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706B1 -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706B1
KR101577706B1 KR1020140015494A KR20140015494A KR101577706B1 KR 101577706 B1 KR101577706 B1 KR 101577706B1 KR 1020140015494 A KR1020140015494 A KR 1020140015494A KR 20140015494 A KR20140015494 A KR 20140015494A KR 101577706 B1 KR101577706 B1 KR 101577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window frame
expansion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334A (ko
Inventor
유지용
이은택
김영탁
손종원
타다시 오노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7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설치되는 창호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된 팽창부재(200); 및 상기 팽창부재(200)를 압축하는 압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이 상기 개구부(2)에 삽입된 이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WINDOW AND DOORS ASSEMBLED WITH GASKET AND INSULATO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WINDOW AND DOO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프레임을 둘러싸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열 단열재를 이용하여 건식 공사로 창호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건물 외부를 형성하는 골조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이나 문을 의미한다. 창호는 창호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의 창호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창호의 설치를 위해서 골조의 개구부를 창호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창호를 개구부에 설치한 이후 개구부와 창호 사이의 사춤부를 모르타르나 단열 뿜칠을 이용하여 충전시키는 방식으로 창호를 시공하여 왔다.
다만, 종래의 창호의 설치방법은 사춤부를 충전하는 작업을 수행하면서 우수 등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 성능의 향상을 위해 방수 및 단열 공사를 같이 진행하게 되는데, 창호의 설치와 방수 및 단열 공사의 간섭으로 시공의 난이도가 높고 시공 오차의 발생률이 높아 종종 누수나 결로 또는 단열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창호의 설치방법은 모르타르나 단열 뿜칠의 습식 공사로 진행되므로 양생기간이 요구되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특히 단열 뿜칠 방식에 따르는 경우 건물 화재시 유독가스의 유입으로 인한 인명피해 문제, 재료의 수축 현상에 의한 누수 및 누기에 의한 결로 문제, 하자 보수의 곤란 문제 등이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창호 설치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공사만으로 창호를 설치하여 종래 습식 공사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된 팽창부재의 팽창력에 의해 사춤부위를 메움으로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설치되는 창호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된 팽창부재(200); 및 상기 팽창부재(200)를 압축하는 압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이 상기 개구부(2)에 삽입된 이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직경(Df)은 상기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작으며, 상기 압축부재(300)가 장착된 상태의 창호의 직경(D1)은 상기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작고, 상기 압축부재(300)가 제거된 상태의 창호의 직경(D3)은 상기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200)는, 건물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는 방수 개스킷(210); 및 상기 방수 개스킷(210) 보다 건물의 내측에 위치되는 난연 단열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재(200)에는, 상기 체결부재(400)가 통과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221)은 상기 난연 단열재(22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300)는, 일면에 점성을 가지는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팽창부재(200)를 둘러싸는 일측 개방형 하우징(310); 및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하우징(310)의 고정부(3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312)에 체결되는 체결타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타이(320)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타이(32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을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외면을 둘러싸는 팽창부재(200)를 압축부재(300)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압축부재(300)를 제거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팽창부재(20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의 공간을 상기 팽창부재(200)로 메우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외면을 둘러싸는 팽창부재(200)를 압축부재(300)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제1 단계(A100); 상기 압축부재(300)를 제거하는 제2 단계(A200);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위치시키는 제3 단계(A300); 및 상기 팽창부재(20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의 공간을 상기 팽창부재(200)로 메우는 제4 단계(A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부재(200)는, 건물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는 방수 개스킷(210); 및 상기 방수 개스킷(210) 보다 건물의 내측에 위치되는 난연 단열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체결하는 체결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재(200)에는, 상기 체결부재(400)가 통과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300)는, 일면에 점성을 가지는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팽창부재(200)를 둘러싸는 일측 개방형 하우징(310); 및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하우징(310)의 고정부(3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312)에 체결되는 체결타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S100, A100)는, 상기 팽창부재(200)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31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체결타이(320)의 타단을 상기 체결부(312)에 체결하여 상기 팽창부재(200)를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타이(320)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타이(32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S300, A300)와 상기 제4 단계(S400, A400) 사이에, 상기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공사만으로 창호를 설치하여 종래 습식 공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된 팽창부재의 팽창력에 의해 사춤부위를 메울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 설치와 동시에 방수 및 단열 공사가 건식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되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단열과 방수 공사간 간섭됨이 없이 공종간 하자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 단열재를 팽창재로 사용함으로써 건물 화재시 실내로의 유독 가스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재료의 수축에 따른 누기 등의 문제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과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 공사에 의해 창호 설치가 수행되므로, 설치 이후 하자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보수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가 설치되는 건물 골조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 단열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의 시공전 및 시공후의 팽창부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는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설치되며(도 1), 기본적으로 창호 프레임(100), 창호 프레임(100)과 개구부(2) 사이에 형성되며, 창호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된 팽창부재(200) 및 팽창부재(200)를 압축하는 압축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창호 프레임(100)은 창호의 외형을 형성하고, 창호를 개구부(2)에 체결시키며, 창호의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압축부재(300)는 팽창부재(200)를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창호가 설치되는 개구부(2)에 삽입된 이후, 압축부재(300)를 제거하게 되면 압축상태의 팽창부재(200)가 재질적 탄성 회복력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창호가 개구부(2)에 고정 설치되며, 개구부와 창호 프레임 사이의 공간(사춤부위)을 메울 수 있다(도 4).
즉, 압축부재(300)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창호의 설치 작업이 완료될 수 있어, 종래의 창호 설치 작업시 요구되던 모르타르 작업 또는 뿜칠작업의 수행이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모르타르 작업, 뿜칠 작업과 같은 물의 사용이 요구되는 습식공사에 의해 창호를 설치하던 종래의 창호 설치방법과는 달리, 팽창부재(300)의 팽창력만으로 사춤부위를 메울 수 있으므로,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공사만으로 창호를 설치하여 종래 습식 공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된 팽창부재의 팽창력에 의한 창호 고정방식으로 창호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공사로 창호 시공이 진행되므로 창호 설치와 동시에 방수 및 단열 공사가 진행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단열과 방수 공사가 서로 간섭됨이 없어 공종간 하자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 단열재를 팽창재로 사용함으로써 사춤부위를 난연 단열재로 메꾸어, 건물 화재시 실내로의 유독 가스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재료의 수축에 따른 누기 등의 문제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방수 부분과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 부분이 분리되어 있어, 기존의 방식으로 설치된 창호에 비교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 공사에 의해 창호 설치가 수행되므로, 설치 이후 하자가 발생되는 경우 하자의 보수에도 습식공사가 요구되지 않아, 하자를 보수하는 것이 종래의 방식으로 설치된 창호에 비교하여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사춤부위를 완벽하게 메우기 위해서는 창호 설치 이후에도 팽창부재(200)의 탄성 회복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창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의 창호 프레임(100)의 직경(Df)은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작으며, 압축부재(300)가 장착된 상태의 창호의 직경(D1)은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작고, 압축부재(300)가 제거된 상태의 창호의 직경(D3)은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200)는, 건물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는 방수 개스킷(210) 및 방수 개스킷(210) 보다 건물의 내측에 위치되는 난연 단열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방수 개스킷(210)은 건물 외부에서 사춤부위로의 우수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난연 단열재(220)는 건물 내부의 단열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는 창호 프레임(100)을 개구부(2)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체결부재(400)가 창호 프레임(100)과 개구부(2) 사이에 형성된 팽창부재(200)를 통과하기 위해서, 팽창부재(200)에는 체결부재(400)가 통과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방수 캐스킷(210)의 길이보다 난연 단열재(22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관통홀(221)은 난연 단열재(220)에 형성되는 것이 시공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재(300)는, 일면에 점성을 가지는 테이프일 수 있다.
테이프를 이용하여 팽창부재(200)를 압박함으로써, 팽창부재(200)의 체적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고 개구부(2)에 삽입된 이후 테이프를 제거하여 사춤부위를 팽창부재(200)에 의해 메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팽창부재(20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한 체적 회복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개구부(2) 근처에서 테이프를 제거한 이후 개구부(2)에 창호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재(300)는, 팽창부재(200)를 둘러싸는 일측 개방형 하우징(310) 및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은 하우징(310)의 고정부(311)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312)에 체결되는 체결타이(3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이 경우 하우징(310)을 팽창부재(200)에 결합한 후, 체결타이(320)를 체결부(312)에 체결시키는 것만으로, 팽창부재(200)의 압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체결타이(320)의 체결력에 의해 핑창부재(200)에 압축력이 도입될 수 있으므로, 체결타이(320)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탄성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의 체결타이(320)의 길이는 고정부(311)와 체결부(312) 사이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팽창부재(200)의 압축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압축부재(300)를 재활용 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방법 1)에 따른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은, 창호 프레임(100) 외면을 둘러싸는 팽창부재(200)를 압축부재(300)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제1 단계(S100), 창호 프레임(100)을 개구부(2)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압축부재(300)를 제거하는 제3 단계(S300) 및 팽창부재(200)의 팽창력에 의해 창호 프레임(100)과 개구부(2) 사이의 공간을 팽창부재(200)로 메우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방법 2)에 따른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은, 창호 프레임(100) 외면을 둘러싸는 팽창부재(200)를 압축부재(300)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제1 단계(A100), 압축부재(300)를 제거하는 제2 단계(A200), 및 창호 프레임(100)을 개구부(2)에 위치시키는 제3 단계(A300) 및 팽창부재(200)의 팽창력에 의해 창호 프레임(100)과 개구부(2) 사이의 공간을 팽창부재(200)로 메우는 제4 단계(A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계(S100, A100)의 수행을 위해 팽창부재(200)를 압축시키는 압축부재(300)는 테이프일 수 있고, 또는 하우징(310) 및 체결타이(320)를 포함하는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는 것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3 단계(S300, A300)와 제4 단계(S400, A400) 사이에,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창호 프레임(100)을 개구부(2)에 체결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골조
2 : 개구부
100 : 창호 프레임
200 : 팽창부재
300 : 압축부재

Claims (16)

  1.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설치되는 창호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된 팽창부재(200); 및
    상기 팽창부재(200)를 압축하는 압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이 상기 개구부(2)에 삽입된 이후 제거되며,
    상기 압축부재(300)는,
    일면에 점성을 가지는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2.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설치되는 창호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된 팽창부재(200); 및
    상기 팽창부재(200)를 압축하는 압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이 상기 개구부(2)에 삽입된 이후 제거되며,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팽창부재(200)를 둘러싸는 일측 개방형 하우징(310); 및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하우징(310)의 고정부(3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312)에 체결되는 체결타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직경(Df)은 상기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작으며,
    상기 압축부재(300)가 장착된 상태의 창호의 직경(D1)은 상기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작고,
    상기 압축부재(300)가 제거된 상태의 창호의 직경(D3)은 상기 개구부(2)의 직경(D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200)는,
    건물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는 방수 개스킷(210); 및
    상기 방수 개스킷(210) 보다 건물의 내측에 위치되는 난연 단열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재(200)에는,
    상기 체결부재(400)가 통과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21)은 상기 난연 단열재(22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타이(320)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타이(32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8. 삭제
  9.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외면을 둘러싸는 팽창부재(200)를 압축부재(300)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압축부재(300)를 제거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팽창부재(20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의 공간을 상기 팽창부재(200)로 메우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재(300)는,
    일면에 점성을 가지는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
  10. 건물 골조(1)의 개구부(2)에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100) 외면을 둘러싸는 팽창부재(200)를 압축부재(300)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압축부재(300)를 제거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팽창부재(20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창호 프레임(100)과 상기 개구부(2) 사이의 공간을 상기 팽창부재(200)로 메우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재(300)는,
    상기 팽창부재(200)를 둘러싸는 일측 개방형 하우징(310); 및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하우징(310)의 고정부(3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312)에 체결되는 체결타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200)는,
    건물의 외측을 향해 설치되는 방수 개스킷(210); 및
    상기 방수 개스킷(210) 보다 건물의 내측에 위치되는 난연 단열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팽창부재(200)에는,
    상기 체결부재(400)가 통과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100, A100)는,
    상기 팽창부재(200)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31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체결타이(320)의 타단을 상기 체결부(312)에 체결하여 상기 팽창부재(200)를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타이(320)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타이(32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200)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S300)와 상기 제4 단계(S400) 사이에,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상기 창호 프레임(100)을 상기 개구부(2)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15494A 2014-02-11 2014-02-11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 KR10157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94A KR101577706B1 (ko) 2014-02-11 2014-02-11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94A KR101577706B1 (ko) 2014-02-11 2014-02-11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34A KR20150094334A (ko) 2015-08-19
KR101577706B1 true KR101577706B1 (ko) 2015-12-16

Family

ID=5405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494A KR101577706B1 (ko) 2014-02-11 2014-02-11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38B1 (ko) 2019-04-10 2020-05-27 장계연 고단열성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15B1 (ko) 2012-10-26 2013-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춤재, 창호 및 사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10Y1 (ko) * 1998-07-07 2004-04-21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창호 설치용 지지금구
KR20100112317A (ko) * 2009-04-09 2010-10-19 (주) 코인스이앤씨 건축물의 창호 사춤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815B1 (ko) 2012-10-26 2013-07-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춤재, 창호 및 사춤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38B1 (ko) 2019-04-10 2020-05-27 장계연 고단열성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34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1939284B1 (ko) 오픈형 조인트 구조를 갖는 외장패널조립체
JP2015151822A (ja) カバー材及び樹脂サッシ
KR101577706B1 (ko) 방수 개스킷 및 난연 단열재 일체형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의 설치방법
KR101142918B1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커튼월 샷시조립체
JP2017115510A (ja) 改装用建具
JP6472701B2 (ja) 改装用新設窓、及び、窓の改装方法
KR20160006395A (ko)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실내측 마감재
JP2747249B2 (ja) 改装窓
KR101591896B1 (ko)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20190066279A (ko) 창호 시공용 폼 가스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KR20080000865U (ko) 창호용 지수재
CN208900854U (zh) 保温墙穿墙管防水结构
JP2019002170A (ja) 建具の取付構造
KR102195331B1 (ko) 공기주입식 팽창부재를 구비한 창호
JP2014185496A (ja) 改修戸
JP6347481B2 (ja) 扉枠構造
KR101932666B1 (ko)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KR101472811B1 (ko) 강판 오픈 프레임 내진보강 방법
KR102406682B1 (ko) 친환경 단열 시스템
CN204152367U (zh) 一种系统窗固定系统
CN211851476U (zh) 一种装配式窗
JP5604281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水返し構造
JP7201369B2 (ja) 窓交換方法及び窓取付構造
KR200393737Y1 (ko) 건축물의 시공시 사용되는 문틀 보양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