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717B1 -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717B1
KR101580717B1 KR1020130082692A KR20130082692A KR101580717B1 KR 101580717 B1 KR101580717 B1 KR 101580717B1 KR 1020130082692 A KR1020130082692 A KR 1020130082692A KR 20130082692 A KR20130082692 A KR 20130082692A KR 101580717 B1 KR101580717 B1 KR 10158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vie
user
motion
audito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577A (ko
Inventor
임재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8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717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6527927A priority patent/JP2016531657A/ja
Priority to CA2917996A priority patent/CA2917996A1/en
Priority to US14/905,085 priority patent/US20160157612A1/en
Priority to PCT/KR2014/006393 priority patent/WO2015009030A1/en
Priority to MX2016000747A priority patent/MX2016000747A/es
Priority to CN201480040289.8A priority patent/CN105392393A/zh
Priority to GB1600384.0A priority patent/GB2530461A/en
Publication of KR2015000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717B1/ko
Priority to JP2017047957A priority patent/JP201715199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2005/001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enhancing the performance by involving senses complementary to sight or hearing
    • A63J2005/002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enhancing the performance by involving senses complementary to sight or hearing moving the spectator's bod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사용자의 착석 여부 및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모션을 제어할 수 있는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의자 본체, 상영 중인 영화의 내용에 따라 상기 의자 본체에 모션을 발생시키는 모션 발생부,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 및 상기 압력 센서부의 감지 결과 및 무게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CHAIR FOR MOVIE VIEWING AND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AT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THA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션(motion) 발생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객석률 집계 및 지표별 통계가 가능한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화관에서는 단순한 2D 형태의 영상만을 상영하였으나, 최근에는 관객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D 영상을 상영하는 3D 영화관과 더불어, 시각, 촉각, 후각 등 오감을 느끼면서 직접 영화 속 상황을 체험하듯이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4D 영화관이 등장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예를 들어, 4D 영화관에서는 영상 속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관객의 의자가 흔들린다든지, 하늘에서 떨어지는 장면에서 바람이 분다든지, 주인공이 비를 맞는 장면에서 영화관 내에 실제 물이 떨어진다든지 하는 효과가 영상과 함께 제공된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4D 영화관에 설치된 관객용 의자에는 각종 특수 장치들이 장착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의자에 진동이나 기울어짐 등의 움직임, 즉, 모션(motion)을 발생시키는 모션 발생 장치이다.
그런데 현재의 4D 영화관에 설치된 의자들의 경우, 관객의 착석 여부와 관계없이 영화관 내 모든 의자에 모션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고, 관객의 몸무게를 고려하지 않고 모두 같은 수준의 모션을 발생시킴에 따라 무거운 사람이 앉은 의자는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든 의자에서 동일한 강도의 모션이 발생하므로, 모션 강도를 더 강하게, 혹은 더 약하게 조절하고 싶어하는 관객의 요구에는 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영화관에서 관객은 보고 싶은 영화 티켓을 구매한다. 영화 티켓에는 다양한 상영관 중에서 해당 영화가 상영되는 상영관 명과 그 상영관에서의 좌석 번호가 열과 번호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출입구의 안내 요원은 관객이 입장할 때 제시된 티켓의 상영관 명과 좌석 번호를 확인한 후 관객에게 해당 상영관으로 안내한다. 그러면 관객은 해당 상영관에서 좌석 배치도를 확인하고 좌석 번호에 해당하는 좌석에 착석하여 영화를 관람하게 된다.
하지만, 안내 요원은 관객이 제시한 모든 티켓을 일일이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고, 다른 날짜의 영화 티켓을 정확히 확인하지 못해 악의적인 관객을 상영관 안으로 입장시킬 수 있다. 관객은 상영관에 들어가서 구매한 티켓에 기재된 좌석 번호와 다른 번호의 비어 있는 좌석에 앉을 수 있다. 안내 요원은 출입구에서만 티켓을 확인하기 때문에 현재 상영관에 관객이 착석한 좌석을 일일이 확인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종래 영화관에서는 좌석의 착석 여부를 티켓 판매 및 안내 요원의 확인 작업을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는 있다. 하지만, 종래 영화관에서는 상영관에서 관객이 실제로 착석한 좌석을 정확히 집계하기는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영화관에도 다수의 상영관이 존재하는데, 현재 상영관 별이나 시간대별로 실제 관객이 착석한 좌석에 대한 통계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 여부 및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모션을 제어할 수 있는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한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모션 강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동과 관련된 로그 파일과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영관의 객석의 점유율을 집계하여 지표별 통계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의자 본체; 상영 중인 영화의 내용에 따라 상기 의자 본체에 모션을 발생시키는 모션 발생부;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 및 상기 압력 센서부의 감지 결과 및 무게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부의 감지 결과 착석한 사용자가 없거나 상기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션 발생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상기 착석한 사용자에게 상기 모션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의자 본체; 상영 중인 영화의 내용에 따라 상기 의자 본체에 모션을 발생시키는 모션 발생부;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 상기 착석한 사용자로부터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압력 센서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입력받은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모션 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부의 감지 결과 착석한 사용자가 없거나 상기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션 발생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조절하고, 상기 입력받은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상기 착석한 사용자에게 상기 모션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은, 상영 중인 영화의 내용에 따라 의자 본체에 모션을 발생시키는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이고,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의자 본체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션 제어 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 착석한 사용자가 없거나 상기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의자 본체에 모션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의자 본체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은, 상영 중인 영화의 내용에 따라 의자 본체에 모션을 발생시키는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이고,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착석한 사용자로부터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입력받은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의자 본체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션 제어 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 착석한 사용자가 없거나 상기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의자 본체에 모션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 제어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조절하고, 상기 입력받은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모션 발생부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는,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와 통신하고, 각각의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동과 관련된 로그 파일을 수신하는 의자 연동부; 상기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가 설치된 상영관에 대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관에서 상영되는 상영 정보를 수신하는 상영관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의자 연동부에서 수신된 로그 파일과 상기 상영관 정보 관리부에서 수신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영관의 객석의 점유율을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정보 통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통계부는,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에 기록된 초과 또는 정상 범주의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시간 전에 초과 범주의 좌석 수, 정상 범주의 좌석 수, 착석되지 않은 좌석 수 및 전체 상영관의 합계 좌석 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석 점유율을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통계부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영화명, 영화 장르 또는 영화 시간과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영 중인 영화별 객석의 점유율, 영화 장르별 객석의 점유율 및 상영관별 객석의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의 객석의 점유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통계부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입장권 판매 정보와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입장권은 구매했지만 실제로 입장하지 않은 사용자의 착석 여부 또는 구매한 좌석에 앉지 않고 다른 좌석에 실제로 착석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방법은,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와 통신하고, 각각의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동과 관련된 로그 파일을 수신하는 로그 파일 수신 단계; 상기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가 설치된 상영관에 대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관에서 상영되는 상영 정보를 수신하는 상영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과 상기 수신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영관의 객석의 점유율을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정보 통계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통계 단계는,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에 기록된 초과 또는 정상 범주의 사용자 착석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전에 초과 범주의 좌석 수, 정상 범주의 좌석 수, 착석되지 않은 좌석 수 및 전체 상영관의 합계 좌석 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객석 점유율을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통계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영화명, 영화 장르 또는 영화 시간과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영 중인 영화별 객석의 점유율, 영화 장르별 객석의 점유율 및 상영관별 객석의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의 객석의 점유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통계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입장권 판매 정보와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입장권은 구매했지만 실제로 입장하지 않은 사용자의 착석 여부 또는 구매한 좌석에 앉지 않고 다른 좌석에 실제로 착석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모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기계의 불필요한 운용을 방지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무리한 운용을 억제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에 따른 적정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직접 모션 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화 관람용 의자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함과 동시에 오감 체험형 영화 관람에 대한 관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영화 상영시 좌석마다 객석 점유율을 집계하고, 기 설정된 시간 전(예컨대, 영화 상영 종료 30분 전)에 초과 범주의 좌석 수, 정상 범주의 좌석 수, 착석되지 않은 좌석 수 및 전체 상영관의 합계 좌석 수를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영화별, 영화 장르별, 상영 시간별로 영화관에 입장한 사용자의 착석 유무를 확인하여 객석의 점유율이나 영화관 현황 정보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의자 본체(10)와, 상영 중인 영화의 내용에 따라 의자 본체(10)에 모션을 발생시키는 모션 발생부(11)와, 의자 본체(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12)와, 압력 센서부(12)의 감지 및 무게 측정 결과에 따라 모션 발생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착석한 사용자에게 모션 발생부(11)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알림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발생부(11)는 영화의 내용에 따라 의자 본체(10)를 회전시키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영화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한 모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션 발생부(11)의 구현에 있어, 영화의 체감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신체상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 의자 본체(10)의 하부 3곳의 위치에 승, 하강 운동하는 3개의 운동수단을 설치하여 3자유도(pitch, roll, heave)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3자유도 모션을 이용할 경우, 피치(pitch) 모션을 통해 사용자는 전후로 움직이는 효과를 받을 수 있고, 롤(roll) 모션을 통해 사용자는 좌우로 움직이는 효과를 받을 수 있으며, 히브(heave) 모션을 통해 사용자는 상하로 움직이는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압력 센서부(12)는 의자 본체(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착석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 그 무게를 측정한다.
여기에서, 압력 센서부(12)는 의자 본체(10)의 하부 쿠션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사용자는 장시간 같은 자세(예를 들어, 등을 의자에 기대고 있는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지만, 엉덩이는 항상 하부 쿠션에 붙어 있고, 체중의 대부분이 엉덩이 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압력 센서부(12)를 하부 쿠션에 장착했을 때보다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는 압력 센서부(12)의 사용자 감지 결과 및 무게 측정 결과에 따라 모션 발생부(11)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모션 강도를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션 발생부(11)를 제어한다.
압력 센서부(12)에서 어떠한 압력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는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모션 발생부(1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서부(12)의 사용자 감지는 영화 시작 이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분) 동안에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어부(14)는 그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부터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의자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착석한 사용자의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4)는 기계 고장 방지를 위해 모션 발생부(1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알림부(13)를 통해 알람(alarm)(예를 들어, 소리, 좌석 번호표의 깜빡임 등)을 발생시켜 착석한 사용자에게 모션 발생부(11)의 동작이 정지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측정된 무게에 따라 모션 발생부(11)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람에게는 진동과 같은 모션 강도를 조금 약하게 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에게는 기계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모션 강도를 좀더 강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 맞춤형 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발생부(11)의 정상적인 동작시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가 0~100이라면,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kg 이하인 경우 0~100 범위 전부에서 구동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몸무게가 60~80kg인 경우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0~70으로 조절하고, 사용자의 몸무게가 80~100kg인 경우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0~50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제어부(14)는 모션 강도의 범위뿐만 아니라, 압력 센서부(12)에서 측정된 무게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모션 추천 강도 값을 모션 발생부(11)로 전달하여 초기 모션 강도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초기 모션 강도 값이 전체 모션 강도의 범위 중에서 일정한 비율(예컨대, 70%, 80% 등)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kg 이하이면, 제어부(25)는 0~100 범위 중에서 70% 비율에 해당하는 값인 70의 모션 강도 추천 값으로 모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80kg이면, 제어부(25)는 0~70 범위 중에서 70% 비율에 해당하는 값인 49의 모션 강도 추천 값으로 모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의자 본체(20)와, 상영 중인 영화의 내용에 따라 의자 본체(20)에 모션을 발생시키는 모션 발생부(21)와, 의자 본체(2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22)와, 착석한 사용자로부터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23)와, 압력 센서부(22)의 감지 결과 및 입력받은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모션 발생부(21)의 모션 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25)를 포함한다. 또한, 착석한 사용자에게 모션 발생부(21)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알림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발생부(21)는 영화의 내용에 따라 의자 본체(20)를 회전시키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영화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한 모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션 발생부(21)의 구현에 있어, 영화의 체감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신체상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 의자 본체(20)의 하부 3곳의 위치에 승, 하강 운동하는 3개의 운동수단을 설치하여 3자유도(pitch, roll, heave)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3자유도 모션을 이용할 경우, 피치(pitch) 모션을 통해 사용자는 전후로 움직이는 효과를 받을 수 있고, 롤(roll) 모션을 통해 사용자는 좌우로 움직이는 효과를 받을 수 있으며, 히브(heave) 모션을 통해 사용자는 상하로 움직이는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압력 센서부(22)는 의자 본체(2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착석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 그 무게를 측정한다.
여기에서, 압력 센서부(22)는 의자 본체(20)의 하부 쿠션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사용자는 장시간 같은 자세(예를 들어, 등을 의자에 기대고 있는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지만, 엉덩이는 항상 하부 쿠션에 붙어 있고, 체중의 대부분이 엉덩이 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압력 센서부(22)를 하부 쿠션에 장착했을 때보다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23)는 착석한 사용자로부터 모션 강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23)는 의자 본체(20)의 팔걸이 부분, 또는 다리 아래쪽 부분 등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버튼이나 회전 다이얼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모션 강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압력 센서부(22)의 감지 결과 및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된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모션 발생부(21)의 모션 강도를 제어한다.
압력 센서부(22)에서 어떠한 압력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5)는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모션 발생부(2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서부(22)의 사용자 감지는 영화 시작 이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분) 동안에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어부(25)는 그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부터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의자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착석하여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25)는 선택된 모션 강도로 모션 발생부(21)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는 압력 센서부(22)에서 측정된 무게에 따라 모션 발생부(21)의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발생부(21)의 정상적인 동작시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가 0~100이라면,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kg 이하인 경우 0~100 범위 전부에서 구동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몸무게가 60~80kg인 경우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0~70으로 조절하고, 사용자의 몸무게가 80~100kg인 경우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0~50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제어부(25)는 모션 강도의 범위뿐만 아니라, 압력 센서부(22)에서 측정된 무게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모션 추천 강도 값을 모션 발생부(21)로 전달하여 초기 모션 강도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초기 모션 강도 값이 전체 모션 강도의 범위 중에서 일정한 비율(예컨대, 70%, 80% 등)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kg 이하이면, 제어부(25)는 0~100 범위 중에서 70% 비율에 해당하는 값인 70의 모션 강도 추천 값으로 모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80kg이면, 제어부(25)는 0~70 범위 중에서 70% 비율에 해당하는 값인 49의 모션 강도 추천 값으로 모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무게가 100kg이 넘는 경우에는 모션 발생부(2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알림부(24)를 통해 알람(alarm)(예를 들어, 소리, 좌석 번호표의 깜빡임 등)을 발생시켜 착석한 사용자에게 모션 발생부(21)의 동작이 정지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맞춤형 모션을 제공함으로써 체험형 영화 관람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영화 관람용 의자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고 무리한 동작으로 인해 야기되는 각종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알림부(24)는 모션 발생부(21)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동작 여부,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 선택된 모션 강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도면에 미도시)가 의자에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초기 모션 강도 값이 지정된 경우, 알림부(24)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초기 모션 강도 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부(23)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어 터치 인터페이스(touch interface)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는 다수의 의자가 하나의 조립체로 일체화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관의 좌석 열마다 2개 또는 4개의 의자가 하나의 조립체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른 특수 효과 장치들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의자가 하나의 조립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4)는 좌석마다 설치된 압력 센서부(12)로부터 측정된 무게를 이용하여 다수의 의자가 결합된 하나의 조립체의 좌측 및 우측 간의 무게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산출된 좌측 및 우측 간의 무게 비율에 따라 모션 발생부(11)의 좌측 모션 강도 및 우측 모션 강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체의 좌측에 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람이 앉아 있고 우측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이 앉아 있는 경우, 제어부(14)는 모션 강도를 좌측 및 우측 간의 무게 비율에 가중치를 적용하거나 반비례로 보정하여 모션 발생부(11)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수의 의자가 하나의 조립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23)는 착석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모션 강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는 다수의 모션 선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다수의 의자가 결합된 하나의 조립체를 구동하는 모션 발생부(21)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5)는 다수의 모션 강도의 모션 평균 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모션 평균 강도에 따라 모션 발생부(21)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다수의 모션 강도 중에서 가장 많이 선택된 모션 강도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모션 강도에 따라 모션 발생부(21)의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a, 1b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영화 상영이 시작되면, 의자 본체(10)의 하부 쿠션에 장착된 압력 센서부(12)를 통해 의자 본체(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S30).
이어서, 제어부(13)는 압력 감지 결과를 이용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고(S31),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압력 센서부(12)를 통해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한다(S32).
이어서, 제어부(13)는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예를 들어, 100kg) 이상인지를 확인하고(S33), 일정값 미만인 경우, 즉, 모션 발생부(11)가 무리 없이 동작 가능한 무게인 경우, 측정된 무게에 따라 모션 강도를 조절한다(S34).
이때, 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람에게는 진동과 같은 모션 강도를 조금 약하게 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에게는 기계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모션 강도를 좀더 강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 맞춤형 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발생부(11)의 정상적인 동작시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가 0~100이라면,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kg 이하인 경우 0~100 범위 전부에서 구동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몸무게가 60~80kg인 경우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0~70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만약 S31 단계에서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S33 단계에서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기계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모션 발생부(1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S35). 이때, 추가로 알림부(13)를 통해 알람(alarm)(예를 들어, 소리, 좌석 번호표의 깜빡임 등)을 발생시켜 착석한 사용자에게 모션 발생부(11)의 동작이 정지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a,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의 모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영화 상영이 시작되면, 의자 본체(20)의 하부 쿠션에 장착된 압력 센서부(22)를 통해 의자 본체(2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S40).
이어서, 제어부(25)는 압력 감지 결과를 이용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고(S41),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압력 센서부(22)를 통해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한다(S42).
이어서, 제어부(25)는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예를 들어, 100kg) 이상인지를 확인하고(S43), 일정값 미만인 경우, 즉, 모션 발생부(21)가 무리 없이 동작 가능한 무게인 경우, 측정된 무게에 따라 모션 강도의 범위를 조절한다(S44).
예를 들어, 모션 발생부(21)의 정상적인 동작시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가 0~100이라면, 착석한 사용자의 몸무게가 60kg 이하인 경우 0~100 범위 전부에서 구동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몸무게가 60~80kg인 경우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0~70으로 조절하고, 사용자의 몸무게가 80~100kg인 경우 구동 가능한 모션 강도의 범위를 0~50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만약 S41 단계에서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S43 단계에서 측정된 무게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25)는 모션 발생부(2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45). 이때, 추가로 알림부(24)를 통해 알람(alarm)(예를 들어, 소리, 좌석 번호표의 깜빡임 등)을 발생시켜 착석한 사용자에게 모션 발생부(21)의 동작이 정지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사용자가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하였는지 확인한다(S46).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원하는 모션 강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단, 모션 발생부(21)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하고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S44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무게에 따른 모션 강도의 범위 내에서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는 의자 본체(20)의 팔걸이 부분, 또는 다리 아래쪽 부분 등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버튼이나 회전 다이얼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모션 강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5)는 S46 단계에서 사용자가 모션 선택 정보를 입력한 경우, 즉, 원하는 모션 강도를 선택한 경우에는 그에 따라 모션 강도를 조절하고(S47),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42 단계에서 측정된 무게에 따라 자체적으로 모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S48).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영관 관리 장치(100)는 의자 연동부(110), 상영관 정보 관리부(120) 및 정보 통계부(130)를 포함한다.
상영관 관리 장치(100)는 다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101)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영관 관리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로그 파일(Log File)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로그 파일을 분석하여 상영관 또는 상영 정보에 대한 통계 과정을 수행한다.
이하, 상영관 관리 장치(10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자 연동부(110)는 다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101)에서 생성된 로그 파일을 수신한다. 의자 연동부(110)는 사용자가 영화 관람용 의자(101)에 착석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시점(예컨대, 20분, 30분 등)에서 생성된 로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로그 파일에는 다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101) 각각에서 감지된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 압력 정보에 따른 사용자 착석 정보, 측정된 사용자의 무게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선택 정보,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조절된 모션 강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 파일은 영화 관람용 의자(101)에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초과', '정상' 범주로 영화 관람용 의자(101) 번호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의자 연동부(110)는 이러한 로그 파일을 저장하는 로그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영관 정보 관리부(120)는 현재 영화 관람용 의자가 설치된 상영관에 대한 상영관 시설 정보, 현재 상영 중인 영화나 다수의 상영관에 대한 상영 정보 등을 수신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영관 시설 정보에는 상영관 시설에 대한 크기, 모션 구동 이외의 다른 특수 효과 설치 정보, 의자가 위치한 의자 배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영 정보에는 상영 중인 영화명, 영화 장르, 영화 시간 등과 각 상영관의 입장권 판매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보 통계부(130)는 의자 연동부(110)에서 수신된 로그 파일과 상영관 정보 관리부(120)에서 수신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 정보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통계부(130)는 상영관의 객석 점유율 또는 상영관 현황 정보 등을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정보 통계부(130)는 영화 상영시 하나의 영화 관람용 의자(101)의 좌석마다 객석 점유율을 집계하고, 기 설정된 시간 전(예컨대, 영화 상영 종료 30분 전)에 초과 범주의 좌석 수, 정상 범주의 좌석 수, 착석되지 않은 좌석 수 및 전체 상영관의 합계 좌석 수를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통계부(130)는 상영관의 객석 점유율의 경우 사용자 착석 정보와 상영 정보에 포함된 입장권 판매 정보를 비교하여 실제로 판매된 입장권과 사용자의 착석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통계부(130)는 영화가 상영되기 시작한 이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분) 동안에 상영관 정보 관리부(120)로부터 수신된 상영 정보와 의자 연동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착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정보 통계부(130)는 비교 결과를 토대로 현재 상영 중인 영화별 객석의 점유율, 영화 장르별 객석의 점유율, 상영관별 객석의 점유율 등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보 통계부(130)는 입장권은 구매했지만 실제로 입장하지 않은 사용자의 착석 여부 또는 구매한 좌석에 앉지 않고 다른 좌석에 실제로 착석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보 통계부(130)는 실시간 통계가 필요한 경우와 실시간 통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서 통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영관 관리 장치(100)의 의자 연동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로그 파일을 수신한다(S60).
상영관 정보 관리부(120)는 현재 영화 관람용 의자가 설치된 상영관에 대한 상영관 시설 정보, 현재 상영 중인 영화에 대한 상영 정보 등을 수신한다(S61).
정보 통계부(130)는 의자 연동부(110)에서 수신된 로그 파일과 상영관 정보 관리부(120)에서 수신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 정보를 분석한다(S62). 여기서, 로그 파일에는 영화 관람용 의자(101)에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가 '초과', '정상' 범주로 영화 관람용 의자(101) 번호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정보 통계부(130)는 상영관의 객석 점유율 또는 상영관 현황 정보 등을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S63). 예를 들어, 정보 통계부(130)는 영화 상영시 하나의 영화 관람용 의자(101)의 좌석마다 객석 점유율을 집계하고, 기 설정된 시간 전(예컨대, 영화 상영 종료 30분 전)에 초과 범주의 좌석 수, 정상 범주의 좌석 수, 착석되지 않은 좌석 수 및 전체 상영관의 합계 좌석 수를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통계부(130)는 사용자 착석 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상영 중인 영화별 객석의 점유율, 영화 장르별 객석의 점유율, 상영관별 객석의 점유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20 : 의자 본체 11, 21 : 모션 발생부
12, 22 : 압력 센서부 23 : 사용자 입력부
13, 24 : 알림부 14, 25 : 제어부
100: 상영관 관리 장치 110: 의자 연동부
120: 상영관 정보 관리부 130: 정보 통계부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와 통신하고, 각각의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동과 관련된 로그 파일을 수신하는 의자 연동부;
    상기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가 설치된 상영관에 대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관에서 상영되는 상영 정보를 수신하는 상영관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의자 연동부에서 수신된 로그 파일과 상기 상영관 정보 관리부에서 수신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영관의 객석의 점유율을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정보 통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 파일은 다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 각각에서 감지된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 상기 압력 정보에 따른 사용자 착석 정보, 측정된 사용자의 무게 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선택 정보 및 상기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조절된 모션 강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정보 통계부는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무게 초과 또는 무게 정상인 범주로 영화 관람용 의자 번호와 함께 기록된 상기 로그 파일을 상기 의자 연동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로그 파일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간 전에 무게 초과 범주의 좌석 수, 무게 정상 범주의 좌석 수, 착석되지 않은 좌석 수 및 전체 상영관의 합계 좌석 수를 모두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16. 삭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계부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영화명, 영화 장르 또는 영화 시간과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영 중인 영화별 객석의 점유율, 영화 장르별 객석의 점유율 및 상영관별 객석의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의 객석의 점유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계부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입장권 판매 정보와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입장권은 구매했지만 실제로 입장하지 않은 사용자의 착석 여부 또는 구매한 좌석에 앉지 않고 다른 좌석에 실제로 착석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19.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와 통신하고, 각각의 영화 관람용 의자의 구동과 관련된 로그 파일을 수신하는 로그 파일 수신 단계;
    상기 복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가 설치된 상영관에 대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관에서 상영되는 상영 정보를 수신하는 상영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과 상기 수신된 상영관 시설 정보 및 상영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영관의 객석의 점유율을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정보 통계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 파일은 다수의 영화 관람용 의자 각각에서 감지된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 상기 압력 정보에 따른 사용자 착석 정보, 측정된 사용자의 무게 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모션 선택 정보 및 상기 모션 선택 정보에 따라 조절된 모션 강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상영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영화 관람용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무게 초과 또는 무게 정상인 범주로 영화 관람용 의자 번호와 함께 기록된 상기 로그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분석 단계 및 상기 정보 통계 단계에서는 상기 로그 파일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간 전에 무게 초과 범주의 좌석 수, 무게 정상 범주의 좌석 수, 착석되지 않은 좌석 수 및 전체 상영관의 합계 좌석 수를 모두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방법.
  20. 삭제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계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영화명, 영화 장르 또는 영화 시간과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상영 중인 영화별 객석의 점유율, 영화 장르별 객석의 점유율 및 상영관별 객석의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의 객석의 점유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계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영 정보로부터 입장권 판매 정보와 상기 수신된 로그 파일로부터 사용자 착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영 정보 및 로그 파일을 기초로 하여 입장권은 구매했지만 실제로 입장하지 않은 사용자의 착석 여부 또는 구매한 좌석에 앉지 않고 다른 좌석에 실제로 착석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방법.
KR1020130082692A 2013-07-15 2013-07-15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92A KR101580717B1 (ko) 2013-07-15 2013-07-15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A2917996A CA2917996A1 (en) 2013-07-15 2014-07-15 A theat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14/905,085 US20160157612A1 (en) 2013-07-15 2014-07-15 Chair for movie watching and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at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that and method thereof
PCT/KR2014/006393 WO2015009030A1 (en) 2013-07-15 2014-07-15 Chair for movie watching and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at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that and method thereof
JP2016527927A JP2016531657A (ja) 2013-07-15 2014-07-15 映画鑑賞用椅子及びそのモーション制御方法、並びに映画鑑賞用椅子と連動する劇場館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MX2016000747A MX2016000747A (es) 2013-07-15 2014-07-15 Silla para ver peliculas y metodo de control de movimiento, y aparatos de gestion para cine utilizando ese metodo y los mismos.
CN201480040289.8A CN105392393A (zh) 2013-07-15 2014-07-15 用于观看电影的椅子、该椅子的运动控制方法以及使用该椅子和该方法的放映厅管理设备
GB1600384.0A GB2530461A (en) 2013-07-15 2014-07-15 Chair for movie watching and 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ater management apparatus using that and method thereof
JP2017047957A JP2017151997A (ja) 2013-07-15 2017-03-14 映画鑑賞用椅子及びそのモーション制御方法、並びに映画鑑賞用椅子と連動する劇場館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92A KR101580717B1 (ko) 2013-07-15 2013-07-15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77A KR20150008577A (ko) 2015-01-23
KR101580717B1 true KR101580717B1 (ko) 2015-12-28

Family

ID=5234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692A KR101580717B1 (ko) 2013-07-15 2013-07-15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57612A1 (ko)
JP (2) JP2016531657A (ko)
KR (1) KR101580717B1 (ko)
CN (1) CN105392393A (ko)
CA (1) CA2917996A1 (ko)
GB (1) GB2530461A (ko)
MX (1) MX2016000747A (ko)
WO (1) WO20150090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725A (ko) 2017-07-17 2019-01-25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캐노피를 포함하는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3311B2 (en) * 2015-08-11 2017-09-12 Lumic Technology Inc. Interactive lighting effect portable light illuminating devices and system thereof
KR102560677B1 (ko) * 2015-10-29 2023-07-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Ble와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영화 추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영화 추천 서비스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5491427B (zh) * 2015-11-24 2019-01-2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的控制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KR101850644B1 (ko) * 2017-02-17 2018-04-1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모터를 이용한 에티켓 좌석
US10743087B2 (en) 2017-06-21 2020-08-11 Z5X Global FZ-LLC Smart furniture content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10101804B1 (en) 2017-06-21 2018-10-16 Z5X Global FZ-LLC Content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CN109782604B (zh) * 2017-07-18 2022-05-06 北京神州启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的4d电影座椅控制系统
KR101987838B1 (ko) * 2017-12-05 2019-06-11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상영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07978A (ko) 2017-12-15 2020-09-16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점유에 기초한 실내 음향의 자동 정정
JP7058002B2 (ja) * 2018-01-25 2022-04-21 凸版印刷株式会社 振動提示システム、振動提示方法、操作端末および振動提示デバイス
US20240017123A1 (en) * 2020-12-07 2024-01-18 Wattch Fitness Inc. Emotion-led workout gen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0695A (ja) *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椅子型マッサージ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052A (ja) * 1985-05-29 1986-12-04 吉良 哲雄 映画,演劇等の制御システム
JPH0720249A (ja) * 1993-06-30 1995-01-2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着座表示装置
JP2002239265A (ja) * 2001-02-20 2002-08-27 Akuubu Lab:Kk 振動効果装置制御システム
WO2002095600A1 (en) * 2001-05-24 2002-11-28 Electronic Advertising Solutions Innovators, Inc. Dba Easi,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heater display advertisements
JP2003061779A (ja) * 2001-08-28 2003-03-04 Fujikura Ltd 観客検知システム
KR100523079B1 (ko) * 2002-12-04 2005-10-20 주식회사 유니텍 가상 현실 체감용 모션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JP3613278B2 (ja) * 2003-08-06 2005-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在席装置
KR20100093914A (ko) *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입체적 체감이 가능한 극장용 좌석
US8587446B2 (en) * 2009-09-01 2013-11-19 Matthew Thomas Hefferon Dynamic occupancy monitoring
JP5691474B2 (ja) * 2010-12-15 2015-04-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評価装置、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89786B2 (en) * 2011-02-22 2015-07-28 D-Bo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vibration of motion-enabled chairs
KR101300467B1 (ko) * 2011-03-16 2013-08-27 주식회사 레드로버 4d관람요소 제어시스템
US20120242492A1 (en) * 2011-03-25 2012-09-27 Tov 1 LLC Seat occupancy detection and display system
KR101320991B1 (ko) * 2011-11-11 2013-11-13 주식회사 재산커뮤니케이션즈 스크린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장치
CN202870487U (zh) * 2011-12-31 2013-04-10 中国华录集团有限公司 一种实现四维电影的座椅同步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0695A (ja) *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725A (ko) 2017-07-17 2019-01-25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캐노피를 포함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30461A (en) 2016-03-23
WO2015009030A1 (en) 2015-01-22
US20160157612A1 (en) 2016-06-09
CA2917996A1 (en) 2015-01-22
JP2017151997A (ja) 2017-08-31
GB201600384D0 (en) 2016-02-24
MX2016000747A (es) 2016-11-08
JP2016531657A (ja) 2016-10-13
CN105392393A (zh) 2016-03-09
KR20150008577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717B1 (ko) 영화 관람용 의자 및 그 모션 제어 방법과, 영화관 관람 의자와 연동하는 상영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147749B2 (ja) 振動−運動座席キット
KR101461202B1 (ko)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US10092092B2 (en) Ergonomics system for a workplace system
US9142083B2 (en) Convertible gaming chairs and wagering game systems and machines with a convertible gaming chair
WO2016034365A1 (de) Arbeitsplatzstuhlsystem und verfahren zur justierung und benutzung eines arbeitsplatzstuhlsystems
US8678923B2 (en) Gaming machine chair and wagering game systems and machines with a gaming chair
CA2923577C (en) Single-screen multiple-tier movie picture theater having separate service class sections
CN101952001A (zh) 运动场设备
KR20120132268A (ko) 가상주행 영상장치를 갖는 런닝머신 및 런닝머신의 구동방법
WO2020035106A1 (de) Laufbandanordnung mit bewegungs-adaptiver virtueller laufumgebung
KR101621507B1 (ko) 다면 상영관의 컨텐츠 상영 적합도 판단장치 및 판단방법
WO2012145726A1 (en) Large scale participatory entertainment systems for generating music or video responsive to movement detected at venue seating
KR101220632B1 (ko) 스토리 전개 선택이 가능한 영상물 상영 시설
KR101766821B1 (ko)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4006A (ko) 입체진동체감형 의자, 의자 번들,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WO201901305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689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KR102308741B1 (ko) 분실 방지 좌석 시스템
KR101029985B1 (ko) 스피드 레이스 장치
CA3071633A1 (en) System and method to have a virtual meeting in virtual reality while meeting attendees operate a workspace fitness device
KR102322279B1 (ko) 착석 감지 센서를 이용한 관람객 관리 시스템
KR100930543B1 (ko) 자가발전형 스피드 레이스 장치
JP5261012B2 (ja) 居住装置
CA3060283A1 (en) Apparatus that identifies, stores, and supplies energy from different types of energy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