(20)가 샤프트부(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돌출관(13)의 외측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결정홈(14)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정홈(14)은 후술되는 결정부재(32)의 고정볼(36)이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11)는 복수의 스토퍼(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5)들은 결정홈(14)들의 일측에 근접되면서 샤프트부(1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결정부재(32)의 관체(34)가 스토퍼(15)에 걸리게 됨에 따라 후술되는 회전체(31)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즉, 결정부재(32)가 스토퍼(15)들의 사이에서만 왕복되면서 결정홈(14)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가 회전 및 역회전된 후에 회전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코걸이부(12)는 샤프트부(11)들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샤프트와, 연결샤프트의 중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에 걸려서 지지되는 쿠션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샤프트부(11)가 귀에 걸리면서 코걸이부(12)가 코어 걸리게 됨에 따라 프레임(10)이 사용자의 얼굴에 정확하게 착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사용자의 눈에 영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20)는 사용자의 양쪽 눈에 영상을 제공하도록 복수로 구성되고, 양쪽 눈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양쪽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0)는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시키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된 회로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는 양측에 회전축(21)이 돌출된다. 이러한, 회전축(21)은 샤프트부(11)의 돌출관(13)에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나 디스플레이(20)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이 배선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1)에 USB가 연결되도록 USB잭이 구비될 수도 있다.
조작부(30)는 디스플레이(20)를 개방동작 시키거나 폐쇄동작 시켜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영상이 제공되게 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작부(30)는 프레임(10)의 돌출관(13)을 관통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체결되는 회전체(31)와, 회전체(31)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10)에 가압되는 상태로 고정되어서 디스플레이(20)의 개방된 상태나 폐쇄된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재(32)를 포함한다.
회전체(31)는 캡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샤프트부(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관(13)에 삽입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고정핀(33)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고정핀(33)은 회전체(31)를 관통하면서 회전축(21)에 결합되는 볼트나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회전체(31)는 고정핀(33)을 대신하여 접착제나 용접에 의해 회전축(2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압에 의해 회전체(31)가 회전되면 돌출관(13)이 연결된 디스플레이(2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31)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프레임(10)의 샤프트부(11)에 형성된 스토퍼(15)에 결정부재(32)가 걸리게 됨에 따라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결정부재(32)는 회전체(31)를 관통하여서 설치되고, 일단이 프레임(10)에 근접되는 관체(34)와, 관체(34)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향턱(35)과, 내향턱(35)에 걸려서 관체(34)의 일단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서 돌출관(13)의 결정홈(14)에 고정되는 고정볼(36)과, 고정볼(36)을 탄력지지 하도록 관체(34)에 내장되는 탄성체(37)와, 탄성체(37)를 지지하도록 관체(34)의 타단을 폐쇄하는 마개(38)를 포함한다.
관체(34)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면서 회전체(31)를 관통한 상태로 접착제나 용접 또는 볼팅으로 회전체(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관체(34)는 일단이 프레임(10)의 돌출관(13)에 근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향턱(35)은 내향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거나 관체(34)의 일단을 내측으로 절곡시켜서 형성되게 할 수 있어서 관체(34)에 수용되는 고정볼(36)을 지지하여 고정볼(36)이 관체(34)의 일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체(37)는 고정볼(36)을 탄력지지 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개(38)는 관체(34)의 타단에 접착제나 용접 또는 볼팅으로 설치됨에 따라 타단으로 탄성체(3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체(34)에 고정볼(36)을 수용시켜서 내향턱(35)에 걸리게 하고, 탄성체(37)를 수용시켜서 고정볼(36)이 탄력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마개(38)로 관체(34)의 타단을 폐쇄한다. 즉, 고정볼(36)이 내향턱(35)에 걸린 상태로 일부분이 관체(34)의 일단으로 돌출되어서 프레임(10)의 돌출관(13)에 밀착될 수 있고 돌출관(13)에 형성된 결정홈(14)에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체(31)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고정볼(36)이 돌출관(13)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결정홈(14)에 삽입되면 탄성체(37)의 탄력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볼(36)이 결정홈(14)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체(31)를 파지하여서 회전시키면 고정볼(36)이 돌출관(13)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결정홈(14)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즉, 회전체(31)가 고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20)가 회전되어서 사용자의 눈앞에 위치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회전체(31)를 역회전시키면 고정볼(36)이 결정홈(14)에서 분리되어서 돌출관(13)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다른 결정홈(14)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즉, 회전체(31)가 고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20)가 역회전되어서 사용자의 눈앞에서 상부로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어서 주위환경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을 얼굴에 착용하여 영화나 뮤직비디오 같은 동영상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0)만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어서, 얼굴에서 본 발명의 프레임(1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주위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20)를 회전시켜서 눈앞에 위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프레임(10)을 얼굴에 다시 착용하면서 디스플레이(20)를 눈앞에 다시 정렬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샤프트부(11)에 구비되어 회전체(31)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20)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39)를 더 포함한다.
온/오프스위치(39)는 회전체(31)의 결정부재(32)가 접촉되거나 근접됨에 따라 스위칭동작 되어서 외부전원을 디스플레이(20)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접촉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회전체(31)가 회전되면서 결정부재(32)가 온/오프스위치(39)에 접촉되면 온/오프스위치(39)가 스위칭동작 되어서 므로 디스플레이(2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온/오프스위치(39)는 결정부재(32)에 의해 스위칭동작되면 전원을 인가하고 다시 결정부재(32)에 의해 스위칭동작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온/오프스위치(39)가 스위칭동작될 때마다 디스플레이(20)에 대한 전원인가와 전원차단이 반복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스위치(39)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20)가 회전되어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면 디스플레이(20)가 오프되고, 디스플레이(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면 디스플레이(20)가 온된다.
이와 같이, 온/오프스위치(39)에 의해 디스플레이(20)가 회전될 때마다 디스플레이(2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20)가 회전될 때마다 디스플레이(20)가 자동으로 온/오프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0)는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축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되고, 모터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조작시키는 조작스위치부(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스위치부(40)는 조작부(30)인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서 모터를 정회전시키는 정회전스위치와,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서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스위치에는 조작부(30)인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선이 연결되거나 배터리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부(40)를 조작시켜서 조작부(30)인 모터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샤프트부(11)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판(16)이 설치된다. 이러한, 돌출판(16)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부(11)의 전면에서 양측에 수평상태로 양단이 고정되거나, 복수로 구성되어 샤프트부(11)의 전면에서 양측에 수평상태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판(16)은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이 돌출관(13)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샤프트부(11)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성형사출에 의해 샤프트부(11)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판(16)은 하부에 철편(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20)는 상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회전축(21)이 형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이 돌출판(16)의 돌출관(13)을 하부에 상부로 관통하여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디스플레이(20)는 돌출판(16)의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0)는 돌출판(16)의 철편(17)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영구자석(30a)을 더 포함한다. 영구자석(30a)은 디스플레이(20)의 상부에서 회전축(21)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영구자석(30a)이 돌출판(16)의 철편(17)에 부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20)가 돌출판(16)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20)의 측방으로 외압이 가해지면 영구자석(30a)이 철편(17)에서 분리될 수 있다.
조작부(30)는 결정부재(32)가 설치된 회전체(31)가 돌출판(16)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돌출판(16)의 돌출관(13)을 관통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고정핀(33)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조작부(30)는 돌출판(16)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돌출판(16)의 상부에 위치된 조작부(30)를 좌측이나 우측의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20)가 수직상태인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0)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샤프트부(11)의 전면에 위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안구에 영상을 출력하거나,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역회전되어서 샤프트부(11)의 외측으로 위치되어서 샤프트부(11)의 전방을 개방하므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돌출판(16)에서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20)들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한쪽의 안구는 디스플레이(20)의 개방에 의해 시야가 확보될 수 있고, 다른 쪽의 안구는 개방되지 않은 디스플레이(20)를 주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서 작동되는 본 발명은 HMD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11 : 샤프트부
12 : 코걸이부 13 : 돌출관
14 : 결정홈 15 : 스토퍼
20 : 디스플레이 21 : 회전축
30 : 조작부 31 : 회전체
32 : 결정부재 33 : 결정부재
34 : 관체 35 : 내향턱
36 : 고정볼 37 : 탄성체
38 : 마개 39 : 온/오프스위치
40 : 조작스위치부

Claims (7)

  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사용자의 눈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20)를 개방동작 시키거나 폐쇄동작 시켜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영상이 제공되게 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조작부(30)를 포함하며,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걸리는 복수의 샤프트부(11)와,
    샤프트부(11)들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의 코에 걸리는 코걸이부(12)를 포함하고,
    샤프트부(11)는 양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관(13)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20)는 샤프트부(11)의 돌출관(13)에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양측에 회전축(21)이 돌출되고,
    조작부(30)는
    프레임(10)의 돌출관(13)을 관통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체결되는 회전체(31)와,
    회전체(31)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10)에 가압되는 상태로 고정되어서 디스플레이(20)의 개방된 상태나 폐쇄된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재(32)를 포함하며,
    돌출관(13)은 외측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결정홈(14)이 형성되고,
    결정부재(32)는
    회전체(31)를 관통하여서 설치되고, 일단이 프레임(10)에 근접되는 관체(34)와,
    관체(34)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향턱(35)과,
    내향턱(35)에 걸려서 관체(34)의 일단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서 돌출관(13)의 결정홈(14)에 고정되는 고정볼(36)과,
    고정볼(36)을 탄력지지 하도록 관체(34)에 내장되는 탄성체(37)와,
    탄성체(37)를 지지하도록 관체(34)의 타단을 폐쇄하는 마개(38)를 포함하며,
    샤프트부(11)는 결정부재(32)가 걸리도록 복수의 스토퍼(15)가 형성되고,
    프레임(10)의 샤프트부(11)에 구비되어 회전체(31)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20)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사용자의 눈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20)를 개방동작 시키거나 폐쇄동작 시켜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영상이 제공되게 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조작부(30)를 포함하며,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걸리는 복수의 샤프트부(11)와,
    샤프트부(11)들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의 코에 걸리는 코걸이부(12)를 포함하고,
    프레임(10)은 하부에 철편(17)이 형성되고, 상부에 돌출관(13)이 돌출되는 돌출판(16)이 샤프트부(11)의 전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고,
    디스플레이(20)는 상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돌출판(16)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는 회전축(21)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20)는 돌출판(16)의 철편(17)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영구자석(30a)이 회전축(21)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조작부(30)는 돌출판(16)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며,
    조작부(30)는
    프레임(10)의 돌출관(13)을 관통한 디스플레이(20)의 회전축(21)에 체결되는 회전체(31)와,
    회전체(31)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10)에 가압되는 상태로 고정되어서 디스플레이(20)의 개방된 상태나 폐쇄된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재(32)를 포함하며,
    돌출관(13)은 외측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결정홈(14)이 형성되고,
    결정부재(32)는
    회전체(31)를 관통하여서 설치되고, 일단이 프레임(10)에 근접되는 관체(34)와,
    관체(34)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향턱(35)과,
    내향턱(35)에 걸려서 관체(34)의 일단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서 돌출관(13)의 결정홈(14)에 고정되는 고정볼(36)과,
    고정볼(36)을 탄력지지 하도록 관체(34)에 내장되는 탄성체(37)와,
    탄성체(37)를 지지하도록 관체(34)의 타단을 폐쇄하는 마개(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40086730A 2014-07-10 2014-07-10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KR10158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30A KR101580835B1 (ko) 2014-07-10 2014-07-10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30A KR101580835B1 (ko) 2014-07-10 2014-07-10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835B1 true KR101580835B1 (ko) 2015-12-29

Family

ID=5508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730A KR101580835B1 (ko) 2014-07-10 2014-07-10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95B1 (ko) 2019-04-30 2020-10-21 정상훈 외부시야 확보가 가능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7425A (ja) * 1987-06-09 1988-12-15 Seiko Epson Corp メガネフレ−ム
JPH08223509A (ja) * 1995-02-14 1996-08-30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200330208Y1 (ko) * 2003-07-11 2003-10-17 김종윤 선글라스 결합구가 구비된 안경테
KR20130133363A (ko) * 2012-05-29 2013-12-09 최관락 코받침 없는 안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7425A (ja) * 1987-06-09 1988-12-15 Seiko Epson Corp メガネフレ−ム
JPH08223509A (ja) * 1995-02-14 1996-08-30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200330208Y1 (ko) * 2003-07-11 2003-10-17 김종윤 선글라스 결합구가 구비된 안경테
KR20130133363A (ko) * 2012-05-29 2013-12-09 최관락 코받침 없는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95B1 (ko) 2019-04-30 2020-10-21 정상훈 외부시야 확보가 가능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593B2 (ja) 入出力構造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US8493287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635892B1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9130B1 (ko) 휴대용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어
US20170102549A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JP2015509209A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US20160018659A1 (en) Display device
CN101002462A (zh) 图像显示装置
KR20060134106A (ko) 화상 표시 장치
JP2013510491A (ja) ビデオ信号源が組み込まれた自由水平線双眼鏡型表示装置
EP2963479B1 (en) Glasses-type head mounted display
CN112305757B (zh) 头戴式显示装置
US20150326762A1 (en) Mounts for Attaching a Motion Capture Device to a Head Mounted Display
WO2016052134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140013676A (ko)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CN108427193A (zh) 增强现实显示系统
KR2017002914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현실 시스템
KR20170136342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1580835B1 (ko) 시야확보를 위한 폐쇄형 hmd 장치
JP2010124339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10945409B (zh) 眼镜架
CN109076185B (zh) 显示装置
JP6159380B2 (ja) 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CN111343449B (zh) 基于增强现实的显示方法及智能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