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578B1 -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578B1
KR101580578B1 KR1020150092802A KR20150092802A KR101580578B1 KR 101580578 B1 KR101580578 B1 KR 101580578B1 KR 1020150092802 A KR1020150092802 A KR 1020150092802A KR 20150092802 A KR20150092802 A KR 20150092802A KR 101580578 B1 KR101580578 B1 KR 101580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measuring
present
engag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연
Original Assignee
석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커플링 및 제2 커플링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될 때 제1 커플링 및 제2 커플링 사이의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 커플링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되고, 일단은 제1 커플링의 제1 면에 접하며,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와, 제1 체결부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제1 커플링의 제2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 체결부와, 일단이 제2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아암 및 수직아암의 타단으로부터 제2 커플링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아암을 포함하는 아암부 및 수평아암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단이 제2 커플링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1 커플링을 기준으로 제2 커플링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coupling axis alignment}
본 발명은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링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이용하여 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측정함으로써 사용이 간단하고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과 화력 발전소와 같은 발전 설비에서 보일러, 터빈 발전기 등과 같은 대형 회전 장치는 다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과 축을 연결하는 커플링은 초대형이다. 이러한 축과 축을 정렬하는 축 정렬(Alignment) 작업은 두 커플링 사이에서 0.03mm 이내로 매우 정밀한 조절이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정비 작업이다. 이때, 축 정렬 작업시 행해지는 주(周=Rim=Parallel)측정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커플링 중 하나에 측정 장치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커플링과 측정 장치를 동시에 360도 회전시키면서 나머지 하나의 커플링에 타단이 접하는 측정 장치가 지시하는 값을 읽는 것이다. 대형 커플링의 경우 측정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멍을 뚫거나 형상을 변형시키면 무게 편차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고속 회전으로 바람을 일으키기 때문에, 종래에는 커플링에 측정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로써 고정 자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측정 장치는 고정 자석을 통해 커플링에 부착된 상태에서 커플링과 함께 회전되는데, 커플링이 회전하는 동안 측정 장치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측정 결과의 오차가 허용치를 초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터빈 발전기의 로터를 저속으로 회전(Turning)하기 위하여 커플링의 외주면에 불 기어(Bull gear)와 같은 기어가 형성될 경우, 기어의 이들(teeth) 때문에 고정 자석을 커플링에 부착시키는 것조차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어의 이들 사이에 복잡한 고정 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장치는 축 정렬 작업을 위한 측정이 행해질 때 로터가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해 및 조립이 수차례 반복될 수 밖에 없었고,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측정 장치의 흔들림이 발생하였다. 또한, 고정 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될 경우, 부품이 손실될 우려가 있고, 분해 및 조립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부품이 많아 주위 구조물에 부딪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커플링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이용하여 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측정함으로써 현장에서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고,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플링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이용하여 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측정함으로써, 현장에서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고,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커플링 및 제2 커플링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될 때 상기 제1 커플링 및 상기 제2 커플링 사이의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제1 커플링의 제1 면에 접하며,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커플링의 제2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 체결부와, 일단이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아암 및 상기 수직아암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커플링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아암을 포함하는 아암부 및 상기 수평아암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커플링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커플링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커플링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정부는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상기 제1 체결부는, 중앙에 형성된 제1 돌출부가 상기 결합 홀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상기 제1 면에 접하고, 상기 결합 홀과 연통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연통홀 및 상기 결합 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접하고,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중앙에 형성된 제2 돌출부가 상기 결합 홀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상기 제2 면에 접하고, 상기 결합 홀과 연통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상기 볼트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하고, 상기 연장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걸림부재가 상기 연장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부는, 일단측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 걸림부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 및 상기 볼트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 걸림부재의 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볼트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제2 걸림부재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윈도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따르면, 커플링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이용하여 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측정함으로써, 현장에서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고,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따르면, 형상 및 구성이 단순화됨으로써,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고, 혼자서 단시간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설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따르면,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 후 장치를 보관할 경우에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조립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쉽고 장시간 동안 보관하더라도 분실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따르면,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결합 홀에 끼움 결합시켜 제1 플레이트 및 제2 체결부를 제1 커플링에 조립함으로써, 제1 연통홀과 제2 연통홀이 결합 홀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쉽고 안전하게 조립될 수 있고, 결합 홀의 크기가 다른 커플링에 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결합 홀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제2 체결부만 새로 제작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따르면, 핸들부가 볼트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핸들부를 회전시켜서 볼트부를 제2 체결부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따르면, 볼트부가 수용홈에 수용된 제1 걸림부재와 결합되어 제1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체화됨으로써, 분해 및 조립되는 과정에서 각각 따로 구비된 상태일 때보다 분실될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따르면, 수용홈에 수용된 제2 걸림부재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볼트부에 윈도우홀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윈도우홀을 통해 제2 걸림부재의 위치, 결합 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 현장과 화력 발전소와 같은 발전 설비에서 보일러, 터빈 발전기 등과 같은 대형 회전 장치는 다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축을 정렬하기 위해서 서로 인접하는 제1 커플링(10) 및 제2 커플링(20) 사이의 상대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플링(10) 및 제2 커플링(20) 중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에 불 기어(Bull gear)와 같은 기어(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어가 형성될 경우, 기어의 이들(Teeth) 때문에 측정 장치가 커플링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설치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는 제1 커플링(10)의 외주면에 불 기어와 같은 기어(11)가 형성될 경우에도, 제1 커플링(10)에 형성된 결합 홀(12)을 통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홀(12)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커플링(10) 및 제2 커플링(20)을 볼트(30), 너트(40)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는 제1 체결부(100), 제2 체결부(200), 아암부(300) 및 측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00)는 제1 커플링(10)에 형성된 결합 홀(12)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제1 체결부(100)의 일단은 제1 커플링(10)의 제1 면(10a)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100)의 타단은 나사산(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100)는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100b)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00b)는, 제1 체결부(100)가 결합 홀(12)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에 대하여 오차를 가지도록 비스듬하게 삽입될 경우에도, 제1 체결부(100)의 타단이 결합 홀(12) 및 후술할 제2 체결부(200)에 쉽게 관통될 수 있게 한다.
제2 체결부(200)는 제1 체결부(100)의 타단이 관통되고, 제1 체결부(100)의 나사산(100a)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200)는 제1 커플링(10)의 제2 면(10b)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암부(300)는 수직아암(310) 및 수평아암(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아암(310)은 일단이 제2 체결부(200)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수평아암(320)은 수직아암(310)의 타단으로부터 제2 커플링(20)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아암부(300)의 수평아암(320)은 후술할 측정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아암(310) 및 수평아암(320)의 길이 및 굵기는 측정부(400)가 설치될 때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암부(300)는 수평아암(320)에 설치된 측정부(400)의 일단이 제2 커플링(20)에 접하도록 적절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직아암(310)과 수평아암(320)이 각각 한 개씩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아암부(300)가 ??형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치 장소, 측정 조건, 측정 항목 등에 따라 아암부(300)의 형상, 수직아암(310) 및 수평아암(320)의 개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암부(300)가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암부(300)는 제1 커플링(10) 및 제2 커플링(20) 사이의 간극에 설치되기 때문에 단면이 납작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정부(400)는 수평아암(3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단이 제2 커플링(20)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1 커플링(10)을 기준으로 제2 커플링(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400)는 수평아암(3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410)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10)는 결합부(410)에 삽입되는 수평아암(320)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부재(4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420)는 수평아암(320)의 일단과 결합부(410)가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수평아암(320)의 일단과 결합부(4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부(400)는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몸체부(100) 및 아암부(300)를 통해 제1 커플링(10)에 고정된 다이얼 게이지의 지침이 제2 커플링(20)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다이얼 게이지를 영점 셋팅한 상태에서 제1 커플링(10) 및 제2 커플링(20)을 천천히 회전시켜 다이얼 게이지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을 통해 측정값의 일관성 여부를 확인하고 제1 커플링(10)의 축과 제2 커플링(20)의 축을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커플링(10)을 기준으로 제2 커플링(2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부(400)로써 다이얼 게이지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정 조건, 측정 항목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구성요소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거나 생략하고,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그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의 제1 체결부(100)는 제1 플레이트(110) 및 볼트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0)는 중앙에 형성된 제1 돌출부(111)가 결합 홀(12)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제1 커플링(10)의 제1 면(10a)에 접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는 결합 홀(12) 보다 1.0mm 작게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플레이트(110)는 결합 홀(12)과 연통되는 제1 연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부(120)는 제1 연통홀(112) 및 결합 홀(12)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일단은 제1 플레이트(110)에 접하고, 타단은 나사산(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0)의 제1 돌출부(111)가 결합 홀(12)에 끼움 결합될 경우, 제1 플레이트(110)는 제1 연통홀(112)과 결합 홀(12)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에 쉽고 안전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제2 체결부(200)는 중앙에 형성된 제2 돌출부(210)가 결합 홀(12)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제1 커플링(10)의 제2 면(10b)에 접할 수 있다. 제2 돌출부(210)는 결합 홀(12) 보다 1.0mm 작게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체결부(200)는 결합 홀(12)과 연통되는 제2 연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200)는 제2 연통홀(200)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부(120)의 나사산(100a)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체결부(200)의 제2 돌출부(210)가 결합 홀(12)에 끼움 결합될 경우, 제2 체결부(200)는 결합 홀(12)과 제2 연통홀(220)의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에 쉽고 안전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통홀(112), 결합 홀(12) 및 제2 연통홀(220)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에서 볼트부(120)가 삽입되어 제2 체결부(200)와 나사 결합되므로, 제1 플레이트(110), 볼트부(120)및 제2 체결부(200)는 제1 커플링(10)에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결합 홀(12)의 크기가 다른 커플링에 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결합 홀(12)의 크기와 일치하는 제1 돌출부(111) 및 제2 돌출부(210)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체결부(200)만 새로 제작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구성요소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거나 생략하고,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그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와는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의 볼트부(120)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핸들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부(121)가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핸들부(121)를 회전시키면 별도의 공구 없이도 볼트부(120)를 제2 체결부(200)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핸들부(121)를 회전시키면 나사 결합된 볼트부(120)를 제2 체결부(2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구성요소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거나 생략하고,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그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가 제1 커플링의 결합 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1)의 제1 플레이트(110)는 연장부(113), 제1 걸림부재(114) 및 제2 걸림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3)는 제1 플레이트(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볼트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재(114)는 연장부(113)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제1 플레이트(110)의 외측면에 접하고, 연장부(113)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부재(115)는 연장부(1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3a)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113)에 고정된 제2 걸림부재(115)는 제1 걸림부재(114)가 회전될 때 연장부(1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볼트부(120)는 수용홈(122) 및 결합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용홈(122)은 볼트부(120)의 일단측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1 걸림부재(114) 및 제2 걸림부재(115)가 수용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23)는 볼트부(120)의 일단을 관통하여 수용홈(12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 걸림부재(114)의 홀(114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부(120) 및 제1 걸림부재(114)는 결합부재(123)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므로, 볼트부(120)가 제2 체결부(20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서 회전될 때 제1 걸림부재(114) 또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재(114)의 내측면은 연장부(113)의 외주면에 고정된 제2 걸림부재(115)에 걸려서 연장부(113)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걸림부재(114)와 결합된 볼트부(120)는 제1 플레이트(110)의 연장부(11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제1 플레이트(1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일체화된 제1 플레이트(110)와 볼트부(120)는 분해 및 조립되는 과정에서 각각 따로 구비된 상태일 때보다 분실될 위험이 줄어든다.
또한, 볼트부(120)는 수용홈(122)에 수용된 제2 걸림부재(115)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윈도우홀(1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홀(124)를 통해 제2 걸림부재(115)의 위치, 결합 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10: 제1 커플링 11: 기어
12: 결합 홀 30: 볼트
40: 너트 10a: 제1 면
10b: 제2 면 20: 제2 커플링
100: 제1 체결부 100a: 볼트부의 나사산
100b: 경사부 110: 제1 플레이트
111: 제1 돌출부 112: 제1 연통홀
113: 연장부 113a: 연장부의 나사산
114: 제1 걸림부재 114a: 제1 걸림부재의 홀
115: 제2 걸림부재 120: 볼트부
121: 핸들부 122: 수용홈
123: 결합부재 124: 윈도우홀
200: 제2 체결부 210: 제2 돌출부
220: 제2 연통홀 300: 아암부
310: 수직아암 320: 수평아암
400: 측정부 410: 결합부
420: 결합부재 430: 삽입홀

Claims (7)

  1. 서로 인접하는 제1 커플링 및 제2 커플링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될 때 상기 제1 커플링 및 상기 제2 커플링 사이의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에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제1 커플링의 제1 면에 접하며,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커플링의 제2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 체결부;
    일단이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아암 및 상기 수직아암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커플링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아암을 포함하는 아암부; 및
    상기 수평아암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커플링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커플링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커플링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중앙에 형성된 제1 돌출부가 상기 결합 홀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상기 제1 면에 접하고, 상기 결합 홀과 연통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연통홀 및 상기 결합 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접하고,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중앙에 형성된 제2 돌출부가 상기 결합 홀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면이 상기 제2 면에 접하고, 상기 결합 홀과 연통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하고, 상기 연장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걸림부재가 상기 연장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부는,
    일단측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 걸림부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 및
    상기 볼트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 걸림부재의 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제2 걸림부재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윈도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KR1020150092802A 2015-06-30 2015-06-30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KR101580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02A KR101580578B1 (ko) 2015-06-30 2015-06-30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02A KR101580578B1 (ko) 2015-06-30 2015-06-30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578B1 true KR101580578B1 (ko) 2015-12-28

Family

ID=5508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802A KR101580578B1 (ko) 2015-06-30 2015-06-30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3A (ko) * 1998-05-29 1999-12-15 김형국 다기능 계측용 공구
KR200278350Y1 (ko) * 2002-02-15 2002-06-21 덕성공업 주식회사 와이어클램프용 체결구
KR100791219B1 (ko) * 2006-09-15 2008-01-0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축 정렬장치
KR20120134175A (ko) * 2011-06-01 2012-1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이얼 게이지 취부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3A (ko) * 1998-05-29 1999-12-15 김형국 다기능 계측용 공구
KR200278350Y1 (ko) * 2002-02-15 2002-06-21 덕성공업 주식회사 와이어클램프용 체결구
KR100791219B1 (ko) * 2006-09-15 2008-01-0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축 정렬장치
KR20120134175A (ko) * 2011-06-01 2012-1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이얼 게이지 취부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2260A (ko) 기계 피스들을 측정 및 체킹하는 장치
US9488216B2 (en) Ball-joint mechanism between a clevis and a connecting rod, in particular for control apparatus of a rotorcraft
US10982658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epairing the roots of wind turbine blades
CN111981949B (zh) 定位工装、定位试验装置及其圆周侧隙方法
GB2523969B (en) Assembly of a balance weight with a rotor element
CN204387065U (zh) 一种固定环螺母定位装置
JP2015059755A (ja) フランジ隙間計測治具
JP2012193714A5 (ko)
KR101580578B1 (ko)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CN105135994B (zh) 一种用于压气机可调静子叶片角度标定的测具
CN111829409A (zh) 一种花键跳动量具
CN217930142U (zh) 一种刚性联轴器对中找正工装
CN104416510A (zh) 用于螺纹连接件的拆装工具
JP2016169581A (ja) 多条ねじ継手、該多条ねじ継手を有する継手付き鋼管
RU2480797C1 (ru) Способ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коннектора в коллимирующем устройстве волоконного лазера
RU9642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резьбы и уплотнительного конуса муфты
CN208895215U (zh) 机加工刀柄
KR101608394B1 (ko) 압력계와 온도계를 구비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CN108856762A (zh) 机加工刀柄
CN208895211U (zh) 一种动平衡刀柄构件
KR101580577B1 (ko) 커플링 축 정렬용 측정 장치
CN217824685U (zh) 一种电机磁力中心线校对装置
CN204359818U (zh) 一种过载传感器校准试验夹具
CN108825227A (zh) 掘进机切割装置和掘进机
CN214470588U (zh) 一种汽轮机转子对中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