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77B1 -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277B1
KR101580277B1 KR1020150052429A KR20150052429A KR101580277B1 KR 101580277 B1 KR101580277 B1 KR 101580277B1 KR 1020150052429 A KR1020150052429 A KR 1020150052429A KR 20150052429 A KR20150052429 A KR 20150052429A KR 101580277 B1 KR101580277 B1 KR 10158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fixed
linker
suppo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와이앤제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앤제이이앤씨 filed Critical (주)와이앤제이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5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2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2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a distribution line. More specifically, the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a distribution line makes an insulator to have elasticity when a distribution line is expanded or contracted to prevent damage of the insulator due to stress concentration, obtain stability, increase durability, and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pole is partially replaced in an assembly type and constituted to be easily installed to increase convenience in works.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의 팽창 수축시 절연애자도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과도한 응력집중에 의한 절연애자 파손을 막고 안전성을 확보하며, 장수명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전신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elecommunication pole for a distribution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n insulation insulator having elasticity when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distribution line has elasticity to prevent insulation breakdown due to excessive stress concentration, to secure safe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elephone pole for a distribution line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a telephone pole.

전신주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과 통전하는 전선을 지지하면서 가정이나 회사 등 전기가 필요한 곳으로 상기 전선을 안내한다.The electric pole supports the electric wires that are connected to power stations and substations, and guides the electric wires to places where electricity is required such as a home or a company.

그런데, 상기 전선은 비교적 고압의 전류가 흐르므로, 절연체인 전신주를 통해 누전될 수도 있다. However, since the electric wire runs at a relatively high voltage, it may be short-circuited through the insulated electric wire.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신주와 상기 전선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절연성이 우수한 연결체를 매개로 전선을 고정한다.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e electric wire is fixed via a connection member having excellent insulation so that the electric wire and the electric wire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절연체를 애자라고 한다.These insulators are called insulators.

결국, 상기 애자를 통해 연결된 전선은 전신주와는 직접 맞닿아 고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신주의 일 지점에 정확히 고정 배치된다.As a result, the wires connected through the insulator are not fix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telephone pole, but are fixedly fixed at one point of the telephone pole.

한편, 전선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라인을 합성수지로 감아 절연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wire is briefly described as a metal line such as copper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is wound around a synthetic resin to insulate it.

따라서, 주변환경의 온도에 따라 상기 금속라인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Therefore, the metal line repeats expansion a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러한 이유로 이웃하는 전신주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은 계절에 따라 아래로 늘어지거나 팽팽하게 당겨져서 그 모습을 달리하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wires located between the neighboring poles are stretched down or stretched depending on the season, and the shape changes.

이와 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애자를 장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중량체와 연결하여서, 여름철 전선이 늘어지면 스프링의 탄발력 또는 중량체의 하중으로 상기 전선을 당기고 겨울철 전선이 팽팽해지면 전선의 장력으로 늘어짐이 해소되면서, 계절변화에 관계없이 전선의 배치가 항시 일정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In order to reduce such a phenomenon, conventionally, the insulator is connected to a spring having a tension or a weight having a constant load, and when the wire is stretched in summer, the wire is pull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or the load of the weight, As the sagging of the wire was solved, the arrangement of the wire could be kept constant regardless of seasonal changes.

하지만, 스프링과 중량체와 같은 부재를 이용해 전선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할 경우 전선은 지속적인 하중을 받아 금속라인이 조금씩 늘어나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라인의 구경이 줄면서 그 길이는 늘어나게 되어 상기 금속라인의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a member such as a spring and a weight member is used to cop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wire, the wire undergoes a continuous load, and the metal line is gradually increased.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metal lin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istance becomes large.

물론, 전선의 저항 상승은 송전의 손실률을 높이므로 전선을 일정한 주기로 교체해줘야 하는 불편을 낳았다.Of course, an increase in the resistance of the wire increases the loss rate of the transmission, resulting in inconvenience that the wire should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0714999호가 개시된 바 있다.To improve this, Patent No. 0714999 is disclosed.

그런데, 개시된 등록특허는 통상 원기둥 형상의 전신주의 상단부에 수직하게 가로지른 완철을 고정하고, 그 완철상에 애자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전신주 자체를 교체할 경우 전체를 분해한 다음 전신주를 철거하고 신품으로 교체해야 했으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웠다.
However, in the disclosed patent, normally, a bar code which is perpendicularly crossed on the upper end portion of a column-shaped telephone main body is fixed and the insulator is fixed on the barrel, so if the telephone main body itself is replaced, the whole telephone is disassembled, The task was very cumbersome and difficult because I had to.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온도에 반응하여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전선을 항시 일정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연결함에 있어 상황에 따라 전선이 받는 장력을 조절하여 전선이 받는 부담을 줄이고, 이를 통해 전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신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신주 노후화 교체시 부분 교체가 가능토록 개량하여 설치작업상 편의성을 증진시킨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To reduce the burden on the electric wire and to extend the life of the electric wir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pole so that it can be partially replaced when the electric pole is replaced, Which has its main purpos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용공간(111)과, 상기 수용공간(111)의 하부와 연통하여 수평하게 형성되고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수평로(112)와, 일단이 상기 수평로(112)와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부와 연통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로(113)와,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 사이에 돌출형성되고 제2와이어(131)가 수평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114a)이 형성된 스토퍼(114)와, 상기 스토퍼(114)의 전면에 돌출된 안내형 돌부(115a)와, 상기 상향로(113)와 수평로(112)가 만나는 지점에 돌출된 걸림형 돌부(115b)와, 상기 수평로(112)의 상부에서 동방향으로 개구된 안착공간(117)과,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에 편심된 회전중심을 가지며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회전중심이 탄발지지되고 마찰이 큰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재인 바퀴를 갖는 감속대(119)를 구비하는 하우징(110);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121)를 감는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상향로(113)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1와이어(121)의 말단에 걸림홈(122a)을 갖는 제1링커(122)가 연결되되, 상기 제1와이어(121)의 길이는 상기 제1링커(122)가 상기 걸림형 돌부(115b)에 걸렸을 때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제한되는 제1권취구(120); 상기 수용공간(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와이어(131)를 감되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보다 작은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114a)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로(112)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2와이어(131)의 말단에 상방으로 개구된 고리형상을 이루는 제2링커(132)가 연결되는 제2권취구(130); 일단이 상기 안내형 돌부(115a)와 맞물려 상방으로 밀릴 수 있는 곡면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판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링커(132)가 상기 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링커(132)와 맞물리는 고정축(141)과, 상기 걸림형 돌부(115b)에 지지된 제1링커(122)를 밀어내려 상기 판 사이로 안내하는 가압돌부(143)와, 상기 판 사이로 밀린 상기 제1링커(122)의 걸림홈(122a)과 맞물리는 걸림축(142)과, 상기 수평로(112)를 따라 상기 하우징(110) 밖으로 인출되는 이동시 상기 걸림축(142)과 맞물린 상기 제1링커(122)를 밀어올려 상기 걸림형 돌부(115b) 안으로 누르는 누름대(145)를 구비한 제1지지대(140);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4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대(150); 일단이 상기 제2지지대(15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애자(20)와 연결되는 제3지지대(160);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의 내벽에 상기 제1,2,3지지대(140,150,160)의 외면과 맞닿아 그 이동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2,3지지대(140,150,160)가 상기 내벽과 직접 맞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바퀴를 갖는 다수의 폴리(116a,116b); 및 일단은 상기 안착공간(117)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3지지대(160)와 고정되며, 외면은 상기 안착공간(117)의 안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될수록 상기 감속대(119)의 바퀴 외주면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바퀴에 의해 인출이 저지되는 고정막대(170);를 구비한 연결기구(1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100)를 고정하는 고정베이스(210)를 전신주(P)로부터 분리 구성하여 전신주(P)를 조립 방식으로 교체구성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하부 중심에는 연결대(220)가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연결대(220)의 하단 내부에는 기둥삽입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대(22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교체유도돌기(240)가 돌출되고, 상기 교체유도돌기(240)에는 상기 전신주(P) 교체시 임시지지대(X)가 가(假) 고정되며; 상기 전신주(P)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310)와, 상기 고정지주(310)의 상단에 조립 고정되는 중간지주(320)와, 상기 중간지주(32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가동지주(3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지주(310)는 상단에 지주고정홈(312)이 요입 형성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의 고정지주결속링(314)이 돌출되고; 상기 중간지주(320)는 하단이 상기 지주고정홈(312)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하단 일부가 중간지주끼움부(322)를 이루고, 상기 중간지주끼움부(322) 부분만 내부가 채워진 중실체로 구성되며, 나머지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주(320)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고 한 쌍의 중간지주결속링(324)이 돌출되는데, 상기 중간지주결속링(324)은 상기 고정지주결속링(314)과 상하로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중간지주(320)와 상기 고정지주(310)는 상기 중간지주끼움부(322)가 지주고정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턴버클(TB)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중간지주(320)의 내부에는 피니언기어(PG)가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기 피니언기어(PG)의 축 일단에는 핸들(HD)이 연결되며, 상기 핸들(HD)은 상기 중간지주(320)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축은 상기 중간지주(320)를 수직하게 관통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핸들(HD)은 길이 일부가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접었을 때 상기 중간지주(320)의 일부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핸들고정공(326)에 끼워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가동지주(330)는 상기 중간지주(320)에 끼워지며, 내주면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고 상기 피니언기어(PG)에 치결합하는 래크기어(LG)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지주(330)의 양측면인 상기 피니언기어(PG)의 축 방향은 절개부(332)가 형성되며, 절개부(332)의 하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동지주(330)를 상기 중간지주(320)에 끼우게 되면 상기 가동지주(3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LG)는 자동적으로 피니언기어(PG)와 기어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를 제공한다.
A horizontal path 112 formed horizontally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nd having a distal end opened to the outside, An upward direction 113 formed at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horizontal passage 112 and the other end inclining with an upp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1 and an upward protrusion 113 projecting between the accommodating space 111 and the horizontal passage 112 A stopper 114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4a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131 passes horizontally, a guide protrusion 115a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114, A seating space 117 which is open at the top of the horizontal passage 112 and which is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ating space 117; The rotation center of which is eccentrically supported via the torsion spring and has a large frictional elasticity A housing (110) having a deceleration belt (119) with a wheel which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holding groove 122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wire 121 located along the upward direction 113 and having a winding force for winding the first wire 121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121 is limit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linker 122 when the first linker 122 is caught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115b, A winding unit 120; And a second wire 131 wound around the second space 131 and having a winding force smaller than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4a, A second winding hole 130 to which a second linker 132 having an annular shape opened upwardly is connected to a distal end of the second wire 131 located along the second winding wire 112; A pair of curved plates which are curv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115a and are pushed upward can b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linker 132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plates, A pushing protrusion 143 for pushing down the first linker 122 support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115b and guiding the first linker 122 between the plates, The first linker 142 engaging with the latching shaft 142 when the latching shaft 142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horizontal path 112 and the latching shaft 142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122a of the first linker 122, (140) having a presser bar (145) for pushing up the presser foot (122) and pressing it into the engaging protrusion (115b); A second support 150,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140; A third support 160 which is rotatably fix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50 and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ulator 20;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are rotated in the moving direction by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on the inner wall of the horizontal path 112 and the upward direction 113, A plurality of poly (116a, 116b) having wheels to support the inner walls against direct contact; And one end thereof is movably inserted in the seating space 117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third support frame 160.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117 is shaped to flare toward the inside of the seating space 117, And a fixing rod 170 which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of the deceleration belt 119 so as to be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of the deceleration belt 119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rawn out by the wheel rotating, The connecting base 220 is vertically fix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fixing base 210 so that the fixing base 210 for fixing the main body 1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 so as to replace the main body P in an assembling manner A column insertion groove 222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linkage 220 and a replacement guide protrusion 240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ase 210 symmetrically with the linkage 220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replacement induction projection 240 When the utility pole (P) to replace the temporary support (X) is a (假) is fixed; The main body P includes a fixed strut 310 fixed to the ground, an intermediate strut 32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strut 310, Possibly movable struts 330; The fixed strut 310 is formed with a groove fixing groove 312 at its upper end, a lower end fixed to the ground, and a pair of fixed strut coupling rings 314 protruding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 intermediate strut 320 is composed of a solid body in which a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strut end portion 322 is partially filled with the middle strut receiving portion 322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strut 320 is inserted into the strut fixing groove 312, And a pair of middle strut coupling rings 324 protrude from opposite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iddle strut 320. The middle strut coupling ring 324 is fixed to the fixed The intermediate strut 320 and the fixed strut 310 are positioned so as to b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strut coupling ring 314 so that when the intermediate strut fitting portion 322 is inserted into the strut fixing groove 312, TB); A pinion gear PG is rotatably fixed to the intermediate shaft 320 and a handle H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of the pinion gear PG. 320 of the intermediate strut 320. The shaft is vertically penetrated through the intermediate strut 320. The handle HD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length thereof can be folded, And the movable strut 330 is fitted in the middle strut 320. The movable strut 330 is fixed to the pinion gear PG at opposite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inion gear PG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strut 330 is formed with an axial cutout portion 332 and the lower end of the cutout portion 332 is opened When the movable strut 330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strut 320, (LG)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strut (33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ngage with the pinion gear (PG).

발명에 따르면, 수축된 상태의 전선을 지지하는 제1권취구와 팽창된 상태의 전선을 지지하는 제2권취구의 권취력을 달리하여 전선을 지지함으로서, 수축이 큰 상태에서는 전선의 지지를 느슨하게 하고, 팽창이 큰 상태에서는 늘어진 전선을 능동적으로 감아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신주에 고정된 전선의 외관미를 유지하면서도 그 수명을 가능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the electric wire by varying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up member for supporting the electric wire in the contracted state and the second wind-up member for supporting the electric wire in the expanded state, the support of the electric wire is loosened, In the state where the expansion is large, the elongated wires can be actively wound to maintain a constant tens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serve the life of the wire while mai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wire fixed to the electric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신주를 조립식으로 부분 교체 가능하면서 조립하기 쉽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상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pole can be partially assembled and assembled so as to be easy to assemble, so tha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에 애자가 고정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의 제1,2,3지지대 간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애자의 이동에 따른 전신주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동작모습의 다음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진주의 조립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insulator is fixed and operated on a telephon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of a telephon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telephone main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sulator,
Fig. 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circular portion of Fig. 3,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ext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state shown in Fig. 3,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circular portion of FIG. 5,
FIG. 7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forward-oriented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714999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714999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bove-described prior-art patent No. 0714999 as it is. Therefore, the features of the devic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are all described in Patent Registration No. 0714999.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일단이 전선(10)과 연결된 애자(20)의 타단과 고정되어서, 완철 또는 전신주의 몸체에 직접 체결/고정되는 연결기구(1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구(100)와 애자(20)는 제1,2,3지지대(140, 150, 160)를 매개로 고정된다.1 and 2, a telephone p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an insulator 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10, and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mechanism 100 The connecting mechanism 100 and the insulator 20 are fixed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구(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과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는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를 구비한 하우징(110)과, 제1,2권취구(120, 130)와,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와 제1,2와이어(121, 131)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는 제1,2.3지지대(140, 150, 160)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 receiving space 111 and a horizontal path 112 and an upward path 11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11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40, 150 and 1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121 and 131, ).

상기 하우징(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신주에 고정된 완철 또는 전신주 몸체에 직접 고정되며, 내측에는 수용공간(111)과,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수평하게 연통하는 수평로(112)와, 일단이 상기 수평로(112)의 일지점과 연통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는 상향로(113)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10 is directly fixed to a wire or a main body fixed to a telephone pole. The housing 110 has a receiving space 111, a horizontal path 112 communicating horizontally from the receiving space 111, One end of which is inclined upwardly in communication with one point of the horizontal path 112 and the other end is upwardly communicated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111.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서로 연통하고, 상기 수평로(112)의 말단은 하우징(110)의 바깥으로 개구된다.1, the accommodation space 111 communicates with the horizontal passage 112 and the upward passage 113 in a trapezoidal manner,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passage 112 communicates with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10 And is opened to the outside.

상기 수용공간(111)은 제1권취구(120)와 제2권취구(13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제1권취구(120)는 상향로(113)의 타단이 위치하는 수용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권취구(130)는 수평로(112)와 수용공간(111)이 연통하는 하부에 위치한다.The accommodating space 111 is a space for disposing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The first winding unit 120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ther end of the upward direction 113, And the second winding hole 130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space 112 and the receiving space 1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제1,2권취구(120, 130)는 일방향 회전에 대한 탄발력을 갖는 기구로, 태엽과 같이 회전력에 대한 탄성을 갖는 탄발부재(미도시함)가 회전축(미도시함)과 연결되어서, 상기 회전축이 탄발부재의 탄발방향에 역행하여 회전하면 탄발부재가 이에 탄발한다.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의 구조는 널리 알려졌으며, 일상에서도 이를 응용한 도구가 많으므로, 제1,2권취구(120, 1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winding holes 120 and 130 are mechanisms having an elastic force for unidirectional rotation, and a spring member (not shown) having elasticity against rotational force is connected to a rotary shaft (not shown) When the rotary shaf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elastically resists the elastic force.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is widely known and many tools ar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will be omitted do.

상기 제1권취구(120)와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은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에 각각 내장된 탄발부재의 탄발력이 차이를 갖는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제1,2권취구(120, 130)의 권취력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The windings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are different.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incorpo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is different.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same condition must be met.

우선, 제1권취구(120)는 전선(10)이 높은 온도에서 충분히 팽창할 경우 전선(10)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잡아당기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권취력을 가져야 한다. 반면, 제2권취구(130)는 전선(10)이 낮은 온도에서 수축할 경우 무리하게 전선(10)을 당기지 않아 전선(10)에 여유를 주기 위한 것으로, 비교적 작은 권취력을 가져야 한다. 즉,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은 전선(10)을 말아 감아야 하고, 제2권취구(130)는 전선(10)이 팽팽해지면서 긴장하는 것을 풀어주어야 하므로, 상기 제1,2권취구(120, 130)는 서로 다른 탄발정도를 갖는 탄발부재가 적용되어야 한다.First, the first winding unit 120 is for pulling out the wire 10 to prevent elongation of the wire 10 when the wire 10 is sufficiently expanded at a high temperature, and must have a relatively large winding forc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has a relatively small winding force for providing a margin to the electric wire 10 because the electric wire 10 does not pull the electric wire 10 unreasonably when the electric wire 10 shrinks at a low temperature. That is,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must be wound around the electric wire 10, and the second winding unit 130 should be prevented from being tense due to the tension of the electric wire 10, , And the two-spoke bristles (120, 130) should be applied with the elastic member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elasticity.

상술한 제1,2권취구(120, 130)는 각각 제1,2와이어(121, 131)가 감겨 고정되고, 상기 제1,2와이어(121, 131)의 말단에는 제1링커(122)와 제2링커(132)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2권취구(120, 130)의 권취력은 제1,2와이어(121, 131)를 통해 상기 제1,2링커(122, 132)에 전달되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wires 121 and 131 are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121 and 131 and the first linker 122 i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121 and 131, And the second linker 1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winding units 120 and 13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nkers 122 and 132 via the first and second wires 121 and 131.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와이어(121)는 수용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한 제1권취구(120)로부터 인출되어 상향로(113)를 따라 수평로(112)로 인입되고, 상기 제2와이어(131)는 수용공간(111)의 하부에 위치한 제2권취구(130)로부터 인출되어 수평로(112)로 직접 인입된다. 또한, 상기 제1,2와이어(121, 131)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를 따라 배선되므로, 방향전환에 의한 제1,2와이어(121, 131)와 내벽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폴리(116a, 116b)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e 121 is drawn out from the first winding unit 12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1 and is dra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12 along the upward direction 113, (131)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winding hole (130)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1) and directly drawn into the horizontal path (112). The first and second wires 121 and 131 are wired along a horizontal path 112 and an upward path 113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ires 121 and 131, 116a, 116b may be further included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two.

계속해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말단이 개구된 상기 수평로(112)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링커(122) 또는 제2링커(132)와 연결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rods 140, 150, and 160 are pivo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rods 122,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er 132.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지지대(140, 140')는 양단에 각각 제1,2홈(140a, 140b)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한쌍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짝을 이루는 제1지지대(140, 140')의 일단에 형성된 제1홈(140a)으로 고정축(141)이 연결되면서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지지대(140, 140')는 안쪽에 상기 고정축(141)의 길이만큼의 폭을 갖는 공간을 갖게 된다.In more detail, the first supports 140 and 140 'ar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first and second grooves 140a and 140b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supports 140 and 140' The fixing shafts 141 are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s 140a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rods 140 and 140 'and fix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first support rods 140 and 140 'have a space having a width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fixed shaft 141 on the inner side.

한편, 상기 공간으로 걸림축(142)과 가압돌부(143)가 배치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ing shaft 142 and the pressing protrusion 143 are fixed to the space.

상기 걸림축(142)은 제1지지대(140, 140')에 형성된 제3홈(140c)과 맞물려 배치 고정되고, 상기 가압돌부(143)는 제1지지대(140, 140')에 형성된 맞물림홈(144)과 맞물려 배치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3홈(140c)은 제1지지대(140, 14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맞물림홈(144)은 상기 제3홈(140c)에 인접하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engaging shaft 142 is fixedly engaged with a third groove 140c formed in the first support rods 140 and 140 'and the pressing protrusion 143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42 formed in the first support rods 140 and 140' (144). Here, the third groove 140c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140, 140 'and the engagement groove 144 is adjacent to the third groove 140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2지지대(150)는 상기 제1지지대(140, 140')의 타단에 형성된 제2홈(140b)에 대응하는 회동홈(153)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홈(140b) 및 회동홈(153)을 각각 동축으로 연결하는 제1힌지(151)를 매개로 상기 제1지지대(140, 14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The second support base 150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rotation groove 15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 140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se 140 and 140 ' And the first support rods 140 and 140 'through a first hinge 151 that coaxially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53 and 153.

상기 제3지지대(160)는 애자(20)와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힌지(152)를 매개로 상기 제2지지대(15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The third support 160 is fixed at one end to the insulator 2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50 via a second hinge 152.

결국,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제2지지대(150)를 중심으로 모두 회동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are rotatably fixed around the second support 150.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구(100)를 그 동작에 따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한다.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its operation.

미 설명한 인출번호 "154"는 "절개면"으로, 상기 제2지지대(150)의 외면이 일정범위만큼 함몰된 것이며,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에서 회동할 때 내벽과의 접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The outward drawing number "154" that is not described is a "incision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150 is recessed by a certain range. When the horizontal support 112 and the upward support 113 are rotated, To reduce contact.

미 설명한 인출번호 "145"는 "누름대"로, 상기 제1링커(122)를 누르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The unloading number "145" that has not been described is pressed by the first linker 122,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은 애자의 이동에 따른 전신주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o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sulator,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circle of FIG.

앞서 참조한 도 1(a)와 도 1(b)는 각각 상기 연결기구(100)로부터 애자(20)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와 조금은 가까워져 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즉, 한겨울 온도가 낮은 날 전선(10)이 수축되면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160)를 잡아당기고, 이로 인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수평로(112)로부터 인출된다.1 (a) and 1 (b) referred to above are views when the insulator 20 is farthest away from the connecting mechanism 100 and slightly close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when the wire cable 10 having a low wintering temperature is contract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are pulled ou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112).

이렇게 인출된 제1지지대(140)는 상기 고정축(141)에 상기 제2링커(132)가 맞물리면서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에 영향을 받게 된다.The first support rod 140 thus drawn is affected by the winding force of the second winding hole 130 while the second linker 132 is engaged with the fixed shaft 141.

이후, 온도가 오르면서 전선(10)의 수축이 완화되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전선(10)으로부터 받는 장력의 비중이 줄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2권취구(130)가 가하는 장력의 비중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대(140)는 상기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으로 수평로(112)를 따라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물론, 상기 제1지지대(140)와 연결된 제2,3지지대(150, 160), 애자(20) 및 전선(10) 모두가 이동하게 될 것이다.When the contraction of the electric wire 10 is relaxed as the temperature rise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received by the electric wire 10 decreases, 130 increases.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140 moves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horizontal path 112 by the winding force of the second winding unit 130. Of course, both the second and third supports 150, 160, the insulator 20 and the electric wire 10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140 will move.

여기서, 상기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은 제1,2,3지지대(140, 150, 160), 애자(20) 및 전선(10)을 능동적으로 잡아당겨 감는 정도의 크기는 아니고, 수축된 전선(10)이 이완되면서 늘어난 길이를 감는 정도의 크기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선(10)이 받게 되는 수축에 의한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Here, the winding force of the second winding unit 130 is not large enough to actively pull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the insulator 20, and the wire 10, The shrunk wire 10 is only about the size of winding the elongated length while loosen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strain due to shrinkage that the electric wire 10 receives.

계속해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전선(10)의 수축에 의한 긴장이 사라지고 팽창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지지대(140)의 가압돌부(143)가 제1링커(122)와 맞닿는다.3 (a) and Fig. 3 (b), when the tension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electric wire 10 disappears due to the continuous rise of the temperature and is converted to the expansion, The protruding portion 143 abuts against the first linker 122.

상기 제1링커(122)는 수평로(112)와 상향로(113)가 만나는 지점에 돌출된 걸림형 돌부(115b)와 맞물려 지지된다. 즉,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을 받는 제1링커(122)가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에 저항하여 상기 걸림형 돌부(115b)의 일지점에 고정 배치되는 것이다.The first linker 122 is engaged with the protruding hook portion 115b at a point where the horizontal link 112 and the upward link 113 meet. That is, the first linker 122 receiving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is fixedly disposed at one point of the engaging protrusion 115b against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

상기 가압돌부(143)와 맞닿는 제1링커(122)의 전면은 상기 가압돌부(14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도 4(a) 참조) 이렇게 미끄러지는 제1링커(122)는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122a)과 상기 걸림축(142)이 맞물린다.(도 4(b) 참조)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linker 122 abutting against the pressing protrusion 143 slides along the pressing protrusion 143 and moves downward (see FIG. 4 (a)). The engaging groove 122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shaft 142 (see Fig. 4 (b)).

한편, 상기 고정축(141)과 맞물린 제2링커(132)는 수평로(11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의 교점에 위치한 스토퍼(114)와 맞닿는다. 상기 스토퍼(114)는 제2링커(13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지지대(140)의 일단과 만나는 안내형 돌부(115a)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대(140)의 일단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형 돌부(115a)는 제1지지대(140)의 유선형 일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다. 결국, 상기 안내형 돌부(115a)와 맞닿은 제1지지대(140)의 일단은 상기 안내형 돌부(115a)를 타고 오르면서 상기 상향로(113)를 향하게 된다.The second linker 132 engaged with the fixed shaft 141 moves along the horizontal path 112 and contacts the stopper 114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nd the horizontal path 112. The stopper 114 has a guide protrusion 115a that stops the second linker 132 and meets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140. Here,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140 is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and the guide protrusion 115a protrude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reamline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140. As a resul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1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rotrusion 115a, rises along the guide protrusion 115a and faces the upward direction 113.

한편, 상기 스토퍼(114)는 제2링커(132)와 맞닿아 그 이동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걸림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는 상기 스토퍼(114)에 의해 분리된다. 하지만, 상기 제2링커(132)와 제2권취구(130)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131)가 관통해야 하므로, 상기 스토퍼(114)는 관통구멍(114a)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since the stopper 11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nker 132 and stops its movement, the stopper 114 is protruded so as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latching jaw. Therefore, the receiving space 111 and the horizontal path 112 are separated by the stopper 114. [ However, since the second wire 131 connecting the second linker 132 and the second winding hole 130 must penetrate, the stopper 114 must have a through hole 114a.

여기서, 상기 제2링커(132)는 상방이 개구된 고리형상으로 되어서, 상방을 향하는 고정축(141)이 간섭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second linker 13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n open top, so that the fixing shaft 141 facing upward can be separated without interference.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동작모습의 다음 동작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원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circle of FIG.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1지지대(140)는 상향로(11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구동력은 상기 제1권취구(120)로, 권취력이 상기 제2권취구(130)의 권취력보다 커 능동적으로 제1와이어(121)를 되감고, 상기 제1와이어(121)의 말단에 연결된 제1링커(122)는 걸림축(142)을 잡고 당긴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대(14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로(11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support 140 moves along the upward direction 113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t this time, the driving force acts on the first winding unit 120 so that the winding force is greater than the winding force of the second winding unit 130 so as to actively rewind the first wire 121, The first linker (122) connected to the distal end holds the holding shaft (142).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140 moves upward along the upward direction 113 as shown in FIG. 5 (a).

상기 제1권취구(120)는 지속적으로 제1와이어(121)를 되감고,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 5(b)와 같이 된다. 즉, 상기 제2지지대(150) 또한 상기 상향로(113)로 진입하는 것이다.The first winding unit 120 continuously rewinds the first wire 121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move along the horizontal line 112 and the upward line 113 5 (b) while moving. That is, the second support platform 150 also enters the upward direction 113.

이때, 상기 제1지지대(140)와 제2지지대(15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그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upport 140 and the second support 15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y are not interfered with the movement.

한편, 안쪽에 일정한 폭을 갖는 상기 제1지지대(140)와는 달리 제2지지대(150)는 상기 제1지지대(140) 안쪽에 위치하는 하나의 몸체이므로, 상기 제1지지대(140) 사이에 위치하는 제2링커(132)와 맞닿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링커(132)는 상기 제2지지대(15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말단이 회동편(132a)으로 분리되고, 힌지축(132b)을 매개로 고정된다. 즉, 상기 제2지지대(150)와 제2링커(132)가 맞닿으면, 상기 회동편(132a)이 제2링커(132)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동하면서 접히는 것이다. 결국,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150)는 별다른 간섭없이 상향로(1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second support 150 is a single body located inside the first support 140, unlike the first support 140 having a constant width inward, the second support 15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s 140 As shown in FIG. The second linker 13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linker 132 by the rotation piece 132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150 and is fixed via the hinge shaft 132b. That is, when the second support 150 and the second linker 13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ivoting piece 132a is folded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linker 132.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b), the second support platform 150 can move along the upward direction 113 without any interference.

이때, 상기 제2링커(132)는 접힐 수는 있지만, 도 6(a)와 같이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축(141)과 맞물려 제1,2,3지지대(140, 150, 160)를 지지해야 하므로, 도 6(b)와 같이 접힐 수는 있지만 펼쳐지지는 않는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편(132a)에는 돌부(132c)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132a)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커(132)의 일지점에는 상기 돌부(132c)가 맞물리는 홈부(132d)가 형성되어서, 상기 회동편(132a)은 접힐 수는 있지만 펼쳐지지는 않게 된다.At this time, although the second linker 132 can be folded, the second linker 132 is engaged with the fixed shaft 141 to support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in the extended state as shown in FIG. , It can be folded as shown in Fig. 6 (b), but is not unfolded. A protrusion 132c is formed in the pivoting piece 132a and a groove 132d in which the protrusion 132c is engaged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second linker 132 tha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pivoting piece 132a So that the pivoting piece 132a can be folded but not unfolded.

따라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는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안쪽으로 내입되어 늘어난 전선(10)의 길이만큼을 잡아 지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along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to hold the extended length of the wire 10 .

물론, 전선(10)이 다시 팽팽해지면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은 전선(10)의 수축력보다 작으므로, 제1와이어(121)가 풀리면서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하우징(111)으로부터 인출되고, 특히 상기 제1지지대(140)는 상향로(113)로부터 벗어나 수평로(112)로 진입하면서 상기 고정축(141)이 제2링커(132)와 맞물리고, 상기 제1링커(122)는 제1지지대(140)를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형 돌부(115b)를 경유한 후 상기 누름대(145)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걸림형 돌부(115b)로 밀려들어가 배치된다. 물론, 제1링커(122)는 걸림축(142)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상기 제1지지대(140)와 분리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와이어(121)의 길이는 상기 제1링커(122)가 걸림형 돌부(115b)를 갓 지난 위치만큼까지 이어지는 길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wire 10 is re-tensioned,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is smaller than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wire 10, so that the first wire 121 is loosened, The first support 140 is moved out of the upward direction 113 and enters the horizontal direction 112 so that the fixed shaft 141 is rotated by the second linker 132 And the first linker 122 is moved along the first support 140 to pass through the engagement protrusion 115b and then pressed by the presser bar 145 to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115b And is pushed into place. Of course, the first linker 122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support 140 while being disengaged from the engagement shaft 142.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121 is limited to the length that the first linker 122 extends to a position just beyond the latching protrusion 115b.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의 내벽에 활차(180)를 더 배치한다. 상기 활차(180)는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외면과 맞닿는 바퀴가 상기 내벽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이동시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외벽이 상기 내벽과 직접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In the meantime, the pu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ulley 180 on the inner wall of the horizontal path 112 and the upward path 113. The pulley 180 is rotatably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pulley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rods 140, 150 and 160, The outer wall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do not directly contact the inner wall.

상기 활차(180)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연결기구(100) 내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그 이동시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와 맞닿게 되는 모든 위치에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의 원활한 이동을 기대할 수 있다.The pulley 18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of the connecting mechanism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ath 112 and the upward path 113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can be smoothly moved.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막대(170)를 상세히 설명한다.1, 3 and 5, the fixing rod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는 고정막대(17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막대(170)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안착공간(117)에 내장되며, 상기 수평로(112)의 개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된다.The tele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ar 170. The fixing bar 170 is embedded in the seating space 117 formed in the housing 110 and is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ath 112.

상기 고정막대(170)의 일단은 상기 안착공간(117)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지지대(16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3지지대(160)는 상방으로 도출된 고정부(16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막대(170)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161)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fixing rod 170 is movably arranged and fixed in the seating space 117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 160. At this time, the third support part 160 has a fixing part 161 protruded up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17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61.

따라서,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겨울철 전선(10)의 냉각으로 상기 수평로(1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고정막대(170)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161)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막대(170)의 타단은 상기 안착공간(117)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막대(170)의 일단은 안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된다. 한편,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에는 감속대(119)가 배치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rods 140, 150 and 160 are drawn out through the horizontal passage 112 by cooling the winter wire 10, The other end of the fixing rod 170 is pulled out from the seating space 117 while moving along the portion 161. [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xed bar 170 becomes a shape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oward the inner side. On the other hand, a decelerator 119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seating space 117.

상기 감속대(119)는 편중된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항시 도 5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으로 지지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속대(119)는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편중된 회전중심을 갖는 원형의 바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속대(119)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면서 고정막대(170)의 외면과 맞닿을 시에 고정막대(170)의 이동을 따라 함께 회전하고,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막대(170)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외부에 돌출되면 상기 감속대(119)의 바퀴 외주면과 상기 고정막대(170)의 외경이 커지는 외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고정막대(170)의 지속적인 인출을 점진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감속대(119)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바퀴의 외주면과 고정막대의 외면이 서로 밀착되고, 상기 고정막대(170)가 인출될수록 그 밀착력이 커지면서, 상기 고정막대(170)의 인출이 저지되는 것이다.The deceleration belt 119 rotates about a biased center of rotation and is always supported by a torsion spring so as to maintain the position of FIG. To be more specific, the deceleration belt 119 is disposed at the opening of the seating space 117 and includes a circular wheel having a biased center of rotation. At this time, the deceleration belt 119 rotat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fixed bar 170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bar 170 with elasticity and frictional force, and as shown in FIGS. 1 and 3 When the fixed bar 170 protrudes to a certain extent or mo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of the decelerator 119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bar 170, which are larger in outer diameter,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which is farthest away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eceleration belt 119,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ro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s the fixed rod 170 is drawn out, .

결국, 상기 고정막대(17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감속대(119)의 고정력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구(100)로부터 멀어지는 애자(20)와 연결기구(1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제1,2,3지지대(140,150, 160)가 과도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2,3지지대(140, 150, 160)가 하중에 의해 기울어져 내리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ixing rod 17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mechanism 100 and the insulator 20 due to the fixing force of the decelerating belt 119, which depends on the distance drawn from the housing 110,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ar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drawn out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

한편, 상기 고정막대(170)는 하나의 바(bar)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bar 170 may be a ba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xing bar 170 may be an antenna type as shown in FIGS. 1, 3, and 5.

도면으로 보인 본 발명에 따른 고정막대(170)의 실시예를 보이면, 상기 고정막대(170)는 제1막대(171), 제2막대(172), 제3막대(173) 및 제4막대(17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막대(171), 제2막대(172) 및 제3막대(173)의 내측에는 각각 수용홈(171a, 172a, 173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수용홈(171a, 172a, 173a)에는 이웃하는 막대가 삽입된다.The fixed bar 170 includes a first rod 171, a second rod 172, a third rod 173, and a fourth rod 172. The first rod 171, the second rod 172, the third rod 173, 174a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rod 171, the second rod 172 and the third rod 173, respectively. Needless to say, neighbor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171a, 172a, and 173a.

또한, 삽입된 이웃하는 막대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상기 수용홈(171a, 172a, 173a)의 일단과 막대 외면의 타단에는 서로 맞물려서 이어진 제1,2,3,4막대(171, 172, 173, 174)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a, b, c, d)이 형성된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ods 171, 172, 173, 174, 173, 173, 174, 174, (A, b, c, d) are formed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guide plates 22, 24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한편, 상기 고정막대(170)가 상기 안착공간(117)으로부터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간(117)에는 가이드바(118)가 형성되고, 상기 제1,2,3홈(171, 172, 173)은 상기 가이드바(118)가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 인입홈(e, f, g)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bar 118 is formed in the seating space 117 so that the fixing bar 170 can be fixed from the seating space 117 without shak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oves 171 and 172 And 173 may be formed with lead grooves e, f, and g through which the guide bar 118 is movably passed.

이는 상기 고정막대(170)가 안테나방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일반적인 구조를 실시예로 제시한 것이며, 이에 한정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This is a typical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rod 170 can be stretched or contracted by an antenna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구(100)를 고정하는 고정베이스(210)를 전신주(P)로부터 분리 구성하여 전신주(P)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7, the fixing base 210 for fixing the connection mechanism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main body P, as shown in FIG.

즉, 상기 전신주(P)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지주 기능을 담당하는 전신주(200)의 일부만을 교체 사용토록 함으로써 노후화를 대체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for the obsolescence by making only the part of the telephone main body 200,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holding function, by replacing the telephone main body P in a prefabricated manner.

이를 위해, 상기 전신주(P)는 통상적인 콘크리트 양생 구조물이 아닌 사각통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로 분절하여 조립 구성함으로서 이동, 운송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설치상 편의성을 증진시키도록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pole (P) is formed of a rectangular tubular frame rather than a conventional concrete curing structure, and it is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ssur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transporta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특히, 상기 고정베이스(210)는 교체주기를 길게 가져가야 하므로 장수명화를 위해 내식성 재료로 코팅하고,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는데, 내식성 재료가 코팅된 마그네슘 포함 알루미늄 합금이 특히 바람직하다.Particularly, since the fixing base 210 needs to have a long replacement period, it can be coated with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for longevity and can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An aluminum alloy including magnesium coated with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is particularly preferable.

아울러,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하부 중심에는 수직하게 연결대(220)가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connecting rod 220 is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fixed base 210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연결대(220)는 내부에 기둥삽입홈(222)이 형성된 사각프레임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다.The connecting rod 220 is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column insertion groove 222 therein,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베이스(210)와 연결대(220) 사이에는 사선 형태의 보강대(230) 한 쌍이 더 고정될 수 있다.A pair of oblique ribs 230 may be further fixed between the fixing base 210 and the connecting rod 220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xing base 210.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대(22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교체유도돌기(240)가 돌출된다.In addition, a replacement induction protrusion 240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base 210 in a symmetrical manner with the connecting rod 22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교체유도돌기(240)는 상기 전신주(P) 교체시 전신주(P)를 끼우고 빼기 쉽도록 임시지지대(X)를 가(假)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replacement induction protrusion 240 is a means for temporarily fixing the temporary support X so that the electric pole P can be inserted and removed when the electric pole P is replaced.

즉, 상기 임시지지대(X)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단을 상기 교체유도돌기(240)에 끼워 지면에 세우게 되면 상기 고정베이스(210)를 양쪽에서 임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이 가설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배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전신주(P)만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That is, if the temporary support X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and the upper end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placement induction protrusion 240, the temporary base 210 can be temporarily supported from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telephone pole (P) without cutting the power distribution line.

이 경우, 상기 임시지지대(X)도 조립식을 구성하면 좋은데, 임시지지대(X)의 조립구조는 분절된 다수의 폴대를 서로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orary support X is also a prefabricated structure. I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temporary support X, it is the easiest way to construct a plurality of segmented poles by screwing them together.

한편, 상기 전신주(P)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310)와, 상기 고정지주(310)의 상단에 조립 고정되는 중간지주(320)와, 상기 중간지주(32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가동지주(330)로 구성된다.The telescope P includes a fixed strut 310 fixed to the ground, an intermediate strut 320 assembl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strut 310, And a height adjustable movable post 330.

이때, 상기 고정지주(310)는 상단에 지주고정홈(312)이 요입 형성되고, 하단은 지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로 타설 고정되거나 혹은 고정판(미도시)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형태로 지면상에 세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xed strut 310 is formed by recessing the strut fixing groove 312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fixed by being pushed into the concrete or vertically fixed on the fixed plate (not shown) Respectively.

뿐만 아니라, 상단 외주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의 고정지주결속링(314)이 돌출된다.In addition, a pair of fixed column coupling rings 314 protrude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아울러, 상기 중간지주(320)는 하단이 상기 지주고정홈(312)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하단 일부가 중간지주끼움부(322)를 이루는데, 이를 위해 상기 중간지주끼움부(322) 부분만 내부가 채워진 중실체로 구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된다.The middle strut 320 has a middle strut fitting portion 322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strut 320 can be inserted into the strut fixing groove 312. To this end,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formed as an empty hollow body.

또한, 상기 중간지주(320)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고 한 쌍의 중간지주결속링(324)이 돌출되는데, 상기 중간지주결속링(324)은 상기 고정지주결속링(314)과 상하로 대응되게 위치되어야 한다.A pair of middle strut coupling rings 324 protrude from opposite sides of the lower strut 320 of the middle strut 320 so that the middle strut coupling ring 324 can vertically correspond to the fixed strut coupling ring 314 .

그리고, 상기 중간지주(320)와 상기 고정지주(310)는 상기 중간지주끼움부(322)가 지주고정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턴버클(TB)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고정구조를 이룬다.The intermediate struts 320 and the fixed struts 310 are fixed through the turnbuckles TB in a state where the intermediate strut fitting portions 322 are inserted into the strut fixing grooves 312 to provide a firm fixing structure.

이 경우, 상기 턴버클(TB)은 상단이 상기 중간지주결속링(324)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지주결속링(314)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임방향으로 조여 동시에 당김으로써 견고히 결속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turnbuckle TB is configured so that its upper end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strut coupling ring 324, and its lower end is fixed to the fixed strut coupling ring 314, tightly tighten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

또한, 상기 중간지주(320)의 내부에는 피니언기어(PG)가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기 피니언기어(PG)의 축 일단에는 핸들(HD)이 연결된다.A pinion gear PG is rotatably fixed to the intermediate strut 320 and a handle H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nion gear PG.

이때, 상기 핸들(HD)은 상기 중간지주(32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축은 상기 중간지주(320)를 수직하게 관통한 형태로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handle (HD)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strut 320, and the axis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middle strut 320 vertically.

특히, 상기 핸들(HD)은 길이 일부가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중간지주(320)의 일부에는 상기 핸들(HD)을 접었을 때 핸들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핸들고정공(326)이 더 형성된다.Particularly, the handle (HD) may be partially folded, and a portion of the middle post 32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fixing hole (not shown) in the form of a long hole so that the handle can be fitted and fixed when the handle 326 are further formed.

이에 따라, 상기 핸들(HD)을 충분히 돌려 가동지주(330)를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킨 후에는 상기 핸들(HD)을 접어 고정함으로써 가동지주(33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fter the handle HD is sufficiently rotated to raise the movable post 330 to a desired height, the height of the movable post 330 can be fixed by folding and fixing the handle HD.

그리고, 상기 가동지주(330)는 상기 중간지주(320)에 끼워지며, 내주면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고 상기 피니언기어(PG)에 치결합하는 래크기어(LG)가 형성된다.The movable strut 330 is sandwiched between the intermediate struts 320 and has a radial protrusion LG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trut 3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PG.

때문에, 상기 가동지주(330)의 양측면, 즉 상기 피니언기어(PG)의 축 방향은 절개부(332)가 형성되며, 절개부(332)의 하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both sides of the movable strut 330, that is,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PG, are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332, and the lower end of the cutout portion 332 remains open.

따라서, 상기 가동지주(330)를 상기 중간지주(320)에 끼우게 되면 상기 가동지주(3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LG)는 자동적으로 피니언기어(PG)와 기어결합하게 되므로 상기 핸들(HD)을 돌리게 되면 상기 가동지주(330)를 중간지주(320)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vable strut 330 is inserted into the middle strut 320, the rack gear LG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strut 330 is automatically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PG, The movable strut 330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strut 320 by rotating the movable strut 330. [

특히, 상기 가동지주(330)의 상단 둘레는 모따기 가공하여 상기 기둥삽입홈(222) 속으로 삽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마찬가지로 상기 기둥삽입홈(222)의 내주면 둘레도 모따기 되어야 한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strut 330 is chamfer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lumn insertion groove 222. Likewis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insertion groove 222 should also be chamfered .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임시지지대(X)의 가설하에 전신주(P)를 고정베이스(210)로부터 분리한 다음 새로운 전신주(P)를 조립하여 설치하기가 쉽고 빨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a new electric pole (P) after detaching the electric pole (P) from the fixed base (210) under the provision of the temporary support (X) .

10 ; 전선 20 ; 애자
100 ; 연결기구 110 ; 하우징
111 ; 수용공간 112 ; 수평로
113 ; 상향로 114 ; 스토퍼
115a ; 안내형 돌부 115b ; 걸림형 돌부
116a, 116b ; 폴리 117 ; 안착공간
118 ; 가이드바 119 ; 감속대
120 ; 제1권취구 130 ; 제2권취구
140 ; 제1지지대 150 ; 제2지지대
160 ; 제3지지대 170 ; 고정막대
171 ; 제1막대 172 ; 제2막대
173 ; 제3막대 174 ; 제4막대
180 ; 활차
10; Wire 20; Insulator
100; A connection mechanism 110; housing
111; Accommodation space 112; Horizontally
113; Upward 114; stopper
115a; A guide-shaped protrusion 115b; The hook-
116a, 116b; Poly 117; Seating space
118; Guide bar 119; Deceleration zone
120; Book 1 drinking water 130; Book 2
140; A first support 150; The second support
160; A third support 170; Fixed bar
171; A first bar 172; Second rod
173; A third bar 174; Fourth bar
180; block

Claims (1)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용공간(111)과, 상기 수용공간(111)의 하부와 연통하여 수평하게 형성되고 말단은 외부로 개구되는 수평로(112)와, 일단이 상기 수평로(112)와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부와 연통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로(113)와, 상기 수용공간(111)과 수평로(112) 사이에 돌출형성되고 제2와이어(131)가 수평하게 관통하는 관통구멍(114a)이 형성된 스토퍼(114)와, 상기 스토퍼(114)의 전면에 돌출된 안내형 돌부(115a)와, 상기 상향로(113)와 수평로(112)가 만나는 지점에 돌출된 걸림형 돌부(115b)와, 상기 수평로(112)의 상부에서 동방향으로 개구된 안착공간(117)과,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에 편심된 회전중심을 가지며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회전중심이 탄발지지되고 마찰이 큰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재인 바퀴를 갖는 감속대(119)를 구비하는 하우징(110);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와이어(121)를 감는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상향로(113)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1와이어(121)의 말단에 걸림홈(122a)을 갖는 제1링커(122)가 연결되되, 상기 제1와이어(121)의 길이는 상기 제1링커(122)가 상기 걸림형 돌부(115b)에 걸렸을 때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제한되는 제1권취구(120); 상기 수용공간(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와이어(131)를 감되 상기 제1권취구(120)의 권취력보다 작은 권취력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114a)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로(112)를 따라 위치하는 상기 제2와이어(131)의 말단에 상방으로 개구된 고리형상을 이루는 제2링커(132)가 연결되는 제2권취구(130); 일단이 상기 안내형 돌부(115a)와 맞물려 상방으로 밀릴 수 있는 곡면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판이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링커(132)가 상기 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링커(132)와 맞물리는 고정축(141)과, 상기 걸림형 돌부(115b)에 지지된 제1링커(122)를 밀어내려 상기 판 사이로 안내하는 가압돌부(143)와, 상기 판 사이로 밀린 상기 제1링커(122)의 걸림홈(122a)과 맞물리는 걸림축(142)과, 상기 수평로(112)를 따라 상기 하우징(110) 밖으로 인출되는 이동시 상기 걸림축(142)과 맞물린 상기 제1링커(122)를 밀어올려 상기 걸림형 돌부(115b) 안으로 누르는 누름대(145)를 구비한 제1지지대(140);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4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대(150); 일단이 상기 제2지지대(15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애자(20)와 연결되는 제3지지대(160); 상기 수평로(112) 및 상향로(113)의 내벽에 상기 제1,2,3지지대(140,150,160)의 외면과 맞닿아 그 이동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2,3지지대(140,150,160)가 상기 내벽과 직접 맞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바퀴를 갖는 다수의 폴리(116a,116b); 및 일단은 상기 안착공간(117)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3지지대(160)와 고정되며, 외면은 상기 안착공간(117)의 안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안착공간(117)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될수록 상기 감속대(119)의 바퀴 외주면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바퀴에 의해 인출이 저지되는 고정막대(170);를 구비한 연결기구(100)를 포함하는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100)를 고정하는 고정베이스(210)를 전신주(P)로부터 분리 구성하여 전신주(P)를 조립 방식으로 교체구성하도록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하부 중심에는 연결대(220)가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연결대(220)의 하단 내부에는 기둥삽입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베이스(210)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대(22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교체유도돌기(240)가 돌출되고, 상기 교체유도돌기(240)에는 상기 전신주(P) 교체시 임시지지대(X)가 가(假) 고정되며;
상기 전신주(P)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310)와, 상기 고정지주(310)의 상단에 조립 고정되는 중간지주(320)와, 상기 중간지주(32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가동지주(3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지주(310)는 상단에 지주고정홈(312)이 요입 형성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의 고정지주결속링(314)이 돌출되고; 상기 중간지주(320)는 하단이 상기 지주고정홈(312)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하단 일부가 중간지주끼움부(322)를 이루고, 상기 중간지주끼움부(322) 부분만 내부가 채워진 중실체로 구성되며, 나머지 부분은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주(320)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고 한 쌍의 중간지주결속링(324)이 돌출되는데, 상기 중간지주결속링(324)은 상기 고정지주결속링(314)과 상하로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중간지주(320)와 상기 고정지주(310)는 상기 중간지주끼움부(322)가 지주고정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턴버클(TB)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중간지주(320)의 내부에는 피니언기어(PG)가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기 피니언기어(PG)의 축 일단에는 핸들(HD)이 연결되며, 상기 핸들(HD)은 상기 중간지주(320)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축은 상기 중간지주(320)를 수직하게 관통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핸들(HD)은 길이 일부가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접었을 때 상기 중간지주(320)의 일부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핸들고정공(326)에 끼워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가동지주(330)는 상기 중간지주(320)에 끼워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PG)에 치결합하는 래크기어(LG)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지주(330)의 양측면인 상기 피니언기어(PG)의 축 방향은 절개부(332)가 형성되며, 절개부(332)의 하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동지주(330)를 상기 중간지주(320)에 끼우게 되면 상기 가동지주(3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LG)는 자동적으로 피니언기어(PG)와 기어결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베이스(210)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베이스(210)와 연결대(220) 사이에는 사선 형태의 보강대(230) 한쌍이 더 고정되고,
상기 가동지주(330)의 상단 외주면 둘레와 상기 기둥삽입홈(222)의 내주면 둘레는 모따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A horizontal passage 112 formed horizontally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nd having an end opened to the outside and a horizontal passage 112 having one end communicated with the horizontal passage 112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upward between the accommodating space 111 and the horizontal path 112 while being communicat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1 and is inclined upwardly and the second wire 131 horizontally penetrates A stopper 114 having a through hole 114a formed therein and a guide protruding portion 115a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114. The protruding protrusion 115a protrudes from a point where the upward path 113 and the horizontal path 112 meet A seating space 117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assage 112 and a rotation center eccentric to the opening of the seating space 117, And a deceleration belt 119 having a wheel, which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large elasticity and large friction, A housing (110); A holding groove 122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wire 121 located along the upward direction 113 and having a winding force for winding the first wire 121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121 is limit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linker 122 when the first linker 122 is caught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115b, A winding unit 120; And a second wire 131 wound around the second space 131 and having a winding force smaller than the winding force of the first winding unit 120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4a, A second winding hole 130 to which a second linker 132 having an annular shape opened upwardly is connected to a distal end of the second wire 131 located along the second winding wire 112; A pair of curved plates which are curv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115a and are pushed upward can b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linker 132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plates, A pushing protrusion 143 for pushing down the first linker 122 support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115b and guiding the first linker 122 between the plates, The first linker 142 engaging with the latching shaft 142 when the latching shaft 142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horizontal path 112 and the latching shaft 142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122a of the first linker 122, (140) having a presser bar (145) for pushing up the presser foot (122) and pressing it into the engaging protrusion (115b); A second support 150,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140; A third support 160 which is rotatably fix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50 and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ulator 20;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are rotated in the moving direction by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s 140, 150 and 160 on the inner wall of the horizontal path 112 and the upward direction 113, A plurality of poly (116a, 116b) having wheels to support the inner walls against direct contact; And one end thereof is movably inserted in the seating space 117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third support frame 160.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117 is shaped to flare toward the inside of the seating space 117, And a fixing rod (170) for being pulled out by the wheel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of the decelerator (119) as it is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of the decelerator (117) In the telegraph pole,
The fixing base 210 for fixing the connecting mechanism 1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 so as to replace the main body P in an assembling manner so that the connecting base 220 is vertically And a column insertion groove 222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220.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ase 210 is provided with a replacement induction protrusion 240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rod 220, And the temporary support X is temporarily fixed to the replacement inducing protrusion 240 when the electric pole P is replaced;
The main body P includes a fixed strut 310 fixed to the ground, an intermediate strut 32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strut 310, Possibly movable struts 330; The fixed strut 310 is formed with a groove fixing groove 312 at its upper end, a lower end fixed to the ground, and a pair of fixed strut coupling rings 314 protruding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 intermediate strut 320 is composed of a solid body in which a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strut end portion 322 is partially filled with the middle strut receiving portion 322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strut 320 is inserted into the strut fixing groove 312, And a pair of middle strut coupling rings 324 protrude from opposite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iddle strut 320. The middle strut coupling ring 324 is fixed to the fixed The intermediate strut 320 and the fixed strut 310 are positioned so as to b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strut coupling ring 314 so that when the intermediate strut fitting portion 322 is inserted into the strut fixing groove 312, TB); A pinion gear PG is rotatably fixed to the intermediate shaft 320 and a handle H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of the pinion gear PG. 320 of the intermediate strut 320. The shaft is vertically penetrated through the intermediate strut 320. The handle HD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length thereof can be folded, The movable strut 330 is fitted to the intermediate strut 3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strut 330 is fixed to the pinion gear PG at a tooth size And the pinion gear PG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strut 330 is formed with an axial cutout portion 332 and the lower end of the cutout portion 332 is kept open And the movable strut 330 is inserted into the middle strut 320, The radial dimension LG formed on the face is automatically configured to be gear-engaged with the pinion gear PG,
The fixed base 210 is made of an aluminum alloy containing magnesium,
A pair of oblique ribs 230 are further fixed between the fixing base 210 and the connecting rod 220,
Wherein a periphery of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strut (330)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insertion groove (222) are chamfered.
KR1020150052429A 2015-04-14 2015-04-14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KR101580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429A KR101580277B1 (en) 2015-04-14 2015-04-14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429A KR101580277B1 (en) 2015-04-14 2015-04-14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277B1 true KR101580277B1 (en) 2015-12-24

Family

ID=5508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429A KR101580277B1 (en) 2015-04-14 2015-04-14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27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15B1 (en) * 2017-12-14 2019-02-22 김앤영엔지니어링(주) A electric pole structur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CN113622735A (en) * 2021-07-14 2021-11-09 靳文卿 High-voltage power transmission inclined iron tower
CN116607820A (en) * 2023-07-18 2023-08-18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Main supporting steel frame structure of assembled flo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33Y1 (en) * 2000-10-25 2001-04-16 김재현 Supporting device of adjustment pipe for adjusting height of stat for restricting passable height of vehicles
KR100714999B1 (en) * 2006-11-15 2007-05-09 미래컨설턴트(주) A telegraph pol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KR101061477B1 (en)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Pole for solar street l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33Y1 (en) * 2000-10-25 2001-04-16 김재현 Supporting device of adjustment pipe for adjusting height of stat for restricting passable height of vehicles
KR100714999B1 (en) * 2006-11-15 2007-05-09 미래컨설턴트(주) A telegraph pol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KR101061477B1 (en) * 2011-04-15 2011-09-02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Pole for solar street ligh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15B1 (en) * 2017-12-14 2019-02-22 김앤영엔지니어링(주) A electric pole structur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CN113622735A (en) * 2021-07-14 2021-11-09 靳文卿 High-voltage power transmission inclined iron tower
CN116607820A (en) * 2023-07-18 2023-08-18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Main supporting steel frame structure of assembled floor
CN116607820B (en) * 2023-07-18 2023-10-03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Main supporting steel frame structure of assembled fl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277B1 (en) Assembly typ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AU2016210705B2 (en) Skew adjustment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KR101361461B1 (en) Utility poles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or rotation and slide the cable retention device
KR101583368B1 (en) The easy height adjustment of the distribution lines utility poles
AU617625B2 (en) Extension support unit
CN109177764B (en) New energy charging pile with take-up device
KR10207316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power distribution line of steel tower
KR100714999B1 (en) A telegraph pol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CN205509750U (en) Unipolar actuator and unipolar actuating device that possesses this unipolar actuator
CN107701095A (en) A kind of annular concurrent of safety
KR102232771B1 (en) Power cable handling apparatus
KR101476736B1 (en) A electric pole changing the height position of distribution line
CN108183399B (en) Power equipment installs insulating frame
KR101346264B1 (en) A electric pol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KR102148630B1 (en)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able holder for rotation and shock absorption
CN211626726U (en) Thermodetector auxiliary stand convenient to cable pit temperature measurement
KR102241911B1 (en) Guide device for electric wire and exchange method of electric wire with the same
KR102139113B1 (en) Charging Cable Reel Device
KR101924115B1 (en) A electric pole structur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KR101192217B1 (en) Pulley for trolley wire and trolley wire tension controldevice using the same
CN202014057U (en) Pulley used for setting up power transmission line
KR20040095588A (en) cover operating device for vinyl house
KR200359293Y1 (en) Rope Winder For Device Of Switching A Heat Conservation Cover A Greenhouse
KR20160021694A (en) Desk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leg of desk therefor and gear box therefor
CN219717742U (en) Temporary cable suppor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