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623B1 -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623B1
KR101580623B1 KR1020150100447A KR20150100447A KR101580623B1 KR 101580623 B1 KR101580623 B1 KR 101580623B1 KR 1020150100447 A KR1020150100447 A KR 1020150100447A KR 20150100447 A KR20150100447 A KR 20150100447A KR 101580623 B1 KR101580623 B1 KR 10158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groove
coupling
proj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원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0851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06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아이씨 filed Critical (주)제이아이씨
Priority to KR102015010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2J9/02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 안장 후미부 차체에 형성된 공구통 장치부에 제1,제2결합부를 형성하여 공구통을 안전하게 장치하고 필요시 분리할 수 있고, 또 공구통 본체에서 손잡이를 돌출시켜 공구통을 휴대하거나 공구통의 뚜껑을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사용과 관리가 편리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이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Motorcycle tool box}
본 발명은 오토바이 안장 후미부 차체에 형성된 공구통 장치부에 제1,제2결합부를 형성하여 공구통을 안전하게 장치하고 필요시 분리할 수 있고, 또 공구통 본체에서 손잡이를 돌출시켜 공구통을 휴대하거나 공구통의 뚜껑을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사용과 관리가 편리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도 오토바이 공구통을 오토바이 안장 후미측 차체에 형성한 장치부에 장치하여 차체와 체결하여 고정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고, 공구통의 뚜껑도 개폐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지만, 손잡이 인출과 뚜껑 개폐 그리고 공구통의 분리에 따른 작동에 오차가 발생하여 쉽고 사용이 다소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KR 실용신안등록 제0460263호 KR 실용신안등록 제0222204호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보다 간편하게 해소한 것이다.
본 발명은 뚜껑과 함체로 구성되어 뚜껑선단부가 함체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개폐되고 함체와 뚜껑의 후미측에 개폐장치를 설치하되 함체 후방에 조립되는 장치부에 출몰형 손잡이와 뚜껑 개폐용 작동레버 그리고 공구통의 분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자물쇠장치와 결합봉을 장치하고 함체 바닥에 전후로 차체의 결합돌기에 전후로 차체의 결합돌기에 결합하는 결합장치를 구성하여 보다 안전하면서 사용하기 좋은 공구통이 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함체 후미부 장치홈에 장치된 자물쇠 뭉치를 내측으로 눌러 손잡이 하단걸림부를 해제시키면 손잡이가 외향하여 공구함 후미부에서 손잡이가 돌출되고, 손잡이가 돌출된 내측공간에 있는 개폐작동레버를 작동시키면 공구통의 뚜껑을 함체와 분리시켜 열 수 있도록 되며, 자물쇠 뭉치의 실린더정을 회전시켜서 자물쇠 장치판을 개방하면 장치판의 상단이 외향하면서 결합봉의 내측단부를 외향으로 당겨 결합봉의 선단을 공구통의 제2결합홈 구멍에서 외향시켜 제2결합돌기(15)에서 분리하므로 공구통을 차체에서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되고, 공구통을 장치할 때는 바닥에 제1,제2결합홈을 결합돌기에 결합시킬 수 있어서 안전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는 도 1에서 손잡이가 돌출된 예시도
도 3는 도 2에서 뚜껑을 연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부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손잡이 부분을 외향시킨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뚜껑을 연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결합봉이 분리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함체(1)와 뚜껑(2)으로 구성되어 뚜껑은 함체 위에 적층되어 결합 니플을 따라 결합하고, 뚜껑선단부에 형성한 축공(2a)을 함체(1)의 선단부축공(1a)과 일치시켜 축봉(3)으로 관통시켜 개폐되며, 뚜껑 후미 중앙부에 결합부(2b)를 형성하여 하향돌기(2c)와 결합홈(2d)을 형성한 뚜껑(2)과,
후미 중앙에 결합홈(1b)을 형성하여 결합홈내에 장치판(4)이 부착되고 장치판 상부측에 양단이 지지축(5a)에 끼워지게 되어 회전하며, 하단부에 걸홈(5b)이 형성된 손잡이(5)와,
손잡이(5)가 장치되는 내측에 위치한 안내부(60)를 상하로 관통하는 안내공(60a)(60b)에 관통설치된 후 내측지지편(6a)이 손잡이(5)의 내측 공간으로 투입되어 지지축(5a)에 지지되고, 상단부에 걸림턱(6b)이 형성되어 안쪽 방향에 간격유지판(6d)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걸편(6c)이 형성되며, 손잡이와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장치되는 한쌍의 작동레버(6)와,
장치판 중앙부 상면에 형성되어 상단이 개방된 요입홈(4a)내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4b)에 탄발되는 승강작동판(4c)과,
장치판 중앙통공부(4e) 내측지지홈(4f)에 축봉(9a)이 장치되어 상단돌기(9b)와 장치판 사이에 코일스프링(9c)이 장치되고, 선단부에 걸고리(9d)가 형성되어 손잡이(5)의 하단 걸홈(5b)에 착탈되고 하단에 하향돌출편(9e)이 형성되어 자물쇠장치에 착탈되는 중앙작동구(9)와,
장치판(4) 하단 양측 지지홈(40)에 지지축봉(11a)이 끼워지지되고, 내면으로 실린더(11b)가 장치되어 상단 외주에 돌기편(11c)이 형성되며, 실린더정회전자(11d)의 선단부에 3방향돌기(11e)가 형성되어 장치판(4)의 결합구멍(41)내에 결합하여 열쇠(42)로 개폐시키고, 실린더가 장치된 하측에 지지편이 형성되어 결합봉(16)의 내측단부(16a)가 축핀(16b)으로 결합되고 결합봉 상면에 형성된 스프링받이(16c)와 장치판의 내면돌기(43) 사이에 코일스프링(17)이 장진되어 장치판 내측으로 스프링의 탄력이 충진되는 자물쇠 장치판(11)과,
함체 바닥에 안내홈(101)이 형성되어 제2결합홈(14)에 결합된 제2결합돌기(15)의 결합턱(15a)에 결합하는 결합봉(16)과,
함체 바닥 선단부와 후미부에 하단이 개방되는 제1결합홈(12)과 제2결합홈(14)이 형성되어 제1결합홈(12)은 내측에 결합돌편(12a)이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제1결합홈(13a)에 결합하고, 제2결합홈(14)은 차체의 제2결합돌기(15)에 결합하여 그 외측면에 형성된 구멍(14a)을 통해 제2결합돌기 결합턱(15a)으로 자물쇠 장치판(11)에 구속된 결합봉(16)이 출입되게 한 구성이다.
1 : 함체 1a : 선단부 축공
1b : 결합홈 2 : 뚜껑
2a : 축공 2b : 결합부
2c : 하향돌기 2d : 결합홈
3 : 축봉 4 : 장치판
4a : 요입홈 4b : 코일스프링
4c : 승강작동판 4e : 중앙통공부
4f : 내측지지홈 5 : 손잡이
5a : 지지축 5b : 걸홈
6 : 작동레버 6a : 내측지지편
6b : 간격유지판 6c : 걸편
6d : 복귀작동판 7 : 코일스프링
9a : 축봉 9 : 중앙작동구
9b : 상단돌기 9c : 코일스프링
9d : 걸고리 9e : 하향돌출편
11 : 자물쇠 장치판 11a : 지지축봉
11b : 실린더 11c : 돌기편
11d : 실린더링회전자 11e : 3방향돌기
12 : 제1결합홈 12a : 결합돌편
13a : 제1결합홈 14 : 제2결합홈
14a : 구멍 15 : 제2결합돌기
15a : 결합턱 16 : 결합봉
16a : 내측단부 16b : 축핀
16c : 스프링받이 17 : 코일스프링
40 : 지지홈 41 : 결합구멍
60 : 안내부 60a,60b : 안내공
101 : 안내홈

Claims (1)

  1. 함체(1)와 뚜껑(2)으로 구성되어 뚜껑은 함체 위에 적층되어 결합 니플을 따라 결합하고, 뚜껑선단부에 형성한 축공(2a)을 함체(1)의 선단부축공(1a)과 일치시켜 축봉(3)으로 관통시켜 개폐되며, 뚜껑 후미 중앙부에 결합부(2b)를 형성하여 하향돌기(2c)와 결합홈(2d)을 형성한 뚜껑(2)과,
    후미 중앙에 결합홈(1b)을 형성하여 결합홈내에 장치판(4)이 부착되고 장치판 상부측에 양단이 지지축(5a)에 끼워지게 되어 회전하며, 하단부에 걸홈(5b)이 형성된 손잡이(5)와,
    손잡이(5)가 장치되는 내측에 위치한 안내부(60)를 상하로 관통하는 안내공(60a)(60b)에 관통설치된 후 내측지지편(6a)이 손잡이(5)의 내측 공간으로 투입되어 지지축(5a)에 지지되고, 상단부에 걸림턱(6b)이 형성되어 안쪽 방향에 간격유지판(6d)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걸편(6c)이 형성되며, 손잡이와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장치되는 한쌍의 작동레버(6)와,
    장치판 중앙부 상면에 형성되어 상단이 개방된 요입홈(4a)내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4b)에 탄발되는 승강작동판(4c)과,
    장치판 중앙통공부(4e) 내측지지홈(4f)에 축봉(9a)이 장치되어 상단돌기(9b)와 장치판 사이에 코일스프링(9c)이 장치되고, 선단부에 걸고리(9d)가 형성되어 손잡이(5)의 하단 걸홈(5b)에 착탈되고 하단에 하향돌출편(9e)이 형성되어 자물쇠장치에 착탈되는 중앙작동구(9)와,
    장치판(4) 하단 양측 지지홈(40)에 지지축봉(11a)이 끼워지지되고, 내면으로 실린더(11b)가 장치되어 상단 외주에 돌기편(11c)이 형성되며, 실린더정회전자(11d)의 선단부에 3방향돌기(11e)가 형성되어 장치판(4)의 결합구멍(41)내에 결합하여 열쇠(42)로 개폐시키고, 실린더가 장치된 하측에 지지편이 형성되어 결합봉(16)의 내측단부(16a)가 축핀(16b)으로 결합되고 결합봉 상면에 형성된 스프링받이(16c)와 장치판의 내면돌기(43) 사이에 코일스프링(17)이 장진되어 장치판 내측으로 스프링의 탄력이 충진되는 자물쇠 장치판(11)과,
    함체 바닥에 안내홈(101)이 형성되어 제2결합홈(14)에 결합된 제2결합돌기(15)의 결합턱(15a)에 결합하는 결합봉(16)과,
    함체 바닥 선단부와 후미부에 하단이 개방되는 제1결합홈(12)과 제2결합홈(14)이 형성되어 제1결합홈(12)은 내측에 결합돌편(12a)이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제1결합홈(13a)에 결합하고, 제2결합홈(14)은 차체의 제2결합돌기(15)에 결합하여 그 외측면에 형성된 구멍(14a)을 통해 제2결합돌기 결합턱(15a)으로 자물쇠 장치판(11)에 구속된 결합봉(16)이 출입되게 한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KR1020150100447A 2015-07-15 2015-07-15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KR10158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447A KR101580623B1 (ko) 2015-07-15 2015-07-15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447A KR101580623B1 (ko) 2015-07-15 2015-07-15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623B1 true KR101580623B1 (ko) 2015-12-28

Family

ID=5508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447A KR101580623B1 (ko) 2015-07-15 2015-07-15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828B1 (ko) 2020-06-25 2021-03-03 (주)제이아이씨 오토바이 수납통의 개폐장치
US11359424B2 (en) * 2019-08-14 2022-06-14 Hong-Jen Li Tool box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204B1 (ko) 1997-03-31 1999-10-01 구자홍 금고용 록킹 장치
KR100460263B1 (ko) 2002-06-14 2004-12-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적층고무부재의 스트립 와인딩 제조장치와제조방법
KR200460263Y1 (ko) * 2011-11-29 2012-05-16 주식회사 제이아이씨 오토바이 공구통의 전원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204B1 (ko) 1997-03-31 1999-10-01 구자홍 금고용 록킹 장치
KR100460263B1 (ko) 2002-06-14 2004-12-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용 적층고무부재의 스트립 와인딩 제조장치와제조방법
KR200460263Y1 (ko) * 2011-11-29 2012-05-16 주식회사 제이아이씨 오토바이 공구통의 전원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9424B2 (en) * 2019-08-14 2022-06-14 Hong-Jen Li Tool box
KR102221828B1 (ko) 2020-06-25 2021-03-03 (주)제이아이씨 오토바이 수납통의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IT201600111303A1 (it) Sistema di fissaggio e di trasporto per borse portaoggetti per motocicli.
KR101580623B1 (ko) 오토바이용 착탈형 공구통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76243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TW201700330A (zh) 框架鎖
KR200477832Y1 (ko) 오토바이 공구함 뚜껑 개폐장치
US8881565B2 (en) Locking system
KR101103353B1 (ko) 개인용 사물함 손잡이
JP2016196986A (ja) ハンドル装置
JP5085494B2 (ja) 容器用ポンプのストッパ
JP5327118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組付構造
JP2019517948A (ja) バッグが組み込まれた荷物容器
KR20170054641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689141B1 (ko) 사물함의 손잡이 일체형 잠금장치
KR101320437B1 (ko)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KR101182458B1 (ko) 사물함 손잡이
TW200940283A (en) Tool box with locking device
TWI652401B (zh) Vehicle operating device
JP2014079319A (ja) ストラップ用係止具
JP2015155629A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3196080U (ja) ハンガー用フック
EP2671787B1 (en) Integrated anti-theft device for perforated disk brake
KR200458133Y1 (ko) 중장비용 전면유리 개폐핸들 및 이를 이용한 개폐장치
JP3213843U (ja) 自転車用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347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026

Effective date: 2019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