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305B1 -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305B1
KR101578305B1 KR1020140134425A KR20140134425A KR101578305B1 KR 101578305 B1 KR101578305 B1 KR 101578305B1 KR 1020140134425 A KR1020140134425 A KR 1020140134425A KR 20140134425 A KR20140134425 A KR 20140134425A KR 101578305 B1 KR101578305 B1 KR 10157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zing
header
brazing rod
core
lower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석
Original Assignee
(주)해송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송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해송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3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305B1/ko
Priority to PCT/KR2015/008916 priority patent/WO20160567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8Soldering within a furn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 또는 오일과 같은 유체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의 헤더와 상,하부탱브를 브레이징로드로 접합하여 접합강도와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냉각수 또는 오일과 같은 유체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의 헤더와 상,하부탱브를 브레이징로드로 접합하여 접합강도와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자동차 등의 엔진을 구동함에 있어, 연소실 안의 연소가스의 온도는 2000℃ 이상에 이르고, 이 온도의 상당한 양이 실린더, 실린더 헤드, 피스톤, 밸브 등에 전도된다.
이러한 부분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부품 재료의 강도가 저하되어 고장이 생기거나 수명이 단축되고, 연소상태가 나빠져 노킹이나 조기 점화가 발생하며 그 결과 엔진의 출력이 저하된다.
또, 냉각이 불완전한 상태에서는 실린더 벽의 유막이 끊기는 등의 윤활기능의 저하와 냉각수의 변질 등으로 이상마모, 눌러 붙는 등 고장의 원인이 된다. 반대로 지나치게 냉각되면 연소에서 발생한 열량 가운데 냉각으로 손실되는 열량이 크기 때문에, 엔진의 열효율이 낮아지고 연료 소비량의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므로 엔진의 온도를 알맞게 유지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엔진을 통과하며 가열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라 불리는 열교환기를 통해 적정한 수준으로 냉각시켜야 한다.
이러한 라디에이터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탱크와, 배수구가 형성된 하부탱크와, 상부탱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이 냉각수와 직교 유동하는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라디에이터는 가장 먼저 라디에이터 코어의 각 구성을 조립하여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완성한 후 이 라디에이터 코어에 상,하부탱크를 접합하고, 상,하부탱크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 등을 접합하는 과정을 개별적으로 작업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의 과정에서 각 탱크와 라디에이터 사이의 접합 및 각 탱크에 파이프의 접합은 상기 브레이징 용접 또는 TIG(TungstenInert Gas)용접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TIG용접은 텅스텐봉을 전극으로 하는 토치(Touch) 내에서 아르곤(Ar) 또는 헬륨(He) 등 불활성가스로 아크 및 용융부를 차폐하여 대기중의 산소, 질소의 침입을 차단하면서 모재와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열로 모재 및 용가재를 녹여서 용접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TIG용접은 용접 입열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박판 용접에 매우 좋은 장점을 가지므로, 특히 라디에이터 코어에 상,하부탱크를 접합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TIG용접을 통해 라디에이터 코어와 상,하부탱크를 접합하는 것은 이 TIG용접이 다른 용접방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용접속도가 느리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라디에이터 코어에 상,하부탱크를 클래드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구성하고,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접합하는 경우에는 TIG용접에 비해 공정은 간소화되나, 접합강도가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1743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7421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92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탱크의 단부에 삽입부 및 브레이징로드 삽입홈을 형성하여 브레이징로드와 클래드가 함께 브레이징 상,하부탱크와 헤더를 밀접하게 접합시키기 때문에 종래 클래드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접합강도 및 기밀성이 향상되며, 종래 Tig용접 방식에 비해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를 마련하는 단계와; 양측에 헤더가 형성된 코어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탱크에 각각 상기 헤더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마련하고, 상기 삽입부 내측에 복수의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에 브레이징로드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부에 상기 헤더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를 가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탱크와 가결합된 코어를 브레이징로에 넣고 가열시켜 상기 상,하부탱크와 상기 헤더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는 상부 스커트부 및 하부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은 상기 상부 스커트부의 변 또는 상부 스커트부와 바닥부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브레이징로드 수용홈; 및 상기 바닥부의 변, 상기 하부 스커트부의 변 및 상기 바닥부와 하부 스커트부가 접하는 하부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제2브레이징로드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를 가결합하기 전에 상기 삽입부 내면 또는 상기 헤더 단부의 외면에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를 가결합한 다음, 상기 삽입부와 헤더와의 틈새를 줄이기 위해 상기 삽입부의 외측을 압착한 상태에서 브레이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은 브레이징로드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브레이징로드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브레이징시 용융된 상기 브레이징로드가 배출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하부탱크의 단부에 삽입부 및 브레이징로드 삽입홈을 형성하여 브레이징로드와 클래드가 함께 브레이징 상,하부탱크와 헤더를 밀접하게 접합시키기 때문에 종래 클래드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접합강도 및 기밀성이 향상되며, 종래 Tig용접 방식에 비해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헤더와 상,하부탱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삽입부에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에 브레이징로드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용홈에 브레이징로드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가 가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삽입부가 압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상,하부탱크와 가결합된 코어가 브레이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헤더와 상,하부탱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크게 상부탱크(110)와, 상기 상부탱크(110)와 이격 설치되는 하부탱크(110a)와,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와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헤더(131)와 상기 한 쌍의 헤더(131)의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탱크(110)에는 가열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탱크(110a)에는 상부탱크(110)를 통해 유입되어 코어(130)를 지나면서 냉각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물 또는 오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에는 각각 유입관(151)과 유출관(15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코어(13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131)와, 한 쌍의 헤더(131)의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코어(130)의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의 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174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7421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925호 등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헤더(131)는 상,하부탱크(110,110a)와 각각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 및 헤더(131)는 클래드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클래드층만으로는 충분한 접합강도와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에 상기 헤더(131)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자 형상의 삽입부(111)를 형성하고, 삽입부(111) 내측에는 브레이징로드가 삽입되는 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크게 S1단계 내지 S6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S1단계 및 S2단계는 상,하부탱크(110,110a) 및 코어(13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는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압출 성형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코어(130)의 양측에는 헤더(131)가 형성되며, 상기 헤더(131)는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성형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 또는 헤더(131)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시트 형상의 클래드층(121)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클래드층(121)은 상기 금속 또는 합금보다 용융점이 낮으며, 브레이징시 용융된다.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 헤더(131) 및 클래드층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클래드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상,하부탱크(110,110a), 헤더(131)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후술할 브레이징로에서는 상,하부탱크(110,110a), 헤더(131)은 용융되지 않고 클래드층(121)만 용융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래드층(121)은 브레이징로에서 용융되면 필릿(fillet)을 생성하여 상기 상,하부탱크 및 헤더를 접합하게 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삽입부에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에 브레이징로드가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3단계는 상,하부탱크(110,110a)에 각각 상기 헤더(131)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11)를 마련하고, 상기 삽입부(111) 내측에 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삽입부(111)는 바닥부(112)와, 상기 바닥부(112)의 양측에서 절곡되는 스커트부(113)로 구성되며, 대략 ∪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1)에는 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115a)은 상기 상부 스커트부(113)의 변 또는 상부 스커트부(113)와 바닥부(112)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 및 상기 바닥부(112)의 변, 상기 하부 스커트부(113a)의 변 및 상기 바닥부(112)와 하부 스커트부(113a)가 접하는 하부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제2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의 (a)와 같이, 제1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은 상부 스커트부(113)와 바닥부(112)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고, 제2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a)은 바닥부(112)와 하부 스커트부(113a)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b의 (b)와 같이, 제1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은 상부 스커트부(113)의 변에 형성되고, 제2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a)은 바닥부(112)의 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b의 (c)와 같이, 제1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은 상부 스커트부(113)의 변에 형성되고, 제2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a)은 바닥부(112)와 하부 스커트부(113a)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2브레이징로드(115,115a)는 각각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115a)은 수용부(116)와, 고정돌기부(117)와, 개구부(11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6)는 상기 삽입부(111)의 내면에서 요입되어 상기 브레이징로드(120)를 수용하며, 도 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징로드(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부(117)는 상기 브레이징로드(120)가 상기 수용부(116)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개구부(118)는 상기 수용부(116)와 연통되어 용융된 상기 브레이징로드(120)가 삽입부(111)와 헤더 사이의 틈으로 배출되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S4단계에서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115a)에 각각 브레이징로드(120)를 삽입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가 가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삽입부가 압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S5단계는 삽입부(111)에 헤더(131)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하부탱크(110,110a)와 상기 코어(130)를 가결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11)에 상기 헤더(131)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와 상기 코어(130)를 가결합한다. 그리고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하부탱크(110,110a)의 일단에는 유입관(151), 유출관(153)을 결합하며, 타단에는 탱크밀봉마개(155)를 결합한다.
다만, 상,하부탱크(110,110a)와 상기 코어(130)를 가결합한 상태에서는 삽입부(111)와 헤더(131)의 단부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111)와 헤더(131) 사이의 틈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와 상기 코어(130)를 가결합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1)의 외측을 지그장치(Z)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상,하부탱크와 가결합된 코어가 브레이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S6단계는 상,하부탱크(110,110a)와 가결합된 코어(130)를 브레이징로(B)에 넣고 가열시켜 상기 상,하부탱크(110,110a)와 상기 헤더(131)를 접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브레이징로(B)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면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115)에 수용된 브레이징로드(120) 및 헤더(131) 상에 형성된 클래드층(121)은 용융되면서 일체로 융합하게 된다.
종래에는 클래드층(121)만으로 브레이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접합강도와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클래드층(121)과 함께 브레이징로드(120)가 용융되고, 이들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삽입부(111) 내면과 헤더(131)를 타고 스커트부(113)와 바닥부(112) 쪽으로 이동하면서 헤더(131)와 삽입부(111)는 밀접하게 접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에 브레이징로드 삽입홈을 형성하고 브레이징로드를 브레이징하여 상,하부탱크와 헤더를 밀접하게 접합시키기 때문에 종래 클래드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접합강도 및 기밀성이 향상되며, 종래 Tig용접 방식에 비해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열교환기
110, 110a : 상부탱크, 하부탱크 111 : 삽입부
112 : 바닥부 113 : 스커트부
115 : 브레이징로드 수용홈 116 : 수용부
117 : 고정돌기부 118 : 개구부
120 : 브레이징로드 121 : 클래드층
130 : 코어 131 : 헤더
151 : 유입관 153 : 유출관
155 : 탱크밀봉마개 Z : 지그장치
B : 브레이징로

Claims (4)

  1. 상부탱크 및 하부탱크를 마련하는 단계와;
    양측에 헤더가 형성된 코어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탱크에 각각 상기 헤더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마련하고, 상기 삽입부 내측에 복수의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에 브레이징로드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부에 상기 헤더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를 가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탱크와 가결합된 코어를 브레이징로에 넣고 가열시켜 상기 상,하부탱크와 상기 헤더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는 상부 스커트부 및 하부 스커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은 상기 상부 스커트부의 변 또는 상부 스커트부와 바닥부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브레이징로드 수용홈; 및 상기 바닥부의 변, 상기 하부 스커트부의 변 및 상기 바닥부와 하부 스커트부가 접하는 하부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제2브레이징로드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를 가결합하기 전에 상기 삽입부 내면 또는 상기 헤더 단부의 외면에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탱크와 상기 코어를 가결합한 다음, 상기 삽입부와 헤더와의 틈새를 줄이기 위해 상기 삽입부의 외측을 압착한 상태에서 브레이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로드 수용홈은 브레이징로드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브레이징로드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브레이징시 용융된 상기 브레이징로드가 배출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20140134425A 2014-10-06 2014-10-06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157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25A KR101578305B1 (ko) 2014-10-06 2014-10-06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PCT/KR2015/008916 WO2016056746A1 (ko) 2014-10-06 2015-08-26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425A KR101578305B1 (ko) 2014-10-06 2014-10-06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305B1 true KR101578305B1 (ko) 2015-12-16

Family

ID=5508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425A KR101578305B1 (ko) 2014-10-06 2014-10-06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3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468A (ja) * 1997-02-25 1998-09-08 Mazda Motor Corp ろう付方法およびそのろう付部品
KR19980072915A (ko) * 1997-03-05 1998-11-05 김욱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컨덴서어셈블리
JP2004270972A (ja) * 2003-03-05 2004-09-30 Calsonic Kansei Corp 積層型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38190A (ko) * 2004-10-29 2006-05-03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KR20130101743A (ko) 2012-03-06 2013-09-16 (주)해송엔지니어링 라디에이터의 제조방법
KR20130117421A (ko) 2012-04-17 2013-10-28 (주)해송엔지니어링 일체형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925B1 (ko) 2012-04-17 2014-03-17 (주)해송엔지니어링 라디에이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468A (ja) * 1997-02-25 1998-09-08 Mazda Motor Corp ろう付方法およびそのろう付部品
KR19980072915A (ko) * 1997-03-05 1998-11-05 김욱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컨덴서어셈블리
JP2004270972A (ja) * 2003-03-05 2004-09-30 Calsonic Kansei Corp 積層型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38190A (ko) * 2004-10-29 2006-05-03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KR20130101743A (ko) 2012-03-06 2013-09-16 (주)해송엔지니어링 라디에이터의 제조방법
KR20130117421A (ko) 2012-04-17 2013-10-28 (주)해송엔지니어링 일체형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925B1 (ko) 2012-04-17 2014-03-17 (주)해송엔지니어링 라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815B2 (en)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charge air cooler or exhaust gas cool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00842337B1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3135A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US9951714B2 (en) Steel piston with filled gallery
TW201329413A (zh) 熱交換器、連結件、以及熱交換器的製造方法
US20180214963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30101743A (ko) 라디에이터의 제조방법
WO2017018438A1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9481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537607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を製造する方法
US20180292138A1 (en) Manifold for a heat exchanger
JP2016200312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6070655A (ja) 熱交換器
KR101578305B1 (ko)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1374979B1 (ko) 라디에이터의 제조방법
KR101705409B1 (ko)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1578306B1 (ko)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US7594327B2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606230B2 (ja) 熱交換器
JP2015064162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9243563A (ja) 中空部品へのパイプ接続構造
JP2006218508A (ja) 熱交換器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US20210270548A1 (en) Heat exchanger
JP2015219005A (ja) 二相鋼から成る排気ガス熱交換器
JP3818223B2 (ja) 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