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536B1 -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 Google Patents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536B1
KR101579536B1 KR1020130155313A KR20130155313A KR101579536B1 KR 101579536 B1 KR101579536 B1 KR 101579536B1 KR 1020130155313 A KR1020130155313 A KR 1020130155313A KR 20130155313 A KR20130155313 A KR 20130155313A KR 101579536 B1 KR101579536 B1 KR 101579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
unit
detection
remov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190A (ko
Inventor
박태용
Original Assignee
박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용 filed Critical 박태용
Priority to KR102013015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7/00Mine-sweep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7/00Mine-sweep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G7/02Mine-sweeping means, Means for destroying m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뢰 탐지 및 제거용 공기부양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수면 상부에 구비된 추진부의 소음이 수면에 산란, 분산되어 기뢰의 소음반응 감도를 줄이고, 항해시 수면과 맞닿지 않아 기뢰의 압력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에 의한 소해작업보다 비용이 덜 소모되며, 육지와 해상 모두 항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 발생 시에도 목적지까지 빠르게 순항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Mine Detection and Mine Removal Air-Cushion Vehicle}
본 발명은 기뢰 탐지 및 제거용 공기부양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수면 상부에 구비된 추진부의 소음이 수면에 산란, 분산되어 기뢰의 소음반응 감도를 줄이고, 항해시 수면과 맞닿지 않아 기뢰의 압력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에 의한 소해작업보다 비용이 덜 소모되며, 육지와 해상 모두 항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 발생 시에도 목적지까지 빠르게 순항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에 관한 것이다.
기뢰는 폭약과 기폭장치를 넣은 금속제의 용기로 해중과 해저에 부설되어 항해하는 함선에 접촉 또는 감응하여 폭발함으로써, 그 함선에 손상을 미치는 무기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기뢰는 장기간에 걸쳐 선박의 항해를 방해하고 손상을 준다.
기뢰는 군함 및 군사부유체에 손상을 입힘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대형 유조선의 피폭에 의한 해양환경의 대규모 오염도 우려된다.
이러한 기뢰를 제거하는 작업을 소해라고 하며,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안전한 항해 및 군사적으로 바다 속의 기뢰를 탐색, 제거하는 일로써, 물리적으로 기뢰를 제거하거나 감응작용에 의한 기폭 및 기계적 폭발장치를 사용하여 기뢰를 탐색 제거하는 기술이다.
기뢰는 해상에 설치되므로, 대부분 선박을 이용하여 소해작업을 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163491호 "소해 작업 지원 장치"에는 선박에 소해 작업 지원 장치를 탑재한 소해작업을 제안하였다.
상기의 문헌 및 일반적으로 소해작업을 벌이는 배수량 선박은 추진부인 프로펠러가 흘수선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추진부에 의한 소음이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추진부의 회전에 의해 공동현상 등이 발생하여 소음을 유발하며, 이는 곧 소음에 반응하는 기뢰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해작업에 사용되는 소해함들은 이중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수면과 수평으로 돌아가는 수차방식의 추진기를 탑재하여 방향타 없이 제자리에서 선회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지만, 상기의 소해함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흘수선 아래에 추진부가 구비되는 선박은 항해속도가 느려 소해작업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화한 선박은 중형선박에 비해 선체가 약할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에 상응하는 소음을 유발하므로 많은 인명 피해 및 물적 피해가 우려된다.
도 2는 소해함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해지역에 투입되어 소해작업을 수행하는 헬리콥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헬리콥터는 해상과 맞닿아 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기뢰에 의한 위험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헬리콥터의 높은 가격과 그에 상응하는 유지비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163491호 ("소해 작업 지원 장치", 2013.08.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유인 또는 무인으로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수면 상부에 구비된 추진부의 소음이 수면에 산란, 분산되어 기뢰의 소음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유인 또는 무인으로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항해시 수면과 맞닿지 않아 기뢰의 압력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유인 또는 무인으로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헬리콥터에 의한 소해작업보다 비용이 덜 소모되며, 육지와 해상 모두 항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 발생 시에도 목적지까지 빠르게 순항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은 하나 이상의 추진부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부양시키는 에어쿠션부; 상기 몸체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기뢰의 위치를 탐지하는 기뢰탐지부; 상기 몸체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기뢰를 제거하기 위한 소해장비가 구비되는 기뢰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기뢰탐지부는 자기 센서, 열원 센서, 화학 센서, 광학 센서, 수중 음향 센서 및 영상장치 중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부양정의 운항을 제어하는 운전부; 탐지된 기뢰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뢰탐지부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부; 상기 정보부의 위치정보를 통해 소해작업을 제어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뢰제거부는 작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기뢰 제거를 수행하는 소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소해부는 자기장 발생부, 소음 발생부, 압력 발생부 중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은 운전부의 제어를 통해 운항하는 자동항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은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유인 또는 무인으로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수면 상부에 구비된 추진부의 소음이 수면에 산란, 분산되어 기뢰의 소음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은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유인 또는 무인으로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항해시 수면과 맞닿지 않아 기뢰의 압력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은 추진부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와 제어부 및 기뢰제거부를 구비하여 유인 또는 무인으로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헬리콥터에 의한 소해작업보다 비용이 덜 소모되며, 육지와 해상 모두 항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 발생 시에도 목적지까지 빠르게 순항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해 작업 수행을 위한 소해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소해 작업 수행을 위한 소해용 헬리콥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를 위한 장비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소해작업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소해작업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소해 작업 수행을 위한 소해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소해 작업 수행을 위한 소해용 헬리콥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제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를 위한 장비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소해작업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의 소해작업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공기부양정은 하면에서 압축공기를 수면으로 강하게 내뿜어서 에어쿠션을 만들어, 이것으로 무게를 지지하고, 수면에서 약간 부상하여 항주하는 선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호버크래프트라고도 하는데, 이는 공기부양정을 최초로 개발한 호버크래프트사의 상품명인 호버크래프트가 배의 종류명처럼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공기부양정은 부상했을 때, 저항이 보통의 배보다 현저히 작으므로 비교적 쉽게 고속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해작업에 이용되는 소해장치를 상기 공기부양정에 탑재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하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으로, 재질은 FRP소재의 재질이 권장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하나 이상의 추진부(110)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되는 에어쿠션부(200),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기뢰탐지부(300),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어부(400) 및 소해작업을 수행하는 기뢰제거부(50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몸체(100)와 상기 에어쿠션부(200)는 기존에 널리 알려져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뢰탐지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기뢰(1)의 위치를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뢰탐지부(300)는 기뢰(1)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자기 센서, 열원 센서, 화학 센서, 광학 센서, 수중 음향 센서 등을 포함하는 기뢰(1)를 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에 기재된 센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뢰(1)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센서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의 운항과 소해작업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뢰제거부(50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해작업을 하는 부분으로, 기뢰(1)의 특성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 소음 발생부, 압력 발생부 등이 구비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 소음 발생부, 압력 발생부 모두 함께 구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자기에 반응하는 기뢰(1)를 제거하는 자기소해(Magnetic Sweep)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소음 발생부는 북 등 소음을 발생시키는 장비를 구비하여 소음에 반응하는 기뢰(1)를 제거하는 음향소해(Acoustic Sweep)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발생부는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압력에 반응하는 기뢰(1)를 제거하는 압력소해(Pressure Sweep)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 소음 발생부, 압력 발생부에 구비되는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다양한 장치의 실시예에 상응하여 다양한 소해방법으로 기뢰(1)를 제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부양정의 운항을 제어하는 운전부(410), 탐지된 기뢰(1)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뢰탐지부(300)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부(420) 및 상기 정보부(420)의 위치정보를 통해 소해작업을 제어하는 작업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운전부(41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의 무인운항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보부(420)는 상기 기뢰탐지부(300)로부터 획득한 기뢰(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위치 지도를 작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정보부(420)의 위치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부(410)와 상기 작업부(430)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운전부(410)는 위치 지도를 이용하여 공기부양정의 안전한 항해를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작업부(430)는 위치 지도를 이용하여 소해작업을 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의 기뢰(1) 탐지 및 기뢰(1) 제거를 위한 각 장비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기뢰탐지부(300)를 통해 기뢰(1)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400)의 정보부(420)에서 위치 지도를 작성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400)에 제작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운전부(410)는 공기부양정의 안전한 항해를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작업부(430)는 상기 기뢰제거부(500)의 소해작업을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유인으로 운행 및 소해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인으로도 운항 및 소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부양정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무인으로 운항시에도 안전한 항해 및 소해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무인으로 운항 시, 공기부양정의 운항을 위해 자동항법장치(440)가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의 소해작업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기뢰탐지부(300)는 수면 상부에서 관측을 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음향 센서 등의 작동에 의해 기뢰(1)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줄로 연결하여 수중에서 탐지할 수 있지만, 상기 기뢰탐지부(300)의 위치와 상기 기뢰(1)탐지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뢰(1)의 제거방법은 마인 스위핑 형식 또는 마인 헌팅 형식 등이 있으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마인 스위핑 형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마인 스위핑 형식은 선박과 연결된 소해부(510)에 기뢰제거부(500)를 구비하고, 기뢰(1)와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여 이동하면서 기뢰(1)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안전한 항로로 운항하며, 상기 기뢰제거부(500)와 연결된 소해부(510)를 기뢰(1)로 이동시켜 기뢰(1)를 제거한다.
다시 말해, 앞서 기재된 자기장 발생부, 소음 발생부, 압력 발생부를 상기 기뢰제거부(500)와 줄로 연결된 소해부(510)에 구비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공기부양정은 기뢰(1) 폭발에 방해받지 않고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며, 소해부(510)는 공기부양정과 안전거리가 있는 지점에서 기뢰(1)를 제거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마인 스위핑 형식이 권장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뢰(1)제거 로봇을 상기 기뢰제거부(500) 내에 탑재하여 마인 헌팅 형식으로 기뢰(1)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추진부(110)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300)와 제어부(400) 및 기뢰제거부(500)를 구비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수면 상부에 구비된 추진부(110)의 소음이 수면에 산란, 분산되어 기뢰(1)의 소음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1)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추진부(110)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300)와 제어부(400) 및 기뢰제거부(500)를 구비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항해시 수면과 맞닿지 않아 기뢰(1)의 압력반응 감도를 줄여 안전하게 기뢰(1)를 탐지 및 제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추진부(110)가 수면 상부에 구비되고, 함체가 수면에서 부상하여 항해하는 공기부양정에 기뢰탐지부(300)와 제어부(400) 및 기뢰제거부(500)를 구비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헬리콥터에 의한 소해작업보다 비용이 덜 소모되며, 육지와 해상 모두 항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 발생 시에도 목적지까지 빠르게 순항하여 소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00)는 앞서 기재된 내용의 장비 뿐만 아니라, 육지의 지의 지휘부와 교신하기 위한 교신부, 상기 자동항법장치(440)와 상기 기뢰탐지부(300)를 보조하는 GPS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외 안전한 소해작업을 위한 다양한 장비의 구비에 한정하지 않는다.
1000 :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100 : 몸체
200 : 에어쿠션부
300 : 기뢰탐지부
400 : 제어부
410 : 운전부
420 : 정보부
430 : 작업부
440 : 자동항법장치
500 : 기뢰제거부
510 : 소해부
1 : 기뢰

Claims (7)

  1. 기뢰(1)의 소음반응 감도를 줄이도록 하나 이상의 추진부(110)가 상부에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부양시키는 에어쿠션부(200);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기뢰(1)의 위치를 탐지하는 기뢰탐지부(300);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운항을 제어하는 운전부(410)와, 탐지된 기뢰(1)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뢰탐지부(300)로부터 획득하는 정보부(420)와, 상기 정보부(420)의 위치정보를 통해 소해작업을 제어하는 작업부(430)를 포함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몸체(100)의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기뢰(1)를 제거하기 위한 소해장비가 구비되는 기뢰제거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뢰제거부(500)는
    상기 기뢰제거부(500)와 줄로 연결되어 안전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작업부(430)의 제어를 통해 기뢰(1) 제거를 수행하고, 기뢰(1) 제거를 위해 자기장 발생부, 소음 발생부, 압력 발생부 중 어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소해부(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뢰탐지부(300)는
    자기 센서, 열원 센서, 화학 센서, 광학 센서, 수중 음향 센서 및 영상장치 중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무인으로 운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은
    상기 운전부(410)의 제어를 통해 운항하는 자동항법장치(4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1000).
KR1020130155313A 2013-12-13 2013-12-13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KR10157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13A KR101579536B1 (ko) 2013-12-13 2013-12-13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13A KR101579536B1 (ko) 2013-12-13 2013-12-13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190A KR20150069190A (ko) 2015-06-23
KR101579536B1 true KR101579536B1 (ko) 2015-12-22

Family

ID=5351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313A KR101579536B1 (ko) 2013-12-13 2013-12-13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933B1 (ko) 2020-10-13 2022-03-17 국방과학연구소 복합 감응형 기뢰 발화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48953T3 (es) 2016-10-12 2023-09-22 Univ Yeditepe Vehículo de detección de mina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40Y1 (ko) * 2004-07-23 2004-10-15 윤종준 호버크래프트의 추진장치
JP2013163491A (ja) 2012-02-13 2013-08-22 Mitsubishi Heavy Ind Ltd 掃海作業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2044A1 (de) * 1984-11-16 1986-05-28 Wolfgang 2000 Hamburg Mangelsdorf Katamaran-luftkissenwasserfahrzeug
KR101605112B1 (ko) * 2009-07-21 2016-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40Y1 (ko) * 2004-07-23 2004-10-15 윤종준 호버크래프트의 추진장치
JP2013163491A (ja) 2012-02-13 2013-08-22 Mitsubishi Heavy Ind Ltd 掃海作業支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933B1 (ko) 2020-10-13 2022-03-17 국방과학연구소 복합 감응형 기뢰 발화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190A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0559B (zh) 水环境移动机器人
JP7245988B2 (ja) 海底鉱物資源揚収装置
US11685479B2 (en) Incremental deployment of a buoy or buoy network
JP6870154B2 (ja) 危険物質を格納するタンク内でタスク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
US20170291670A1 (en) Autonomous workboat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3213662B (zh) 子母式海洋环境检测智慧机器人
KR102497993B1 (ko) 수중 항주체의 관제 방법, 수중 항주체의 투입 방법, 수중 항주체의 양수 방법, 수중 항주체의 관제 시스템, 및 수중 항주체의 관제 시스템의 투입·양수 설비
TW201620785A (zh) 用於執行表面操作之航海機具
KR101605112B1 (ko)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
US20140378012A1 (en) Vessel
CN110155281A (zh) 一种auv集群无人输送艇
EP3015940B1 (en) Position-locking for a watercraft using an auxiliary water vessel
KR101579536B1 (ko)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KR101799733B1 (ko) 배터리를 구비한 전기 추진 선박
JP2019177832A (ja) 水中探査機の情報共有方法、及び水中探査機の情報共有システム
JP2019177832A5 (ko)
JP2020055476A (ja) 複数の水中航走体の揚収方法、及び複数の水中航走体の揚収システム
KR20120024251A (ko) 해상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의 위치유지 시스템 및 방법
Boeck et al. SMIS-Subsea monitoring via intelligent swarms, design challenges of an autonomous seabed station
CN207595226U (zh) 一种依托式液压自主潜水器
US20170313396A1 (en) Submersible having variable lift depending on the navigation mode
RU2652289C2 (ru) Самоходный телеуправляемый снаряд - уничтожитель
RU2360828C1 (ru) Подводный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Jamieson et al. Effective launch and recovery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JP6973735B2 (ja) 被放出物の保持放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中航走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