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026B1 - 화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화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026B1
KR101578026B1 KR1020100031878A KR20100031878A KR101578026B1 KR 101578026 B1 KR101578026 B1 KR 101578026B1 KR 1020100031878 A KR1020100031878 A KR 1020100031878A KR 20100031878 A KR20100031878 A KR 20100031878A KR 101578026 B1 KR101578026 B1 KR 10157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re
firearm
bas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651A (ko
Inventor
장석규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0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02Mountings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08Bearings, e.g. trunnions; Brakes or blocking arrangements
    • F41A27/14Central-pivo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는 베이스부와, 화기가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기 지지부와, 상기 화기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화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화기 지지부를 상기 제1위치에 위치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제1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기 거치 장치{Weapon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기를 지지하기 위한 화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투차량 등은 그 상측에 화기(火器)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화기는 전투차량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화기 거치 장치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기 거치 장치는 전투차량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며, 화기도 화기 거치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화기는 다양한 방향으로 사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기 거치 장치는 탑재된 화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화기가 탑재된 화기 거치 장치 및 전투차량을 합친 높이는 지형 및 지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은데, 화기가 탑재된 화기 거치 장치 및 전투차량을 합친 높이에서 화기 및 화기 거치 장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전투차량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전투차량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면 전투차량의 수상 운행 시 부력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내부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수송가능한 병력 또는 병기의 양도 감소된다. 또한 대용량의 엔진을 탑재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기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화기 거치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는 베이스부와, 화기가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기 지지부와, 상기 화기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화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화기 지지부를 상기 제1위치에 위치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제1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에 의하면, 화기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화기 및 화기 거치 장치가 설치된 전투차량 전체의 총 높이가 제한되는 경우, 화기 및 화기 거치 장치가 차지하는 높이를 낮추어 줌으로써 전투차량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투차량이 수상 운행시 받는 부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전투차량의 내부공간 및 엔진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엄폐 진지 사격 또는 곡사사격 등과 같은 고사계 사격이 요구되는 경우에 화기의 높이를 높여줌으로써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기 거치 장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기 거치 장치의 일부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기 거치 장치의 다른 일부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기 거치 장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기 거치 장치의 일부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기 거치 장치의 다른 일부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VI-VI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1)는 베이스부(100), 화기 지지부(200), 탄성수단, 제1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베이스부(100)는 전투차량(미도시)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전투차량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5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전투차량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다.
베이스부(100)는 전투차량 내부에 연통하도록 관통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02)을 덮어 줄 수 있도록 해치(110)가 베이스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부(100)의 관통공(102)의 양측에는 방패막(120)이 배치되는데, 방패막(120)은 사수가 화기(W)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체를 베이스부(100)의 상측으로 내밀었을 때, 적들로부터 발사된 총탄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100)의 전방에는 세로로 배치된 판 형상의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140)가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결합된다.
화기 지지부(200)는 화기(W)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기 지지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전방 및 그 상측을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은 화기 지지부(200)가 베이스부(100)의 전방에 위치한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화기(W)도 베이스부(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도 4는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의 상측에 위치한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화기 지지부(200)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화기(W)는 베이스부(100)의 상측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기 지지부(200)는 지지대(210)와 화기 안착부(220)를 구비한다. 지지대(210)는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베이스부(100)의 제1결합부(130)에 힌지 결합된다. 지지대(210)의 상측에는 스토퍼(21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스토퍼(212)는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경우, 제1결합부(130)의 상측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화기 지지부(200)는 제1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화기 안착부(220)는 화기(W)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지지대(21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화기 안착부(220)는 안착부 본체(221)와, 화기 결합부(240)를 구비한다.
안착부 본체(221)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222)이 고정결합되며, 그 회전축(222)이 지지대(210)에 끼워짐으로써, 안착부 본체(221)가 지지대(2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을 참조하면, 회전축(222)은 지지대(210)를 관통하며, 그 일부가 지지대(210)로부터 돌출된다.
회전축(222)의 돌출된 일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회전각 제한 스토퍼(224)가 고정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경우, 회전각 제한 스토퍼(224)의 일측이 지지대(210)에 마련된 돌출부(214)에 걸림으로써, 안착부 본체(221)가 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화기(W)는 전방보다 후방이 더 무거운데, 회전각 제한 스토퍼(224)는 화기(W)가 자중에 의해서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화기 지지부(2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경우, 회전각 제한 스토퍼(224)의 타측이 지지대(210)에 마련된 돌출부(214)에 걸림으로써 지지부 본체(221)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와 같이, 회전각 제한 스토퍼(224)가 지지대(210)에 마련된 돌출부(214)에 걸림으로써, 지지부 본체(221)는 지지대(210)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이내로 그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한편, 화기 지지부(200)에는 안착부 본체(221)가 지지대(210)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 또는 제한하기 위하여 제2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 본체(221)에 고정 결합된 회전축(222)과, 회전축(222)의 지지대(210)로부터 돌출된 일부에 나사 결합되는 가압체(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가압체(230)는 지지대(210)의 돌출부(214)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압체(2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체(230)는 지지대(210)의 돌출부(214)에 접근하게 되고, 지지대(210)와 안착부 본체(221)가 서로 밀착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지지대(210)를 가압한다. 가압체(2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체(230)는 지지대(210)로부터 이격되어 안착부 본체(221)와 지지대(210)의 상대 고정이 해제된다.
가압체(230)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압체(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232)가 마련된다. 즉, 사수(射手)가 손잡이(232)를 잡고 가압체(230)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안착부 본체(221)는 지지대(210)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제한될 수도 있고, 반대로 지지대(210)에 대한 상대 회전이 허용될 수도 있다.
화기 결합부(240)는 안착부 본체(221)의 상측에 배치되며, 안착부 본체(221)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부 본체(221)에 결합된다. 따라서, 화기 결합부(240)에 결합된 화기(W)는 수평방향으로 그 발사 방향을 변동할 수 있다.
화기 결합부(240)는 화기(W)와 직접 결합되는 화기 받침부(242)를 구비하는데, 화기 받침부(242)는 화기(W)가 상하방향으로 사격방향을 변동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화기 받침부(242)의 회전 중심축은 화기의 무게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어 사수가 화기(W)의 사격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수단은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기 지지부(20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수단은 가스 스프링(300)으로 이루어진다. 가스 스프링(300)은 피스톤과 실린더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가 고압으로 밀봉되어 있다. 가스 스프링(300)은 실린터 내부에 공기압에 의해서 그 길이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가스 스프링(300)은 베이스부(100)에 고정 배치된 제2결합부(140)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대(210)에 힌지 결합된다.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 위치할 경우, 가스 스프링(300)은 압축되어 수축되며, 화기 지지부(200)가 제2위치에 위치할 경우, 가스 스프링(300)은 신장된다. 즉, 가스 스프링(300)은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지대(210)에 가한다.
제1고정수단은 화기 지지부(200)를 제1위치에 위치 고정 또는 그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0)에 형성된 제1관통구(211)와, 제1관통구(211)에 출입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배치된 고정핀(400)을 포함한다. 고정핀(400)은 베이스부(100)의 제1결합부(130)에 형성된 제2관통구(131)를 지나도록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핀(400)은 베이스부(100)의 제1결합부(130)에 힌지 결합된 레버(410)에 힌지로 결합되며, 고정핀(400)이 제1관통구(2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인장 스프링(420)이 레버(410)와 제1결합부(130) 사이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400)이 제1관통구(211)에 끼워지면, 화기 지지부(200)는 가스 스프링(30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제1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인장 스프링(420)이 레버(410)를 제1결합부(130) 방향으로 당겨 주고 있으므로, 고정핀(400)은 안정적으로 제1관통구(2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화기 지지부(200)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레버(410)를 제1결합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레버(410)가 제1결합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고정핀(400)이 제1관통구(211)에서 빠져나온다. 그러면 가스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지지대(200)가 상측으로 이동되며 결과적으로 화기 지지부(200)가 제2위치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1)의 사용 방법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1)를 전투차량에 설치하고, 화기 결합부(240)에 화기(W)를 결합시킨다. 화기(W)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화기 지지부(200)를 제1위치에 위치시키고 고정핀(400)을 지지대(210)의 제1관통공(211)에 끼워줌으로써 화기 지지부(200)를 제1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가압체(230)의 손잡이(232)를 돌려주어 가압체(230)가 지지대(210)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210)와 안착부 본체(221)가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기 지지부(200)가 제1위치에 고정되면, 화기(W) 및 화기 지지부(200)의 무게 중심이 낮아지므로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전체의 무게 중심이 낮아진다.
화기(W)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수는 해치(110)를 열고 상체를 베이스부(100)의 상측으로 내민다. 그리고 레버(410)를 젖혀 주어 고정핀(400)이 제1관통구(211)로부터 빠지도록 한다. 고정핀(400)이 제1관통구(211)를 빠져 나오면 압축되어 있던 가스 스프링(300)이 신장되면서 지지대(210)가 상측으로 회전 이동된다. 즉 화기 지지부(200)가 제2위치에 위치된다. 화기 지지부(200)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가압체(230)의 손잡이(232)를 지지대(2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안착부 본체(221)가 지지대(21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 본체(221)가 지지대(2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면, 안착부 본체(221)를 회전시켜 화기(W)가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안착부 본체(221)의 회전축(222)에 고정된 회전각 제한 스토퍼(224)가 지지부(210)의 돌출부(214)에 걸리므로 안착부 본체(221)가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회전 제한 스토퍼(224)가 지지대(210)의 돌출부(214)와 접촉되면 다시 가압체(230)의 손잡이(232)를 잡고 가압체(230)를 회전시켜 지지대(210)와 지지부 본체(221)를 서로 밀착 고정시킨다.
화기 지지부(200)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수는 화기(W)의 손잡이를 잡고 화기(W)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사격을 개시하면 된다. 사격이 종료되고 화기(W)를 사용이 완료되면 화기 지지부(200)를 다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위치에 고정시켜 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기 지지부(200)를 제2위치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격을 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화기 지지부(200)를 제1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엄폐 진지 사격 또는 곡사사격 등과 같은 고사계 사격이 요구되는 경우에 화기 지지부(200)를 제2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격을 하는 것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전투차량에 있어서, 화기(W) 및 화기 거치 장치를 포함한 총 높이가 지형 및 지물과의 관계에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전투차량을 수송하기 위한 수송기 또는 수송선과의 관계에서 전투차량의 총 높이가 제한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1)를 전투차량에 장착할 경우, 화기 지지대(200)를 제1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전투차량의 총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1)를 사용하면, 종래에 화기 거치 장치를 장착할 경우보다 전투차량 자체의 높이를 더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기 거치 장치에 의하면, 화기(W)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화기(W) 및 화기 거치 장치(1)가 설치된 전투차량 전체의 총 높이가 제한되는 경우, 화기(W) 및 화기 거치 장치(1)가 차지하는 높이를 낮추어 줌으로써 전투차량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투차량이 수상 운행시 받는 부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전투차량의 내부공간 및 엔진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탄성수단은 가스 스프링(300)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탄성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탄성수단은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으며, 지지대(210)와 베이스부(100) 사이에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수단은 제1관통구(211)와 고정핀(400)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고정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고정수단은 지지대(210)와 제1결합부(130)를 상호 밀착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일측이 베이스부(1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대(210)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수단은 회전축(222)과 가압체(2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고정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고정수단은 안착부 본체(221)에 형성된 관통공과, 이에 출입가능하도록 지지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핀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 ... 화기 거치 장치 100 ... 베이스부
200 ... 화기 지지부 210 ... 지지대
220 ... 안착부 221 ... 안착부 본체
230 ... 가압체 240 ... 화기 결합부
300 ... 가스 스프링 400 ... 고정핀
410 ... 레버 W ... 화기

Claims (9)

  1. 베이스부와,
    화기가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기 지지부와,
    상기 화기 지지부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화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화기 지지부를 상기 제1위치에 위치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제1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화기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화기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지지대를 상기 안착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돌출된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체를 포함하는 화기 거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화기 지지부에 형성된 제1관통구와,
    상기 화기 지지부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관통구에 삽입 및 퇴출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화기 거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31878A 2010-04-07 2010-04-07 화기 거치 장치 KR10157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78A KR101578026B1 (ko) 2010-04-07 2010-04-07 화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78A KR101578026B1 (ko) 2010-04-07 2010-04-07 화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51A KR20110112651A (ko) 2011-10-13
KR101578026B1 true KR101578026B1 (ko) 2015-12-16

Family

ID=4502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878A KR101578026B1 (ko) 2010-04-07 2010-04-07 화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83B1 (ko) * 2011-07-07 2014-01-15 (주)우남마린 기관총용 총기거치대
CN103010111B (zh) * 2012-12-19 2015-01-21 东风汽车公司 一种车载武器转盘固定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7634A1 (de) * 2004-01-22 2005-07-27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Waffens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7634A1 (de) * 2004-01-22 2005-07-27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Waffen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51A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9336B2 (en) Shooting rests for supporting firearms
US6574899B1 (en) Tripod-mounted combined gun rest and armrest
KR100543581B1 (ko) 주화기용 보조조립체의 장착방법 및 장치
US92069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mping
US8109028B2 (en) Gun mount
US7143986B1 (en) Stabilizing device
US7770767B2 (en) Mountain Mike's reproductions ATV gun rack/pop-up shooting rest
US7941955B2 (en) Pivoting, non-detachable magazine
US8640373B2 (en) Integrated sling mount and recoil lug
US20070068379A1 (en) Rifle platform
US7258055B1 (en) Machine gun mount
US9010010B2 (en) Firearm magazine catch apparatus
KR101578026B1 (ko) 화기 거치 장치
KR100925088B1 (ko) 벨트 파우치 및 벨트 파우치를 구비한 기관총
US20220404113A1 (en) Shooting rest with shoulder rest
US9360266B2 (en) Cannon and military vehicle
CN207466986U (zh) 保护罩及无人机
US20160216056A1 (en) Weapon mounting system for firearms
JP3801596B2 (ja) 望遠系撮影におけるカメラブレ防止装置
CN215930681U (zh) 一种用于无人设备的枪械固定架
US20070084338A1 (en) Rifle support for motorized vehicles
KR101247563B1 (ko) 기관총의 장전 장치
CN219134040U (zh) 挂置式车拍装置
CN113776380A (zh) 一种用于无人设备的枪械固定架
JP2003056997A (ja) 弾発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