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082B1 -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082B1
KR101578082B1 KR1020080069344A KR20080069344A KR101578082B1 KR 101578082 B1 KR101578082 B1 KR 101578082B1 KR 1020080069344 A KR1020080069344 A KR 1020080069344A KR 20080069344 A KR20080069344 A KR 20080069344A KR 101578082 B1 KR101578082 B1 KR 10157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composite material
induction coil
meta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731A (ko
Inventor
위순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Priority to KR1020080069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0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10B2101/122Nanocarb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는 유도 코일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하여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공유 결합되는 금속기 원소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복합재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는 탄소 나노 튜브와 금속기 원소를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와 금속기 원소를 공유 결합시키고 이를 모합금으로 하여 해당되는 금속에 추가적으로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복합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는 역학적 강도가 강철과 같이 크고 이에 반하여 중량을 20% 이상 줄일 수 있어서 탑재되는 제품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은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유도 코일, 전기 모터, 탄소나노튜브, 전기 자동차

Description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ELECTRIC CAR MOUNTING ELECTRIC MOTOR HAVING ELECTRO CONDUCTIVE INDUCTION COIL WITH COMPOUND MATERIAL}
본 발명은 전기 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오랫동안 가솔린으로 주행해왔다. 자동차의 연비는 기술 발전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자동차 보유 대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어서 환경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전기 자동차로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무공해 이동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순수 전기 자동차는 생산비나 효율면에서 아직 상용화되기에는 여러 가지 해결해야할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과 전기 모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연구도 지 속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전기 모터가 장착된다. 차량의 동력원으로 제공되는 전기 모터는 높은 구동력을 얻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고용량의 유도 코일을 사용하게 된다. 고용량의 유도 코일은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고속 주행시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에서 심각한 경우에는 손상될 우려를 갖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기 모터의 경우에는 고열에 손상이나 변형 없이 잘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중량이 적게 나갈수록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전기 모터의 유도 코일을 구성하여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전기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모터는: 탄소나노튜브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 원소는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복합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동력원으로 장착되는 전기 모터는 탄소나노튜브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 원소는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복합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원 출력단과 상기 전기 모터의 전원 입력단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동력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 케이블은 탄소나노튜브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복합 소재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합 소재의 금속기 원소는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복합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에 의하면, 전기 모터의 유도 코일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하여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는 역학적 강도가 강철과 같이 크고 이에 반하여 중량을 20% 이상 줄일 수 있어서 탑재되는 제품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은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는 유도 코일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하여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공유 결합되는 금속기 원소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복합재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는 탄소 나노 튜브와 금속기 원소를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와 금속기 원소를 공유 결합시키고 이를 모합금으로 하여 해당되는 금속에 추가적으로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복합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는 역학적 강도가 강철과 같이 크고 이에 반하여 중량을 20% 이상 줄일 수 있어서 탑재되는 제품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은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100)는 전기 모터(110)와 연료 구동 엔진(120)을 모두 구비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100)는 전기 모터(110) 또는 연료 구동 엔진(1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받아서 동작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100)는 전기 모터(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140)를 구비한다. 발전기(150)는 운행 중 동작하면서 발전이 이루어지고, 발전된 전기는 인버터(130)를 통하여 배터리(140)로 제공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연료 구동 엔진(120) 또는 전기 모터(11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제1 및 제2 구동축(170, 190)을 통하여 바퀴(160)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 구동축(170, 190)의 연결 부분에는 브레이크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에너지 회수기(1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기 모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기 모터(110)는 에를 들어, 제1 구동축(190)에 연결되는 회전축(115)과 회전축(115)에 장착되는 회전자(116)를 구비한다. 회전자(116)에는 상술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된 유도 코일(118)이 권선된다. 회전자(116) 를 사이에 두고 극성을 달리하여 마주 대향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영구 자석(112, 14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기 모터(100) 유도 코일(118)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한다. 그럼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100)의 전기 모터(110)는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경량으로 구성됨으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110)의 회전자(116)에 유도 코일(118)이 권선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영구 자석(112, 114)과 유도 코일(118)의 위치가 서로 반대 위치를 갖는 구조로 변형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자동차 바퀴에 전기 모터가 장착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100) 바퀴에 전기 모터(300)가 구성될 수 있다. 바퀴에 구성되는 전기 모터(300)는 회전축(350)과 회전축(350)에 연결되는 회전자(360)를 구비한다. 회전자(360)에는 상술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된 유도 코일(340)이 권선된다. 회전자(360)를 사이에 두고 반대 극성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영구 자석(320, 33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바퀴를 구성하는 휠(310)의 내부에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기 모터(300) 유도 코일(340)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한다. 그럼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100)의 전기 모터(300)는 과도한 동작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경량으로 구성됨으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 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300)의 회전자(360)에 유도 코일(340)이 권선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영구 자석(320, 330)과 유도 코일(340)의 위치가 서로 반대 위치를 갖는 구조로 변형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전기적 및 기계적 동력 전달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100)의 전기 모터(110)는 배터리(140)로부터 전기적 동력인 전력을 제공받는다. 배터리(140)의 전원 출력단(410)과 전기 모터(110)의 전원 입력단(420)은 동력 케이블(40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전기 모터(110)의 연속 동작시에 동력 케이블(400)이 과열될 수 있으며 과도한 경우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음으로 동력 케이블(400)의 경우에도 전기 모터(110)의 유도 코일(118)과 같은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료 구동 엔진과 전기 모터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전기 모터만으로 구동되는 단일형 전기 자동차에도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모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차 바퀴에 전기 모터가 장착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전기적 및 기계적 동력 전달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이브리드 자동차 110: 전기 모터
112, 114: 영구 자석 115: 회전축
116: 회전자 118: 유도 코일
120: 엔지 130: 인버터
140: 배터리 150: 발전기
160: 바퀴 170: 제1 구동축
180: 에너지 회수기 190: 제2 구동축
200: 바퀴 300: 전기 모터
310: 휠 320, 330: 영구 자석
340: 유도 코일 350: 회전축
360: 회전자 400: 동력 케이블
410: 전원 출력단 420: 전원 입력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전기 모터는 유도 코일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복합재를 포함하는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는 탄소 나노 튜브와 금속기 원소를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와 금속기 원소를 공유 결합시키고 이를 모합금으로 하여 해당되는 금속에 추가적으로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전기 모터를 자동차 바퀴에 구성하되, 다수개 유도 코일을 다수개 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으로 배열하고,
    상기 전기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의 전원 출력단과 상기 전기 모터의 전원 입력단 사이에 동력 케이블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되, 상기 동력 케이블은 탄소나노튜브와 하나 이상의 금속기 원소가 공유 결합된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4. 삭제
  5. 삭제
  6. 제3 항에 있어서,
    동력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합 소재의 금속기 원소는
    알루미늄, 구리, 은, 철의 순금속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기저로 하는 합금 또는 이들로 구성된 복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KR1020080069344A 2008-07-16 2008-07-16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 KR10157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44A KR101578082B1 (ko) 2008-07-16 2008-07-16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44A KR101578082B1 (ko) 2008-07-16 2008-07-16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31A KR20100008731A (ko) 2010-01-26
KR101578082B1 true KR101578082B1 (ko) 2015-12-16

Family

ID=4181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344A KR101578082B1 (ko) 2008-07-16 2008-07-16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530A1 (ko) * 2018-12-26 2020-07-02 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알루미늄,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철 및 코발트가 포함된 혼성복합체를 이용한 브러시리스 dc모터코어
KR102666492B1 (ko) 2023-08-04 2024-05-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구동모터 회전자 및 구동모터 회전자 물성 강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214B1 (ko) * 2017-07-27 2018-05-29 주식회사 에스플러스컴텍 나노소재 기반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bldc모터
KR102030648B1 (ko) * 2018-07-12 2019-10-10 (주)에스플러스컴텍 나노소재 기반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권선코일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전기기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206A (ja) * 2003-07-30 2005-02-24 Toshiba Corp 高強度高電気伝導度アルミニウム合金基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022129A2 (en) * 2006-08-14 2008-02-21 C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spinning carbon nanotubes into yarn, and yarn made therefr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206A (ja) * 2003-07-30 2005-02-24 Toshiba Corp 高強度高電気伝導度アルミニウム合金基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022129A2 (en) * 2006-08-14 2008-02-21 C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spinning carbon nanotubes into yarn, and yarn made therefro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530A1 (ko) * 2018-12-26 2020-07-02 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알루미늄,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철 및 코발트가 포함된 혼성복합체를 이용한 브러시리스 dc모터코어
KR102666492B1 (ko) 2023-08-04 2024-05-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구동모터 회전자 및 구동모터 회전자 물성 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31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9846B2 (ja) 回転電機および車載回転電機システム
CN105024509B (zh) 四轮驱动电动汽车的双转子轮毂电机及其动力传递方法
WO2017058660A1 (en) A vehicle comprising a wheel driven generator for charging a battery
US20070290563A1 (en) Brushless motor with double rotors
US9139081B2 (en) Wheel assembly defining a motor/generator
US20180264951A1 (en) A vehicle comprising a wheel driven generator for charging a battery
CA2913795C (en) Multi-layer sandwich-shaped electric wheel
CN202663275U (zh) 用于交通工具的具有自发电功能的缓速器
KR101578082B1 (ko) 전기 전도성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유도 코일을 구비한 전기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
GB2462489A (en) A flywheel kinetic energy recovery and storage apparatus
CN201970848U (zh) 轮毂驱动装置和采用该装置的轮毂驱动电动车
US20080315698A1 (en) Motor apparatus and method
CN201501282U (zh) 一种分体式涡轮增压减速器差速电驱动机
CN200973050Y (zh) 带发电定子线圈的永磁无刷直流电动机
KR101938889B1 (ko) 모터와 알터네이터를 융합한 전동차용 인휠 시스템
CN101353071A (zh) 节能健身电动车
JP5815847B2 (ja) 車両用モータ発電機装置
Fu et al. A novel axial-flux electric machine for in-wheel gearless drive in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CN101920650B (zh) 装有无刷行驶制动蓄能同步发电机的机动车
Cabezuelo et al. Rare-earth free EV and HEV motor drives: State of the art
Lee et al. Design of an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in-wheel for electric vehicles
KR20240059011A (ko)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CN214083833U (zh) 一种新型轮毂电机驱动系统
CN109314434B (zh) 包括用于对电池充电的车轮驱动的发电机的车辆
CN2924911Y (zh) 电动车轮毂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2

Effective date: 201510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11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2

Effective date: 2015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