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563B1 -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563B1
KR101580563B1 KR1020140008006A KR20140008006A KR101580563B1 KR 101580563 B1 KR101580563 B1 KR 101580563B1 KR 1020140008006 A KR1020140008006 A KR 1020140008006A KR 20140008006 A KR20140008006 A KR 20140008006A KR 101580563 B1 KR101580563 B1 KR 10158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pping portion
frame
antenna pattern
overlapp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740A (ko
Inventor
정재용
박희찬
Original Assignee
김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중 filed Critical 김우중
Priority to KR102014000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5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품을 지지하며, 상대물과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금속 재질의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며,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재질의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접하는 단면부위에서,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한 제1겹침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1겹침부위와 겹쳐질 수 있는 제2겹침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겹침부위 또는 상기 제2겹침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대되는 상기 제2겹침부위 또는 상기 제1겹침부위에 삽입되는 보강용 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FRAME FOR MOBILE TERMINAL HAVING ENHANCED ELECTRIC-MECHANICAL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ANTENNA PATTERN AND METAL PART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단선 또는 파손 가능성을 대폭 경감시킨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이나 영상통화 또는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중심으로 정보의 입·출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정보통신기술 및 전자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음악이나 동영상 재생, 게임, TV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갖춘 현대인의 필수적인 개인 소지품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인 외장형 안테나가 먼저 개발되었지만, 미관을 개선하면서도 파손문제가 없는 내장형 안테나로 대체되고 있다.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도 안테나의 타입, 제조방법, 재료,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종의 내장형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구물인 케이스나 프레임에 인서트되거나 프린트되어 있는 형식도 제안되었다.
단말기의 슬림화·소형화에 따라, 그에 내장되는 안테나는 설계의 관점에서 통신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길이나 공간의 확보, 더욱 가까와지고 고밀도화되어 가고 있는 다른 부품으로부터의 영향 극복, 전자파 규제 등의 복잡한 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도 증가된다. 반면, 단말기에서의 무선수요는 이미 이동통신 외에도 대용량 데이터 이동통신, 방송수신,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지피에스 등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충족할 수 있는 멀티밴드 안테나의 개발요구도 높아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사양화, 디스플레이의 장대화 등에 따라, 기구물 면에서는 내부 부품을 보호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마그네슘 등의 가벼우면서도 강한 재료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내장형 안테나를 기구물인 케이스나 프레임에 적용하는 경우 안테나 패턴을 연결하는 부위가 낙하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단선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유전체인 수지 등과 금속재가 혼합된 기구물에 안테나 패턴을 적용하는 경우에 충격에 의한 단선 또는 단차에 의한 취약요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품을 지지하며, 상대물과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금속 재질의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며,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재질의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접하는 단면부위에서,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한 제1겹침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1겹침부위와 겹쳐질 수 있는 제2겹침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겹침부위 또는 상기 제2겹침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대되는 상기 제2겹침부위 또는 상기 제1겹침부위에 삽입되는 보강용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프레임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 스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은,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제1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용 돌기는 상기 제1겹침부위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2겹침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겹침부위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상기 보강용 돌기의 노출된 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용 돌기는 상기 제2겹침부위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겹침부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겹침부위 및 상기 제2겹침부위를 관통하는 스루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상기 제1겹침부위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패드부와 상기 제2겹침부위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루홀의 내벽에는 상기 제1패드부와 상기 제2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통 내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2겹침부위를 관통하는 부분스루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상기 제2겹침부위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부분스루홀의 내벽에는 상기 도전성 패드부와 상기 제1겹침부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 도통내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용 돌기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접하는 경계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겹침부위 및 상기 제2겹침부위는 단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겹침부위 및 상기 제2겹침부위는 각각 경사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도전성 잉크에 의해 인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기구물이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경계면인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부위에서 금속부분인 제1겹침부위와 유전체 부분인 제2겹침부위가 겹쳐져 있으며, 상대물을 향해 형성된 보강용 돌기를 구비된 것이므로, 충격이나 낙하시 접합부위의 틀어짐이나 이격에 의한 안테나의 연결불량 및 강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금속의 제1프레임과 안테나 패턴 사이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드부를 보강용 돌기 또는 스루홀에 형성된 도통 내벽부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안테나 전기적 연결상태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100)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예에 따른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100)은 이동통신 단말기 즉, 무선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용 기기(휴대폰, 스마트폰, 피디에이, 테블릿 피씨 등)에서 기기의 외관을 이루거나 기기의 내부 프레임 구조를 이루는 요소를 말한다.
도 1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100)은 상대물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위(111)와 내부에 각종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부품지지부(112)를 갖는 금속 재질의 제1프레임(110)을 갖는다. 제1프레임(110)은 얇은 두께와 함께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스틸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프레임(110)의 재질 및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내구성 면에서 우수하다.
안테나 패턴(130)은 유전체 재질로 형성된 제2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있다. 제2프레임(120)은 주로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금속 재질의 제1프레임(110) 상에서 무선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안테나 패턴(130)의 설치를 위해 필요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제1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2프레임(120)은 재질면에서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와 같은 강도가 높은 수지재질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은 이중사출과 같은 알려져 있는 성형방법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은 연결부위에서 상호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서 상호 접합된 것처럼 되어 있다.
제2프레임(120)에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 패턴(130)은 급전이나 그라운드와 연결되기 위해 도전성의 제1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130)은 얇은 두께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패턴의 형성에 유리한 도전성 잉크의 인쇄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패턴(130)과 금속 재질의 제1프레임(110)을 연결하기 위해 도전성 잉크는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의 경계를 통과하여 제1프레임(110)으로 이어진다. 물리적 특성이 다른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 사이의 연결부위는 충격이나 낙하로부터 벌어짐이나 틀어짐이 발생하거나 상이한 열팽창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도전성 잉크 또는 연결패드를 단선시킬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연결부위의 충격 안정성을 개선시킨 접합구조를 제시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접하는 단면 부위에서, 제1프레임(110)에는 제2프레임(120)에 대한 제1겹침부위(115)가 형성되어 있고, 제2프레임(120)에는 제1겹침부위(115)와 겹쳐질 수 있는 제2겹침부위(1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겹침부위(115) 및 제2겹침부위(125)는 상호 겹쳐져 전체적으로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120)과 유사한 두께를 이루고 있다. 겹침부위에서 접합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1겹침부위(115) 및 제2겹침부위(125)에는 경사면(116)(2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경사면(116)(216)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제1프레임(110)이 배치되어 있고 위쪽에 제1프레임(120)이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겹침부위(115)와 제2겹침부위(125)의 기계적 접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1겹침부위(115)에는 상대되는 제2겹침부위(125)에 삽입되는 보강용 돌기(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용 돌기(150)는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의 경계선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사이의 접합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안테나 패턴(130)은 금속 재질의 제1프레임(110)에 대해 도전성 패드부(140)에 의해 연결된다. 도전성 패드부(140)는 안테나 패턴(130)의 연장된 일부로서, 안테나 패턴(130)과 같이 도전성 잉크에 의해 인쇄된 형태일 수 있다. 도전성 패드부(140)의 단선을 방지하고 제1프레임(110)과의 접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보강용 돌기(150)는 제1겹침부위(115)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2겹침부위(125)를 관통하여 제2겹침부위(125)의 표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도전성 패드부(140)가 인쇄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평면도로 보았을 때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 구체적으로 비틀림이나 휨 또는 수평방향의 인장력에 대해 보강용 돌기(150)는 제1프레임(110)과 도전성 패드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강력한 보완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는 보강용 돌기(150)는 어느 하나에서 단선이 있더라도 나머지 보강용 돌기(150)와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단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형상 면에 있어서, 도 2에 의하면, 보강용 돌기(150)는 원형의 단면형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외에도 보강용 돌기(150)는 삼각형이나 사각형, 타원형 등 다른 단면형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시의 기구물에서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단차진 형태의 제1겹침부위(215) 및 제2겹침부위(225)를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보강용 돌기(250)는 제2겹침부위(225)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안테나 패턴을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패드부는 제1겹침부위(215)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패드부(241)과 제2겹침부위(125)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패드부(242)를 구비하고 있다. 제1패드부(241)와 제2패드부(242)를 연결하기 위해, 제1겹침부위(215)와 제2겹침부위(225)를 관통하는 스루홀(2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루홀(260)의 내벽에는 도통 내벽부(261)가 형성되어 있다. 도통 내벽부(261) 역시 도전성 잉크의 인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제1패드부(241)와 제2패드부(2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스루홀(260) 및 도통 내벽부(261) 방식의 전기적 연결은 기계적인 보강용 돌기(250)와 조합되어 안정적인 안테나 연결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통 내벽부(261)의 인쇄가 용이하도록 스루홀(260)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예에 따른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기구물에서도 제1프레임(310)과 제2프레임(320)이 단차진 형태의 제1겹침부위(315) 및 제2겹침부위(325)를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보강용 돌기(350)는 제2겹침부위(325)로부터 연장되어 제1겹침부위(315)로 삽입되고 있다.
제2프레임(320)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드부(340)가 제1프레임(3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2겹침부위(325)에는 부분 스루홀(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분 스루홀(360)의 내벽에는 도전성 패드부(340)와 제1겹침부위(315)를 연결하는 부분 도통 내벽부(361)가 인쇄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부분 스루홀(360) 및 부분 도통 내벽부(361)에 의하여 강력한 전기적 연결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보강용 돌기(350)는 충격이나 낙하 등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기계적 접합상태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310)에 연결하는 도전성 패드부(340)의 단선으로부터의 취약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110, 210, 310: 제1프레임
111: 체결부위 112: 부품지지부
115, 215, 315: 제1겹침부위 116: 경사면
120, 220, 320: 제2프레임 125, 225, 325: 제2겹침부위
130: 안테나 패턴 140,340: 도전성 패드부
150, 250, 350: 보강용 돌기 241: 제1패드부
242: 제2패드부 260: 스루홀
261: 도통 내벽부 360: 부분스루홀
361: 부분 도통 내벽부

Claims (1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품을 지지하며, 상대물과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금속 재질의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며,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재질의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접하는 단면부위에서,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한 제1겹침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1겹침부위와 겹쳐질 수 있는 제2겹침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겹침부위 또는 상기 제2겹침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대되는 상기 제2겹침부위 또는 상기 제1겹침부위에 삽입되는 보강용 돌기가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 스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제1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돌기는 상기 제1겹침부위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2겹침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겹침부위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상기 보강용 돌기의 노출된 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돌기는 상기 제2겹침부위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겹침부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겹침부위 및 상기 제2겹침부위를 관통하는 스루홀이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상기 제1겹침부위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패드부와 상기 제2겹침부위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루홀의 내벽에는 상기 제1패드부와 상기 제2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통 내벽부가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겹침부위를 관통하는 부분스루홀이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상기 제2겹침부위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부분스루홀의 내벽에는 상기 도전성 패드부와 상기 제1겹침부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 도통내벽부가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돌기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접하는 경계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겹침부위 및 상기 제2겹침부위는 단차 형태로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겹침부위 및 상기 제2겹침부위는 각각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도전성 패드부는 도전성 잉크에 의해 인쇄된 형태로 형성된,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기구물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40008006A 2014-01-22 2014-01-22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8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06A KR101580563B1 (ko) 2014-01-22 2014-01-22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06A KR101580563B1 (ko) 2014-01-22 2014-01-22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740A KR20150087740A (ko) 2015-07-30
KR101580563B1 true KR101580563B1 (ko) 2016-01-05

Family

ID=5387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006A KR101580563B1 (ko) 2014-01-22 2014-01-22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1113B (zh) * 2020-12-04 2022-04-26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中框及其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88B1 (ko) 2007-01-24 2008-06-19 주식회사 아모텍 내장형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75B1 (ko) * 2008-01-16 2011-01-1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양면 방사체를 이용한 초광대역 안테나
KR101339565B1 (ko) * 2009-10-30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부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88B1 (ko) 2007-01-24 2008-06-19 주식회사 아모텍 내장형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740A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0621B1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101153666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이의 제조방법,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 금형 및 전자장치
JP5236761B2 (ja) アンテナパターンフレーム、アンテナパターンフレームを備える電子装置ケース、及び電子装置ケースを含む電子装置
US7589977B2 (en) Housing combin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133325B1 (ko) 안테나 방사체, 다수의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케이스
JP5655239B2 (ja) 電子装置ケース及び移動通信端末機
JP2011193456A (ja) アンテナパターンフレーム、電子装置のケース及びその製造金型
US8654968B2 (en)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20120127043A1 (en) Portable radio
US85817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module
KR101580563B1 (ko) 외부충격 안정성을 갖는 안테나 패턴과 금속부의 접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기구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158793A1 (en) Key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KR101070038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의 제조금형, 전자장치 케이스
KR20100131656A (ko) 내장형 안테나 모듈,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한 무선통신단말기
EP3712944B1 (en) Chi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a mold assembly,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KR101942720B1 (ko)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용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전자장치 케이스
US20110254743A1 (en) Portable wireless device
US8319110B2 (en) Dual-layer flexible printed circuit
US812539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880542B1 (ko) 내장형 안테나
KR100878393B1 (ko) 안테나 구조물
US20140112523A1 (en)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1005952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안테나
JP2005244823A (ja) 中間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8922437B2 (en) Exterior antenna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