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416B1 -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416B1
KR101577416B1 KR1020130056741A KR20130056741A KR101577416B1 KR 101577416 B1 KR101577416 B1 KR 101577416B1 KR 1020130056741 A KR1020130056741 A KR 1020130056741A KR 20130056741 A KR20130056741 A KR 20130056741A KR 101577416 B1 KR101577416 B1 KR 10157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hamber
water
electrolytic unit
ballas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337A (ko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천상규
진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3005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4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농도 이상의 염도를 가지는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선단부 및 말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외측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살균수가 배출되는 유출부와 일단은 말단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가 상기 유출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와 외측부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져,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전해유닛에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상기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Electrosys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gas and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일정 농도 이상의 염도를 가지는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선단부 및 말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외측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살균수가 배출되는 유출부와 일단은 말단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가 상기 유출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와 외측부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져,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전해유닛에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상기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란 선박이 짐을 싣지 않고 운항하는 경우에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의 밸러스트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의미한다. 국제교역량의 증가와 함께 해상운송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선박 수의 증가 및 대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도에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와 침전물의 통제와 관리에 대한 국제협약'이 완성되어 2009년부터 신규 건조되는 선박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에는 밸러스트수에 포함되어 있는 생물종에 의한 해양생태계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밸러스트수를 열처리, 화학약품처리, 전기분해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살균한 후 배출하고 있다. 상기 열처리 방식의 경우 열에 강한 미생물이나 무기오염원에 대해서는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상기 화학약품처리 방식의 경우 밸러스트수 처리 후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유입되는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밸러스트수에 공급하여 밸러스트수를 살균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아래 표시한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종래 전기분해 방식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되어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해소독 모듈을 통해 전기분해하여 밸러스트수를 살균한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6658호(2009. 11. 11. 공개)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하지만, 선박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전기분해 모듈에는 기울기가 발생하게 되어 밸러스트수의 전기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수소 기체 등이 상기 전기분해 모듈의 모서리 부분에 축적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전기분해 모듈에 축적된 수소 기체가 상기 전기분해 모듈의 전극에 접촉하는 경우 폭발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박의 흔들림에도 내부에 가스가 축적되지 않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와 외측부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지도록 하우징이 형성되어,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시계방향으로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유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일단은 말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부에 연결되어 살균수가 유출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선박의 흔드림에 의해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유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부가 선단부에서 말단부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와 말단부 사이에 부착되어 형성되므로,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은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선단부 및 말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외측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살균수가 배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와 외측부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져,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반시계방향으로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상기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단은 말단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가 상기 유출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시계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상기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는 상기 선단부에서 상기 말단부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외측부가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은 밸러스트수가 이동하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인출하여 전해유닛에 공급하는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으로부터 공급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유닛과, 상기 전해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전해유닛에서 공급된 살균수에서 가스를 제거하는 디가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유닛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전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에 있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가스 유닛은 살균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어 가스가 제거된 살균수가 유출되는 유출부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서 분리된 가스를 이동시켜 배출하는 가스이동배출부와; 상기 챔버 내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공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챔버 내에 살균수의 유입이 중단될 시 외부 공기를 상기 챔버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는 상기 챔버에서 분리된 가스에서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살균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챔버 내의 진공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공기의 공급시 상기 챔버 내의 흡입압력에 의해 외부 공기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살균수도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되고, 상기 챔버는 일 측에 관통형성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방지부는 일단이 상기 유입홀에 연통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살균수의 공급이 중단될 때 상기 유입홀을 개방시키는 진공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가스 유닛은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여 살균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벨스위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챔버 내의 살균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 내부 상측에 축적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챔버 내의 살균수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챔버는 일 측에 관통형성되는 배출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는 가스이동관과, 상기 가스이동관의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레벨스위치에 의해 측정된 살균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스이동관을 개폐하고,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는 상기 배출홀의 개방 범위를 조절하는 가스량밸브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가스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의 양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흔들림에도 내부에 가스가 축적되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와 외측부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지도록 하우징이 형성되어,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시계방향으로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유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일단은 말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부에 연결되어 살균수가 유출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반시계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유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부가 선단부에서 말단부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와 말단부 사이에 부착되어 형성되므로,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유닛이 사용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해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해유닛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전해유닛의 단면도.
도 5 및 6은 도 1의 전해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도 1의 디가스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선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의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디가스 유닛을 구성하는 가스배출부의 확대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C-C선의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디가스 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유닛이 사용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전해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해유닛의 부분절단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전해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6은 도 1의 전해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도 1의 디가스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디가스 유닛을 구성하는 가스배출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C-C선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디가스 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은 밸러스트수가 이동하는 메인관(100)과, 상기 메인관(100)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인출하여 전해유닛(1)에 공급하는 인출관(200)과, 상기 인출관(200)으로부터 공급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유닛(1)과, 상기 전해유닛(1)과 연결되어 상기 전해유닛(1)에서 공급된 살균수에서 가스를 제거하는 디가스 유닛(2)과, 상기 디가스 유닛(2)과 연결되어 가스가 제거된 살균수를 상기 메인관(100)에 공급하는 공급관(300)과, 상기 벨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관(200)에는 상기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상기 전해유닛(1)에 공급되는 밸러스트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인출펌프(210)이 설치된다.
상기 전해유닛(1)을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해유닛(1)은 상기 인출관(200)을 통해 밸러스트수를 공급받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여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모듈(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유닛(1)에 유입되는 밸러스트수는 일정 농도 이상의 염도를 가지므로, 상기 전극모듈(12)에 의해 상기 밸러스트수의 전기분해시 살균제로 작용하는 차염소산, 차염소산나트륨, 차염소산이온 등의 산화제와 수소가스, 염소가스 등의 가스가 생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전해유닛(1)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선단부(111), 말단부(112), 외측부(113), 유입부(114), 유출부(115), 가이드부(116)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전극모듈(12)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선단부(111)와 말단부(1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양 끝단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외측부(1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외측부(113)는 상기 선단부(111)와 말단부(112)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11)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부(111)에서 상기 말단부(112)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부(113)의 상측은 중심선(A)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부(11)의 상부 부분을 나타내며, 상기 외측부(113)의 하측은 중심선(A)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부(11)의 하부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외측부(113)의 상측선(113a)는 상기 외측부(113)의 가장 높은 상측의 선단과 말단을 이은 선을 의미한다. 상기 외측부(113)는 상기 선단부(113)에서 말단부(112)로 갈수록 확경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외측부(113, 상측선(113a))와 선단부(111)가 이루는 각(a)은 둔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a)은 95 내지 135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해유닛(1)이 설치되는 선박의 흔들림에 의한 상기 하우징(11)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상기 각(a)을 95도보다 작게 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어렵고, 상기 각(a)을 135도보다 크게 하는 경우 외측부(113)가 너무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기울기가 45도 이상을 가질 가능성이 없기 때문인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입부(114)는 상기 외측부(113)의 하측의 선단부측에 연결되어 밸러스트수를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유입시킨다. 상기 유출부(115)는 상기 외측부(113)의 상측의 말단부측에 연결되어 밸러스트수가 전기분해되어 생성된 살균수(가스를 포함)를 상기 하우징(11)에서 배출한다.
상기 가이드부(116)는 일단은 상기 말단부(112)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부(113)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가 상기 유출부(115)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상기 외측부(113)과 말단부(112) 사이의 각(b)의 대변(116a)이 가장 길이가 긴 삼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외측부(113)과 가이드부(116)의 대변(116a)이 이루는 각(c)은 둔각을 가진다.
상기 전극모듈(12)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작동하여, 상기 유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한다. 상기 전극모듈(12)이 상기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면, 살균제로 작용하는 차염소산, 차염소산나트륨, 차염소산이온 등의 산화제와 수소가스, 염소가스 등의 가스를 포함하는 살균수가 생성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전해유닛(1)이 선박의 흔들림에도 살균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축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전해유닛(1)의 하우징(11)과 달리 선단부(111')에서 말단부(112')로 갈수록 확경되지 않고 동일한 직경(h1)을 가지는 외측부(113')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116)를 포함하지 않는 전해유닛(1')을 상정하여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선박에 설치되는 상기 전해유닛(1')에 기울기가 발생하는 경우 하우징(11')의 내부에 가스가 축적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흔들리지 않은 경우 선박에 설치된 전해유닛(1')은 수평을 유지해 유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는 전극모듈(12')에 의해 살균되어 생성된 살균수(가스 포함)는 모두 유출부(115')를 통해 배출되나, 도 5의 (b) 및 (c)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기울기가 발생한 경우 상기 외측부(113')와 말단부(112')가 접하는 곳(A) 또는 외측부(113')와 선단부(111')가 접하는 곳(B)에는 살균수가 존재하지 않는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살균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함께 생성된 가스가 축적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빈 공간(A, B)에 계속적으로 가스가 축적되면, 상기 가스(특히, 수소가스)는 전극모듈(12) 또는 상기 전극모듈(12)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과 접촉하여 폭발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전해유닛(1)의 외측부(113)는 선단부(111)에서 말단부(112)로 갈수록 확경되어 상기 외측부(113)와 선단부(111) 사이의 각(a)은 둔각을 가져,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상기 하우징(11)의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도 상기 외측부(113)와 선단부(111)가 접하는 부분에 가스가 축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해유닛(1)은 일단이 상기 말단부(112)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측부(113)의 내면에 연결되는 가이드부(116)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113)과 가이드부(116)의 대변(116a)이 이루는 각(c)은 둔각을 가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상기 하우징(11)의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도 상기 외측부(113)와 말단부(112)가 접하는 부분에 가스가 축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해유닛(1)이 전후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부(113)는 확경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하우징 내부(11)에 가스가 축적되지 않는다.
상기 디가스 유닛(2)을 도 1 및 7 내지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디가스 유닛(2)은 상기 전해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살균수로부터 가스를 분리제거하여 가스가 분리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챔버(21), 레벨스위치(22), 가스이동배출부(23), 진공방지부(2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21)는 상기 전해유닛(1)으로부터 살균수를 공급받아 가스를 분리한 후 가스가 제거된 살균수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일정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챔버(21)는 유입부(211), 유출부(212), 챔버덮개(213), 지지부재(214), 보호부재(21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211)는 상기 챔버(21)의 측면 상측에 형성되어 살균수가 유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유입부(211)는 상기 챔버(21)의 수직의 대칭축(H)에 편심되게 상기 챔버(21)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유출부(212)는 상기 챔버(21)의 측면 하측에 형성되어 가스가 분리된 살균수가 배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유출부(212)는 상기 챔버(21)의 수직의 대칭축(H)에 편심되게 상기 챔버(21)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챔버덮개(213)는 상기 챔버(21)의 상측을 덮는 부분으로 나사결합 등에 의해 상기 챔버(2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챔버덮개(213)에는 후술할 지지부재(214)가 삽입되는 관통형성된 삽입홀(213a)과, 후술할 진공방지부(26)와 연결되는 관통형성된 유입홀(213b)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14)는 상기 삽입홀(213a)에 삽입되어 상기 챔버덮개(213)와 결합하여 상기 삽입홀(213a)을 커버하고, 후술할 보호부재(215), 레벨스위치(22)를 고정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면에서 상측으로 함입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15)의 일단을 수용하여 고정지지하는 제1지지홈(214a)과, 상기 제1지지홈(214a)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함입형성되어 상기 레벨스위치(22)의 일단을 수용하여 고정지지하는 제2지지홈(214b)과, 상기 지지부재(214)에 관통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레벨스위치(22)와 보호부재(215) 사이의 상기 챔버(21) 내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챔버(21)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챔버(21) 내부에서 분리된 가스를 상기 챔버(2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배출홀(214c)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재(215)는 상기 제1지지홈(214a)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레벨스위치(22) 및 상기 배출홀(214c)의 일단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부(211)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비산된 살균수가 상기 배출홀(214c)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된 살균수가 바로 레벨스위치(22)에 접촉하여 것을 방지하여 상기 레벨스위치(22)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일정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성을 가지며 측면에는 관통형성된 복수의 통공(215a)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챔버(21)에서 살균수로부터 가스를 분리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211)로부터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챔버(21) 내에 일정 기간 동안 체류한 후 상기 유출부(212)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살균수가 상기 챔버(21) 내에 체류하는 동안 상기 살균수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는 상기 챔버(21) 내의 상측으로 축적되게 되어 상기 살균수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상기 유입부(211)와 상기 유출부(212)는 상기 챔버(21)의 수직의 대칭축(H)에 편심되게 위치하므로, 상기 유입부(211)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챔버(21) 내부에서 나선형태로 이동하여 상기 유출부(212)를 통해 배출되므로, 즉 상기 살균수의 상기 챔버(21) 내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상기 살균수로부터 가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레벨스위치(22)는 상기 챔버(21) 내에 위치하여 살균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레벨스위치(22)에 의해 측정된 값은 상기 컨트롤러(4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상기 레벨스위치(22)는 말단이 상기 지지부재(214)의 제2지지홈(214b)에 삽입되어 상기 챔버(2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211)를 통해 살균수가 유입되어 챔버(21) 내의 살균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21) 내의 살균수의 수위가 적정 수위 범위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상기 챔버(21) 내의 상측에는 상기 살균수로부터 분리된 가스가 축적되므로 상기 챔버(21) 내에 살균수가 계속 유입되어도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챔버(21) 내의 상기 살균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어, 상기 유출부(212)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의 수압이 낮아져 살균수의 정량 토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벨스위치(22)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21) 내의 살균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유출부(212)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의 정량 토출이 가능할 수 있는데, 상기 레벨스위치(22)를 이용하여 살균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동과정은 하기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가스이동배출부(23)는 상기 챔버(21)에서 분리된 가스를 대기에 배출하는 구성으로, 가스이동부(24)와 가스배출부(25)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이동부(24)는 상기 챔버(21)에서 분리된 가스의 상기 챔버(21) 외부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가스이동관(241), 가스량밸브(242), 개폐밸브(243), 연결부재(244)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이동관(241)은 상기 챔버(21)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21)에서 분리된 가스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제1이동관(241a), 매니폴드(241b), 제2이동관(241c)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관(241a)은 상기 배출홀(214c)에 연통되게 상기 지지부재(214)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214c)을 통해 배출된 가스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1이동관(241a)의 말단은 상기 매니폴드(241b)의 입력단(2411)에 연결된다.
상기 매니폴드(241b)는 입력단(2411)이 상기 제1이동관(241a)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2411)을 통해 유입된 가스를 2개의 배출단(2412)으로 분기시키는 구성으로, 각각의 배출단(2412)에는 후술할 제2이동관(241c)이 연결된다.
상기 제2이동관(241c)은 상기 매니폴드(241b)의 배출단(2412) 각각에 연결되어 가스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2이동관(241c)의 각각의 말단은 상기 연결부재(244)에 결합한다. 상기 제2이동관(241c)은 상기 제1이동관(241a)에 비하여 훨씬 더 긴 길이를 가진다.
상기 가스량밸브(242)는 상기 제1이동관(241a)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상기 배출홀(214c)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배출홀(214c)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배출홀(214c)의 개방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니들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가스량밸브(242)는 상기 챔버(2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양에 따라 상기 배출홀(214c)의 개방 범위를 조절하는데, 예컨대 상기 챔버(21)에 유입되는 살균수의 양 또는 상기 챔버(21) 내에서 단위 기간당 살균수의 수위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상기 챔버(2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 양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제1이동관(241a)에 배출홀(214c)의 개방 또는 폐쇄만을 결정하는 즉, 배출홀(214c)의 개방범위를 조절할 수 없는 온/오프 밸브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배출홀(214c) 개방시 상기 배출홀(214c)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갑자기 많아지게 되어 상기 배출홀(214c)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는 살균수의 물방울이 포함되는 비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가스량밸브(242)는 상기 배출홀(214c)의 개방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말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폐밸브(243)는 상기 제2이동관(241c)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상기 매니폴드(241b)의 출력단(2412)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솔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관(241a)을 통해 이동한 가스는 매니폴드(241b)에 의해 두 개로 분기되어 제2이동관(241c) 각각을 통해 이동하므로, 상기 개폐밸브(243)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을 일으켜 상기 제2이동관(241c) 중 어느 하나가 막히는 경우에도 나머지 상기 제2이동관(241c)을 통해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244)는 상기 제2이동관(241c)의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제2이동관(241c)을 통해 이동한 가스를 합쳐 배출하는 구성으로,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홈(244a)과, 상기 제2이동관(241c)의 각각에 결합하며 상기 함입홈(244a)과 연통되는 결합부(244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가스이동부(24)를 통해 상기 챔버(21) 내에 분리된 가스를 배출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레벨스위치(22)는 상기 살균제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컨트롤러(400)에 전송하는데,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21) 내에 가스가 축적되어 상기 살균수의 수위가 적정수위 범위보다 낮아져 상기 레벨스위치(22)가 이에 대한 살균수의 수위를 상기 컨트롤러(400)에 전송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개폐밸브(243)와 가스량밸브(242)를 개방한다. 상기 챔버(21) 내의 가스는 배출홀(214c), 제1이동관(241a), 매니폴드(241b), 제2이동관(241c), 연결부재(244)를 차례로 통과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스가 상기 챔버(21) 내에서 배출되어 상기 살균수의 수위가 적정수위보다 높아져 상기 레벨스위치(22)가 이에 대한 살균수의 수위를 상기 컨트롤러(400)에 전송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개폐밸브(243)와 가스량밸브(242)를 폐쇄하여 상기 챔버(21)의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디가스 유닛(2)은 상기 레벨스위치(22)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값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243)와 가스량밸브(24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챔버(21) 내의 살균수의 수위를 적정수위로 위치시켜, 상기 유출부(212)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하여 적량의 살균수의 배출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배출부(25)는 상기 가스이동부(24)를 통해 이동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후술할 진공방지부(26)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연결하우징(251), 결합부재(252), 필터(253), 공기공급부(25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하우징(251)은 내부에 필터(253)를 수용하며, 가스이동부(24), 공기공급부(254)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스이동부(24)에 연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는 제1연결부(251a)와, 공기공급부(254)에 연결되어 가압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연결부(251b), 상기 제1연결부(251a)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필터(253)를 통과하여 살균수가 제거된 가스와 상기 제2연결부(251b)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혼합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251c)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252)는 상기 제1연결부(251a)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가스이동부(24)의 연결부재(244)와 상기 필터(253)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부재(252)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252a)와, 상기 함입부(252a)의 하면에서 상기 결합부재(252)의 하면까지 관통형성되는 결합홀(252b)과, 상기 결합홀(252b)의 외측 상기 함입부(252a)의 하면에서 상기 결합부재(252)의 측면까지 관통형성되는 관통홀(252c)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홀(252b)의 하측에는 상기 연결부재(244)의 말단이 삽입되고 상기 결합홀(252b)의 상측에는 상기 필터(253)의 축경부(253a)가 삽입되게 되며, 상기 관통홀(252c)은 후술할 공기공급관(261)에 연통된다.
상기 필터(253)는 상기 연결하우징(251) 내부 상기 제2연결부(251b)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이동부(24)로부터 공급된 가스에서 살균수를 제거하고, 상기 제2연결부(251b)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부딪쳐서 상기 공기를 분산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253)의 하단에서 축경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252b)에 삽입되는 축경부(253a)와, 상기 축경부(253a)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 함입형성되는 홈부(253b)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253)는 다공성을 가지며, 테프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공기공급부(254)는 상기 연결하우징(251)의 내부에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연결부(251b)에 연결되는 송풍관(254a)과,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송풍관(254a)에 연결되어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254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스배출부(25)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가스이동부(24)를 통해 배출된 가스는 상기 결합부재(252)의 결합홀(252b)에 유입되어 상기 필터(253)의 홈부(253b)로 이동하여 상기 필터(253)의 다공을 지나면서 압력이 감소하여 상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기체, 액체 상태의 살균수는 상기 필터(253)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분리되고, 살균수가 분리된 가스는 상기 필터(253)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가스이동부(24)의 의해 가스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송풍기(254b)도 작동하여 상기 필터(253)에서 배출된 가스는 상기 제2연결부(251b)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일정 농도 이하의 가스 농도를 가지는 유체가 배출부(251c)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필터(253)는 상기 제2연결부(251b)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연결부(251b)를 통해 유입된 가압공기를 분산시키므로, 상기 필터(253)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상기 공기는 균일하게 혼합되어 유체의 가스 농도는 균일하게 된다. 상기 필터(253)에서 제거된 살균수는 다시 챔버(21) 내에 공급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진공방지부(26)는 상기 챔버(21) 내에 살균수의 유입이 중단되고 상기 챔버(21) 내의 살균수가 모두 배출되어 상기 챔버(2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공기공급관(261), 진공밸브(262)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관(261)은 일단이 상기 유입홀(213b)에 연통되게 상기 챔버(21)에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관통홀(252c)에 연통되게 상기 결합부재(252)에 결합하여, 외부공기 및 필터(253)에 의해 분리된 살균수를 상기 챔버(21) 내부에 공급한다.
상기 진공밸브(262)는 상기 공기공급관(261)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21) 내부에 살균수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유입홀(213b)을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펌프(210)의 작동이 중단되어 상기 챔버(21) 내에 살균수의 유입이 중단됨과 동시에 상기 진공밸브(262)를 작동시켜 상기 유입홀(213b)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방지부(26)가 상기 챔버(21) 내부의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253) 분리된 액체를 상기 챔버(21) 내부로 배출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펌프(210)가 오프되어 상기 챔버(21) 내에 살균수의 유입이 중단되고 상기 챔버(21) 내의 살균수가 상기 유출부(212)를 통해 모두 배출되어 상기 챔버(2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상기 가스량밸브(242), 개폐밸브(243)에는 가스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과도한 압력이 작동하여 상기 가스량밸브(242), 개폐밸브(243)가 파손될 수 있는데, 상기 진공밸브(262)는 펌프(210)의 작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상기 유입홀(213b)을 개방하여 외부 공기가 관통홀(252c), 공기공급관(261), 유입홀(213b)을 통해 상기 챔버(21) 내부에 공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챔버(21) 내부의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필터(253)에서 분리된 살균수는 외부 공기의 이동경로 동일하게 상기 챔버(21) 내부로 유입되어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해유닛 11: 하우징 12: 전극모듈
2: 디가스 유닛 21: 챔버 22: 레벨스위치 23: 가스이동배출부
24: 가스이동부 25: 가스배출부 26: 진공방지부

Claims (7)

  1. 밸러스트수가 이동하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일부를 인출하여 전해유닛에 공급하는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으로부터 공급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유닛과, 상기 전해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전해유닛에서 공급된 살균수에서 가스를 제거하는 디가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유닛은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선단부 및 말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외측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살균수가 배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측면과 상기 외측부의 상측선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져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반시계방향으로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상기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단은 말단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가 상기 유출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선박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전해유닛이 길이방향의 시계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발생하여도 상기 밸러스트수를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적되지 않고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가스 유닛은 살균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어 가스가 제거된 살균수가 유출되는 유출부를 가지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서 분리된 가스를 이동시켜 배출하는 가스이동배출부와; 상기 챔버 내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공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챔버 내에 살균수의 유입이 중단될 시 외부 공기를 상기 챔버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는 상기 챔버에서 분리된 가스에서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살균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방지부는 상기 챔버 내의 진공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공기의 공급시 상기 챔버 내의 흡입압력에 의해 외부 공기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살균수도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되고, 상기 챔버는 일 측에 관통형성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방지부는 일단이 상기 유입홀에 연통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살균수의 공급이 중단될 때 상기 유입홀을 개방시키는 진공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는 상기 선단부에서 상기 말단부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외측부가 사이의 각은 둔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가스 유닛은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여 살균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벨스위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챔버 내의 살균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인 경우,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 내부 상측에 축적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챔버 내의 살균수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챔버는 일 측에 관통형성되는 배출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는 가스이동관과, 상기 가스이동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레벨스위치에 의해 측정된 살균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스이동관을 개폐하고,
    상기 가스이동배출부는 상기 배출홀의 개방 범위를 조절하는 가스량밸브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가스이동관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의 양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을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20130056741A 2013-05-20 2013-05-20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10157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41A KR101577416B1 (ko) 2013-05-20 2013-05-20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41A KR101577416B1 (ko) 2013-05-20 2013-05-20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337A KR20140136337A (ko) 2014-11-28
KR101577416B1 true KR101577416B1 (ko) 2015-12-14

Family

ID=5245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741A KR101577416B1 (ko) 2013-05-20 2013-05-20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4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337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149B2 (en) Fin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fine bubble generation method, suction device, and suction system
KR101062578B1 (ko) 전기분해방식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전해수 수소 분리장치
JPWO2011108032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と該装置を使用したバラスト水無害化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2316952A (zh) 过滤单元以及具备该过滤单元的压载水制造装置
US11643343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564356B1 (ko) 살균제 저장탱크를 가지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1577416B1 (ko) 가스의 축적방지가 가능한 전해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JP2013136017A (ja) オゾン液生成装置
KR101618611B1 (ko)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US20150274563A1 (en) Method for treating ballast water and device for treating ballast water used therefor
KR101450126B1 (ko) 가스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디가스 유닛
KR101439871B1 (ko) 레벨스위치를 이용하여 적량의 살균수 토출이 가능한 디가스 유닛
KR101439872B1 (ko) 진공방지부를 가지는 디가스 유닛
JP2011112337A (ja) 給水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た電解装置
JPH09117605A (ja) 次亜塩素酸ソ−ダ生成プロセスにおける生成水素ガス分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25136B1 (ko) 중화제공급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중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JP2013010068A (ja) オゾン液生成器及びオゾン液生成方法
KR101394224B1 (ko) 개량된 사이드스트림관을 이용하는 전기분해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JP2010155213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6122750A (ja) 水素水製造装置及び水素水製造方法
KR20140084963A (ko) 에어벤트 밸브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분해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WO2018128154A1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190056566A (ko) 혼합 출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혼합수소수 생성장치
KR101776045B1 (ko)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용 가스배출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JP2005262195A (ja) 電解中に発生するガス抜き機構を備えた電解水生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