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570B1 -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570B1
KR101579570B1 KR1020140036781A KR20140036781A KR101579570B1 KR 101579570 B1 KR101579570 B1 KR 101579570B1 KR 1020140036781 A KR1020140036781 A KR 1020140036781A KR 20140036781 A KR20140036781 A KR 20140036781A KR 101579570 B1 KR101579570 B1 KR 10157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vehicle
vehicle seat
penalt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491A (ko
Inventor
신필순
권종만
황기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7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기능성 카메라 장치, 통신망 및 범칙금 통보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카메라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도로상의 위치에 형성되며, 적외선 또는 열 화상 인식 기능, 그리고 고화질 줌인(Zoom-In)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 및 상기 기능성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차량 안전벨트의 형태, 차량 안전벨트 주변의 온도, 그리고 차량 안전벨트 소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차량 안전벨트 여부에 대한 확인을 통해 운전석 및 조수석 각각에 대한 차량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범칙금 통보 서버로 전송하여 미착용시 범칙금을 통보하도록 요청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 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형태, 그리고 차량 안전벨트를 착용시의 마찰로 인한 탑승자의 체온 변화뿐만 아니라,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소재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탑승자에 대한 차량 안전벨트의 미착용 및 착용에 대한 정밀한 판단을 수행하여 범칙금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밀한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착용 및 미착용 판단에 따른 행정처분을 통해 종래의 범칙금 부과에 대한 이의 신청 내지는 행정심판 등으로 발전하는 행정처분의 신속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착용 및 미착용에 대한 정밀한 판단자료를 차량 번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명확한 행정처분의 근거 자료로 활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seat belt}
본 발명은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인식을 기반으로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복합적인 감지를 통해 차량 안전벨트의 미착용 및 착용에 대한 잘못된 판단을 막아 행정처분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안전벨트는 자동차의 급제동시, 또는 추돌, 충돌 시에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충격력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치명적인 부상을 막아 주는 것을 가장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 안전벨트는 물속 추락이나 전복시 2차 충격이 적기 때문에 의식을 빨리 회복하여 신속한 탈출을 할 수 있게 해주며, 운전 중 불필요한 동작이 방지되어 올바른 운전자세와 안정감을 가지게 할 뿐만 아니라 시야를 넓혀 주고 운전 피로를 덜어 주는 부가적인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차량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채 사고를 당할 경우, 탑승자는 핸들 및 대시보드 또는 유리창에 부딪히거나 유리창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2차 충격을 당하게 되어, 교통사고시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단속 및 부과는 현재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아 문제시되고 있다. 정부는 교통사고 사망자를 대폭 줄이겠다는 강력한 행정의지를 표명하고 오는 2017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를 30% 줄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모든 도로에서 차량 전 좌석의 안전띠 착용 의무화를 추진하고 각종 무인 단속 장비를 대폭 확대겠다고 하였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이에 대한 단속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관련기술문헌]
1.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The regulation system for controlling users non-wearing safe belt)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40360호)
2. 자동차 안전벨트 의무화에 대한 무인단속장비(Unnanned control equipment about the liability of car's safety belt)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1688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형태, 그리고 차량 안전벨트를 착용시의 마찰로 인한 탑승자의 체온 변화뿐만 아니라,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소재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탑승자에 대한 차량 안전벨트의 미착용 및 착용에 대한 정밀한 판단을 수행하여 범칙금을 부가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밀한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착용 및 미착용 판단에 따른 행정처분을 통해 종래의 범칙금 부과에 대한 이의 신청 내지는 행정심판 등으로 발전하는 행정처분의 신속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착용 및 미착용에 대한 정밀한 판단자료를 차량 번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명확한 행정처분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은, 차량, 기능성 카메라 장치, 통신망 및 범칙금 통보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카메라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도로상의 위치에 형성되며, 적외선 또는 열 화상 인식 기능, 그리고 고화질 줌인(Zoom-In)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 및 상기 기능성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차량 안전벨트의 형태, 차량 안전벨트 주변의 온도, 그리고 차량 안전벨트 소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차량 안전벨트 여부에 대한 확인을 통해 운전석 및 조수석 각각에 대한 차량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범칙금 통보 서버로 전송하여 미착용시 범칙금을 통보하도록 요청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에서 촬영된 기본 영상 이미지를 기능성 촬상 소자로부터 전달받도록 I/O 인터페이스를 제어한 뒤, 기본 영상 이미지를 이용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수입된 차량 안전벨트의 형태인 차량 안전벨트 형상, 차량 안전벨트 모양 및 차량 안전벨트 색상과 매칭되는 차량 안전벨트가 대각선 형태를 이루고 있는지 여부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대해서 각각 판단하여 형태 기반으로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1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형태 기반 감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은, 상기 적외선 또는 열 화상 인식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에서 촬영된 열 화상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I/O 인터페이스를 제어한 뒤, 좌우로 구분하여 우측의 운전석에 대한 제 1 변온 영상 영역(T1)에 대한 감지와 좌측의 조수석에 대한 제 2 변온 영상 영역(T2)에 대한 추출 가능 여부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대해서 각각 판단하여 온도 기반으로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2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기반 감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은, 상기 고화질 줌인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으로 촬영되어 전달된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I/O 인터페이스를 제어한 뒤,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 중 차량 안전벨트 소재에 대한 추출을 수행하여, 대각선 추출 영상 영역으로 이루어진 차량 안전벨트 소재 영역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통해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3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성분 기반 감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은, 제 1 내지 제 3 판단정보 중 "운전석"에 대해서 하나라도 미착용 판단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운전석의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제 1 내지 제 3 판단정보 중 "조수석"에 대해서 하나라도 미착용 판단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조수석의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를 생성한 뒤, 운전석과 보조석 각각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 또는 최종 착용 판단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범칙금 통보 서버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범칙금 통보 서버는, 운전석과 보조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능성 카메라 장치 기본 영상 이미지, 열 화상 영상 이미지,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에 대한 요청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차후에 있을 범칙금 부과에 대한 이의 신청에 대비하도록 하며,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의 숫자에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범칙금을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하여 최종 범칙금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최종 범칙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본 영상 이미지, 열 화상 영상 이미지,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와, 그리고 상기 차량에 대한 번호와 함께 매칭시켜 저장하는 범칙금 연산 모듈; 및 상기 범칙금 연산 모듈에 의해 연산된 최종 범칙금을 상기 차량의 번호에 대한 주소 조회를 통해 조회된 주소로 우편 통보를 수행하거나, E-mail 또는 모바일 단말번호로의 통보를 수행하는 범칙금 우편 통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은,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형태, 그리고 차량 안전벨트를 착용시의 마찰로 인한 탑승자의 체온 변화뿐만 아니라,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소재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탑승자에 대한 차량 안전벨트의 미착용 및 착용에 대한 정밀한 판단을 수행하여 범칙금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은, 정밀한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착용 및 미착용 판단에 따른 행정처분을 통해 종래의 범칙금 부과에 대한 이의 신청 내지는 행정심판 등으로 발전하는 행정처분의 신속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은,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착용 및 미착용에 대한 정밀한 판단자료를 차량 번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명확한 행정처분의 근거 자료로 활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서의 기능성 카메라 장치에 포함된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에 의한 차량 내부의 안전벨트 미착용을 판단하는 제어부의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서의 범칙금 통보 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은 차량(1), 기능성 카메라 장치(10), 통신망(40) 및 범칙금 통보 서버(50)를 포함한다.
기능성 카메라 장치(10)는 기능성 촬상 소자(20) 및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30)을 포함하며, 특히 기능성 촬상 소자(20)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30)과 이격되어 형성가능하며 차량(1)에 대해 전방향에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도로나 도로상의 구조물 등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망(4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4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4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40)은 기능성 카메라 장치(10)와 범칙금 통보 서버(5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서의 기능성 카메라 장치(10)에 포함된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30)에 의한 차량 내부의 안전벨트 미착용을 판단하는 제어부(32)의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30)은 I/O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 31), 제어부(32), 송수신부(33) 및 저장부(34)를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제어부(32)는 복합 감지 수단(32a) 및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32b)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합 감지 수단(32a)은 형태 기반 감지 수단(32a-1), 온도 기반 감지 수단(32a-2) 및 성분 기반 감지 수단(32a-3)으로 구분된다.
형태 기반 감지 수단(32a-1)은 차량(1)에 대한 전방향에서 촬영된 기본 영상 이미지를 기능성 촬상 소자(20)로부터 전달받도록 I/O 인터페이스(31)를 제어한 뒤, 기본 영상 이미지를 이용해 저장부(34)에 미리 저장된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수입된 안전벨트의 형태인 차량 안전벨트 형상, 차량 안전벨트 모양 및 차량 안전벨트 색상과 매칭되는 차량 안전벨트가 대각선 형태를 이루고 있는지 여부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대해서 각각 판단한다.
즉 형태 기반 감지 수단(32a-1)은 도 3과 같이 기본 영상 이미지를 좌우로 구분하여 우측의 운전석에 대한 제 1 대각선 추출 영상 영역(Dia 1)에 대한 감지와 좌측의 조수석에 대한 제 2 대각선 추출 영상 영역(Dia 2)에 대한 형태 감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를 통해, 형태 기반 감지 수단(32a-1)은 형태 기반으로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1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온도 기반 감지 수단(32a-2)은 적외선 또는 열 화상 인식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20)로부터 차량(1)에 대한 전방향에서 촬영된 열 화상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I/O 인터페이스(31)를 제어한 뒤, 좌우로 구분하여 우측의 운전석에 대한 제 1 변온 영상 영역(T1)에 대한 감지와 좌측의 조수석에 대한 제 2 변온 영상 영역(T2)에 대한 추출을 수행한다(도 3 참조).
여기서, 온도 기반 감지 수단(32a-2)은 제 1 변온 영상 영역(T1) 및 제 2 변온 영상 영역(T2)에 대해 모두 추출에 성공한 경우 제 1 변온 영상 영역(T1)과 제 2 변온 영상 영역(T2)이 대각선 형태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인지 여부도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온도 기반 감지 수단(32a-2)은 제 1 변온 영상 영역(T1) 및 제 2 변온 영상 영역(T2)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추출의 경우에는 대각선 형태인지 여부만을 판단함으로써, 변온 영상 영역에 대한 추출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 1 변온 영상 영역(T1)과 제 2 변온 영상 영역(T2)에 대한 추출 여부에 따라, 온도 기반 감지 수단(32a-2)은 온도 기반으로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2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성분 기반 감지 수단(32a-3)은 고화질 줌인(Zoom-In)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20)로부터 차량(1)에 대한 전방향에서 촬영되어 전달된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I/O 인터페이스(31)를 제어한다.
이후, 성분 기반 감지 수단(32a-3)은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에서 웨빙(webbing) 소재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소재에 대한 추출을 수행한다.
여기서 성분 기반 감지 수단(32a-3)은 추출된 웨빙 소재 영역이 차량 안전벨트인지에 대한 판단을 위해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를 좌우로 구분하여 우측의 운전석에 대한 제 1 대각선 추출 영상 영역(Dia 1)과 매칭되는 안전벨트 소재 영역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성분 기반 감지 수단(32a-3)은 좌측의 조수석에 대해서도 제 2 대각선 추출 영상 영역(Dia 2)과 매칭되는 안전벨트 소재 영역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통해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3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32b)은 형태 기반 감지 수단(32a-1)으로부터 운전석과 보조석 각각의 제 1 판단 정보, 온도 기반 감지 수단(32a-2)으로부터 운전석과 보조석 각각의 제 2 판단 정보, 그리고 성분 기반 감지 수단(32a-3)으로부터 운전석과 보조석 각각의 제 3 판단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내지 제 3 판단 정보에 대한 수신이 완료되면,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32b)은 최종적으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차량 안전벨트 착용 또는 미착용에 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32b)은 제 1 내지 제 3 판단정보 중 "운전석"에 대해서 하나라도 미착용 판단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운전석의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32b)은 제 1 내지 제 3 판단정보 중 "보조석"에 대해서 하나라도 미착용 판단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보조석의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판단정보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미착용 또는 착용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이유는 운전자와 보조석 동승자의 악의적인 트릭(Trick)에 의한 차량 안전벨트와 유사한 소재로 대각선으로 형태만 갖춘 상태로 차량 안전벨트를 하지 않고 운전 중인 것을 정밀하게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이후,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32b)은 운전석과 보조석 각각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 또는 최종 착용 판단 정보를 통신망(40)을 통해 범칙금 통보 서버(5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3)를 제어한다.
도 4는 도 1의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서의 범칙금 통보 서버(5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범칙금 통보 서버(50)는 범칙금 연산 모듈(51), 범칙금 우편 통보 모듈(52) 및 데이터베이스(53)를 포함한다.
범칙금 연산 모듈(51)은 상술한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32b)을 포함하는 기능성 카메라 장치(10)로부터 운전석과 보조석 각각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 또는 최종 착용 판단 정보를 통신망(40)을 통해 수신한다.
이후, 범칙금 연산 모듈(51)은 운전석과 보조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통신망(40)을 통해 기능성 카메라 장치(10)로 기본 영상 이미지, 열 화상 영상 이미지,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에 대한 요청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있을 범칙금 부과에 대한 이의 신청에 대비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53)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3)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후, 범칙금 연산 모듈(51)은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의 숫자에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범칙금을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함으로써, 최종 범칙금에 대한 연산을 수행한 뒤, 최종 범칙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3)에 기본 영상 이미지, 열 화상 영상 이미지,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한편, 범칙금 연산 모듈(51)은 차량(1)에 대한 번호 인식 정보도 기능성 카메라 장치(10)로 요청하여 수신한 뒤, 차량(1) 번호도 함께,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기능성 카메라 장치(10)는 차량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범칙금 우편 통보 모듈(52)은 범칙금 연산 모듈(51)에 의해 연산된 최종 범칙금을 차량(1) 번호에 대한 주소 조회를 통해 조회된 주소로 우편 통보를 수행하거나, E-mail 또는 모바일 단말번호로의 통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차량
10: 기능성 카메라 장치
20: 기능성 촬상 소자
30: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
31: I/O 인터페이스
32: 제어부
32a: 복합 감지 수단
32a-1: 형태 기반 감지 수단
32a-2: 온도 기반 감지 수단
32a-3: 성분 기반 감지 수단
32b: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
33: 송수신부
34: 저장부
40: 통신망
50: 범칙금 통보 서버
51: 범칙금 연산 모듈
52: 범칙금 우편 통보 모듈
53: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차량, 기능성 카메라 장치, 통신망 및 범칙금 통보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카메라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의 촬영이 가능한 도로상의 위치에 형성되며, 적외선 또는 열 화상 인식 기능, 그리고 고화질 줌인(Zoom-In)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 및
    상기 기능성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차량 안전벨트의 형태, 차량 안전벨트 주변의 온도, 그리고 차량 안전벨트 소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차량 안전벨트 여부에 대한 확인을 통해 운전석 및 조수석 각각에 대한 차량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범칙금 통보 서버로 전송하여 미착용시 범칙금을 통보하도록 요청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 안전벨트 단속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에서 촬영된 기본 영상 이미지를 기능성 촬상 소자로부터 전달받도록 I/O 인터페이스를 제어한 뒤, 기본 영상 이미지를 이용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수입된 차량 안전벨트의 형태인 차량 안전벨트 형상, 차량 안전벨트 모양 및 차량 안전벨트 색상과 매칭되는 차량 안전벨트가 대각선 형태를 이루고 있는지 여부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대해서 각각 판단하여 형태 기반으로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1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형태 기반 감지 수단과;
    상기 적외선 또는 열 화상 인식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에서 촬영된 열 화상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I/O 인터페이스를 제어한 뒤, 좌우로 구분하여 우측의 운전석에 대한 제 1 변온 영상 영역(T1)에 대한 감지와 좌측의 조수석에 대한 제 2 변온 영상 영역(T2)에 대한 추출 가능 여부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대해서 각각 판단하여 온도 기반으로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2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기반 감지 수단과;
    상기 고화질 줌인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전방향으로 촬영되어 전달된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I/O 인터페이스를 제어한 뒤,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 중 차량 안전벨트 소재에 대한 추출을 수행하여, 대각선 추출 영상 영역으로 이루어진 차량 안전벨트 소재 영역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통해 차량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한 제 3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성분 기반 감지 수단 및, 제 1, 제 2 및 제 3 판단정보 중 "운전석"에 대해서 하나라도 미착용 판단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운전석의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제 1, 제 2 및 제 3 판단정보 중 "조수석"에 대해서 하나라도 미착용 판단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조수석의 차량 안전벨트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를 생성한 뒤, 운전석과 보조석 각각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 또는 최종 착용 판단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범칙금 통보 서버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안전벨트 미착용 판단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칙금 통보 서버는,
    운전석과 보조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능성 카메라 장치 기본 영상 이미지, 열 화상 영상 이미지,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에 대한 요청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차후에 있을 범칙금 부과에 대한 이의 신청에 대비하도록 하며, 최종 미착용 판단 정보의 숫자에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범칙금을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하여 최종 범칙금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최종 범칙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본 영상 이미지, 열 화상 영상 이미지, 고화질 줌인된 영상 이미지와, 그리고 상기 차량에 대한 번호와 함께 매칭시켜 저장하는 범칙금 연산 모듈; 및
    상기 범칙금 연산 모듈에 의해 연산된 최종 범칙금을 상기 차량의 번호에 대한 주소 조회를 통해 조회된 주소로 우편 통보를 수행하거나, E-mail 또는 모바일 단말번호로의 통보를 수행하는 범칙금 우편 통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KR1020140036781A 2014-03-28 2014-03-28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KR10157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781A KR101579570B1 (ko) 2014-03-28 2014-03-28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781A KR101579570B1 (ko) 2014-03-28 2014-03-28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91A KR20150112491A (ko) 2015-10-07
KR101579570B1 true KR101579570B1 (ko) 2015-12-22

Family

ID=5434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781A KR101579570B1 (ko) 2014-03-28 2014-03-28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532A (ko) 2020-04-16 2021-10-27 주식회사 엔슨소프트 시퀀스 영상 분석에 기반한 안전 벨트 단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벨트 단속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759B1 (ko) * 2018-10-12 2019-03-14 렉스젠(주) 안전 벨트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50702B2 (en) * 2019-03-18 2020-12-01 Pony Ai Inc. Vehicle seat belt monito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087A (ja) * 2002-11-12 2004-06-10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警報装置
JP2010167860A (ja) * 2009-01-21 2010-08-05 Mazda Motor Corp 車室内状態認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202A (ko) * 2000-06-09 2001-12-17 이종수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6181B1 (ko) * 2008-03-03 2010-05-04 안진득 자동차의 안전벨트 미착용 단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087A (ja) * 2002-11-12 2004-06-10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警報装置
JP2010167860A (ja) * 2009-01-21 2010-08-05 Mazda Motor Corp 車室内状態認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532A (ko) 2020-04-16 2021-10-27 주식회사 엔슨소프트 시퀀스 영상 분석에 기반한 안전 벨트 단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벨트 단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91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897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vehicle
CN108307315B (zh) 一种交通事故的处理方法、服务器及移动终端
CN105636829B (zh) 车辆辅助系统以及车辆
JP6248419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US20070001512A1 (en) Image sending apparatus
KR101579570B1 (ko) 차량 안전벨트 단속시스템
US20160096499A1 (en) Passenger state estimat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JP2008217218A (ja) 事故情報取得システム
US20150365810A1 (en) Vehicular emergency report apparatus and emergency report system
JP2017091421A (ja) ドライブレコーダ、表示システム、ドライブレコーダ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7961B1 (ko) 안전 벨트 탐지 장치 및 방법
US111723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iece of injury information about an injury of an unprotected road us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a vehicle
CN106920293A (zh) 车辆事故自动记录分析方法
US8897969B2 (en) Collision safe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US20150158447A1 (en) Vehicle emergency call apparatus
JP6912507B2 (ja) 車両用記憶システム
KR102429312B1 (ko) 차량 단속 장치 및 방법
US20230001948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control device and function control device
KR102196999B1 (ko)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긴급 구난 장치 및 방법
JP2014071632A (ja) 車両用情報収集装置
EP42130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101654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vehicle incident communications
KR102584581B1 (ko)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N106891845A (zh) 车辆智能报警方法及装置
CN105216726A (zh) 安全气囊控制方法和安全气囊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